WO2014027805A1 -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27805A1
WO2014027805A1 PCT/KR2013/007219 KR2013007219W WO2014027805A1 WO 2014027805 A1 WO2014027805 A1 WO 2014027805A1 KR 2013007219 W KR2013007219 W KR 2013007219W WO 2014027805 A1 WO2014027805 A1 WO 201402780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fire suppression
detection
suppress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72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한주
Original Assignee
Lee Han-Ju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Han-Ju filed Critical Lee Han-Ju
Publication of WO201402780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278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detection unit capable of unmanned monitoring in real time to detect the shooting area, such as indoor or outdoor, and to change the spray direction toward the fire occurrence point and at the same tim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fire suppression system in which safety can be ensured by controlling the injection pressure accordingly, so that fire can be extinguished even in the absence of a person.
  • the fire detec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indoor or outdoor, such as a fire detector for detecting heat or smoke, a sprinkler for spraying water, and a fire alarm for generating a fire alarm.
  • the fire detection system detects a fire in the fire detector, drives a sprinkler and a fire alarm, and the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or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 the conventional fire detection system has a narrow detection range of the fire detector is not good fire detection performance, there is a fear that the initial evolution failed because the detection is made at the time of high heat or a lot of smoke occurs.
  • the conventional fire detection system is a decoy detection method in which a manager receiving a fire detection signal must always reside, and a manpower must be put into fire prevention.
  • the conventional fire detection system when the initial extinguishing failure, the power supply and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is cut off, it may occur a situation that does not properly exhibit the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shooting area, such as indoors or outdoors in real time using a detector capable of unattended monitoring, by varying the injection direction toward the fire occurrence point and at the same time by varying the injection pressur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e when a fire occu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nmanned fire suppression system that can safely extinguish a fire by being able to extinguish a fire at an early stage even in the absence of a person, thereby ensuring safety, and intensively spraying fire extinguishing material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re the extinguishing material in a position close to the location of the fire when the fire occurs, the fire from a distance can be extinguished quickly, so that an unmanned fire suppression system that can improve the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and range To provide.
  • Unmanned fire suppression system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above the indoor or outdoor, the detection unit for monitoring in real time whether a fire occurs within the set detection area, and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indoor or outdoor It is installed, by varying the injection direction to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he fire suppression unit for injecting extinguishing material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and when the fir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det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praying direction of the fire suppressing unit and controlling the spraying pressure of the fire suppressing unit according to the distance at which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is sensed.
  •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e flame, smoke, and heat generated in the detection area
  • the control unit preferably recognizes the point of the largest radiant energy transmitted from the flame as the location of the fire.
  • the detection un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monitoring camera for detecting a flame occurring in the detection area, and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smoke and heat generated in the detection area.
  • the fire suppression unit is fixed to the upper or the indoor or outdoor fixed, rotatably installed in one end of the support in the up and down, left and right, the injection nozzle for inject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to the fire position, and the support It is installed, i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injection nozzle up, down, left and right.
  • the fire suppression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ving member to be movable along the detection area, the moving member is to move the fire suppression unit to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to inject extinguishing material from the position close to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You can do that.
  • the moving member is installed to have a length along the detection area, the guide shaft for moving the fire suppression unit in the detection area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e suppression unit is coupled through the spiral, and the guide It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to have a second driv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 the moving member may include a guide rail installed to have a length along the photographing area, a wheel movably coupled along the rail to be rotatable on one side of the support,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It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driving unit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 the support is axially coupled to the first body fixedly installed above the indoor or outdoor, one end of the first body so as to be horizontally rotatable, the second end of the injection nozzle is axially coupled to the vertical rotation possible at one end
  • a body is provided,
  • the first driving unit is installed in the first body, the first motor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body, and is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injection nozzle
  • a second motor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may be provided.
  • an auxiliary battery for supplying auxiliary power may be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 the injection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tank for supply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contained therein, when the supply of th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stopped.
  •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e alarm for generating a fire alarm and an alarm sound when the detector detects a fire in the detection area.
  •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location of fire in real time using the unmanned detector, and when the fire occurs by varying the direction of injection toward the point of fire and at the same time by varying the injection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of the fire, even in the absence of people It can be suppressed at an early stage, ensuring safety, and intensively injecting extinguishing materials at the location of the fire, thereby effectively extinguishing the fire.
  • the extinguishing material may be injec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the fire generated at a long distance may be rapidly extinguished, thereby improving the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and range.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manned fire suppre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room.
  • FIG. 2 is an enlarged view according to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member is applied in the unmanned fire suppre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nlarged view according to FIG. 3.
  • FIG. 5 is a bottom view according to FIG. 3.
  • FIG. 6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tection unit, the fire suppression unit,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auxiliary tank in the unmanned fire suppre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tection unit 100 may detect the flame (1), smoke, and heat generated in the detection area.
  • the detection unit 100 transmit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a fire is detected in a detection area above an indoor or a specific location (outdoor, etc.). .
  • control unit 300 may immediately drive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to automatically spray the extinguishing material (water, etc.) to the corresponding fire occurrence position.
  • the detection unit 100 is to be provided with a surveillance camera 110 for detecting the flame (1) generated in the detection area, and a detection sensor 120 for detecting smoke and heat generated in the detection area.
  • a surveillance camera 110 for detecting the flame (1) generated in the detection area
  • a detection sensor 120 for detecting smoke and heat generated in the detection area.
  • the surveillance camera 110 as described above, may detect the shape and color of the flame, etc., the detection range may be preset to the controller 3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detection range may be the size and shape of the flame, and the color may be a color associated with the flame color (red, yellow, etc.).
  • the detection sensor 120 may use various heat detectors and smoke detectors.
  • Such a surveillance camera 110 and the sensor 12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as shown in Figure 1, or installed in the corner of the ceiling, set the entire room 10 or a specific location (outdoor, etc.) as the detection area. Can be.
  • the surveillance camera 110 and the sensor 120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adjacent to the ceiling of the room (10).
  • the monitoring camera 110 and the detection sensor 120 may be installed anywhere where it can detect all the areas for monitoring.
  • the surveillance camera 110 and the detection sensor 120 may be installed at the same location to set the entire area of the indoor 10 or a specific location (outdoor, etc.) as the detection area.
  • one or more surveillance cameras 110 may be installed at both corners of the ceiling, and one or more sensors 1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indoor 10 or a specific location (outdoor, etc.), and may change the injection direction to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detected by the above-described detection unit 100.
  •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injects th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location of the fire.
  •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may be provided as a support 210, a spray nozzle 220, and the first driving unit 230.
  • the support 210 may be fixedly installed above the room or a specific location (outdoor, etc.).
  • the support 210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the wall surface or a specific location (outdoor, etc.) or the corner of the ceiling.
  • the support 210 may be installed anywhere where it can spray the extinguishing material to the sensing area.
  • the support 210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body 211 and a second body 212.
  • the first body 211, the first body 211 may be installed above the room 10 or a specific location (outdoor, etc.), but may b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without limiting the installation site.
  • the second body 212 is axi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body 211 so as to be horizontally rotatable.
  • the injection nozzle 220 is axially coupled to one end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 on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220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212.
  • the injection nozzle 213 may inject extinguishing material to all positions of the sensing area by 360 ° horizontal rotation of the second body 212.
  • the first driving unit 230 may be operated by driving control of the controller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provided as a first motor 231 and a second motor 232, respectively.
  • the first motor 231 is installed in the first body 211, and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body 212.
  • the first motor 231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body 211, and the driving shaft of the first motor 231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212.
  • the second body 212 may be rotated horizontally, and all of the driving shafts of the first motor 231 may be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 the second motor 23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212, and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injection nozzle 220.
  • the injection nozzle 233 may be vertically rotated, and the driving shaft of the second motor 232 may all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 the injection nozzle 220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receive a extinguishing material from th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unit 233 to be described later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injection nozzle 220 is axi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212 is horizontally rotated, it may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motor 232.
  •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injection nozzle 220 is possible to spray the extinguishing material for all positions of the above-described sensing area, it is possible to extinguish the entire area with one equipment.
  •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is shown as one in FIG. 1 and FIG. 3, when the detection area is extensive,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described above may be moved to a number above the indoor 10 or a specific location (outdoor, etc.). You can also install.
  •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moving member 240 to be movable along the detection area.
  • the moving member 240 may move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to a fire occurrence position and inject extinguishing material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 the guide shaft 241 is installed to have a length along the sensing region, and the support shaft 210 of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may be penetrated through the guide shaft 241 in a spiral manner.
  • the guide shaft 241 may be installed to have a length horizontally above the indoor 10 or a specific position (outdoor, etc.).
  •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may be moved within the sensing area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guide shaft 241.
  • the second driving unit 242 may b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shaft 241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 the moving member 24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rail (not shown), a wheel (not shown), and a third driving unit (not shown).
  • the guide rail is installed to have a length along the photographing area.
  • the guide rail may be installed to have a length horizontally above the indoor 10 or a specific position (outdoor, etc.).
  • the wheel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210, and the wheel may be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 the third driving unit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21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wheel.
  •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when a fir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detection unit 100.
  •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distance at which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is detected.
  • the controller 300 may recognize the point where the radiant energy transmitted from the flame 1 is the largest as the location of the fire.
  • the point where the radiant energy is the largest in the flame 1 refers to the position where infrared rays, ultraviolet rays, and visible light are detected the highest.
  • controller 300 may be preset to a reference range including the shape and color of the flame.
  • the auxiliary battery 400 for supplying auxiliary power may be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100,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 the auxiliary battery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perform charging, and the auxiliary battery 40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harger (not shown) for charging.
  • the auxiliary battery 400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600 for supplying and charging power.
  • the auxiliary battery 400 may always maintain a charging state, and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400 may be supplied to the sensing unit 100,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in case of emergency. have.
  •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tank 500 for supply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contained therein when the supply of th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stopped.
  • the auxiliary tank 500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extinguishing material therein, and may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extinguishing material to the injection nozzle 220 of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in case of emergency.
  • control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fire alarm (not shown) for generating a fire alarm and an alarm sound when the detector detects a fire in the detection area.
  • a fire alarm (not shown) for generating a fire alarm and an alarm sound when the detector detects a fire in the detection area.
  • the sensing unit 100, the fire suppression unit 200, the auxiliary battery 400, and the auxiliary tank 400 may be installed in a separate housing 700.
  • the housing 70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shaft 241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242.
  •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location of the fire in real time using the unmanned detector, and when the fire occurs, the injection direction can be changed toward the fire occurrence point and at the same time the injection pressure according to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 the fire can be extinguished at an early stage to ensure safety, and the extinguishing material can be sprayed intensively at the location of the fire, thereby effectively extinguishing the fire.
  • the extinguishing material may be injected at a location close to the location of the fire, so that a fire that is generated at a long distance may be rapidly extinguished, thereby improving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and range.
  •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in real time using the unmanned detection unit, and when the fire occurs by varying the injection direction toward the fire occurrence point and at the same time by varying the injection pressur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e, even in the absence of people It can be suppressed at an early stage, ensuring safety, and intensively injecting extinguishing materials at the location of the fire, thereby effectively extinguishing the fire.
  • the extinguishing material may be injec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the fire generated at a long distance may be rapidly extinguished, thereby improving the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and r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은, 실내 또는 실외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며, 설정된 감지영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감지부와, 실내 또는 실외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화재발생 위치로 분사방향을 가변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화물질을 상기 화재발생 위치로 분사하는 화재진압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화재진압부의 분사방향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화재발생 위치가 감지된 거리에 따라 상기 화재진압부의 분사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본 발명은 화재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 감시가 가능한 감지부를 이용해 실내 또는 실외 등의 촬영영역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화재발생 지점을 향해 분사방향을 가변함과 동시에 화재발생 위치에 따라 분사압력을 가변함으로써, 사람이 없는 상황에서도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감지 시스템은 실내 또는 실외 등에 설치되어 열 또는 연기 등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와, 물을 분사하기 위한 스프링 쿨러 및, 화재 발생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화재 경보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함과 아울러 스프링 쿨러와 화재 경보기를 구동시키며, 화재 감지기의 화재 감지신호는 관리자에게 전달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재 감지기의 감지 범위가 좁아 화재 감지 성능이 좋지 않고, 고열이 발생하거나 많은 연기가 발생하는 시점에 감지가 이루어지므로 초기 진화에 실패할 염려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재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관리자가 항상 상주해야 하는 유인 감지 방식으로, 화재 예방에 인력이 반드시 투입되어야 하였다.
또한, 종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초기 진화에 실패할 경우, 전력 공급 및 소화물질 공급이 차단되어, 화재 진압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7058호(2001년 11월 2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화재감지기형 자동스프링클러 및 이를 포함하는스프링클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 감시 가능한 감지부를 이용해 실내 또는 실외 등의 촬영영역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화재 발생시에는 화재발생 지점을 향해 분사방향을 가변함과 동시에 화재발생 위치에 따라 분사압력을 가변함으로써, 사람이 없는 상황에서도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고, 화재발생 위치에 집중적으로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시 화재발생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서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어, 원거리에서 발생한 화재도 신속히 진화할 수 있어 화재 진압 성능 및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및 소화물질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보조적인 전력 공급 및 소화물질 공급을 이룰 수 있어, 위급 상황에서 화재 진압이 중지되지 않도록 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은, 실내 또는 실외의 상방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며, 설정된 감지영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감지부와, 실내 또는 실외의 상방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화재발생 위치로 분사방향을 가변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화물질을 상기 화재발생 위치로 분사하는 화재진압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화재진압부의 분사방향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화재발생 위치가 감지된 거리에 따라 상기 화재진압부의 분사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화염, 연기 및, 열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염에서 전달되는 복사에너지가 가장 큰 지점을 화재발생 위치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화염을 감지하는 감시카메라 및, 상기 감지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연기 및 열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재진압부는 실내 또는 실외의 상방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화물질을 화재발생 위치로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을 상하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진압부에는 상기 감지영역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화재진압부를 화재발생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화재발생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서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감지영역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화재진압부가 나선으로 관통결합된 상태에서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화재진압부를 상기 감지영역 내에서 이동시키는 가이드 축 및, 상기 가이드 축의 종 방향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촬영영역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실내 또는 실외의 상방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일단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분사노즐이 수직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몸체의 회전중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 및,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회전중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와 상기 화재진압부 및 상기 제어부에는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보조적인 전력을 공급시키기 위한 보조배터리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소화물질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내부에 수용된 소화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탱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감지영역 내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화재 발생 알람 및 경보 음을 발생시키는 화재경보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인 감지부를 이용하여 화재발생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화재발생 지점을 향해 분사방향을 가변함과 동시에 화재발생 위치에 따라 분사압력을 가변함으로써, 사람이 없는 상황에서도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고, 화재발생 위치에 집중적으로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화재발생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서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어, 원거리에서 발생한 화재도 신속히 진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 진압 성능 및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및 소화물질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보조적인 전력 공급 및 소화물질 공급을 이룰 수 있어, 위급 상황에서 화재 진압이 중지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을 실내의 천장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1에 따른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에서 이동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에서 감지부와, 화재진압부와,보조배터리 및, 보조탱크가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은 감지부(100)와, 화재진압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감지부(100)는 실내(10) 또는 실외 등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며, 설정된 감지영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100)는 감지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화염(1), 연기 및, 열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100)는 실내 또는 특정 위치(실외 등)의 상방에 감지영역 내에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부(100)는 후술 될 제어부(300)로 화재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후술 될 화재진화부(200)를 즉각적으로 구동시켜 해당 화재발생 위치에 소화물질(물 등)을 자동 분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부(100)는 감지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화염(1)을 감지하는 감시카메라(110) 및, 감지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연기 및 열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시카메라(110)는, 감지영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거치대(부호 미도시)에 상하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감시카메라(110)는, 화염의 모양 및 색상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후술 될 제어부(300)에는 감지범위가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감지범위는, 화염의 크기와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색상은 화염의 색상(적색, 노란색 등)과 관련된 색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센서(120)는 다양한 열 감지기 및 연기 감지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시카메라(110)와 감지센서(120)를 이용해 화재의 유형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감시할 수 있어, 감시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시카메라(110) 및 감지센서(120)는 도 1에서처럼 천장의 중앙에 설치하거나, 천장의 코너부에 설치하여, 실내(10) 또는 특정 위치(실외 등)의 전체를 감지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시카메라(110) 및 감지센서(120)는 실내(10)의 천장에 인접하는 벽면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감시카메라(110) 및 감지센서(120)는 감시하기 위한 구역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110) 및 감지센서(120)는 동일한 위치에 설치하여 실내(10) 또는 특정 위치(실외 등)의 전 영역을 감지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는, 상기 감시카메라(110)를 천장의 양측 코너부에 하나 또는 다수로 설치하고, 상기 감지센서(120)를 천장의 상면에 하나 또는 다수로 설치할 수 있다.
화재진압부(200)는, 실내(10) 또는 특정 위치(실외 등)의 상방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며, 전술한 감지부(100)에서 감지한 화재발생 위치로 분사방향을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재진압부(2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화물질을 화재발생 위치로 분사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화재진압부(200)는 지지대(210)와, 분사노즐(220) 및, 제1구동부(230)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지지대(210)는 실내 또는 특정 위치(실외 등)의 상방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10)는 실내의 천장, 벽면 또는 특정 위치(실외 등)의 중앙 또는 천장의 코너부 등에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대(210)는 감지영역으로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는 위치하면 어디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대(210)는, 제1몸체(211) 및, 제2몸체(21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211)는, 상기 제1몸체(211)가 실내(10) 또는 특정 위치(실외 등)의 상방 등에 설치될 수 있으나, 설치 부위는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제2몸체(212)는, 제1몸체(211)의 일단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그리고 일단에 분사노즐(220)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212)의 하단에 분사노즐(220)의 일단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몸체(212)에 설치된 분사노즐(213)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분사방향을 가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213)은 제2몸체(212)의 360ㅀ 수평회전에 의해 감지영역의 모든 위치에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제1구동부(230)는, 후술 될 제어부(300)의 구동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제1모터(231) 및, 제2모터(232)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제1모터(231)는 제1몸체(211)에 설치되어, 제2몸체(212)의 회전중심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모터(231)를 제1몸체(211)의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제1모터(231)의 구동축이 제2몸체(212)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모터(231)의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제2몸체(212)가 수평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모터(231)의 구동축은 정역 방향으로 모두 회전이 가능하다.
제2모터(232)는, 제2몸체(212)의 일측에 설치되어, 분사노즐(220)의 회전중심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즉, 상기 제2모터(232)의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분사노즐(233)이 수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모터(232)의 구동축은 정역 방향으로 모두 회전이 가능하다.
분사노즐(220)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일단에는 후술 될 소화물질 공급부(233)로부터 소화물질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220)은 수평회전되는 제2몸체(212)의 하단에 수평으로 축 결합되어, 제2모터(232)의 구동력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노즐(220)의 분사방향은 전술한 감지영역의 모든 위치에 대한 소화물질 분사가 가능하므로, 하나의 장비로도 전 영역에 대한 진화가 가능하다.
물론, 도 1과 도 3에서는 화재진압부(200)를 하나로 도시하였으나, 감지영역이 광범위한 경우, 전술한 화재진압부(200)를 실내(10) 또는 특정 위치(실외 등)의 상방에 다수로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화재진압부(200)에는 감지영역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부재(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240)는, 화재진압부(200)를 화재발생 위치로 이동시켜, 화재발생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서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부재(240)는 도 3 내지 도 5에서처럼 가이드 축(241) 및, 제2구동부(242)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가이드 축(241)은 감지영역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축(241)에는 화재진압부(200)의 지지대(210)가 나선으로 관통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축(241)을 실내(10) 또는 특정 위치(실외 등)의 상방에 수평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축(241)의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 화재진압부(200)를 감지영역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242)는, 가이드 축(241)의 종 방향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이동부재(240)는 가이드 레일(미도시)과, 바퀴(미도시) 및, 제3구동부(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가이드 레일은 촬영영역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실내(10) 또는 특정 위치(실외 등)의 상방에 수평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바퀴는, 지지대(2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퀴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3구동부는, 지지대(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감지부(1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화재진압부(200)의 분사방향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화재발생 위치가 감지된 거리에 따라 화재진압부(200)의 분사압력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화염(1)에서 전달되는 복사에너지가 가장 큰 지점을 화재발생 위치로 인식할 수 있다.
즉, 화염(1)에서 복사에너지가 가장 큰 지점은 적외선, 자외선 및, 가시광선이 가장 높게 감지되는 위치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에는 화염의 모양과 색상 등이 포함되는 기준범위가 기설정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감지부(100)와 화재진압부(200) 및 제어부(300)에는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보조적인 전력을 공급시키기 위한 보조배터리(400)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400)는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배터리(400)에는 충전을 위해 별도의 충전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배터리(400)에는 전력을 공급 및 충전을 위한 전원부(60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배터리(400)는 항상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보조배터리(400)의 전력은 유사시 감지부(100)와, 화재진압부(200) 및, 제어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진압부(200)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소화물질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내부에 수용된 소화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탱크(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탱크(500)는, 내부에 일정 량의 소화물질이 충전되어 있어, 유사시 화재진압부(200)의 분사노즐(220)로 일정 량의 소화물질을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300)에는 감지부가 상기 감지영역 내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화재 발생 알람 및 경보 음을 발생시키는 화재경보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서처럼 별도의 하우징(700) 내에 감지부(100)와, 화재진압부(200)와,보조배터리(400) 및, 보조탱크(4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700)은 제2구동부(242)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축(24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무인 감지부를 이용하여 화재발생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화재발생 지점을 향해 분사방향을 가변함과 동시에 화재발생 위치에 따라 분사압력을 가변할 수 있다.
이로써, 사람이 없는 상황에서도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고, 화재발생 위치에 집중적으로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발생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서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어, 원거리에서 발생한 화재도 신속히 진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 진압 성능 및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및 소화물질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보조적인 전력 공급 및 소화물질 공급을 이룰 수 있어, 위급 상황에서 화재 진압이 중지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무인 감지부를 이용하여 화재발생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화재발생 지점을 향해 분사방향을 가변함과 동시에 화재발생 위치에 따라 분사압력을 가변함으로써, 사람이 없는 상황에서도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고, 화재발생 위치에 집중적으로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화재발생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서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어, 원거리에서 발생한 화재도 신속히 진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 진압 성능 및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및 소화물질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보조적인 전력 공급 및 소화물질 공급을 이룰 수 있어, 위급 상황에서 화재 진압이 중지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2)

  1. 실내 또는 실외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며, 설정된 감지영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감지부;
    실내 또는 실외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화재발생 위치로 분사방향을 가변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화물질을 상기 화재발생 위치로 분사하는 화재진압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화재진압부의 분사방향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화재발생 위치가 감지된 거리에 따라 상기 화재진압부의 분사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화염, 연기 및, 열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염에서 전달되는 복사에너지가 가장 큰 지점을 화재발생 위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화염을 감지하는 감시카메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연기 및 열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압부는,
    실내 또는 실외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화물질을 화재발생 위치로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을 상하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압부에는,
    상기 감지영역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화재진압부를 화재발생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화재발생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서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감지영역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화재진압부가 나선으로 관통결합된 상태에서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화재진압부를 상기 감지영역 내에서 이동시키는 가이드 축 및,
    상기 가이드 축의 종 방향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촬영영역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실내 또는 실외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일단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분사노즐이 수직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몸체의 회전중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 및,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회전중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와 상기 화재진압부 및 상기 제어부에는,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보조적인 전력을 공급시키기 위한 보조배터리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소화물질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내부에 수용된 소화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탱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감지영역 내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화재 발생 알람 및 경보 음을 발생시키는 화재경보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PCT/KR2013/007219 2012-08-13 2013-08-09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WO201402780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254 2012-08-13
KR20120088254A KR101259478B1 (ko) 2012-08-13 2012-08-13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7805A1 true WO2014027805A1 (ko) 2014-02-20

Family

ID=4866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7219 WO2014027805A1 (ko) 2012-08-13 2013-08-09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9478B1 (ko)
WO (1) WO201402780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2579A (zh) * 2022-01-13 2022-05-10 郑州轻工业大学 一种无人值守的室内消防机器人
CN114452577A (zh) * 2022-01-06 2022-05-10 炬福智慧建设工程(湖北)有限公司 一种用于消防工程的灭火系统
CN114550407A (zh) * 2021-08-09 2022-05-27 成都华迈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开放小区的智能安保系统
CN114648847A (zh) * 2022-03-14 2022-06-21 福州大学 火灾检测防护装置
CN114642852A (zh) * 2022-04-25 2022-06-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德州供电公司 餐厅火灾检测以及自动灭火系统
CN115147995A (zh) * 2021-03-29 2022-10-04 河北金锁安防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安全工程用火灾预防报警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656B1 (ko) * 2013-12-27 2019-12-1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소화 장치 및 상기 소화 장치 제어 방법
KR101682902B1 (ko) * 2016-04-15 2016-12-20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분사 각도 조절 및 이동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설비
KR101765036B1 (ko) * 2016-12-10 2017-08-04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공간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 장치
KR101840175B1 (ko) * 2017-12-01 2018-03-19 (주) 미래이앤지 넓은 화재진압 범위를 갖는 스프링클러
KR101895975B1 (ko) * 2018-03-14 2018-09-06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와 진압시스템
KR102137400B1 (ko) * 2018-12-27 2020-07-24 고대성 방화 및 방연 시스템
KR102230217B1 (ko) 2019-01-18 2021-03-22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센싱기술 융합의 지능형 화재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09408B1 (ko) * 2019-05-07 2021-01-29 주식회사 포스코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방법
KR102659928B1 (ko) * 2019-08-14 2024-04-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구조물
CN111402541A (zh) * 2020-03-11 2020-07-10 五邑大学 基于无人机集群的森林灭火方法及系统
KR102416107B1 (ko) * 2021-07-23 2022-07-06 (주)테크원팩토리 차량용 화재진압 장치
KR102553690B1 (ko) 2023-01-16 2023-07-10 정미영 딥러닝을 이용한 송배전 전력구 내 재난위험 탐지 및 자동진압 시스템
KR102553692B1 (ko) 2023-01-16 2023-07-10 정미영 전력구 내 재난위험을 탐지하는 딥러닝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267A (ja) * 1993-10-29 1995-05-16 Takenaka Komuten Co Ltd 昇降式消火装置
JPH09654A (ja) * 1995-06-20 1997-01-07 Shinko Electric Co Ltd トンネル内消火システム
KR20100133223A (ko) * 2009-06-11 2010-12-21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수막을 이용한 다층 건축물용 방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267A (ja) * 1993-10-29 1995-05-16 Takenaka Komuten Co Ltd 昇降式消火装置
JPH09654A (ja) * 1995-06-20 1997-01-07 Shinko Electric Co Ltd トンネル内消火システム
KR20100133223A (ko) * 2009-06-11 2010-12-21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수막을 이용한 다층 건축물용 방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7995A (zh) * 2021-03-29 2022-10-04 河北金锁安防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安全工程用火灾预防报警系统
CN115147995B (zh) * 2021-03-29 2024-02-09 河北金锁安防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安全工程用火灾预防报警系统
CN114550407A (zh) * 2021-08-09 2022-05-27 成都华迈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开放小区的智能安保系统
CN114452577A (zh) * 2022-01-06 2022-05-10 炬福智慧建设工程(湖北)有限公司 一种用于消防工程的灭火系统
CN114452579A (zh) * 2022-01-13 2022-05-10 郑州轻工业大学 一种无人值守的室内消防机器人
CN114648847A (zh) * 2022-03-14 2022-06-21 福州大学 火灾检测防护装置
CN114642852A (zh) * 2022-04-25 2022-06-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德州供电公司 餐厅火灾检测以及自动灭火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478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27805A1 (ko)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WO2018056646A1 (ko) 지능형 자동소화발사기
WO2012091332A1 (ko) 화재 지점 감지 및 자동 소화 장치
CN103823438B (zh) 轨道巡检机器人系统
CN110917540B (zh) 一种消防机器人系统及方法
CN206195232U (zh) 隧道智能挂轨巡检机器人监控系统
WO2021049810A1 (ko)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KR102217555B1 (ko)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CN203280940U (zh) 悬挂式智能消防机器人
WO2013024936A1 (ko) 화재시 안내 시스템
WO2020262836A1 (ko) 통합 제연 시스템
CN110604887B (zh) 用于换流站阀厅的灭火机器人、灭火系统及降温灭火方法
CN106223775B (zh) 一种跨越消防分区方法、装置及系统
KR101119665B1 (ko)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KR102403275B1 (ko) 공동주택용 지하 공동구 화재진압 및 전기시설보호설비
WO2013151346A1 (ko) 출입 방향 인식 카운팅 장치 및 그 방법
CN210494954U (zh) 应用于电缆沟的智能移动灭火装置
CN112972952A (zh) 一种巡逻式消防机器人及其操作方法
WO2021132830A1 (ko) 레이저피난유도장치 및 방법
WO2020256384A2 (ko) 화재 대피실
CN203796304U (zh) 矿井抗灾风门自动监控装置
CN213716112U (zh) 一种弱电工程安全报警装置
WO2020045700A1 (ko)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스마트 이동기기의 도킹 스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18097634A1 (ko) 회절 광학 소자와 나노 기술이 적용된 연무 감지 시스템
WO2024090753A1 (ko) 소화기를 탑재한 보안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792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792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