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274Y1 - 자동소화장치 배전반 - Google Patents

자동소화장치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274Y1
KR200484274Y1 KR2020170000388U KR20170000388U KR200484274Y1 KR 200484274 Y1 KR200484274 Y1 KR 200484274Y1 KR 2020170000388 U KR2020170000388 U KR 2020170000388U KR 20170000388 U KR20170000388 U KR 20170000388U KR 200484274 Y1 KR200484274 Y1 KR 200484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fire extinguishing
ruptu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수활
Original Assignee
백수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수활 filed Critical 백수활
Priority to KR2020170000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2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자동소화장치 배전반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자동소화장치 배전반은, 배전반 본체에 마련되며 화재 시 파열되어 배출되는 소화 부재가 구비된 소화부; 배전반 본체에 마련되어 소화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지지부에 마련되며 화재 시 소화부의 팽창 영역을 파열시켜 소화 부재를 소화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파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소화장치 배전반{SWITCH BOARD HAVING AUTOMATIC EXTINGUISHER}
본 고안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장치, 센서 장치, 작동장치 등의 장치 없이 화재 시 자동으로 소화할 수 있는 자동소화장치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이란, 수전반이나 분전반 및 제어반이라고도 일컫는데, 빌딩이나 공장에서는 송전선으로부터 고압의 전력을 받아 변압기로 저압으로 변환하여 각종 전기설비 계통으로 배전하는 박스형의 장치이다.
이러한 배전반은 내부에 계기, 표시등, 계전기, 개폐기 등을 배치하여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와 감시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하도록 해준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배전반은 실외용과 실내용으로 구분된다. 실외용은 지진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완충 패드와 함께 콘크리트로 타설시켜 고정하고, 침수에 의한 누전이나 감전 및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 되게 설치된다.
한편 화재 시 전술한 배전반에 소화장치가 마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8-0015093호에는 분사헤드에 설치된 에탄올이 내장된 유리관을 히터 가열에 의한 팽창파열 방식이 아닌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한 침봉의 순간 전진 작동으로 유리관을 파열시킴으로써 소화액제의 분사가 신속, 정확히 이루어져 초기 진화가 보장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술한 선행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선행기술이 전기장치나 작동장치로 구성되어 있어 화재 시에는 전기장치에 고장이 올 수가 있으며, 전기장치가 없어도 장기간 사용 시에는 작동장치에 녹 등으로 작동고장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전기장치나 작동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자동 소화기 장치로는 액상의 소화제를 충전한 밀폐 상태의 용기 일부에 화재의 열과 소화제의 압력에 의해 분출구를 형성시키고, 이 분출구로부터 소화제를 분출하게 하여 화재를 소화하도록 한 자동 소화구에 관한 기술힌 한국특허출원 제10-2015-7000940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다른 선행기술로는 일정한 온도가 되면 튜브가 녹아 가스가 방출되면서 소화용기 내의 소화 약제가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할 때 전력의 공급 없이도 화재의 감지 및 소화가 가능한 전기 공급 패널용 소화장치에 관한 기술이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00326호에 개시되어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화액 수용 용기에 결합되어 압력차에 따라 소화액 수용 용기의 내부에 채워진 제 1 소화액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 부재와, 밸브 부재와 결합 연결되어 전기 관련 시설물의 소공간 내부에 배열되며, 소공간 내부에서 특정 영역의 온도가 파열 온도가 될 경우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소화튜브가 파열되어 소화튜브의 내부에 채워진 제 2 소화액을 1차 분사시킨 후, 압력 변화에 따라 밸브 부재를 통해 배출된 제 1 소화액을 2차 분사하는 기술이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7008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은 모두가 호스 식으로 되어 있어 먼 거리 일정장소 소화에는 효과가 있지만 넓은 면적 소화에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전방부위 파손 시 1차 파손부로 소화제가 방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후방부 발화 시 2차 파손부위는 소화효과가 없거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70083호(상원엔지니어링) 2012. 07. 25.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장치, 센서 장치, 작동장치 등의 장치 없이 화재 시 자동으로 소화할 수 있고, 분사 각도가 좁은 공간에서도 소화 부재를 넓은 범위로 분사할 수 있는 자동소화장치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전반 본체에 마련되며 화재 시 파열되어 배출되는 소화 부재가 구비된 소화부; 상기 배전반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화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며 화재 시 상기 소화부의 팽창 영역을 파열시켜 상기 소화 부재를 상기 소화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파열부를 포함하는 자동소화장치 배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소화부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 되며 화재 시 화염이나 상기 파열부에 의해 파열 되는 소화 바디; 및 상기 소화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이산화탄소와 소화제가 내부에 저장되는 상기 소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부는, 상기 소화 바디에 복수로 마련되는 주입구; 및 상기 소화 바디의 내벽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 공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부는, 상기 소화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스프링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열부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 되는 파열 바디; 및 상기 파열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화재 시 상기 소화부를 파열시키는 복수의 파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지지부의 지지 바디는 열에 의해 녹아 상기 소화 바디를 상기 파열 부재의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녹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전기장치, 센서 장치, 작동장치 등의 장치가 없어 생산원가가 저렴하고, 설치가 간단하다.
또한 작동 장치가 없어 소화 기능에 대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각 부품들 구성으로 인하여 소화 부재의 분사 각도가 충분치 못한 공간에서도 넓은 범위로 소화 부재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배전반 내부 화재발생 시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소화 바디가 팽창되면서 파열이 되거나, 소화 바디가 팽창되면서 파열 부재에 가압을 하면서 파열되거나, 지지부가 열에 녹아 소화 바디를 파열 부재의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3단계의 소화 작용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배전반, 분전반, 각종 기계류, 자동차 등 화재위험이 있는 모든 분야에 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장치 배전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화부와 지지부 및 파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소화부의 제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소화부에 가스를 충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소화 바디의 내부에 스프링 지지대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소화부와 파열부가 차량의 보닛에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장치 배전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화부와 지지부 및 파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소화부의 제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소화부에 가스를 충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소화 바디의 내부에 스프링 지지대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의 소화부와 파열부가 차량의 보닛에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장치 배전반(1)은, 배전반 본체(100)와, 배전반 본체(100)에 마련되며 화재 시 파열되어 배출되는 소화 부재(220)가 구비된 소화부(200)와, 배전반 본체(100)에 마련되어 소화부(200)를 지지하는 지지부(300)와, 지지부(300)에 마련되며 화재 시 소화부(200)의 팽창 영역을 파열시켜 소화 부재(220)를 소화부(2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파열부(400)를 구비한다.
배전반 본체(100)에는, 예를 들어 퓨즈, 부하 개폐기, 부스바, 차단기, 제어 개폐기, 계기, 표시등 등의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소화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 본체(100)에 마련되어 배전반 본체(100)의 내부 화재발생 시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팽창되면서 파열이 되거나, 팽창되면서 파열 부재(420)에 의해 파열되거나, 화재 열에 의하여 파열되어 압축 저장된 소화 부재(220)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가스와 함께 소화제가 폭발, 배출이 되어 소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소화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0)에 결합 되며 화재 시 화염이나 파열 부재(420)에 의해 파열되는 소화 바디(210)와, 소화 바디(2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이산화탄소와 소화제가 내부에 저장되는 소화 부재(220)와, 소화 바디(210)에 복수로 마련되는 주입구(230)를 포함한다.
소화부(200)의 소화 바디(2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홀(211)이 마련되고, 이 복수의 결합홀(211)은 지지부(300)의 지지 돌기(320)에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소화 바디(210)는 한 쌍의 상하부가 고주파기, 초음파기, 열 압착기 등으로 접착하여 마련되고, 이 접착 부분에는 접합부(212)가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소화 바디(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고, 구획된 각각의 영역은 연통 되지 않고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소화 바디(210)는 내약품성, 강도, 화학적,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TPE(thermoplastic 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2종 이상의 합지된 필름 또는 장시간의 노출에도 내성이 강하고, 유연하며, 0.98MPa의 인장 강도, 그리고 100℃~110℃의 온도에 정확하게 반응하는 Detection Tube용 하이테크폴리머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소화 바디(210)의 제조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0.3~0.7mm 두께로 튜브 식(도 4의 (a) 참조)으로 압출성형을 하거나 시트 식(도 4의 (b) 참조)으로 가공을 하여, 사용될 배전반 규격에 맞춰 상하 시트를 금형(F)에 의해 고주파 기기 또는 초음파 기기 등으로 접착, 성형하여 소화 바디(210)와 주입구(230)의 형상을 성형한다.
다음으로 성형 된 소화 바디(210)의 주입구(230)로 주입 노즐(N)에 의해 적당량의 소화제를 먼저 주입하고 주입 노즐(N)을 제거한다. 이후 이산화탄소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 노즐(N)을 삽입한 후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면서 압축계기판에 의해 일정량이 주입이 되면, 주입된 소화 부재들의 외부 누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주입 노즐(N) 전방(내측) 소화 바디(210) 부분을 고주파 등 기기에 의해 접착용 금형(SF)으로 가압접착을 하고 주입 노즐(N)을 제거한다.
소화부(200)의 소화 부재(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 바디(210)의 내부에 충진되며 압축 저장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와 공지된 소화제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이산화탄소 가스는 항상 압축, 충만이 되어 있어야 하며, 장기간 후 일부 누출로 인하여 소화(폭발) 기능 감소를 막기 위해 6개월 또는 1년 또는 상시 점검을 통해 소화 바디(210)의 볼록한 부분이 소화 바디(210)의 부피 대비 10% 이상 공간이 발생 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여 이산화탄소 가스를 보충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 바디(210)의 내벽에 복수의 만곡 공간부(240)를 마련하고, 이산화탄소 가스 감소로 수축이 된 소화 바디(210)에 형성된 만곡 공간부(240)의 외측에서 압력 계기가 장착된 이산화탄소 가스 주입용 주사 바늘과 같은 가스 주입 부재(G)를 내측으로 투입하여 소화 바디(210)의 크기에 따라 압력 계기에 의한 일정량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한다. 이후 접착용 금형(SF)으로 가압접착을 하고 가스 주입 부재(G)를 제거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소화 바디(210)의 내부에는, 도 6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대(2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장기간 점검 소홀로 인하여 이산화탄소 가스의 보충 기회를 놓쳐도 소화 바디(210) 내부의 이산화탄소 가스 감소를 줄이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소화 바디(210)의 내부에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 지지대(250)를 마련하여 일정량의 부피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소화부(200)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디(310)와, 지지 바디(310)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 바디(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파열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디(310)의 하측부에 마련되어 화재 시 소화 바디(210)를 파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파열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디(310)에 결합 되는 파열 바디(410)와, 파열 바디(410)에 마련되어 화재 시 소화 바디(210)를 여러 부위에서 파열시키는 복수의 파열 부재(420)를 포함한다.
파열부(400)의 파열 부재(420) 는 열에 의해 팽창 되는 소화 바디(210)와 접촉하여 파열하는 것으로 설치 시 소화 바디(210)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되어 설치 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00)는 열에 의해 녹아 소화 바디(210)를 파열 부재(420)의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녹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파열부(400)의 파열 부재(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뾰족한 형상을 갖거나 바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파열 부재(420)는 분사 압력을 높이거나 소화제를 비산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는 파열 부재(420)에 의한 파열 시 분사 방향을 일정하게 하거나 명확한 파열을 위해 파열 가이드를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보닛(B)에 소화부(200)와 파열부(400)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배전반 본체(100)의 측면과 배면 등에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기장치, 센서 장치, 작동장치 등의 장치가 없어 생산원가가 저렴하고, 설치가 간단하다.
또한 작동 장치가 없어 소화 기능에 대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 분사 각도가 없어도 넓은 면적으로 소화 부재를 분사할 수 있다.
나아가 배전반, 분전반, 가종 기계류, 자동차 등 화재위험이 있는 모든 분야에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자동소화장치 배전반
100 : 배전반 본체 200 : 소화부
210 : 소화 바디 220 : 소화 부재
230 : 주입구 240 : 만곡 공간부
250 : 스프링 지지대 300 : 지지부
310 : 지지 바디 320 : 지지 돌기
400 : 파열부 410 : 파열 바디
420 : 파열 부재 B : 보닛
F : 금형 G : 가스 주입 부재
N : 주입 노즐 SF : 접착용 금형

Claims (5)

  1. 배전반 본체에 마련되며 화재 시 파열되어 배출되는 소화 부재가 구비된 소화부;
    상기 배전반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화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며 화재 시 상기 소화부의 팽창 영역을 파열시켜 상기 소화 부재를 상기 소화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파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부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 되며 화재 시 화염이나 상기 파열부에 의해 파열 되는 소화 바디 및 상기 소화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이산화탄소와 소화제가 내부에 저장되는 상기 소화 부재, 상기 소화 바디에 복수로 마련되는 주입구 및 상기 소화 바디의 내벽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파열부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 되는 파열 바디 및 상기 파열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화재 시 상기 소화부를 파열시키는 복수의 파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지지 바디는 열에 의해 녹아 상기 소화 바디를 상기 파열 부재의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녹는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소화부는 상기 소화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스프링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화 바디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구획된 각각의 영역은 연통 되지 않고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장치 배전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70000388U 2017-01-20 2017-01-20 자동소화장치 배전반 KR200484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388U KR200484274Y1 (ko) 2017-01-20 2017-01-20 자동소화장치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388U KR200484274Y1 (ko) 2017-01-20 2017-01-20 자동소화장치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274Y1 true KR200484274Y1 (ko) 2017-08-22

Family

ID=6062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388U KR200484274Y1 (ko) 2017-01-20 2017-01-20 자동소화장치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274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4585A (zh) * 2017-12-24 2018-03-30 洛阳明创矿山冶金设备有限公司 一种带有灭火且排烟功能的控制箱
CN110676708A (zh) * 2019-10-25 2020-01-10 江苏哲博电气有限公司 一种防火性能高的开关柜
KR20200029902A (ko) * 2018-09-11 2020-03-19 박찬임 화재시 파열되는 자동 소화 장치가 내장된 배전반
KR20200094546A (ko) * 2019-01-30 2020-08-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KR102301431B1 (ko) * 2021-02-25 2021-09-14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소화 기능을 가진 방재시트가 부착된 방화벽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KR20210117132A (ko) *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풍선타입 소화장치
KR102323963B1 (ko) 2021-03-22 2021-11-09 주식회사 하이플랜 소화기능을 포함하는 배전반
KR20220075553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오투마 전자기기 및 배터리용 소화장치
KR20220094350A (ko) * 2020-12-29 2022-07-06 파이어킴 주식회사 소화 캡슐 및 소화 장치
KR20220130892A (ko) 2021-03-19 2022-09-27 강명국 수배전반의 전선 연결 대체용 조립연결모듈
KR20230000317U (ko) 2021-08-04 2023-02-13 큐브넷 주식회사 전원함 케이블 인입부 마감구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168U (ko) * 1996-12-26 1998-09-25 구자홍 광대역 호출기의 안테나 매칭 장치
JP2004321442A (ja) * 2003-04-24 2004-11-18 Hidenobu Wakamatsu 消火方法とその消火装置
JP2008500117A (ja) * 2004-05-27 2008-01-10 ウエスト・ファーマスーティカル・サービシ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注射液出入口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06087A (ja) * 2010-03-27 2011-10-20 Yasutoshi Nakahara 自動落下式消火弾
KR101170083B1 (ko) 2012-06-27 2012-07-31 상원엔지니어링(주) 분배전반 자동 소화 장치
KR101291588B1 (ko) * 2012-06-26 2013-08-01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엔진 후드에 장착되는 차량용 소화장치
KR101366592B1 (ko) * 2012-10-08 2014-02-25 주식회사 선진디자인테크 소화성 단위 천정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168U (ko) * 1996-12-26 1998-09-25 구자홍 광대역 호출기의 안테나 매칭 장치
JP2004321442A (ja) * 2003-04-24 2004-11-18 Hidenobu Wakamatsu 消火方法とその消火装置
JP2008500117A (ja) * 2004-05-27 2008-01-10 ウエスト・ファーマスーティカル・サービシ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注射液出入口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06087A (ja) * 2010-03-27 2011-10-20 Yasutoshi Nakahara 自動落下式消火弾
KR101291588B1 (ko) * 2012-06-26 2013-08-01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엔진 후드에 장착되는 차량용 소화장치
KR101170083B1 (ko) 2012-06-27 2012-07-31 상원엔지니어링(주) 분배전반 자동 소화 장치
KR101366592B1 (ko) * 2012-10-08 2014-02-25 주식회사 선진디자인테크 소화성 단위 천정판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4585B (zh) * 2017-12-24 2023-08-18 黑龙江省汉泽石油设备有限公司 一种带有灭火且排烟功能的控制箱
CN107864585A (zh) * 2017-12-24 2018-03-30 洛阳明创矿山冶金设备有限公司 一种带有灭火且排烟功能的控制箱
KR20200029902A (ko) * 2018-09-11 2020-03-19 박찬임 화재시 파열되는 자동 소화 장치가 내장된 배전반
KR102115290B1 (ko) 2018-09-11 2020-05-26 박찬임 화재시 파열되는 자동 소화 장치가 내장된 배전반
KR20200094546A (ko) * 2019-01-30 2020-08-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KR102144468B1 (ko) * 2019-01-30 2020-08-1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CN110676708A (zh) * 2019-10-25 2020-01-10 江苏哲博电气有限公司 一种防火性能高的开关柜
KR102370402B1 (ko) * 2020-03-18 2022-03-04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풍선타입 소화장치
KR20210117132A (ko) *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풍선타입 소화장치
KR20220075553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오투마 전자기기 및 배터리용 소화장치
KR102579025B1 (ko) * 2020-11-30 2023-09-15 주식회사 오투마 전자기기 및 배터리용 소화장치
KR102612294B1 (ko) * 2020-12-29 2023-12-12 파이어킴에너지솔루션 주식회사 소화 캡슐 및 소화 장치
KR20220094350A (ko) * 2020-12-29 2022-07-06 파이어킴 주식회사 소화 캡슐 및 소화 장치
KR102301431B1 (ko) * 2021-02-25 2021-09-14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소화 기능을 가진 방재시트가 부착된 방화벽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KR20220130892A (ko) 2021-03-19 2022-09-27 강명국 수배전반의 전선 연결 대체용 조립연결모듈
KR102323963B1 (ko) 2021-03-22 2021-11-09 주식회사 하이플랜 소화기능을 포함하는 배전반
KR20230000317U (ko) 2021-08-04 2023-02-13 큐브넷 주식회사 전원함 케이블 인입부 마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274Y1 (ko) 자동소화장치 배전반
KR101170083B1 (ko) 분배전반 자동 소화 장치
JP3170412U (ja) 火災消火装置
KR101984817B1 (ko) 에너지 저장시스템용 자동소화장치
KR100779872B1 (ko) 변압기용 파열방지시스템
KR101853631B1 (ko) 다중감시 및 선택 진화기능을 가진 자동소화장치
KR102380502B1 (ko) 위험물 보관장치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CN203874330U (zh) 气体感温自动灭火系统
KR101286756B1 (ko) 소화장치
KR101373131B1 (ko) 엔진룸 화재 자동 소화장치
KR200416819Y1 (ko) 배전반 소화장치
KR20110021450A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100515002B1 (ko) 질소가스와 소화액을 이용한 미분무 소화 장치
CN112891781B (zh) 灭火系统
KR102245057B1 (ko)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튜브형 소화장치
KR101289763B1 (ko)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CN213407538U (zh) 电力机车的阻燃式电气控制柜
KR20170138828A (ko) 배전함용 co2 카트리지 자동 소화기
CN217041166U (zh) 灭火系统
KR101289761B1 (ko) 자동 소화설비의 재충전 가능한 부취제 자동 분사장치
JPH0771634A (ja) 自動ガス流路閉鎖装置
KR102370402B1 (ko) 풍선타입 소화장치
CN115212494B (zh) 一种储能设备的消防系统和储能设备
CN114397061B (zh) 一种抑爆装置在线维护、自检系统及自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