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259Y1 -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 - Google Patents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259Y1
KR200496259Y1 KR2020200002332U KR20200002332U KR200496259Y1 KR 200496259 Y1 KR200496259 Y1 KR 200496259Y1 KR 2020200002332 U KR2020200002332 U KR 2020200002332U KR 20200002332 U KR20200002332 U KR 20200002332U KR 200496259 Y1 KR200496259 Y1 KR 200496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andwich panel
fire
fire suppres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093U (ko
Inventor
이병진
Original Assignee
이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진 filed Critical 이병진
Priority to KR2020200002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5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이 개시된다. 본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은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제1 판, 제1 판과 이격 배치되고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제2 판, 제1 판과 제2 판 사이에 충전되는 심재 및 제1 개구와 제2 개구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화재 진압구를 포함하며, 복수의 화재 진압구는, 가연성 부재와 가연성 부재를 지지하고 제1 개구 또는 제2 개구에 배치되고, 단열 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SANDWICH PANEL WITH FIRE EXTINGUISHING HOLE}
본 고안은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샌드위치 패널은 패널 외부와 내부의 재료를 달리하여 샌드위치 형태로 겹쳐서 제조하는 특수 합판이다. 샌드위치 패널은 일반적인 단일성 건축 패널과 비교할 때, 무게가 가볍고 시공비용이 저렴하며, 동시에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샌드위치 패널로 시공된 구조물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상세히는, 구조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샌드위치 패널이 가열되는 경우, 샌드위치 패널의 양측의 판 사이에 고립된 심재는 쉽게 발화되거나 열에 녹아내릴 수 있고, 배출되는 고온의 유독가스는 생명에 치명적인 위협이 될 수 있으며, 나아가 고립된 샌드위치 패널의 판 사이에서 심재가 발화하며 과도하게 가열되는 상황에 이르면, 샌드위치 패널의 판이 변형을 일으키며 건물 전체의 붕괴 위험까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샌드위치 패널로 시공된 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유독가스 분출과 건물 붕괴를 막기 위하여 샌드위치 패널 내부 심재의 온도를 낮춰야 했다.
종래의 샌드위치 패널은 화재 발생시 긴급한 상황에 샌드위치 패널의 판을 절단 기구로 일정 간격으로 하나씩 뜯어내고 심재에 물 또는 사화재를 주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기에,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의 위험성은 계속하여 문제제기가 되어왔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은,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제1 판, 상기 제1 판과 이격 배치되고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제2 판,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 사이에 충전되는 심재 및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화재 진압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화재 진압구는, 가연성 부재와 상기 가연성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에 배치되고, 단열 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판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개구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개구는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는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재 진압구는, 상기 프레임에 둘러싸이고 고정되며, 상기 제1 가연성 부재 후면에 배치되는 제2 가연성 부재 및 상기 제1 가연성 부재와 상기 제2 가연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소화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은, 화재 발생시 기 부착된 화재 진압구를 통하여 심재의 온도를 낮추어, 긴급한 화재 진압 시 효과적으로 유독가스를 방지하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에 부착되는 화재 진압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에 부착되는 화재 진압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의 도면이다.
도 8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에 부착되는 화재 진압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샌드위치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샌드위치 패널은 다른 종류의 재료를 샌드위치 형태로 겹쳐서 제조하는 특수 합판으로, 제1 판(20), 제1 판(20)과 이격 배치되는 제2 판(30), 제1 판(20)과 제2 판(30) 사이에 충전되는 심재(40)로 구성될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의 판(20, 30)은 주로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다. 심재(40)는 단열, 방음을 목적으로 다양한 재료로 채워질 수 있으며, 심재(40)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 샌드위치 패널의 목적과 종류가 구별될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은 저렴한 자재 비용과 빠르고 용이한 시공을 장점으로 갖기에, 심재(40)는 종이, 목재, 발포 플라스틱재, 우레탄과 같이, 가볍고 값이 저렴한 재료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심재(40)는 발화점이 낮아 쉽게 불이 붙거나, 발화 시 유독가스를 내뿜을 수 있다. 그러므로, 화재 시에는 심재(40)는 반드시 온도를 낮추어줄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구(120)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100)의 도면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개구(110)에 부착되는 화재 진압구(12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100)은 제1 판(20)과 제2 판(30)에는 각각 제1 개구(110)와 제2 개구(미도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제1 개구(110)와 제2 개구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화재 진압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110)는 제1 판(20)의 제조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혹은 기 생산된 샌드위치 패널의 판을 추가로 타공하는 공정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타공 방식은 스텝드릴, 홀 쏘우, 홀 커터와 같은 공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110)는 기 생성된 샌드위치 패널(100)에 타공하여 생성될 수도 있으며, 시공이 완료된 구조물에 있어서도 제1 개구(110)는 샌드위치 패널(100)의 외부 판에 타공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사전에 화재 예방 또는 소화 기능을 갖추어 제작되는 샌드위치 패널과 달리, 본 개시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100)의 제1 개구(110)는 기 생성되어 시공까지 완료된 샌드위치 패널에도 생성될 수 있고, 후술할 화재 진압구(120)를 부착함으로서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샌드위치 패널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자재 비용과 빠르고 용이한 시공을 이유로 선택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본 개시에 의한 샌드위치 패널(100)은 경제성과 편의성에서 상당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110)는 제1 판(20)의 상부에 존재할 수 있다. 높이에 제한은 없으나, 하단 끝으로부터 150cm 내지 200cm 높이에 제1 개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화재 발생 시, 샌드위치 패널(100)은 양 측면의 판(20, 30)에 의하여 가열되며, 내부에서의 뜨거운 열기는 상부로 올라가기에 상부의 심재(40)부터 발화가 일어나고, 하부의 심재(40)로 번져갈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개구(110)가 상부에 위치하는 바 주입된 소화재는 상부에서 하단으로 흩어질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사람의 키 높이에서 팔이 닿는 범위에 제1 개구(110)가 형성되면, 용이하게 심재(40) 내부로 소화재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으로 심재(40)가 발화되는 경우, 제1 개구(110)가 없는 샌드위치 패널에서는 심재(40)에서 발생한 유독가스는 샌드위치 패널의 상하좌우 연결 부위를 따라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화재 발생 시 유독가스는 시야를 방해하고, 사람이 고온의 유독가스를 들이마실 경우 호흡기 화상과 질식사의 위험이 있어,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다.
유독가스는 열 팽창되어 상부로 떠오르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에 의한 샌드위치 패널(100)은 상부에 형성된 제1 개구(110)를 통하여 유독가스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제1 개구(110)는 사람이 유독가스를 들이마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110)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소화전, 소화기, 가정용 호스 등의 분출구 형태가 원형이므로, 이러한 규격을 고려하여 원형의 제1 개구(110)가 생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화재 진압구(120)는 제1 개구(110)와 제2 개구(미도시)에 부착되고, 화재 발생 시와 같이 고온으로 가열되는 상황에서 개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개구(110)에 부착되는 화재 진압구(12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제2 개구(미도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화재 진압구(120)는 비화재 시에는 제1 개구(110)를 통해 심재(4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화재 진압구(120)는 심재(40)로 이물질 또는 외부 발화 요소가 유입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판(20)에 형성된 제1 개구(110)에 의하여 샌드위치 패널(100)의 보온과 방음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재 진압구(120)는 가연성 재질의 제1 가연성 부재(121)와 상기 제1 가연성 부재(121)를 지지하고 제1 개구(110)에 연결되는 프레임(1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연성 부재(121)는 가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연성 부재(121)는 화재발생 시 샌드위치 패널(100) 내부의 열기가 올라오며 가열되고, 특정 온도 이상에서는 발화되거나, 용융되거나 측면부터 녹으며 프레임(123)과 분리될 수 있다.
제1 가연성 부재(121)의 모양은 제1 개구(110)의 모양과 일치할 수 있으며, 제1 판(20)과 동일한 색상이거나, 동일한 색상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제1 가연성 부재(121)는 가열되어 스스로 심재(40) 내부로 떨어질 수 있으며, 혹은 사람의 물리적인 힘으로 심재(40) 내부로 떨어질 수 있다.
혹은 제1 가연성 부재(121)와 프레임(123)을 부착하는 접착제가 고온에서 쉽게 녹아 제1 가연성 부재(121)를 분리시킬 수 있다.
프레임(123)은 제1 가연성 부재(121)를 둘러싸며 지지하고 단열 부재로 이루어진 몰딩 구조이다. 프레임(123)은 단열성과 강성을 가진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제1 가연성 부재(121)와 마찬가지로 가연성일 수도 있으나, 불연성일 수도 있다.
프레임(123)은 제1 개구(110)에 부착되는 형태로, 겉면의 색상은 제1 판(20) 혹은 제1 가연성 부재(121)와 일치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나, 색상, 질감 등에 의하여 구분될 수도 있다.
화재 진압구(120)는 제1 개구(11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3)의 겉면에 구멍을 통하여 제1 판(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접착될 수도 있다.
화재 진압구(120)는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제1 가연성 부재(121)가 분리되거나, 제1 가연성 부재(121) 내지 프레임(123) 중 하나가 부식되는 경우에는, 화재 진압구(120)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화재 진압구(120)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100)의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개구(210)는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고, 일정 간격을 두고 화재 진압구(120)가 좌우로, 상하로 부착될 수 있다.
좌우로 복수개의 화재 진압구(120)가 부착되는 경우, 유독가스의 배출에서 유리할 수 있고, 화재 진압이 필요한 부위의 화재 진압구(120)를 통하여 소화재를 주입할 수 있다.
상하로 복수개의 화재 진압구(120)가 부착되는 경우, 상부부터 심재(40)가 발화하여 하부로 내려올 때, 상부 화재 진압구(120)를 통하여 먼저 화재 진압을 시도하고, 중부 또는 하부의 화재 진압구(120)를 통하여 추가적인 화재 진압을 시도할 수 있다.
제2 판(30)에도 제2 개구(미도시)가 존재할 수 있고, 화재 진압구(12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판(20)의 제1 개구(210)와 상기 제2 판(30)의 제2 개구(미도시)는 서로 마주보며 화재진압구(120)가 부착될 수 있으며, 하나의 화재진압구(120)가 각각의 제1, 제2 개구를(210, 미도시) 동시에 관통하여 부착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조물의 내부에 샌드위치 패널(100)이 설치되는 경우 샌드위치 패널(100)의 양방향으로 각각 제1 개구(110)와 화재 진압구(120)가 존재하여, 양방향의 화재를 대비할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은 가벼운 무게와 보온성이 확보되므로, 지붕으로도 널리 이용된다. 화재 발생 시 스스로 녹는 제1 가연성 부재(121)이 양방향으로 존재하는 경우, 심재(40)가 일정 부분 녹은 이후에는 샌드위치 패널의 단면을 관통하는 하나의 큰 개구(210, 미도시)가 발생하게 되고, 해당 개구(210, 미도시)로 구조물 내부의 유독가스가 구조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구(220)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의 도면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개구(210)에 부착되는 화재 진압구(22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화재 진압구(220)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의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개구(210)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200)의 제1 개구(210)의 형태가 가로가 세로보다 더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일한 면적의 제1 개구(210)에 비해 가로가 긴 직사각형이 좌우 방향으로 유독 가스의 배출에 유리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구조물의 외벽은 직사각형 형태이므로, 제1 개구(210)의 형상은 원형에 비해 직사각형이 눈에 덜 띌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주의를 덜 끌 수 있다.
도 8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화재 진압구(220)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의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개구(215)는 세로가 가로보다 더 긴 직사각형일 수 있다.
세로가 더 진 직사각형의 경우, 샌드위치 패널 내부의 열기로 인하여 상부부터 제1 가연성 부재(221)이 용융되며, 화재의 심각도에 따라 화재 진압구(220)가 하단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개구(110)에 부착되는 화재 진압구(32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화재 진압구(320)는 프레임(323)에 둘러싸이고 고정되며, 상기 제1 가연성 부재(321) 후면에 배치되는 제2 가연성 부재(322) 및 제1 가연성 부재(321)과 제2 가연성 부재(322) 사이에 소화재(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연성 부재(322)는 제1 가연성 부재(321)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으며, 제1 가연성 부재(321)와 재질은 다른 가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가연성 부재(321)와 제2 가연성 부재(322)는 두께가 달라 녹는 속도가 다를 수도 있다.
프레임(323)에서 중 제2 가연성 부재(322)를 지지하는 부위는 가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가연성 부재(322)와 프레임(323)을 접착하는 접착제는 잘 녹는 재질일 수 있다.
심재(40)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대적으로 제2 가연성 부재(322)가 먼저 용융되거나 접착 부위가 떨어져 분리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가연성 부재(322)와 제1 가연성 부재(321) 사이에 존재하는 소화재(325)가 심재(40) 내부로 유입되어, 심재(40) 내부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내부의 소화재(325)가 분리된 이후에도 화재가 진압되지 않고 온도가 계속 올라가면, 제1 가연성 부재(321)가 용융되거나 접착 부위가 떨어져 분리되고, 그제서야 유독가스가 외부로 유출되고, 추가적인 소화재를 직접 심재(40)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재 진압구(320)는 샌드위치 패널과 별도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샌드위치 패널은 화재 진압구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소규모의 화재 이후에도 샌드위치 패널의 심재(40)를 보강하고 화재 진압구를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200 : 샌드위치 패널 110, 210, 215: 제1 개구
120, 220, 320 : 화재 진압구

Claims (10)

  1. 화재 진압용 부착물을 설치한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제1 판;
    상기 제1 판과 이격 배치되고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제2 판;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 사이에 충전되는 심재; 및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화재 진압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화재 진압구는,
    특정 온도 이상에서 용융되는 가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의 모양과 일치하는 모양을 갖는 가연성 부재;와
    상기 가연성 부재를 둘러싸며 지지하고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에 배치되고, 단열 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연성 부재는,
    비화재 시에는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를 폐쇄하여 상기 심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 시에는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하여 상기 심재가 노출되도록 용융되는, 화재 진압용 부착물을 설치한 샌드위치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화재 진압용 부착물을 설치한 샌드위치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화재 진압용 부착물을 설치한 샌드위치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화재 진압용 부착물을 설치한 샌드위치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복수개가 존재하는, 화재 진압용 부착물을 설치한 샌드위치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는 형상이 동일한, 화재 진압용 부착물을 설치한 샌드위치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화재 진압용 부착물을 설치한 샌드위치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둘러싸이며 고정되는 제1 가연성 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둘러싸이며 고정되고, 상기 제1 가연성 부재 후면에 배치되는 제2 가연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진압구는,
    상기 제1 가연성 부재와 상기 제2 가연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소화재;를 더 포함하는 화재 진압용 부착물을 설치한 샌드위치 패널.
  9. 샌드위치 패널에 형성되는 개구에 부착되는 화재 진압구에 있어서,
    특정 온도 이상에서 용융되는 가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의 모양과 일치하는 모양을 갖는 가연성 부재;와
    상기 가연성 부재를 둘러싸며 지지하고 상기 개구에 배치되고, 단열 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는, 화재 진압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위치 패널은, 제1 판, 제2 판 및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 사이에 충전되는 심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심재를 노출시키고,
    상기 가연성 부재는,
    비화재 시에는 상기 개구를 폐쇄하여 상기 심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 시에는 상기 심재가 노출되도록 용융되어 상기 개구가 개방되고, 소화재가 개방된 상기 개구를 통하여 주입되도록 하는, 화재 진압구.
KR2020200002332U 2020-07-01 2020-07-01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 KR200496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332U KR200496259Y1 (ko) 2020-07-01 2020-07-01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332U KR200496259Y1 (ko) 2020-07-01 2020-07-01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93U KR20220000093U (ko) 2022-01-11
KR200496259Y1 true KR200496259Y1 (ko) 2022-12-15

Family

ID=7934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332U KR200496259Y1 (ko) 2020-07-01 2020-07-01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25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711B1 (ko) * 2017-07-07 2018-02-01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 벽체
KR101899756B1 (ko) * 2018-03-02 2018-09-17 고현준 자체 화재 진압 기능을 구비한 건축 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711B1 (ko) * 2017-07-07 2018-02-01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 벽체
KR101899756B1 (ko) * 2018-03-02 2018-09-17 고현준 자체 화재 진압 기능을 구비한 건축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93U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013B1 (ko) 발포 콘크리트를 이용한 방화문
JPH114905A (ja) ウォーターミストを利用した消火、消煙装置及び方法
CN204139362U (zh) 一种灭火板材
KR101670360B1 (ko) 화재 확산 방지 장치를 구비한 건물 배수관 설치 구조
KR102084887B1 (ko)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KR200496259Y1 (ko)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
CN209653279U (zh) 一种环保阻燃的室内装饰复合板
EP1050323A1 (en) Sheet and cover for preventing burning by spreading fire, and combined fire-extinguishing sheet and disaster-preventing clothing
CN109795616A (zh) 一种用于隔绝货舱的绝缘侧壁的防火工装
KR20220075013A (ko) 방화패널 및 상기 방화패널을 이용한 방화장치
KR200207774Y1 (ko) 산불 진화용 물 방벽
JP2006198229A (ja) 自動消火装置
JPH09154969A (ja) 植物屋根の防災装置
KR20220000235U (ko) 소화기
JP5604209B2 (ja) 防煙テープ
JPH10118214A (ja) ウォーターミストを利用した消火、消煙方法及びその装置
CN214463606U (zh) 一种带有防火机构的平移门
JP4154079B2 (ja) 閉鎖型泡ヘッド
JP2019216949A (ja) 消火方法
CN2313619Y (zh) 气溶胶自动灭火装置
JP2004033384A (ja) 自動消火用室内装備品
KR20050079609A (ko) 제연기능성 방화문
KR102359718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샌드위치 패널
CN211818993U (zh) 一种防火型中空玻璃
KR102673683B1 (ko) 전기자동차 화재지연용 차수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