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385A - 차열 강화 방화셔터 - Google Patents

차열 강화 방화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385A
KR20210013385A KR1020190089422A KR20190089422A KR20210013385A KR 20210013385 A KR20210013385 A KR 20210013385A KR 1020190089422 A KR1020190089422 A KR 1020190089422A KR 20190089422 A KR20190089422 A KR 20190089422A KR 20210013385 A KR20210013385 A KR 20210013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fire
shutter
side sealing
sea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716B1 (ko
Inventor
김기대
류진호
김경태
이재웅
김세희
박유아
Original Assignee
김기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대 filed Critical 김기대
Priority to KR1020190089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71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77Slat end pieces used for guiding shut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69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8Sealings f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열 강화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셔터의 슬랫(slat)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승강되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형성된 틈새를 이중으로 실링(SEALING)되도록 하고 전후 2열로 소정 간격 이격시켜 물리적 거리가 확보되므로 화재시 화염이나 고열 또는 풍열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열 강화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열 강화 방화셔터는 화재발생시 화염이나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화셔터에 있어서, 구동장치가 내설되어 있는 셔터박스;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로 승강(昇降)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다수의 판상 패널을 상하로 결속시키되 제1 슬랫부 및 제2 슬랫부로 구분되는 슬랫(slat)부; 상기 슬랫부의 상하 이동시 상기 슬랫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1쌍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슬랫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슬랫부의 승강(昇降)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하장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열 강화 방화셔터{FIRE SHUTTER ENHANCING THERMAL INSULATION}
본 발명은 차열 강화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셔터의 슬랫(slat)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승강되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형성된 틈새를 이중으로 실링(SEALING)되도록 하고 전후 2열로 소정 간격 이격시켜 물리적 거리가 확보되므로 화재시 화염이나 고열 또는 풍열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열 강화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건축물 내부의 통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 특정 공간 내부로 외부인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종래의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 시킴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시켜주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방화셔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 시킴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번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화재 공간이나 방화 공간 내의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물리적 수단 및 대피 시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화셔터는 성능과 안전성의 평가 및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화재상황을 가정한 내화 시험과 차연성 시험을 통해 내화성, 내충격성, 차연성 등의 여러 요건을 충족시켜야 하며, 특히 백화점이나 쇼핑몰, 대회의장 등에는 소방법에 의해 그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화재 및 정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未然)에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강화장치들을 채택 사용하거나, 그에 따른 강화시책을 추진 또는 계획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방화셔터는 화재발생에 의한 연기 및 유독가스 등으로 인하여 시야공간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는 상태의 화재공간 내에서는 방화셔터의 기능으로 위해(危害) 요인의 진화를 방지할 수는 있었으나, 최근 강화되는 각종 안전수칙에 유연하게 적극 대응하는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미흡한 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화셔터는 화재로 발생되는 고열의 차단이 원활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화재의 발생의 인접지역으로 고열이 전파되어 고열을 확산시킴으로써, 화재진압 등을 위한 재진입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열의 전도로 화재가 확산 및 인명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즉, 종래의 방화셔터는 슬랫(slat)과 가이드레일 간 틈새 또는 슬랫(slat)과 바닥(지면) 간의 틈새로 고열이 전파되어 방화구조를 망가뜨리거나 방화 기능을 상실시키고 고열을 확산시키는 등 개선하여 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2337호, 발명의 명칭 '권상 셔터' (등록일자 2013.09.2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방화셔터의 슬랫(slat)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승강되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형성된 틈새를 이중으로 실링(SEALING)되도록 하고 전후 2열로 소정 간격 이격시켜 물리적 거리가 확보되게 하므로 화재시 화염이나 고열 또는 풍열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차열 강화 방화셔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열 강화 방화셔터는 화재발생시 화염이나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화셔터에 있어서, 구동장치가 내설되어 있는 셔터박스;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로 승강(昇降)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다수의 판상 패널을 상하로 결속시키되 제1 슬랫부 및 제2 슬랫부로 구분되는 슬랫(slat)부; 상기 슬랫부의 상하 이동시 상기 슬랫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1쌍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슬랫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슬랫부의 승강(昇降)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하장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ㄷ' 단면의 레일몸체부, 상기 레일몸체부 내측으로 홈이 파진 레일홈부, 상기 레일몸체부 내측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레일몸체부 일측면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 상기 레일몸체부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슬랫부와의 틈새를 차단하는 제1 측면실링부, 상기 제1 측면실링부에서 소정 간격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기 레일몸체부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슬랫부와의 틈새를 차단하는 제2 측면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실링부는 단면이 상기 슬랫부와 직교하게 형성되는 차단막 형상으로 설치되어 화염의 진입을 1차로 막고, 상기 제2 측면실링부는 상기 제1 측면실링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내측으로 설치되어 화염의 진입을 2차로 막으며,
상기 하장바는 하나의 회동축부를 따라 장착된 복수의 회동판부가 상기 제1 슬랫부 및 상기 제2 슬랫부로 넘어가는 경계에 위치하여 상기 슬랫부의 승강에 따라 회동(回動)하고, 상기 회동축부 양측을 잡아주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하부를 연결하되 상기 제1 및 제2 슬랫부의 경계를 감싸는 반원 형상의 경계단열부, 상기 경계단열부 하방으로 연장된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박스 내에 상기 제1 슬랫부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제2 슬랫부 일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 슬랫부와 제2 슬랫부의 경계에 있는 상기 하장바가 도르래 역할로 상기 회동축부 양끝단이 상기 레일홈부를 따라 상하로 가이드(guide)되면서 상기 슬랫부가 승강(昇降)되고 상기 하장바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슬랫부를 하방으로 팽팽하게 당기며,
상기 제1 및 제2 슬랫부 사이 간격이 적어도 상기 회동판부의 직경보다 크게 유지되어 화재시 화염의 확산을 억제하는 물리적 공간을 확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거나 접는 등에 따라 슬랫부가 승강되어도 3개의 이격된 롤러에 의해서 2열 구조의 슬랫부 사이에 소정 간격 이격된 물리적 거리가 확보되므로, 슬랫부의 내부 공간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로 인하여 화재시 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슬랫부와 제2 슬랫부의 경계에 있는 하장바가 도르래 역할을 하여 적은 힘으로 슬랫부를 승강(昇降)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측면실링부가 단면이 슬랫부(120)와 직교하게 형성되는 차단막 형상으로 설치되어 화염의 진입을 1차로 막고, 제2 측면실링부가 제1 측면실링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내측으로 설치되어 화염의 진입을 2차로 막아 이중으로 차열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자석부가 제1 측면실링부 및 제2 측면실링부 사이에 개입되어 금속재인 슬랫부를 자력으로 당기므로 슬랫부와의 밀착을 유도하여 슬랫부 간에 형성된 틈새를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재가 근접하여 고열을 발생시키면 슬랫부의 최하단에 연결된 하장바가 개구부(통로) 바닥과 밀착하여 화재로부터의 고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화염 및 고열에 따른 화재의 확산을 억제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장바 하부에 실링부재가 있어 화재에 따른 화염이나 고열, 풍열 및 유독가스 등을 효율적으로 차단 및 차열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화셔터를 도시한 정면도(A), B-B선에 따른 단면측면도(B), C-C선에 따른 단면 평면도(C)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열 강화 방화셔터를 도시한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평면도(a), B-B'선에 따른 평면도(b)이다.
도 4는 도 2의 C-C'선에 따른 측면도(a), D-D'선에 따른 측면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열 강화 방화셔터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a), A1-A1'선에 따른 평면도(b)이다.
도 6은 도 5(b)의 'Q'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a)의 B1-B1'선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a)의 'P'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a)의 140번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9의 'R', 'S', 'U'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걸치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 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종래 방화셔터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슬랫부가 1열로 형성되어 화재로 발생되는 고열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이 부족하여 화재 발생의 인접 영역으로 고열이 전파되기 쉽고, 화재진압 등을 위한 재진입에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슬랫부 및 가이드레일 간의 틈새로 화염이 침투되어 화재가 확산될 우려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열 강화 방화셔터를 도시한 예시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평면도(a), B-B'선에 따른 평면도(b)이며, 도 4는 도 2의 C-C'선에 따른 측면도(a), D-D'선에 따른 측면도(b)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열 강화 방화셔터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a), A1-A1'선에 따른 평면도(b)이고, 도 6은 도 5(b)의 'Q'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a)의 B1-B1'선에 따른 측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4(a)의 'P'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5(a)의 140번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10은 도 9의 'R', 'S', 'U'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열 강화 방화셔터(100)는 화재발생시 화염이나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의 개구부(미부호)에 설치되는 방화셔터로, 구동장치(110a)가 내설되어 있는 셔터박스(110); 상기 구동장치(110a)에 의해 상하로 승강(昇降)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다수의 판상 패널을 상하로 결속시키되 제1 슬랫부(120a) 및 제2 슬랫부(120b)로 구분되는 슬랫(slat)부(120); 상기 슬랫부(12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슬랫부(120)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1쌍의 가이드레일(130); 및 상기 슬랫부(120)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슬랫부(120)의 승강(昇降)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하장바(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30)은 'ㄷ' 단면의 레일몸체부(131), 상기 레일몸체부(131) 내측으로 홈이 파진 레일홈부(132), 상기 레일몸체부(131) 내측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133), 상기 레일몸체부(131) 일측면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134), 상기 레일몸체부(131)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슬랫부(120)와의 틈새를 차단하는 제1 측면실링부(135), 상기 제1 측면실링부(135)에서 소정 간격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기 레일몸체부(131)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슬랫부(120)와의 틈새를 차단하는 제2 측면실링부(13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실링부(135)는 단면이 상기 슬랫부(120)와 직교하게 형성되는 차단막 형상으로 설치되어 화염의 진입을 1차로 막고, 상기 제2 측면실링부(136)는 상기 제1 측면실링부(135)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내측으로 설치되어 화염의 진입을 2차로 막는다.
또한, 상기 하장바(140)는 하나의 회동축부(141)를 따라 장착된 복수의 회동판부(142)가 상기 제1 슬랫부(120a) 및 상기 제2 슬랫부(120b)로 넘어가는 경계에 위치하여 상기 슬랫부(120)의 승강에 따라 회동(回動)하고, 상기 회동축부(141) 양측을 잡아주는 지지판(143), 상기 지지판(143) 하부를 연결하되 상기 제1 및 제2 슬랫부(120a, 120b)의 경계를 감싸는 반원 형상의 경계단열부(145), 상기 경계단열부(145) 하방으로 연장된 바닥부(14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셔터박스(110) 내에 상기 제1 슬랫부(120a)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제2 슬랫부(120b) 일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 슬랫부(120a)와 제2 슬랫부(120b)의 경계에 있는 상기 하장바(140)가 도르래 역할로 상기 회동축부(141) 양끝단이 상기 레일홈부(132)를 따라 상하로 가이드(guide)되면서 상기 슬랫부(120)가 승강(昇降)되고 상기 하장바(140)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슬랫부(120)를 하방으로 팽팽하게 당기며, 상기 제1 및 제2 슬랫부(120a, 120b) 사이 간격이 적어도 상기 회동판부(142)의 직경보다 크게 유지되어 화재시 화염의 확산을 억제하는 물리적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30)은 상기 제1 측면실링부(135) 및 상기 제2 측면실링부(136) 사이에 자석부(137)를 개입시켜 상기 슬랫부(120)와의 밀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판부(142)는 상기 회동축부(141)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 돌기부(142a, 142b)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장바(140)는 상기 바닥부(147)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시 밀착을 돕는 바닥실링부(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장바(140)에 설치된 비상조명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비상조명부(150)는 상기 하장바 하부에 설치된 LED 모듈과, 상기 LE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하장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LED 모듈 및 배터리 간의 전원 연결을 단속(斷續)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교체 가능한 충전식 건전지이고 상기 스위치부는 반전스위치이며, 평상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셔터박스 하부 일측과 눌림 접촉되어 상기 LED 모듈 및 배터리 간의 전원 연결을 오프(off)시켜 불필요한 전원소비를 방지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하장바가 하강하면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셔터박스 하부 일측과 눌림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LED 모듈 및 배터리 간의 전원 연결을 온(on)시켜 상기 LED 모듈에서 조명이 켜질 수 있다.
그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100)의 구성 및 작동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열 강화 방화셔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 화염이나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의 개구된 출입구 또는 통로 등에 설치되는 방화셔터로, 셔터박스(110), 슬랫(slat)부(120), 가이드레일(130), 및 하장바(140)를 포함하고, 비상조명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셔터박스(1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소정 길이 및 소정 폭을 가지는 내부가 빈 직육면체 박스(box) 형상으로 구동장치(110a)가 내설되어 있고 하부 일측이 슬롯(slot) 타입으로 개방되어 있다.
참고로, 구동장치(110a)는 모터와 같이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후술하는 슬랫(slat)부(120)를 회전시켜 감기게 하거나 펼쳐 하강하도록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서 구동장치(110a)는 공지된 일반적인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셔터박스(110)는 통로가 형성된 구조물에 조성되는 셔터(shutter) 설치공간의 상부, 즉 격벽의 개구부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슬롯(slot) 타입의 셔터박스(110) 하부 일측은 슬랫부(120)가 입출입하는 개방구가 된다.
셔터박스(1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110a)와 연동되어 슬랫부(120)를 권취하거나 권해하는 장치(미부호)가 내장되어 있다.
즉, 셔터박스(110)는 일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내부가 빈 직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측면 일측이 구동장치(110a)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고 하부가 슬롯(slot) 타입으로 개방되어 격벽의 개구부를 개폐(開閉)할 수 있는 슬랫부(120)를 권취(捲取) 또는 권해(倦解)하는 동작장치가 내장되도록 공간을 마련해 준다.
슬랫(slat)부(120)는 도 2 내지 도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110a)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통로를 개폐 가능한 것으로, 다수의 판상 패널이 상하로 결속되어 있다.
즉, 슬랫부(120)는 실질적으로 격벽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수단으로서 다수의 기다란 판상 패널을 상하로 결속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개구부의 개폐가 가능하다.
여기서, 슬랫부(120)는 기다란 직사각형 판상의 패널을 위아래로 나란하게 연접 배치한 상태에서 각 패널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의 결속부를 서로 끼워지게 하여 상하로 이어지도록 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랫부(120)는 평상시 구동장치(110a)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어 셔터박스(110) 내에 롤(roll)처럼 둥글게 말리면서 권취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게 되고, 화재발생 등과 같은 비상시 또는 필요시 구동장치(110a)에 의해 하부로 하강(unfold)하면서 통로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슬랫부(120)는 2열로 구성되어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슬랫부(120a) 및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슬랫부(120b)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 예로, 슬랫부(120)는 셔터박스(110) 내에 제1 슬랫부(120a) 일측이 고정되고 제2 슬랫부(120b) 일측이 상하로 이동되어 격벽의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으면서 제1 슬랫부(120a) 및 제2 슬랫부(120b) 사이 간격이 방화를 막아 주는 물리적인 공간이 되므로, 종래 방화셔터가 1열로 형성되어 화재로 발생되는 높은 열 및 화염을 충분히 차단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도르래 기능을 할 수 있는 하장바(140)로 인하여 구동장치(110a)에 종래보다 적은 전원이 공급되어도 승강(昇降)이 가능하며, 제1 슬랫부(120a) 및 제2 슬랫부(120b)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별도의 비용 없이 공기층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화재에 따른 화염이나 고열 또는 풍열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슬랫부(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패널 내부에 수퍼울(superwool)과 같은 친환경 내열단열재를 지그재그의 8자 형태로 적층시켜 동일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차열 효과를 제공한다.
가이드레일(130)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부(120)의 상하 이동시 슬랫부(120)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공간으로, 슬랫부(120)의 상승 및 하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격벽의 개구부 양측에 설치되어 안내가이드 기능을 한다.
즉, 가이드레일(130)은 출입 또는 통로인 개구부 개폐를 위한 슬랫부(120)의 상승 및 하강시 슬랫부(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도록 그 단면이 'ㄷ' 형상으로 셔터 설치 공간의 양편에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레일(130)은 도 3(b), 도 4(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의 개구부 양편에 지지프레임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이드레일(130)은 레일몸체부(131), 레일홈부(132), 제1 고정부(133), 제2 고정부(134), 제1 측면실링부(135), 제2 측면실링부(136) 및 자석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단면의 레일몸체부(131), 상기 레일몸체부(131) 내측으로 홈이 파진 레일홈부(132), 상기 레일몸체부(131) 내측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133), 상기 레일몸체부(131) 일측면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134), 상기 레일몸체부(131)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슬랫부(120)와의 틈새를 차단하는 제1 측면실링부(135), 상기 제1 측면실링부(135)에서 소정 간격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기 레일몸체부(131)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슬랫부(120)와의 틈새를 차단하는 제2 측면실링부(136), 상기 제1 측면실링부(135)와 상기 제2 측면실링부(136) 사이에 개입된 자석부(137)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레일몸체부(131)는 수퍼울(superwool bulk)과 같은 친환경 내열단열 벌크로 내부를 충진하고 수퍼울(superwool paper)과 같은 친환경 내열단열 페이퍼로 외곽을 감싸 강화된 차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레일홈부(132)는 레일몸체부(131) 내측으로 상기 레일몸체부(131) 상하 방향을 따라 홈이 파져 회동축부(141) 양끝단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guide)한다.
또한, 제1 및 제2 고정부(133, 134)는 부재 간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볼트/너트 기계요소로, 제1 고정부(133)는 레일몸체부(131) 내측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제2 고정부(134)는 레일몸체부(131) 일측면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1 측면실링부(135)는 단면이 슬랫부(120)와 직교하게 형성되는 차단막 형상으로 설치되어 화염의 진입을 1차로 막고, 제2 측면실링부(136)는 제1 측면실링부(135)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내측으로 설치되어 화염의 진입을 2차로 막는다.
또한, 자석부(13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실링부(135) 및 제2 측면실링부(136) 사이에 개입되어 금속재인 슬랫부(120)을 자력으로 당기므로 슬랫부(120)와의 밀착을 유도하여 슬랫부(120) 간에 형성된 틈새를 최소화한다.
하장바(140)는 도 4(a),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부(120)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슬랫부(120)의 승강(昇降)에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하장바(140)는 회동축부(141), 회동판부(142), 지지판(143), 경계단열부(145), 바닥부(147), 및 바닥실링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축부(141)는 도 9(c)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회동판부(142)가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중심이 되는 회전축으로, 양측에 베어링이 장착되고 지지판(143)에 의해 지지된다.
회동판부(142)는 도 9(b)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부(141)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 돌기부(142a, 142b) 사이에 장착되고 내경에 부시(bush)가 삽입된다.
회동축부(141) 및 회동판부(142)는 제1 슬랫부(120a) 또는 제2 슬랫부(120b)로 넘어가는 경계에 위치하여 슬랫부(120)의 승강에 따라 회동(回動)하도록 조립된다.
지지판(143)은 도 8, 도 9(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평평한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회동축부(141)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 타입의 구멍(hole)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부(141) 양측을 지지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하장바(140)는 제1 슬랫부(120a)와 제2 슬랫부(120b)의 사이 경계에 얹어져 도르래 기능을 하여 슬랫부(120)를 상하 이동시 종래보다 적은 에너지로 승강(昇降)시킬 수 있고, 하장바(140)의 하중에 의해서 슬랫부(120) 하방으로 텐션(tension)이 작용하여 팽팽하게 당겨지게 한다.
경계단열부(14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43) 하부를 연결하되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제1 및 제2 슬랫부(120a, 120b)의 경계를 감싸면서 사이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제1 및 제2 슬랫부(120a, 120b)의 경계의 반원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된다.
또한, 경계단열부(145)는 차열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제1 및 제2 슬랫부(120a, 120b)의 경계와 접하는 면에 수퍼울(superwool paper)과 같은 친환경 내열단열 페이퍼인 제1 단열부(145a)로 감싸고, 하방으로 수퍼울(superwool bulk)과 같은 친환경 내열단열 벌크인 제2 단열부(145b)로 충진한다.
바닥부(147)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눕혀진 평평한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경계단열부(145) 하방으로 연장되고, 차열 기능을 위해 수퍼울(superwool bulk)과 같은 친환경 내열단열 벌크로 구성한다.
바닥실링부(148)는 도 4(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47)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바닥 또는 지면과 접촉시 밀착을 도와, 간격(t) 사이를 차단한다.
여기서 바닥실링부(148)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탄성을 가지면서 유연한 밀착 능력을 가진다.
비상조명부(15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장바(140)에 설치된 비상등으로, 하장바 하부에 설치된 LED 모듈과, 상기 LE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하장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LED 모듈 및 배터리 간의 전원 연결을 단속(斷續)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교체 가능한 충전식 건전지이고 상기 스위치부는 반전스위치이다.
평상시 스위치부는 셔터박스 하부 일측과 눌림 접촉되어 LED 모듈 및 배터리 간의 전원 연결을 오프(off)시켜 불필요한 전원소비를 방지하고, 화재발생시 하장바가 하강하면 스위치부는 셔터박스 하부 일측과 눌림 접촉이 해제되어 LED 모듈 및 배터리 간의 전원 연결을 온(on)시켜 LED 모듈에서 조명이 켜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열 강화 방화셔터(100)는 셔터박스(110) 내에 제1 슬랫부(120a) 일측을 고정하고 제2 슬랫부(120b) 일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제1 슬랫부(120a)와 제2 슬랫부(120b)의 경계에 있는 하장바(140)가 도르래 역할로 회동축부(141) 양끝단이 레일홈부(132)를 따라 상하로 가이드(guide)되면서 슬랫부(120)가 승강(昇降)되고 하장바(140)의 하중에 의해서 슬랫부(120)를 하방으로 팽팽하게 당기며, 제1 및 제2 슬랫부(120a, 120b) 사이 간격이 적어도 회동판부(142)의 직경보다 크게 유지되어 화재시 화염의 확산을 억제하는 물리적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열 강화 방화셔터(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열 구조의 슬랫부 공간에 소정 간격을 유지시키고 감거나 접는 등에 따라 소정의 물리적 거리를 가지므로, 슬랫부의 내부 공간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로 인하여 화재시 방재 및 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슬랫부와 제2 슬랫부의 경계에 있는 하장바가 도르래 역할을 하여 적은 힘으로 슬랫부를 승강(昇降)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측면실링부가 단면이 슬랫부(120)와 직교하게 형성되는 차단막 형상으로 설치되어 화염의 진입을 1차로 막고, 제2 측면실링부가 제1 측면실링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내측으로 설치되어 화염의 진입을 2차로 막아 이중으로 차열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자석부가 제1 측면실링부 및 제2 측면실링부 사이에 개입되어 금속재인 슬랫부를 자력으로 당기므로 슬랫부와의 밀착을 유도하여 가이드레일과 슬랫부 간에 형성된 틈새를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재가 근접하여 고열을 발생시키면 슬랫부의 최하단에 연결된 하장바가 개구부 바닥과 밀착하여 화재로부터의 고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화염 및 고열에 따른 화재의 확산을 억제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장바 하부에 실링부재가 있어 화재에 따른 화염이나 고열, 풍열 및 유독가스 등을 효율적으로 차단 및 차열하여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화셔터
110 : 셔터박스
120 : 슬랫(slat)부
130 : 가이드레일
140 : 하장바
150 : 비상조명부

Claims (5)

  1. 화재발생시 화염이나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차열 강화 방화셔터에 있어서,
    구동장치가 내설되어 있는 셔터박스;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로 승강(昇降)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다수의 판상 패널을 상하로 결속시키되 제1 슬랫부 및 제2 슬랫부로 구분되는 슬랫(slat)부;
    상기 슬랫부의 상하 이동시 상기 슬랫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1쌍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슬랫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슬랫부의 승강(昇降)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하장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ㄷ' 단면의 레일몸체부, 상기 레일몸체부 내측으로 홈이 파진 레일홈부, 상기 레일몸체부 내측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레일몸체부 일측면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 상기 레일몸체부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슬랫부와의 틈새를 차단하는 제1 측면실링부, 상기 제1 측면실링부에서 소정 간격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기 레일몸체부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슬랫부와의 틈새를 차단하는 제2 측면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실링부는 단면이 상기 슬랫부와 직교하게 형성되는 차단막 형상으로 설치되어 화염의 진입을 1차로 막고, 상기 제2 측면실링부는 상기 제1 측면실링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내측으로 설치되어 화염의 진입을 2차로 막으며,
    상기 하장바는 하나의 회동축부를 따라 장착된 복수의 회동판부가 상기 제1 슬랫부 및 상기 제2 슬랫부로 넘어가는 경계에 위치하여 상기 슬랫부의 승강에 따라 회동(回動)하고, 상기 회동축부 양측을 잡아주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하부를 연결하되 상기 제1 및 제2 슬랫부의 경계를 감싸는 반원 형상의 경계단열부, 상기 경계단열부 하방으로 연장된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박스 내에 상기 제1 슬랫부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제2 슬랫부 일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 슬랫부와 제2 슬랫부의 경계에 있는 상기 하장바가 도르래 역할로 상기 회동축부 양끝단이 상기 레일홈부를 따라 상하로 가이드(guide)되면서 상기 슬랫부가 승강(昇降)되고 상기 하장바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슬랫부를 하방으로 팽팽하게 당기며,
    상기 제1 및 제2 슬랫부 사이 간격이 적어도 상기 회동판부의 직경보다 크게 유지되어 화재시 화염의 확산을 억제하는 물리적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강화 방화셔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1 측면실링부 및 상기 제2 측면실링부 사이에 자석부를 개입시켜 상기 슬랫부와의 밀착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강화 방화셔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부는 상기 회동축부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 돌기부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강화 방화셔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장바는 상기 바닥부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시 밀착을 돕는 바닥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강화 방화셔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장바에 설치된 비상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조명부는
    상기 하장바 하부에 설치된 LED 모듈과,
    상기 LE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하장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LED 모듈 및 배터리 간의 전원 연결을 단속(斷續)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교체 가능한 충전식 건전지이고 상기 스위치부는 반전스위치이며,
    평상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셔터박스 하부 일측과 눌림 접촉되어 상기 LED 모듈 및 배터리 간의 전원 연결을 오프(off)시켜 불필요한 전원소비를 방지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하장바가 하강하면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셔터박스 하부 일측과 눌림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LED 모듈 및 배터리 간의 전원 연결을 온(on)시켜 상기 LED 모듈에서 조명이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강화 방화셔터.
KR1020190089422A 2019-07-24 2019-07-24 차열 강화 방화셔터 KR102334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22A KR102334716B1 (ko) 2019-07-24 2019-07-24 차열 강화 방화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22A KR102334716B1 (ko) 2019-07-24 2019-07-24 차열 강화 방화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385A true KR20210013385A (ko) 2021-02-04
KR102334716B1 KR102334716B1 (ko) 2021-12-06

Family

ID=7455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422A KR102334716B1 (ko) 2019-07-24 2019-07-24 차열 강화 방화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282B1 (ko) * 2022-08-26 2023-06-07 주식회사 선일기업 화재에 의한 변형에도 작동하는 가이드 레일 유닛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95U (ja) * 1992-06-26 1994-01-28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防火シャッター
JPH0663793U (ja) * 1993-02-19 1994-09-09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建築用遮熱シャッター
KR200395943Y1 (ko) * 2005-03-09 2005-09-16 주식회사 명성건업 방화셔터의 차연성(기밀성)을 향상시킨 난연가스켓
KR20090025210A (ko) * 2006-06-07 2009-03-10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타 권상 셔터
KR20120059812A (ko) * 2010-12-01 2012-06-11 박판성 기능성 롤 블라인드
KR101890068B1 (ko) * 2017-06-01 2018-08-21 김기대 식별용 led 장치를 구비한 방화셔터
JP2018131874A (ja) * 2017-02-17 2018-08-23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材の開閉停止機構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95U (ja) * 1992-06-26 1994-01-28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防火シャッター
JPH0663793U (ja) * 1993-02-19 1994-09-09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建築用遮熱シャッター
KR200395943Y1 (ko) * 2005-03-09 2005-09-16 주식회사 명성건업 방화셔터의 차연성(기밀성)을 향상시킨 난연가스켓
KR20090025210A (ko) * 2006-06-07 2009-03-10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타 권상 셔터
KR101312337B1 (ko) 2006-06-07 2013-09-27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타 권상 셔터
KR20120059812A (ko) * 2010-12-01 2012-06-11 박판성 기능성 롤 블라인드
JP2018131874A (ja) * 2017-02-17 2018-08-23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材の開閉停止機構
KR101890068B1 (ko) * 2017-06-01 2018-08-21 김기대 식별용 led 장치를 구비한 방화셔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282B1 (ko) * 2022-08-26 2023-06-07 주식회사 선일기업 화재에 의한 변형에도 작동하는 가이드 레일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716B1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438B1 (ko) 하부 롤러를 갖춘 방화셔터
KR101243061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300908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US20170138118A1 (en) Improved insulated fire panel shutter
KR101243062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20210013385A (ko) 차열 강화 방화셔터
KR100983342B1 (ko) 곡면의 개폐 궤적을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741522B1 (ko) 차열 방화셔터
KR101780418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890068B1 (ko) 식별용 led 장치를 구비한 방화셔터
ES2525126T3 (es) Montante modular para puerta de manutención con cortina flexible
KR102085439B1 (ko)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KR100542792B1 (ko) 대형 건축물의 방화셔터 강화구조
KR101034714B1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KR20110004534A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KR20210005389A (ko) 복열 구조의 방화셔터
CN101025071A (zh) 自动报警防烟火走廊门墙
KR200395107Y1 (ko) 폴드업 셔터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JP2007068913A (ja) スライド式防火シャッタ
KR20110064811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KR101386714B1 (ko) 스크린천 유동방지 가이드장치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WO2004072288A1 (de) Brandschutzrolllad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randschutzrollladens
KR102458610B1 (ko) 수평형 방화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