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534A -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534A
KR20110004534A KR1020090061990A KR20090061990A KR20110004534A KR 20110004534 A KR20110004534 A KR 20110004534A KR 1020090061990 A KR1020090061990 A KR 1020090061990A KR 20090061990 A KR20090061990 A KR 20090061990A KR 20110004534 A KR20110004534 A KR 20110004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oor
emergency
wire
door
screen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근식
Original Assignee
강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근식 filed Critical 강근식
Priority to KR102009006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534A/ko
Publication of KR2011000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7Springs; Spring tens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셔터의 중간에 좌측 및 우측비상문이 설치되되, 이 비상문은 옆으로 열리고 닫히게 구성되며, 한쪽 비상문을 열면 다른쪽 비상문이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반대방향으로 함께 열리도록 구성된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이 적용된 방화 스크린셔터는 화재시 스크린셔터가 하강하여 방화, 방연을 위해 건물 통로를 차단한다 하더라도 스크린셔터의 중간에 양옆으로 열리는 비상문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비상문을 통해 사람이 탈출할 수 있으며, 또한 좌측 및 우측비상문이 함께 작동하여 신속하게 열리고 닫히는 효과가 있다.
스크린셔터, 상부레일체, 하부레일체, 비상문, 와이어

Description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EMERGENCY DOOR FOR FIREPROOF SCREEN SHUTTER}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 스크린셔터에서 한 쌍의 비상문이 양쪽으로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되, 한쪽 비상문을 옆으로 밀어서 열면 다른쪽 비상문이 자동으로 함께 열려 비상문을 조금만 열어도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입구가 확보되도록 한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화재시 대피하는 사람들의 시간을 벌어주며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다.
현재 방화 및 방연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방화셔터는 강철로 형성되어 건물 천정에 권취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 하강시켜 건물의 입구 또는 통로를 차폐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화셔터는 다수개의 강철이 연결되어 있어 이에 따른 중량과 부피가 커 천정의 설치 공간이 커지고 셔터의 승,하강을 작동하는 모터가 커지게 되어 설치되는 비용이 높고 시공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고온에 의해 강철셔터가 변형이 발생되어 방화셔터의 기능을 상실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고, 강철셔터 자체에 피난통로인 비상문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여 별도의 방화문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계가 복잡하고 높은 설치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내열성이 강하면서 얇고 가벼운 스크린 천을 이용하여 공간의 효율성이 높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가능한 방화 스크린셔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화 스크린셔터의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0844525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개구부가 형성된 내화스크린과, 상기 내화스크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비상문, 상기 비상문의 양측을 상기 내화스크린에 중첩하여 폐쇄하는 비상문패스너를 포함하는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패스너는 내화스크린의 하단측에 설치되는 제1웨이트바와 상기 비상문의 하단측에 설치되는 제2웨이트바로 구성되고, 상기 비상문의 양측과 중첩되게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상기 비상문에 지지하는 덮개패스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특허에 개시된 종래의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구조는 비상문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사람이 빠져나가려면 비상문을 많이 들어올려야 하며, 따라서 비상 상황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한 쌍의 비상문이 양옆으로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갖되, 한쪽 비상문을 옆으로 밀어서 열면 다른쪽 비상문이 자동으로 함께 반대쪽으로 열려 비상문을 조금만 열어도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입구가 확보되도록 한 방화 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스크린셔터가 하강하면서 통로를 차단하는 구조를 갖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셔터의 중간을 좌우 대칭되게 커팅하여 측방향으로 열리게 형성된 좌측비상문과 우측비상문으로 이루어진 비상문; 상기 비상문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된 도르레를 타고 순환하는 와이어가 설치되며, 이 와이어의 하부 일부분에는 상기 좌측비상문 또는 우측비상문 중 어느 한쪽의 비상문 상단이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와이어의 상부 일부분에는 다른 쪽 비상문의 상단이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좌측 비상문 또는 우측비상문 중 어느 한쪽의 비상문을 열면 와이어가 순환되면서 다른 쪽 비상문이 함께 열리도록 도와주는 상부레일체; 및 상기 비상문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된 도르레를 타고 순환하는 와이어가 설치되며 이 와이어의 상부 일부분에는 상기 좌측비상문 또는 우측비상문 중 어느 한쪽의 비상문 하단이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와이어의 하부 일부분에는 다른 쪽 비상문의 하단이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좌측비상문 또는 우측비상문 중 어느 한쪽의 비상문을 열면 와이어가 순환되면서 다른 쪽 비상문이 함께 열리도록 도와주는 하부레일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레일체는 내부에 도르레와 와이어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개구된 슬릿이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와이어와 비상문을 고정시키게 형성되며, 설치공간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롤러가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롤러는 슬릿을 통과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좌측비상문 및 우측비상문에 연결되게 형성되어 비상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도와주며, 설치공간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비상문을 열면 인장되었다가 열었던 비상문을 놓으면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비상문이 원래의 닫힘 위치로 이동하도록 돕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레일체는 내부에 도르레와 와이어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구된 슬릿이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와이어와 비상문을 고정시키게 형성되며, 설치공간의 상면에는 다수의 롤러가 내면을 따라 이동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롤러는 슬릿을 통과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좌측비상문 및 우측비상문에 연결되게 형성되어 비상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도와주며, 설치공간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비상문을 열면 인장되었다가 열었던 비상문을 놓으면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비상문이 원래의 닫힘 위치로 이동하도록 돕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이 적용된 방화 스크린셔터는 화재시 방화, 방연을 위해 스크린셔터가 하강하면서 건물 통로를 차단한다 하더라도 스크린셔터의 중간에 양옆으로 열리는 비상문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비상문을 통해 사람이 탈출할 수 있으며, 또한 좌측 및 우측 비상문으로 이루어진 비상문이 한쪽 비상문을 열게 되면 다른쪽 비상문이 반대편 방향으로 함께 열리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탈출구가 신속하게 열리고 닫히는 효과가 있으며, 롤러를 통해 비상문이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문 개폐장치가 설치된 방화 스크린셔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상부레일체 부분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정단면도와 측단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하부레일체 부분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정단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는 좌측비상문(12)과 우측비상문(14)이 양쪽으로 미닫이 방식으로 열고 닫히게 구성되되, 한쪽 비상문을 열면 다른 쪽 비상문이 함께 자동으로 열리게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방화 스크린셔터의 구조를 설명하면, 상부에 셔터박스(1)가 설치되고, 이 셔터박스(1)의 내부에는 회전축(3)이 구동수단(5)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며, 이 회전축(3)의 외주면에는 스크린셔터(10)가 말리면서 권취되거나 풀리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구동수단(5)은 공지된 기술로, 스프로킷과 체인을 이용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키게 구성되는 것이 통상적이지만, 다른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셔터박스(1)의 양측단부에는 하방향으로 가이드대(7)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대(7)의 안쪽면에는 미도시된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 홈을 따라 스크린셔터(10)가 안내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스크린셔터(10)의 하단에는 하장바(9)가 설치되어 스크린셔터(10)를 쉽게 들어올리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화 스크린셔터는 건물의 통로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축(3)을 스크린셔터(10)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린셔터(10)가 상승하면서 통로를 개방시키고, 회전축(3)을 반대로 회전시키면 스크린셔터(10)가 하강하면서 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셔터(10)는 내열성이 강하면서 얇고 가벼운 스크린 천으로 이루어져 방화 및 방연의 기능을 갖게 되며, 중간에는 스크린셔터(10)를 좌우 대칭되게 "ㄷ"자 형상으로 커팅하여 좌측비상문(12)과 우측비상문(14)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좌측비상문(12)과 우측비상문(14)은 커팅 선을 따라 측방향으로 열리게 되는데, 좌측비상문(12)과 우측비상문(14)의 외측면은 스크린셔터(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비상문(12)과 우측비상문(14)을 열었을 때 주름 형식으로 접히면서 열리게 된다. 물론, 좌측비상문(12)과 우측비상문(14)의 정면에는 각각 손잡이(N)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좌측비상문(12)과 우측비상문(14)의 상부에는 상부레일체(20)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하부레일체(30)가 설치되어 좌측비상문(12)과 우측비상문(14)이 자연스럽게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된다.
상부레일체(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비상문의 상부에서 스크린셔터(10)에 리벳(RI)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내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공간(22)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개구된 슬릿(24)이 형성된다. 설치공간(22) 내의 양측에는 각각 도르레(P)가 설치되고, 이 도르레(P)에는 와이어(W)가 연결되어 와이어(W)가 도르레(P)를 타고 순환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와이어(W)의 하부 일부분에는 좌측비상문 또는 우측비상문 중 어느 한쪽의 비상문 상단이 고정부재(F)를 통해 고정되고 와이어(W)의 상부 일부분에는 다 른 쪽 비상문의 상단이 고정부재(F)를 통해 고정되어 좌측비상문(12) 또는 우측비상문(14) 중 어느 한쪽의 비상문을 열면 와이어(W)가 순환되면서 다른 쪽 비상문이 함께 열리도록 구성된다. 물론, 도면상에는 와이어(W)의 하부 일부분에는 우측비상문(14)이 고정부재(F)를 통해 고정되고 와이어(W)의 상부 일부분에는 좌측비상문(12)이 고정부재(F)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데, 반대로 설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비상문을 열고 사람이 탈출한 뒤에는 비상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해 설치공간(22) 내에는 스프링(S)이 설치된다. 즉, 스프링(S)의 일단은 와이어(W)의 일부분에 고정되고 타단은 설치공간(22) 내에 고정되어, 비상문을 열면 와이어(W)가 순환 회전하면서 스프링(S)을 인장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열고 있던 비상문을 놓으면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와이어(W)가 원래의 상태로 역순환되면서 비상문이 닫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설치공간(22)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롤러(R)가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 각각의 롤러(R)들은 슬릿(24)을 통과하는 연결부재(J)를 통해 좌측비상문(12) 및 우측비상문(14)에 연결되게 형성되어 비상문이 열리고 닫힐 때 롤러(R)가 이동하면서 비상문의 개폐를 도와주게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부재(J)는 철판으로 형성하여 비상문이 리벳 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고 다른 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부레일체(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비상문의 하부에서 하장바(9)에 리벳(RI)으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즉, 하장바(9)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대(9a)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고정대(9a)에 하부레일체(30)가 밀착된 상태에 서 리벳(RI)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레일체(30)의 내부 구조는 상술한 상부레일체(20)와 상하 대칭되게 구성된다. 즉, 하부레일체(30)의 내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공간(3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구된 슬릿(34)이 형성된다. 설치공간(32) 내의 양측에는 각각 도르레(P)가 설치되고, 이 도르레(P)에는 와이어(W)가 연결되어 와이어(W)가 도르레(P)를 타고 순환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와이어(W)의 상부 일부분에는 좌측비상문 또는 우측비상문 중 어느 한쪽의 비상문 상단이 고정부재(F)를 통해 고정되고 와이어(W)의 하부 일부분에는 다른 쪽 비상문의 상단이 고정부재(F)를 통해 고정되어 좌측비상문(12) 또는 우측비상문(14) 중 어느 한쪽의 비상문을 열면 와이어(W)가 순환되면서 다른 쪽 비상문이 함께 열리도록 구성된다. 물론, 도면상에는 와이어(W)의 상부 일부분에는 우측비상문(14)이 고정부재(F)를 통해 고정되고 와이어(W)의 하부 일부분에는 좌측비상문(12)이 고정부재(F)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데, 반대로 설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비상문의 상단이 상부레일체(20)의 와이어(W) 하부 일부분에 고정되어 있다면 하단은 하부레일체(30)의 와이어(W) 상부 일부분에 고정되게 구성하여 비상문을 열었을 때 상부레일체(20)의 와이어(W)와 하부레일체(30)의 와이어(W)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비상문을 열고 사람이 탈출한 뒤에는 비상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해 설치공간(32) 내에는 스프링(S)이 설치된다. 즉, 스프링(S)의 일단은 와이어(W)의 일부분에 고정되고 타단은 설치공간(32) 내에 고정되어, 비상문을 열면 와이어(W)가 순환 회전하면서 스프링(S)을 인장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열고 있던 비 상문을 놓으면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와이어(W)가 원래의 상태로 역순환되면서 비상문이 닫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설치공간(32)의 상면에는 다수의 롤러(R)가 내면을 따라 이동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 각각의 롤러(R)들은 슬릿(34)을 통과하는 연결부재(J)를 통해 좌측비상문(12) 및 우측비상문(14)에 연결되게 형성되어 비상문이 열리고 닫힐 때 롤러(R)가 이동하면서 비상문의 개폐를 도와주게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부재(J)는 철판으로 형성하여 비상문이 리벳 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고 다른 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부레일체(20)가 설치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상부레일체(20)와 비상문의 상부 커팅 선을 덮도록 바람막이(16)가 설치되고, 하부레일체(30)가 설치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하부레일체(30)와 비상문의 하부 커팅 선을 덮도록 바람막이(16)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관이 미려하고 커팅 선으로 유해 연기가 배기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화재시 방화, 방연을 위해 스크린셔터(10)가 하강하여 건물 통로를 차단한다 하더라도 비상문을 통해 사람은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대피하고자 하는 사람이 좌측비상문(12) 또는 우측비상문(14)의 손잡이(N)를 잡고 한쪽 비상문을 옆으로 열게 되면 다른쪽 비상문이 함께 열리면서 탈출구가 생기게 된다. 그 구조를 좀더 설명하면, 대피자가 한쪽 비상문을 옆으로 열면 그 힘에 의해 와이어(W)가 순환회전을 하게 되고, 와이어(W)가 순환회전을 하면서 다 른쪽 비상문을 함께 이동시켜 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비상문을 열었던 힘을 제거하면 와이어(W)에 연결 설치된 스프링(S)이 인장되었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그 복원력에 의해 와이어(W)를 반대 방향으로 역순환회전시켜 비상문을 다시 닫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을 적용하면 한쪽 비상문을 조금만 열어도 출입구가 양방향으로 열리기 때문에 출입구가 신속하게 열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문이 열릴 때 롤러(R)가 함께 이동하면서 비상문의 이동을 돕기 때문에 부드럽게 비상문이 열리고 닫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문 개폐장치가 설치된 방화 스크린셔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상부레일체 부분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정단면도와 측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하부레일체 부분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정단면도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셔터박스 3: 회전축
10: 스크린셔터 12: 좌측비상문
14: 우측비상문 20: 상부레일체
30: 하부레일체 F: 고정부재
J: 연결부재 P: 도르레
R: 롤러 S: 스프링
W: 와이어

Claims (3)

  1. 스크린셔터가 하강하면서 통로를 차단하는 구조를 갖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셔터의 중간을 좌우 대칭되게 커팅하여 측방향으로 열리게 형성된 좌측비상문과 우측비상문으로 이루어진 비상문;
    상기 비상문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된 도르레를 타고 순환하는 와이어가 설치되며, 이 와이어의 하부 일부분에는 상기 좌측비상문 또는 우측비상문 중 어느 한쪽의 비상문 상단이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와이어의 상부 일부분에는 다른 쪽 비상문의 상단이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좌측비상문 또는 우측비상문 중 어느 한쪽의 비상문을 열면 와이어가 순환되면서 다른 쪽 비상문이 함께 열리도록 도와주는 상부레일체; 및
    상기 비상문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된 도르레를 타고 순환하는 와이어가 설치되며 이 와이어의 상부 일부분에는 상기 좌측비상문 또는 우측비상문 중 어느 한쪽의 비상문 하단이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와이어의 하부 일부분에는 다른 쪽 비상문의 하단이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좌측비상문 또는 우측비상문 중 어느 한쪽의 비상문을 열면 와이어가 순환되면서 다른 쪽 비상문이 함께 열리도록 도와주는 하부레일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체는 내부에 도르레와 와이어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개구된 슬릿이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와이어와 비상문을 고정시키게 형성되며, 설치공간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롤러가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롤러는 슬릿을 통과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좌측비상문 및 우측비상문에 연결되게 형성되어 비상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도와주며, 설치공간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비상문을 열면 인장되었다가 열었던 비상문을 놓으면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비상문이 원래의 닫힘 위치로 이동하도록 돕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레일체는 내부에 도르레와 와이어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구된 슬릿이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와이어와 비상문을 고정시키게 형성되며, 설치공간의 상면에는 다수의 롤러가 내면을 따라 이동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롤러는 슬릿을 통과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좌측비상문 및 우측비상문에 연결되게 형성되어 비상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도와주며, 설치공간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비상문을 열면 인장되었다가 열었던 비상문을 놓으면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비상문이 원래의 닫힘 위치로 이동하도록 돕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체가 설치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상부레일체와 비상문의 상부 커팅 선을 덮도록 바람막이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레일체가 설치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하부레일체와 비상문의 하부 커팅 선을 덮도록 바람막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KR1020090061990A 2009-07-08 2009-07-08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KR20110004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90A KR20110004534A (ko) 2009-07-08 2009-07-08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90A KR20110004534A (ko) 2009-07-08 2009-07-08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34A true KR20110004534A (ko) 2011-01-14

Family

ID=4361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990A KR20110004534A (ko) 2009-07-08 2009-07-08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5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25B1 (ko) * 2010-11-25 2011-06-09 위선복 방화 스크린 셔터
DE102012100081A1 (de) 2011-01-17 201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e Fotografiervorrichtung und Steuerverfahren dafür
KR20170021608A (ko) 2015-08-18 2017-02-28 공창석 방화 스크린 셔터용 감아올리는 비상문장치
CN106730916A (zh) * 2016-12-07 2017-05-31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特效用活动窗口
CN106730532A (zh) * 2016-11-21 2017-05-31 国网河南洛宁县供电公司 一种快速取沙的消防沙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25B1 (ko) * 2010-11-25 2011-06-09 위선복 방화 스크린 셔터
DE102012100081A1 (de) 2011-01-17 201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e Fotografiervorrichtung und Steuerverfahren dafür
KR20170021608A (ko) 2015-08-18 2017-02-28 공창석 방화 스크린 셔터용 감아올리는 비상문장치
CN106730532A (zh) * 2016-11-21 2017-05-31 国网河南洛宁县供电公司 一种快速取沙的消防沙箱
CN106730916A (zh) * 2016-12-07 2017-05-31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特效用活动窗口
CN106730916B (zh) * 2016-12-07 2022-09-13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特效用活动窗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4534A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JP6764730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JP6792466B2 (ja) シャッター装置及びそのガイドレールの製造方法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JP4875265B2 (ja) エレベータ用防災装置
KR101780418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JP5138562B2 (ja) 開閉体装置
KR20080109160A (ko)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방화스크린셔터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266399B1 (ko) 출몰식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101644626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2030504B1 (ko) 방화문 연동셔터
KR20080007917A (ko) 방화 스크린 장치
JP6262465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0993102B1 (ko)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038114B1 (ko) 미닫이 창호용 환기장치
KR101531857B1 (ko)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20110096308A (ko) 띠장의 덧댐 구조에 의하여 비상문의 임의 벌어짐을 방지토록 되는 방화셔터
KR20170021608A (ko) 방화 스크린 셔터용 감아올리는 비상문장치
JP4334257B2 (ja) 開閉体装置
JP7053025B2 (ja) 非常電話ボックスの扉装置
JP422966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0232795Y1 (ko) 별도의 비상문을 구비한 방화용 셔터
KR101840291B1 (ko) 수직 수평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