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857B1 -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 Google Patents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857B1
KR101531857B1 KR1020150062593A KR20150062593A KR101531857B1 KR 101531857 B1 KR101531857 B1 KR 101531857B1 KR 1020150062593 A KR1020150062593 A KR 1020150062593A KR 20150062593 A KR20150062593 A KR 20150062593A KR 101531857 B1 KR101531857 B1 KR 101531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ire
shaft
prevent
overl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채
신동조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일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일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일기업
Priority to KR102015006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2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는, 건물의 천장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화재가 발생된 건물 내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화재시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삽입되어 바닥 방향으로 이동되는 스크린 셔터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는 차열 효과를 향상시켜 화재 지역의 차단 및 고열에 따른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AN ARTICULATED FIREPROOF SCREEN SHUTTER}
본 발명은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 스크린 셔터에 구비되는 스크린이 상하로 승강 동작하는 경우, 코너부 및 직선부에서 중간 포스트 없이 셔터를 나누지 않고 스크린끼리 서로 접촉하여 겹쳐지지 않고 원활하게 내려오고 올라갈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며, 화재 공간 및 방화 공간 내의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제한 사용되는 비상탈출구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방화셔터는, 통상 천장면에 설치되는 구동장치와 이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바닥면측으로 하강하는 셔터로 구성되는바, 셔터의 재질이 철재로 이루어진 철재셔터와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스크린 셔터로 구분되는바, 최근에는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스크린 셔터가 주로 설치되고 있고, 스크린으로는 방화용 시트를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건물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는 구역에 스크린 셔터가 하강되어 건물의 내부 구획을 차단시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구역으로부터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이 번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재에 따른 인명사고 및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셔터에는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비상도어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화재 발생시에 스크린 셔터가 내려오더라도 비상도어를 통해 사람들이 화재구역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린 셔터 장치는 스크린과 스크린을 감고 있는 축의 처짐으로 인하여 수평이 유지되지 않았고, 스크린 축이 회전하면서 스크린과 스크린이 서로 오버랙 되는 부위에서 서로 접촉되면서 겹쳐져서 접촉마찰로 인하여 구겨지거나 접히거나 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여 승강동작시 스크린이 원활하게 내려오고 올라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스크린의 밀폐성 및 기밀성이 크게 저하되어 화재구역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가 타 구역으로 번지는 것을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코너 부위에 설치된 스크린의 경우에는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가 벌어지고 터지게 됨으로써 차열, 차연 등의 방화기능을 하지 못함으로써 안전사고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109160호(2008년 12월 17일 공개) : 국내등록특허 제10-0983342호(2010년 09월 14일 등록) :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96306호(2011년 08월 30일 공개)
본 발명은 방화용 스크린이 승, 하강되면서 건물 내부의 천장에 권취될 때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스크린의 전후면이 서로 접촉되어 겹쳐지지 않고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 셔터의 장축과 건물 모서리 부위의 각도(라운드)가 있는 셔터를 설치하는 데 있어 2개 이상의 셔터를 하나의 구동장치로 설치가능하며 중간 가이드 레일 또는 포스트가 없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 셔터의 동작시 스크린이 상하로 승강 동작시 서로 겹치지 않도록 겹침이 방지되고, 스크린과 스크린 축의 처짐을 방지하고 스크린 축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크린 셔터의 동작시 코너 부위에서의 스크린 간에 오버랩 되는 부위가 터지지 않고 접촉되지 않으면서도 서로 겹치지 않고 스크린 승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이 권취된 스크린 축의 직경에 따라 천장의 높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하자가 없이 시공이 가능하며, 스크린 축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며 흔들림과 처짐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천정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부에 하장바가 설치된 스크린(104)과, 상기 스크린(104)이 권취된 스크린축(1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린(104)을 하강시켜서 화재가 발생된 건물 내부를 구획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에 있어서, 각각의 스크린(104)과 스크린(104)들의 전후면이 서로 접촉되지 않고 겹쳐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스크린의 처짐을 방지하고 스크린(104)이 권취된 스크린 축(102)의 수평을 유지하는 겹침방지장치(100)와; 상기 스크린(104)이 권취된 스크린 축(102)을 회전 구동시켜서 스크린을 승하강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부(120)와; 상기 스크린(104)의 상부 전면과 후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104)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전면린텔(124) 및 상기 스크린(104)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린텔(125)로 구성되는 겹침방지 가이드 장치(122)를 포함하되, 상기 겹침방지장치(100)는,
니은자(ㄴ)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장공(14)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단부 우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스크린(104)이 서로 접촉되지 않고 겹쳐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겹침방지 몸체부(12)를 구비하는 겹침방지 브라켓(114)과; 기역자(ㄱ)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장공(18)이 형성된 몸체(16)와, 상기 몸체(16)의 좌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천정에 고정되되, 상하로 이동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겹침방지 고정 브라켓(1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스크린 축(102)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기어(206)를 구비한 구동모터(204)와, 상기 구동기어(206)와 연결되는 구동벨트(208)와, 상기 구동벨트(208)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04)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스크린 축(102)을 회전 동작시키도록 연결 설치되는 종동기어(21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겹침방지 가이드 장치(122)는, 상기 스크린(104)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전면린텔(124)과; 상기 스크린(104)의 후면에 상기 전면린텔(124)과 대응하는 반대측에 설치되는 후면린텔(125)과; 상기 전면린텔(124)과 후면린텔(125)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104)이 양단부를 처지지 않도록 승강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2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레일(126)은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부에는 디귿자(ㄷ)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전면 가이드 레일 몸체(127)와; 디귿자(ㄷ)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후면 가이드 레일 몸체(129)가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하여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틈 사이로 스크린(104)이 통과하여 승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104)의 하단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는 하장바(24)와; 상기 하장바(24)의 상부면에 세로방향으로 마주보도록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26,27)으로 구성되어 스크린의 평행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장바 고정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장바(24)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104)의 일측면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스크린(104)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크린 탄력 고정부재(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겹침방지 가이드 장치(122)는, 상기 전면린텔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104)의 승하강 동작시 안내하고 스크린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스크린과 접촉하는 일측면 방향으로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2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축(102)의 양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108)가 구비된 유니버셜 조인트 축(106)을 구비하여 벽체와 평행한 직선부와 건물의 모서리 코너부위에서 자유자재하게 각도가 절환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스크린(104)의 전후면이 서로 접촉되어 겹쳐지지 않도록 승,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겹침방지 브라켓(114)에 상기 스크린(104)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승강이동시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구름 접촉이 가능하도록 간격유지 구름부재(34)를 구비하는 간격유지구(128)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는 스크린이 가이드 레일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승강동작할 때 스크린이 서로 접촉하여 겹쳐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스크린 축의 수평을 잡아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는 방화용 스크린이 승, 하강으로 건물 내부의 천장에 권취될 때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스크린의 변형없이 균일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 축의 시공시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건물 모서리의 라운드 또는 각도가 있는 셔터를 설치함으로써 2 개 이상의 셔터가 연결되는 중간 포스트(가이드 레일)를 없도록 하여 넓은 공간에서 장애물(포스트)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건물 내부의 미관에 도움이 되며 시각 확보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는 기존 처짐방지 로울러에 스크린이 눌리지 않음으로써 스크린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고, 하자가 발생하지 않으며 시공이 간편하게 빠르게 작업이 이루어져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동작부롤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구조가 코너부에 설치된 상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일부 개략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크린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스크린이 처지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처짐방지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스크린의 겹침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스크린의 겹침방지장치의 다른 일실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동작부롤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구조가 코너부에 설치된 상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 개략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스크린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스크린이 처지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처짐방지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는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과 스크린이 설 h 오버랩되어 있는 부위에서 스크린의 전후면이 서로 접촉되어 겹쳐지지 않도록 하여 스크린간에 서로 겹쳐져서 발생하는 접촉 마찰로 인한 동작을 방지하는 겹침방지장치(100)가 스크린(102)이 권취된 스크린 축(102)의 일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겹침방지장치(100)는 스크린 축(102)의 수평을 잡아줌과 동시에 스크린(104)의 처짐을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겹침방지장치(100)의 하단부는 스크린 축(102)과 연결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겹침방지장치(100)의 상단부는 천정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크린 축(102)에 스크린(104)이 권취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 축(10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크린(104)이 풀리거나 말리면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104)은 방화용 시트로서 건물의 화재시에 화염을 방지하여 차열 효과를 향상시키고 화재 지역의 차단 및 고열에 따른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축(102)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유니버셜 조인트 축(106)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축(106)에는 유니버셜 조인트(108)가 결합 고정되어 다양한 각도로 변화되면서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축(106)에는 겹침방지 브라켓(114)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겹침방지 브라켓(114)에는 상방향으로 겹침방지 고정 브라켓(116)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겹침방지 브라켓(114)은 상기 스크린(104)이 상하로 승강동작하는 경우에 서로 부딪혀서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겹침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겹침방지 브라켓(114)의 하단부 일측부에는 연결패드(11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패드(112)에는 베어링(1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겹침방지 브라켓(114)은 니은자(ㄴ) 형상의 몸체(10)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의 하단 우측방향으로는 겹침방지 몸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에는 다수 개의 장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4)에는 볼트. 피스 등의 고정부재(118)가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겹침방지 브라켓(114)의 일측면부에는 겹침방지 고정 브라켓(116)이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겹침방지 고정 브라켓(116)은 후술되는 천정(20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겹침방지 브라켓(114)은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크린(104)이 오버랩되는 부위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간격을 제공하여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고 스크린 축(102)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수평을 유지한다.
상기 겹침방지 브라켓(114)에 고정되는 겹침방지 고정 브라켓(1116)은 기역자(ㄱ) 형상의 몸체(16)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6)의 상단 좌측방향으로는 천정 고정몸체(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천정 고정몸체(20)에는 미도시된 앙카볼트(202)가 연결 고정되고 상기 앙카볼트(200)에 의해 천정(200)에 고정되도록 고정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몸체(16)에는 다수 개의 장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8)은 상기 장공(14)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14)과 장공(18)을 일치시킨 후, 고정부재(118)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겹침방지 고정 브라켓(116)은 천정(200)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아래로 내려서 고정시키고 천정(200)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위로 올려서 위치를 잡은 후 상기 겹침방지 브라켓(11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겹침방지 고정 브라켓(116)의 장공(18)을 상기 겹침방지 브라켓(114)의 장공(14)에 맞추고 상하로 위치를 조절하여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겹침방지 몸체부(12)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단부에는 사각형상의 연결패드(11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패드(112)의 중앙부에는 베어링공(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공(113)에는 베어링(114)이 끼워져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베어링(114)에는 전술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축(106)이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연결패드(112)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며,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축(106)에 연결 설치된 스크린 축(102)의 수평을 유지하고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겹침방지장치(100)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스크린 축(102)에 스크린(104)이 권취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104)이 화재 방지를 위하여 아래로 내려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104)에 권취된 스크린 천(104)이 내려오면서 파선으로 도시된 부분과 같이 겹침부가 발생하는바, 상기 겹침부가 발생하여도 서로 맞부딪혀서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겹침방지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겹침방지장치(100)의 상단부가 상기 천정(20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겹침방지장치(100)의 하단부가 상기 스크린 축(102)에 연결 설치되는 유니버셜 조인트 축(106)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좀 더 상술하여 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겹침방지장치(100)가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축(106)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바, 우측부에 권취된 스크린(104)이 상기 겹침방지장치(100)의 겹침방지 몸체부(12)의 상측, 바람직하기로는 후면부에 스크린(104)이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좌측부에 권취된 스크린(104)이 상기 겹침방지장치(100)의 겹침방지 몸체부(12)의 하측, 바람직하기로는 전면부에 스크린(104)이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겹침방지 몸체부(12)를 사이에 두고 좌측부와 우측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권취되는 스크린(104)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되어 상기 스크린(104)이 서로 오버랩되어도 서로 접촉하여 마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크린(104)을 감고 풀도록 권취하기 위한 구동부(120)는 천정(200)에 앙카볼트(202)에 의해 고정 지지되고, 상기 스크린 축(102)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 축(102)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120)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204)와, 상기 구동모터(204)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기어(206)와, 상기 구동기어(206)에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벨트(208)와, 상기 구동벨트(208)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종동기어(210)와, 상기 종동기어(210)와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스크린 축(102)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크린 축(102)에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104)이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동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104)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크린(104)이 수직하게 승강 동작하도록 겹침방지 가이드 장치(1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104)의 하단부에는 하장바(24)가 가로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장바(24)의 상부에는 하장바 고정부(1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장바 고정바(123)는 상기 하장바(24)의 상부면에 고정판(26)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26)과 마주보도록 고정판(27)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26)과 고정판(27)의 사이에는 상기 스크린(104)이 끼워지며, 상기 고정판(26)과 스크린(104)과 고정판(27)을 일체가 되도록 고정부재(118)를 이용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장바(24)와 스크린(104)이 상기 고정판(26,27)에 의해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겹침방지 가이드 장치(122)는 상기 스크린(104)의 좌우측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26)과, 상기 스크린(104)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전면린텔(124) 및 후면린텔(125)와, 상기 전면린텔(124)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104)의 하강시 스크린(104)의 승강동작을 원활하게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 부재(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8)는 라운드형상으로 완만하게 절곡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동작을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겹침방지장치(1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겹침방지장치(100)의 하단부에 겹침방지 가이드 장치(1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 축(102)에 권취된 스크린(104)이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면, 상기 전면린텔(124) 및 후면린텔(125)의 사이를 상기 스크린(104)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장바(24)가 통과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28)가 상기 스크린(104)을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겹침방지장치가 건물의 모서리에 설치된 경우,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라운드 부분을 원활하게 승강 동작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스크린(104)이 상기 스크린 축(104)에 권취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104)이 좌우 양단부에서 연장되어 서로 오버랩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상기 스크린(104)의 중간 부분에는 전면린텔(124) 및 후면린텔(125)이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전면린텔(124) 및 후면린텔(125)은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린텔(124)의 상부면에는 가이드 부재(28)가 고정부재(118)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8)는 상기 스크린(104)과 스크린(104)의 승강 동작시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전면부가 완만하게 절곡되어 있고, 코너부위에서는 가로방향으로 완만하게 원호를 이루면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104)들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 9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부재(28) 및 전면린텔(124) 및 후면린텔(125)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104)이 원호를 이루면서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상하로 원활한 승강동작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면린텔(124) 및 후면린텔(125)가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린텔(124)의 상부에는 가이드 부재(28)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8)는 상기 전면린텔(124)과 후면린텔(125)에 대응하여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104)의 양단부에는 가이드 레일(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26)은 내측부로 절곡되어 전면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전면 가이드 레일 몸체(127)와, 후면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후면 가이드 레일 몸체(129)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장바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스크린(104)의 하부에 하장바(24)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장바(24)의 상부에는 스크린 탄력 고정부재(3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스크린 탄력 고정부재(30)의 하단부가 상기 하장바(24)의 상면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 탄력 고정부재(30)의 상단부가 상기 스크린(104)의 측면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104)의 측면에 고정되는 스크린 탄력 고정부재(30)는 볼트, 피스 등의 고정부재(11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 설치된 스크린 탄력 고정부재(30)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104)이 처지지 않고 팽팽하고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며 승강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 스크린 셔터는 스크린(104)이 건물의 모서리와 평행한 직선 라인에서도 서로 겹처지는 부위가 전후면에서 서로 접촉되지 않고 맞부딪히지 않도록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열 효과를 향상시켜 화재 지역의 차단 및 고열에 따른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스크린의 겹침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다른 일실예로서, 겹침방지장치(100)의 겹침방지 몸체부(12)에 간격유지구(128)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구(128)는 상기 스크린(104)의 일면과 접촉하여 스크린(104)이 원활하게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구(128)는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진 간격유지 몸체(32)가 고정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격유지 몸체(32)에 간격유지 구름부재(33,34)가 결합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 구름부재(34)는 롤러, 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 구름부재(34)는 상기 겹침방지 몸체부(1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몸체 12 : 겹침방지 몸체부
14,18 : 장공 16 : 몸체
20 : 천정고정몸체 22 : 고정공
24 : 하장바 26 : 스크린 고정판
28 : 가이드 부재 30 : 스크린 탄력 고정부재
32 : 간격유지몸체 34 : 간격유지 구름부재
100 : 겹침방지장치 102 : 스크린 축
104 : 스크린 106 : 유니버셜 조인트 축
108 : 유니버셜 조인트 110 : 베어링
112 : 연결패드 114 : 겹침방지 브라켓
116 : 겹침방지 고정 브라켓 118 : 고정부재
120 : 구동부 122 : 겹침방지 가이드 장치
124 : 전면 린텔 125 : 후면 린텔
126 : 가이드 레일 128 : 간격유지구

Claims (7)

  1.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 천정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부에 하장바가 설치된 스크린(104)과, 상기 스크린(104)이 권취된 스크린축(1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린(104)을 하강시켜서 화재가 발생된 건물 내부를 구획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에 있어서,
    각각의 스크린(104)과 스크린(104)들의 전후면이 서로 접촉되지 않고 겹쳐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스크린의 처짐을 방지하고 스크린(104)이 권취된 스크린 축(102)의 수평을 유지하는 겹침방지장치(100)와;
    상기 스크린(104)이 권취된 스크린 축(102)을 회전 구동시키켜서 스크린을 승하강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부(120)와;
    상기 스크린(104)의 상부 전면과 후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104)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전면린텔(124) 및 상기 스크린(104)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린텔(125)로 구성되는 겹침방지 가이드 장치(122)를 포함하되,
    상기 겹침방지장치(100)는,
    니은자(ㄴ)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장공(14)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단부 우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스크린(104)이 서로 접촉되지 않고 겹쳐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겹침방지 몸체부(12)를 구비하는 겹침방지 브라켓(114)과;
    기역자(ㄱ)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장공(18)이 형성된 몸체(16)와, 상기 몸체(16)의 좌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천정에 고정되되, 상하로 이동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겹침방지 고정 브라켓(1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스크린 축(102)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기어(206)를 구비한 구동모터(204)와,
    상기 구동기어(206)와 연결되는 구동벨트(208)와,
    상기 구동벨트(208)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04)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스크린 축(102)을 회전 동작시키도록 연결 설치되는 종동기어(2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겹침방지 가이드 장치(122)는,
    상기 스크린(104)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전면린텔(124)과;
    상기 스크린(104)의 후면에 상기 전면린텔(124)과 대응하는 반대측에 설치되는 후면린텔(125)과;
    상기 전면린텔(124)과 후면린텔(125)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104)이 양단부를 처지지 않도록 승강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장바(24)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104)의 일측면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스크린(104)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크린 탄력 고정부재(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겹침방지 가이드 장치(122)는,
    상기 전면린텔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104)의 승하강 동작시 안내하고 스크린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스크린과 접촉하는 일측면 방향으로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2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축(102)의 양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108)가 구비된 유니버셜 조인트 축(106)을 구비하여 벽체와 평행한 직선부와 건물의 모서리 코너부위에서 자유자재하게 각도가 절환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스크린(104)의 전후면이 서로 접촉되어 겹쳐지지 않도록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겹침방지 브라켓(114)에 상기 스크린(104)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승강이동시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구름 접촉이 가능하도록 간격유지 구름부재(34)를 구비하는 간격유지구(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0150062593A 2015-05-04 2015-05-04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531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593A KR101531857B1 (ko) 2015-05-04 2015-05-04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593A KR101531857B1 (ko) 2015-05-04 2015-05-04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857B1 true KR101531857B1 (ko) 2015-07-07

Family

ID=5379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593A KR101531857B1 (ko) 2015-05-04 2015-05-04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560B1 (ko) 2015-10-19 2015-12-22 변인환 굴곡형 방화 스크린 셔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987A (ja) * 1996-08-30 1998-03-17 Taisei Sobi Kk 両側又は両側及び中間操作可能ロールスクリーン
JPH10164218A (ja) * 1996-12-04 1998-06-19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無線端末装置及びそのメモリ容量通知方法
KR101300908B1 (ko) * 2012-03-29 2013-08-27 위선복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348122B1 (ko) * 2013-05-15 2014-01-08 이세일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987A (ja) * 1996-08-30 1998-03-17 Taisei Sobi Kk 両側又は両側及び中間操作可能ロールスクリーン
JPH10164218A (ja) * 1996-12-04 1998-06-19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無線端末装置及びそのメモリ容量通知方法
KR101300908B1 (ko) * 2012-03-29 2013-08-27 위선복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348122B1 (ko) * 2013-05-15 2014-01-08 이세일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560B1 (ko) 2015-10-19 2015-12-22 변인환 굴곡형 방화 스크린 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1891B2 (ja) 巻上げシャッター
KR102085438B1 (ko) 하부 롤러를 갖춘 방화셔터
KR101348122B1 (ko)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300908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243062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531857B1 (ko)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780418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KR101259521B1 (ko)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곡면 개폐라인을 구현하는 장치
KR102263952B1 (ko) 스크린형 차열 방화셔터
KR102084537B1 (ko) 무기둥 방화 스크린 셔터
KR200428452Y1 (ko) 방화 스크린 장치
KR20110004534A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085439B1 (ko)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JP2007068913A (ja) スライド式防火シャッタ
KR101644626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547894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20180026115A (ko) 방화스크린셔터 고정장치
KR102636525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498101B1 (ko) 소화 기능을 가진 이중 스크린 방화셔터
KR20110096308A (ko) 띠장의 덧댐 구조에 의하여 비상문의 임의 벌어짐을 방지토록 되는 방화셔터
KR102030504B1 (ko) 방화문 연동셔터
KR102656680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JP3999139B2 (ja) 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