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337B1 - 권상 셔터 - Google Patents

권상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337B1
KR101312337B1 KR1020087028139A KR20087028139A KR101312337B1 KR 101312337 B1 KR101312337 B1 KR 101312337B1 KR 1020087028139 A KR1020087028139 A KR 1020087028139A KR 20087028139 A KR20087028139 A KR 20087028139A KR 101312337 B1 KR101312337 B1 KR 10131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s
shutter curtain
shutter
adjacent slat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210A (ko
Inventor
이치로 다카하시
히로미치 야마다
만프레트 자이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타
Publication of KR20090025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2Means to increase gliss, light, sound or thermal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2009/068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spiral lik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05Slat details
    • E06B2009/1522Sealing joint between adjacent sla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76Sealing or antirattling arrangements
    • E06B2009/17084Sealing or antirattling arrangements closing outlet slot of shutter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우수한 방화 특성을 갖고, 고속으로 개폐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대형 치수의 셔터 커튼을 가질 수 있는 권상 셔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권상 셔터(10)는 복수의 슬랫(18)을 가진 셔터 커튼(12)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슬랫의 각각은 일정한 단면형상을 갖는 일정 길이의 압출가공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재는 1쌍의 측면벽, 상기 1쌍의 측면벽의 상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가장자리부, 및 상기 1쌍의 측면벽의 하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있다.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상측의 슬랫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부(42)와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하측의 슬랫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40)에 의해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에 래버린스(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셔터 커튼은, 다른 어떤 수단이 강구되지 않을 경우에 화재시에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의 열성 활모양 변형의 크기의 차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의 간극의 형성 및/또는 확장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인접한 슬랫의 각 쌍에 대해,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상측의 슬랫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부와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하측의 슬랫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가 서로 걸어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Figure 112008079473046-pct00001
권상 셔터, 셔터 커튼, 권취 기구, 가이드 레일, 슬랫, 체인, 링크, 래버린스, 밀봉 부재

Description

권상 셔터{ROLL-UP SHUTTER}
본 발명은 권상 셔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상하로 배열되어 연결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금속제 슬랫으로 이루어진 셔터 커튼, 상기 셔터 커튼의 권취(卷取) 및 권해(卷解)를 행하여 상기 셔터 커튼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권취 기구, 및 상기 셔터 커튼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셔터 커튼의 양 측부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1쌍의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권상 셔터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타입의 권상 셔터는 많은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예컨대, 전술한 타입의 권상 셔터는 건물의 출입구, 시설의 게이트용 셔터 등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와 같은 타입의 권상 셔터의 예가 일본 특개평 10-148072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2001-4997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타입의 권상 셔터는 방화 셔터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많은 대규모 건물은 내부 공간을 방화벽에 의해 개별 구획들로 나누고 있으며, 이는 나누어진 개별 구획들 중 어느 한 구획 내에서 화재가 시작되는 경우에, 적어도 그 화재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화재가 그 시작 구획 내로 국한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가 인접하는 구획들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 기 위함이다. 인접하는 2개의 구획을 분리시키는 방화벽은 흔히 한쪽 구획에서 다른쪽 구획으로 사람 및/또는 물품이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개구부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고, 그와 같은 개구부는 흔히 화재시에 그것을 폐색하기 위한 방화문 및/또는 방화 셔터를 필요로 한다. 구체적으로, 방화벽이 건물의 복도에 설치되고, 그 방화벽이 사람들이 통과할 수 있게 해주도록 통상적으로 개방 상태로 유지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화재시에 그와 같은 개구부를 폐색하기 위해서는, 권상 셔터를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화 셔터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화 셔터로서 사용되는 대다수의 권상 셔터는 강제로 된 셔터 커튼을 가지고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강제가 저렴하고 고강도의 재료이기 때문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법령에서 특정 장소에 방화 셔터를 설치할 것을 요구하고 있고, 그와 같은 법령에서는 또한 방화 셔터가 강제로 된 셔터 커튼을 가질 것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법령의 존재는 강제 이외의 금속재료로 된 셔터 커튼을 가진 방화 셔터의 개발을 방해하는 한가지 원인이 되어 왔다.
특허공보 1: 일본 특개평 10-148072호 공보
특허공보 2: 일본 특허공개 2001-49976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셔터 커튼과 이 셔터 커튼을 권취하고 권해하기 위한 권취 기구를 가지는 권상 셔터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는, 셔터 커튼이 대중량으로 되기 쉬워 권취 기구가 셔터 커튼을 권상하기 위해 큰 토크를 제공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권취 기구는 일반적으로 필요 토크의 공급원으로서 전동 모터를 사용한다. 전동 모터는 권상 셔터에 있어서의 상대적으로 고가의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원하는 대로 대출력이면서 대형인 전동 모터를 사용하는 것은 경제적 이유에서 쉽지 않다. 그 때문에, 요구되는 큰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해, 비교적 소형의 전동 모터가 비교적 큰 감속비를 가진 감속 기어 박스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요구되는 상한 속도보다 너무 낮아 바람직하지 않은 셔터 커튼의 낮은 동작 속도를 초래한다. 다시 말해, 셔터 커튼의 동작 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낮아지게 된다. 셔터 커튼의 중량은 셔터 커튼의 높이 및 폭의 증가와 함께 증대되기 때문에, 셔터 커튼이 대형화될수록, 동작 속도는 느려질 수밖에 없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대형 치수의 권상 셔터를 사용하는 것을 제약한다.
따라서, 권상 셔터의 셔터 커튼의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많은 이점들이 얻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보다 큰 치수의 셔터 커튼이 사용될 수 있게 되어, 보다 높이가 높고 폭이 큰 개구부도 권상 셔터를 사용하여 폐색될 수 있다. 이는 공장용 대형 건물과 같이 넓은 바닥면적과 높은 천정을 가진 대형 건물 내에 설치되는 방화 셔터로서도 권상 셔터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 이는 필요할 때만 사람과 물품이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신속하게 통로를 개방하도록 동작하는 통상 폐색되어 있는 방화 셔터로서 권상 셔터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통상 폐색되어 있는 방화 셔터로서 사용하기 위한 그와 같은 신속한 동작은 감소된 중량을 가진 셔터 커튼 없이는 성취될 수 없다. 종래의 권상 셔터의 셔터 커튼은 너무 대중량이어서, 흔히 이들 용도로 사용하기에 어렵거나 불가능했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우수한 방화 특성을 갖고, 고속으로 개폐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대형 치수의 셔터 커튼을 가질 수 있는 개량된 권상 셔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그와 같은 장해물 검지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셔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서로 상하로 배열되어 연결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금속제 슬랫으로 이루어진 셔터 커튼, 상기 셔터 커튼의 권취(卷取) 및 권해(卷解)를 행하여 상기 셔터 커튼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권취 기구, 및 상기 셔터 커튼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셔터 커튼의 양 측부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1쌍의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권상 셔터가 제공된다. 상기 셔터 커튼은 상기 셔터 커튼의 양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는 1쌍의 금속제 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체인의 각각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복수의 슬랫은 상기 1쌍의 체인의 상기 복수의 링크 중의 대응하는 링크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슬랫의 각각은 일정한 단면형상을 갖는 일정 길이의 압출가공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재는 1쌍의 측면벽, 상기 1쌍의 측면벽의 상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가장자리부, 및 상기 1쌍의 측면벽의 하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있다.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상측의 슬랫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부와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하측의 슬랫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에 의해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에 래버린스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셔터 커튼은, 다른 어떤 수단이 강구되지 않을 경우에 화재시에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의 열성 활모양 변형의 크기의 차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의 간극의 형성 및/또는 확장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인접한 슬랫의 각 쌍에 대해,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상측의 슬랫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부와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하측의 슬랫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가 서로 걸어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셔터 커튼은,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에 형성된 상기 래버린스를 통해 셔터 커튼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흐르는 기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셔터 커튼의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밀봉 부재가 밀봉 스트립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래버린스에 의해, 화염에 대한 상기 밀봉 스트립의 직접적인 노출이 방지되고 있다. 상기 밀봉 스트립은, 화재시에 셔터 커튼이 고온에 노출되어 열이 가열된 셔터 커튼으로부터 상기 밀봉 스트립에 전달되었을 때, 연소하지는 않고 해당 슬랫 상에 고착해 버리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권상 셔터는 많은 종래의 권상 셔터에 사용된 것과 같은 강제로 된 셔터 커튼보다 현격한 경중량을 가진 셔터 커튼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비교적 대형 치수의 셔터 커튼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셔터 커튼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속도를 증가시켜, 권상 셔터의 동작 속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권상 셔터는 우수한 방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권상 셔터의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권상 셔터의 B-B선에 따른 단면 측면도, 도 1C는 도 1A의 권상 셔터의 C-C선에 따른 단면 평면도이다.
도 2A는 셔터 커튼의 배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셔터 커튼의 B-B선에 따른 단면 측면도이다.
도 3은 지주의 단면 평면도이며, 가이드 레일 및 롤러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셔터 커튼의 1개의 슬랫 및 인접한 2개의 슬랫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슬랫에 사용되는 다양한 밀봉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권상 셔터의 셔터 박스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B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금속제 스트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셔터 커튼 대신 사용될 수 있는 변경된 실시형태에 따른 셔터 커튼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슬랫의 상부 가장자리부 및 하부 가장자리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슬랫들 중 하나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부착된 밀봉 스트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셔터 커튼의 변경된 실시형태에 따른 셔터 커튼의 부분 정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셔터 커튼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지주와 유사한 지주의 단면 평면도로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셔터 커튼의 가이드 레일과 롤러 사이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0 권상 셔터
12, 12', 12" 셔터 커튼
14 셔터 박스
15 지주
16, 16" 가이드 레일
18, 18', 18" 슬랫
20 권취 기구
22, 22', 22" 체인
24, 24', 24" 체인의 링크
26, 26', 26" 강제 샤프트
30, 30', 30" 롤러
40, 40' 슬랫의 상부 가장자리부
42, 42' 슬랫의 하부 가장자리부
50, 50' 래버린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권상 셔터(10)의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권상 셔터(10)의 B-B선에 따른 단면 측면도, 도 1C는 도 1A의 권상 셔터(10)의 C-C선에 따른 단면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상 셔터(10)는 셔터 커튼(12), 건물의 일부분에 고정하여 부착되는 셔터 박스(14), 건 물의 일부분에 고정하여 부착되는 1쌍의 연직으로 뻗어 있는 지주(15)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지주(15)는 중공의 강제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권상 셔터(10)는 또한 1쌍의 연직으로 뻗어 있는 가이드 레일(16)을 구비하고 있고, 그들 가이드 레일(16)은 중공의 지주(15)의 내부에 수납되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셔터 커튼(12)은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금속제 슬랫(18)을 가지고 있고, 이들 복수의 금속제 슬랫(18)은 서로 상하로 배열되어 연결됨으로써 권취가능한 금속제 셔터 커튼을 형성한다. 권상 셔터(10)는 또한 셔터 커튼(12)의 권취 및 권해를 행하여 셔터 커튼(12)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셔터 박스(14)에 수용되는 권취 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1쌍의 가이드 레일(16)은, 셔터 커튼(12)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때, 셔터 커튼(12)의 양 측부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들 가이드 레일(16)은 그것들의 상단을 후술하는 권취 기구(20)의 나선 레일(21)에 접속시키고 있다.
도 2A는 셔터 커튼(12)의 배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셔터 커튼(12)의 B-B선을 따른 단면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커튼(12)은 셔터 커튼(12)의 양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는 1쌍의 금속제 체인(22)을 구비하고 있다. 각 체인(22)은 금속제로 되어 있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24)를 구비하고 있다. 각 체인(22)에서의 2개의 인접한 링크(24)는 서로에 대해 피벗운동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강제 샤프트(26)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강제 샤프트(26)는 알루미늄 합금제 롤러(30)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외측 단부를 가지고 있다. 셔터 커튼(12)의 각 슬랫(18)은 1쌍의 체인(22)의 대응 링크(24)에 나 사(25)로 고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복수의 슬랫(18)은 1쌍의 체인(2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본 지주(15)의 단면 평면도로서, 가이드 레일(16) 및 롤러(30)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0)는 그 외측에 형성된 플랜지(32)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레일(16)은 서로 결합된 제 1 부재(16a) 및 제 2 부재(16b)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부재(16a, 16b)는 각각 일정 길이의 압출가공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재 즉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길다란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16)은 그것의 서로 평행한 대향 내벽에 의해 형성된 안내면(34a, 34b)을 가지고 있다. 롤러(30)의 플랜지(32)는 그것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안내면(34a, 34b)과의 접촉상태로 유지시키고, 이에 의해 롤러(30)는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주행하도록 안내된다. 안내면(34a, 34b)은 롤러(30)의 축방향으로 상당한 크기의 폭을 가지고 있어, 가이드 레일(16) 내부에서의 롤러(30)의 축방향 변위를 허용한다. 이 축방향은 슬랫(18)의 길이방향이기도 하다. 권상 셔터(10)가 설치된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여, 그 화재에 의해 셔터 커튼(12)이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셔터 커튼(12)의 슬랫(18)의 길이방향(즉 수평방향)으로의 비교적 큰 열팽창이 발생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상황에서도, 각 롤러(30)의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16) 내부에서의 축방향 변위의 허용은 셔터 커튼(12)의 롤러(30)가 가이드 레일(16)에 의해 안전하게 안내되는 것을 보장한다. 즉, 가이드 레일(16)은, 슬랫(18)이 열 팽창될 때, 롤러(30)가 슬랫(18)의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1쌍의 안내면(34a, 34b)은 그것들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각각의 리지(35a, 35b)를 가지고 있어, 롤러(30)의 플랜지(32)가 안내면(34a, 34b)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권취 기구(20)는 감속 기어(도시 안됨)를 통해 구동 모터(36)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37)을 포함하고 있다. 권취 기구(20)는 또한 1쌍의 나선 안내 레일(21), 구동축(37)에 연결되어 구동축(37)에 의해 구동되어 셔터 커튼(12)의 상단 가장자리를 나선 안내 레일(21)을 따라 안내하는 회전 암, 및 역시 구동축(37)에 연결되어 구동축(37)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 권상 기구(도시 안됨)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 모터(36)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면, 벨트 권상 기구는 셔터 커튼(12) 하단 가장자리에 연결된 1쌍의 권상 벨트(도시 안됨)를 통해 셔터 커튼(12)의 하단 가장자리를 끌어올려 셔터 커튼(12)을 권상시킨다. 구동 모터(36)가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되면, 셔터 커튼(12)이 풀어내어져 하강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구동 모터(36)는 권상 셔터(10)가 자동 방화 셔터로서 사용되는 경우의 온도 센서나 스모크 센서와 같은 화재 센서를 구비할 수 있는 공지된 타입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셔터 커튼(1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권상 셔터(10)의 동작은 전형적인 종래의 권상 셔터의 동작보다 훨씬 고속으로 일어날 수 있다. 셔터 커튼(12)은 그것의 하단 가장자리에 고무제 에지 라이너(38)와 완충 스프링 기구(도시 안됨)의 양자를 부착시키고 있다. 고무제 에지 라이너(38)는 내화성 고무류 재료로 되어 있다. 완충 스프링 기구는 셔터 커튼(12)이 바닥면으로 하강할 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셔트 커튼(12)의 1개의 슬랫(18) 및 2개의 인접한 슬랫의 단면도이다. 셔터 커튼(12)의 슬랫(18)은 최상단의 슬랫과 최하단의 슬랫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슬랫(18)은 일정 길이의 압출가공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재 즉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길다란 재료로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18)을 형성하고 있는 프로파일재는 1쌍의 측면벽(39a, 39b), 측면벽(39a, 39b)의 상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가장자리부(40), 측면벽(39a, 39b)의 하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 가장자리부(42), 및 상부 가장자리부(40)와 하부 가장자리부(42) 사이의 각각의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고 측면벽(39a, 39b)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보강벽(44)을 가지고 있다. 도 4A에 도시된 슬랫(18)은 약 150mm의 높이와 약 30mm의 두께(양측면 사이의 거리)를 가진다. 측면벽(39a, 39b)은 약 2.5mm의 두께를 가지고, 보강벽(44)도 약 2.5mm의 두께를 가진다. 단, 이들 치수는 예시적인 것을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실제의 치수는 사용되는 권상 셔터의 구체적인 요구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배열되는 슬랫(18)은 상당히 감소된 중량을 가지므로, 그와 같은 슬랫을 사용하여 대형 치수의 셔터 커튼이 제작될 수 있다.
도 4B는 셔터 커튼(12)이 최하단의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내려진 상태)의, 셔터 커튼(12)의 2개의 인접한 슬랫(18)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2개의 인접한 슬랫(18) 중의 상측의 슬랫(18)의 하부 가장자리부(42)와 2개의 인접한 슬 랫(18) 중의 하측의 슬랫(18)의 상부 가장자리부(40)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에 도시된 2개의 슬랫(18)은 각 체인(22)의 대응하는 2개의 링크(24) 각각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링크(24)는 도 4B에서 점(P)으로 표시된 축을 가진 강제 샤프트(26)(도 2A 및 도 2B 참조)를 통해 서로 피벗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런 구성으로, 셔터 커튼(12)이 권취 및 권해될 때에는, 인접한 2개의 슬랫(18)이 점(P)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셔터 커튼(12)의 상기 구성에서는, 체인(22)의 각각의 링크(24)는 대응하는 슬랫(18)의 1쌍의 측면벽(39a, 39b) 중의 한쪽 측면벽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고, 롤러(30)는 체인(22)의 인접한 2개의 링크(24)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강제 샤프트(26)의 외측 단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셔터 커튼(12)이 최하단의 전개 위치에 하강되어 있을 때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인접한 슬랫(18) 사이에 래버린스(50)가 형성된다. 래버린스(50)는 2개의 인접한 슬랫(18) 중의 상측의 슬랫(18)의 하부 가장자리부(42)와 2개의 인접한 슬랫(18) 중의 하측의 슬랫(18)의 상부 가장자리부(40)에 의해 형성된다. 래버린스(50)는 4개의 코너부를 구비한 지그재그형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형상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슬랫(18)은 하부 가장자리부(42)를 따라 뻗어 있는 리지(52)와 상부 가장자리부(40)를 따라 뻗어 있는 홈(54)을 가지고 있다.
2개의 인접한 슬랫(18) 사이의 간극에 형성되어 있는 래버린스(50)의 덕분으로, 간극을 통해 빠져나가려는 기체의 흐름이 래버린스(50)에 의해 주어지는 상당한 유동 저항을 받게 되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것은 권상 셔터(10)가 방화 셔 터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중요하며, 그 이유는 방화 셔터에는 그것을 통한 화염의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2개의 인접한 슬랫(18)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는 화염 빠져나감 억제 기능이 래버린스(50)를 좁힘으로써 향상되지만, 지나치게 좁은 래버린스는 셔터 커튼(12)을 권취하기 위해 요구되는, 2개의 인접한 슬랫(18)의 원활한 상대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래버린스가 충분한 화염 빠져나감 억제 기능을 가질 수 있는지의 여부가 불확실할 경우에는,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되고 도면부호 60a, 60b, 60c, 60d 및 60e로 표시된 밀봉 부재와 같이 각각이 셔트 커튼(12)의 2개의 인접한 슬랫(18) 사이에 고정되어 걸쳐져 있는 밀봉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슬랫(18)은 그와 같은 밀봉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홈(56)(도 4B 참조)을 형성하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E에 단면형상으로 도시된 각각의 밀봉 부재(60a, 60b, 60c, 60d, 60e)는 슬랫(18)의 슬랫(18)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A는 스테인레스강 박판 스트립으로 되어 있고, 2개의 인접한 슬랫(18)의 고정 홈(56)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양측(상부측 및 하부측) 컬 에지를 가지고 있는 밀봉 부재(60a)를 도시하고 있다. 밀봉 부재(60a)는 또한 양쪽 컬 에지 사이에 뻗어 있는 경미하게 만곡된 중앙 부분을 가지고 있다. 도 5B는 밀봉 부재(60b)가 고정 홈(56)으로부터 탈락하고 또한 그에 따라 슬랫(18)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하기 위해 밀봉 부재(60b)가 1쌍의 길다란 강제 로드(61)와 함께 사용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길다란 강제 로드(61)는 밀봉 부재(60b)가 슬랫(18)에 부착된 후에 그 슬랫(18)의 한쪽 단부에서 밀봉 부재(60b)의 컬 에지 내로 삽입된 다. 길다란 강제 로드(61)는 길다란 강제 파이프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5C는 스테인레스강 박판 스트립으로 되어 있고, 슬랫(18)의 고정 홈(56)에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는 양측(상부측 및 하부측) 각형 에지를 가지고 있는 밀봉 부재(60c)를 도시하고 있다. 밀봉 부재(60c)도 양측 각형 에지 사이에 뻗어 있는 경미하게 만곡된 중앙 부분을 가지고 있다. 도 5D는 스테인레스강 박판 스트립으로 되어 있고, 나사를 통해 슬랫(18)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양측(상부측 및 하부측) 각형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밀봉 부재(60d)를 도시하고 있다. 도 5E는 가요성 내화 시트 스트립으로 되어 있는 밀봉 부재(60e)를 도시하고 있다. 밀봉 부재(60e)에 적합한 가요성 내화 시트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팅 글래스 파이버 클로쓰, 알루미늄 포일 적층 글래스 파이버 클로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팅 알루미나 실리카 클로쓰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밀봉 부재(60e)는 각각 튜브형 시임을 형성하도록 접혀져 봉합된 양측(상부측 및 하부측) 에지를 가지고 있고, 접혀져 봉합된 양측 에지 각각은 길다란 세라믹 파이버 로프(62)를 수용하고 있다. 길다란 세라믹 파이버 로프(62)를 가진 이 밀봉 부재(60e)는 그것이 각각의 슬랫(18)의 한쪽 단부로부터 슬랫의 고정 홈 내로 삽입되기 전에 제작된다. 길다란 세라믹 파이버 로프(62)는 길다란 강제 파이프로 대체될 수 있다.
밀봉 부재(60a, 60b, 60c, 60d, 60e)는 셔터 커튼(12)의 2개의 인접한 슬랫(18)에 고정되어, 다른 어떤 수단이 강구되지 않을 경우에 2개의 인접한 슬랫(18) 사이에 형성된 래버린스(50)를 통과하여 발생할 수 있는 셔터 커튼(12)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흐르는 기체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2개의 인접한 슬랫(18)과 함께 이들 슬랫(18)에 고정된 밀봉 부재(60a, 60b, 60c, 60d, 60e)에 의해 형성되고, 슬랫(18)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연속적인 공간(64)이 존재한다. 만약 이 공간(64)이 개방상태로 남아 있다면, 이 공간(64)과 래버린스(50)에 의해 형성되고 셔터 커튼(12)의 양쪽을 서로 연통시키는 결합 통로를 통해 기체 유동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그와 같은 기체 유동을 방지하고 밀봉 부재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권상 셔터(10)는,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셔터 커튼(12)의 상부 가장자리가 셔터 박스(14)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셔터 커튼(12)의 양 측부 가장자리가 1쌍의 지주(15)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는 또한 셔터 박스(14) 및 지주(15) 내에 수용되는 권상 셔터(10)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화재로부터 효과적으로 방호한다.
도 6은 셔터 박스(14)의 단면 측면도로서, 셔터 커튼(12)이 최하단의 전개 위치에 하강되어 있을 때에, 셔터 커튼(12)의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싸기 위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박스(14)는 셔터 커튼(12)이 전개되어 나가고 후퇴하여 들어올 수 있는 개구부(66)를 제외하고는 외부에 대해 전체가 밀봉된 밀봉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6은 셔터 커튼(12)이 권상되어 셔터 박스(14) 내에 권취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셔터 커튼(12)이 권해되어 전개 위치로 하강되어 있을 때에는, 셔터 커튼(12)의 상부 가장자리가 개구부(66) 내에 위치하게 된다. 개구부(66)는 내화 고무와 같은 재료로 된 밀봉 부재(68a, 68b)를 구비하고 있다. 밀봉 부재(68a, 68b)는 슬랫(18)의 양 측면과 접촉하는 선단부를 가지고 있어, 셔터 박스(14)의 내부 공간은 밀봉 부재(68a, 68b)에 의해 외부에 대해 밀봉되어 있다.
셔터 박스(14)는 또한 감열성 발포재로 되어 있고 각각의 브래킷(72a, 72b)을 통해 개구부(66) 근방의 위치에 부착되는 감열성 밀봉 부재(70a, 70b)를 가지고 있다. 감열성 발포재는 고온이 가해지면 발포하여 체적이 현저하게 증대하는 공지의 재료이다. 각각의 감열성 밀봉 부재(70a, 70b)는 한쪽 외면이 슬랫(18)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고무제 밀봉 부재(68a, 68b)가 내화성 고무와 같은 재료로 되어 있어도, 화염에 노출되면 손상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그와 같은 경우에, 감열성 밀봉 부재(70a, 70b)가 화염에 의해 발포하여, 브래킷(72a, 72b)과 슬랫(18) 사이의 간극을 봉쇄함으로써, 외부에 대해 셔터 박스(14)를 밀봉하여, 셔터 박스(14) 내에 수용되어 있는 권상 셔터(10)의 구성요소들을 방호한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중공의 지주(15) 각각은 고무제 밀봉 부재(74a, 74b), 브래킷(76a, 76b), 및 감열성 발포 밀봉 부재(78a, 78b)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셔터 박스(14) 내에 설치되어 있는 고무제 밀봉 부재(68a, 68b), 브래킷(72a, 72b), 및 감열성 발포 밀봉 부재(70a, 70b)의 각각과 동일한 재료로 되어 있고,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유사한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셔터 박스(14) 및 지주(15)의 이러한 구조에 의해, 셔터 커튼(12)의 상부 가장자리 및 양 측부 가장자리가 그들에 의해 둘러싸여, 어떠한 기체 유동도 셔터 커튼(12)의 상부 가장자리 및 양 측부 가장자리를 돌아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화재시의 경우에는, 셔터 커튼(12)의 상부 가장자리 및 양 측부 가장자리 둘레의 높은 밀봉성이 감열성 밀봉 부재(70a, 70b, 78a, 78b)의 작용에 의해 보장된다.
건물이 권상 셔터(10)가 설치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이 개구부를 통해 화재가 전개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권상 셔터(10)가 방화 셔터로서 설치되어 있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셔터 커튼(12)이 권해되어 하강되어 개구부를 폐색한다. 그러면, 셔터 커튼(12)의 적어도 몇개의 슬랫(18)은 화염에 노출되어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다. 그 결과, 그들 슬랫(18)은 열팽창에 의해 길이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셔터 커튼의 양측 간의 온도차로 초래될 수 있는 열성 굽힘 모멘트에 의해 야기되는 활모양의 변형을 일으키게 되어, 상방에서 보아, 슬랫(18)의 길이방향 중앙부가 고온측(즉, 화재가 발생한 쪽)으로 팽출한다. 또한, 이 권상 셔터(10)의 슬랫(1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으로 되어 있고, 높은 열팽창률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강제 슬랫보다 큰 열변형을 발생시킨다. 이런 점에서, 슬랫(18)의 보강벽(44)(도 4A 및 도 4B 참조)은 슬랫(18)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화재시에 슬랫(18)의 양 측면벽(39a, 39b) 사이의 열전도성을 향상시켜 측면벽(39a, 39b) 사이의 온도차를 억제함으로써, 양 측면벽(39a, 39b)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야기되는 슬랫(18)의 활모양 변형을 억제시키기 위해서도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슬랫(18)의 보강벽(44)의 두께 및/또는 개수의 증가가 슬랫(18)에 추가적인 열변형 억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바닥으로부터 높은 위치일수록 보다 높은 온도가 발생하는 온도 구배가 통상적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높은 위치에 있 는 슬랫(18) 일수록, 슬랫(18)의 양 측면벽 간의 더 큰 온도차에 노출되어, 슬랫(18)의 더 큰 열성 활모양 변형을 초래하고, 그에 따라 고온측을 향한 슬랫(18)의 길이방향 중앙부의 더 큰 횡방향 변위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므로, 화재가 발생하여 2개의 인접한 슬랫(18) 사이의 열성 활모양 변형의 크기에 차이가 생기면, 그 차이는 2개의 인접한 슬랫(18) 사이의 간극의 형성 및/또는 확장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 권상 셔터(10)의 셔터 커튼(12)은, 다른 어떤 수단이 강구되지 않을 경우에 화재시에 2개의 인접한 슬랫(18) 사이의 열성 활모양 변형의 크기의 차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2개의 인접한 슬랫(18) 사이의 간극의 형성 및/또는 확장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인접한 슬랫(18)이 서로 걸어맞춤되도록, 보다 상세하게는, 셔터 커튼(12)의 2개의 인접한 슬랫(18)(상하로 배열된)의 각 쌍에 대해, 2개의 인접한 슬랫(18) 중의 상측의 슬랫(18)의 하부 가장자리부(42)와 2개의 인접한 슬랫(18) 중의 하측의 슬랫(18)의 상부 가장자리부(40)가 서로 걸어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개의 인접한 슬랫(18) 사이에 열성 활모양 변형의 크기에 있어서 지나치게 큰 차이가 생긴다면, 2개의 슬랫(18)의 길이방향 중앙부들 사이에 상대 변위를 초래할 수 있어, 2개의 슬랫(18) 중 상측의 슬랫(18)이 하측의 슬랫(18)에 대하여 도 4B 중 좌측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여, 리지(52)가 홈(54)으로부터 탈락하여 2개의 슬랫(18) 사이에 간극의 형성을 허용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도 7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스트립(82)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금속 스트립(82)은 스페이서(80)가 금속 스트립(82)과 슬랫(18)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나사에 의해 슬랫(18)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어떤 수단이 강구되지 않을 경우에 화재시에 슬랫(18)의 양 측면 간의 온도차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서 2개의 인접한 슬랫(18) 간의 열성 활모양 변형의 크기 차이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리지(52)의 홈(54)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다시 말해 2개의 슬랫(18) 중의 상측의 슬랫(18)의 하부 가장자리부(42)와 2개의 슬랫(18) 중의 하측의 슬랫(18)의 상부 가장자리부(40)의 걸어맞춤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스트립(82)이 셔터 커튼(12)의 2개의 인접한 슬랫(상하로 배열된)의 각 쌍마다 제공되어 각 쌍의 2개의 슬랫(18) 중 한쪽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금속 스트립(82)이 슬랫(18)의 상부 가장자리부(40)에 고정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슬랫(18)의 가장자리부들의 형상에 따라 바람직한 것이라면, 금속 스트립(82)은 슬랫(18)의 하부 가장자리부(42)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도 2A 및 2B에 도시된 셔터 커튼(12)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셔터 커튼(12')에 대하여 설명한다. 셔터 커튼(12')은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금속제 슬랫(18')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복수의 금속제 슬랫(18')은 서로 상하로 배열되어 연결됨으로써 권취가능한 금속제 셔터 커튼을 형성하고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슬랫(18')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슬랫(18')은 셔터 커튼(12')의 양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는 1쌍의 금속제 체인(22')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체인(22')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되어 있고 2개의 인접한 링크(24')가 서로에 대해 피벗운동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24')로 이루어져 있다. 슬랫(18')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슬랫(18)과 마찬가지로, 일정 길이의 압출가공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재 즉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길다란 재료로 형성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18')을 형성하고 있는 프로파일재는 1쌍의 측면벽(39a', 39b'), 그들 측면벽(39a', 39b')의 상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가장자리부(40'), 그들 측면벽(39a', 39b')의 하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 가장자리부(42'), 상부 가장자리부(40')와 하부 가장자리부(42') 사이의 각각의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고 측면벽(39a', 39b')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보강벽(44')을 가지고 있다.
도 8B는, 셔터 커튼(12')이 최하단의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내려진 상태)의, 셔터 커튼(12')의 2개의 인접한 슬랫(18')의 부분 단면도로서, 2개의 인접한 슬랫(18') 중의 상측의 슬랫(18')의 하부 가장자리부(42')와 하측의 슬랫(18')의 상부 가장자리부(40')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에 도시된 2개의 슬랫(18')은 각 체인(22')의 대응하는 2개의 링크(24')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들 링크(24')는 도 8의 점(P)으로 표시된 축을 가진 강제 샤프트(26')를 통해 서로 피벗운동하는 도시한 2개의 슬랫(18')이 각각에 고정되어 있는 체인(22')의 2개의 링크(24')를 서로 피벗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런 구성으로, 인접한 2개의 슬랫(18')은, 셔터 커튼(12')이 권취 및 권해될 때, 점(P)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셔터 커튼(12)의 슬랫(18)과 마찬가지로, 셔터 커튼(12')의 슬랫(18')은 1쌍의 체인(22')의 대응하는 링크(24')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고, 체인(22')의 각각의 링크(24')는 대응하는 슬랫(18')의 1쌍의 측면벽(39a', 39b') 중 한쪽 측면벽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 커튼(12')은 체인(22')의 2개의 링크(24')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강제 샤프트(26')의 외측 단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롤러(30)와 유사한, 복수의 롤러(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셔터 커튼(12')이 최하단의 전개 위치로 하강되어 있을 때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인접한 슬랫(18') 사이에 래버린스(50')가 형성된다. 래버린스(50')는 2개의 인접한 슬랫(18') 중의 상측의 슬랫(18')의 하부 가장자리부(42')와 하측의 슬랫(18')의 상부 가장자리부(40')에 의해 형성된다. 이 래버린스(50')를 형성하기 위하여, 슬랫(18')은 그것의 하부 가장자리부(42')를 따라 뻗어 있는 홈(52')과 그것의 상부 가장자리부(40')를 따라 뻗어 있는 리지(54')를 가지고 있다.
도 9는 슬랫(18')의 상부 가장자리부(40')의 확대 단면도를 고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18')의 상부 가장자리부(40')를 따라 형성된 리지(54')는 밀봉 스트립(6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홈(56')을 가지고 있다. 밀봉 스트립(60')은 슬랫(18')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 있다. 밀봉 스트립(60')은, 셔터 커튼(12')의 2개의 인접한 슬랫(18') 사이에 형성된 래버린스(50')를 밀봉하여, 래버린스(50')를 통한 셔터 커튼(12')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의 기체 유동을 방지하도록, 셔터 커튼(12')의 2개의 인접한 슬랫(18') 사이에 설치되는 밀봉 부재이다. 밀봉 스트립(60')은, 화재시에 셔터 커튼(12')이 고온에 노출되어 열이 가열된 셔터 커튼(12')으로부터 밀봉 스트립(60')에 전달되었을 때, 연소하지는 않고 해당 슬랫(18') 상에 고착해 버리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난연성 엘라스토머 재료로서는 클로로프렌 고무와 실리콘 고무가 있으며, 이들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슬랫(18') 및 밀봉 스트립(60')을 구비한 셔터 커튼(12')이 화재시의 고온에 노출되면, 그 밀봉 스트립(60')은 연소하지 않고, 해당 슬랫(18')에 슬랫(18')에 고착되어, 슬랫(18') 사이의 해당 래버린스(50')를 밀봉하여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이에 의해 어떠한 화염도 래버린스(50')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도 4B에 도시된 래버린스(50)는 그 래버린스(50)를 통해 빠져나가려는 기체 유동에 상당한 유동 저항을 부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것인 한편, 도 8B에 도시된 래버린스(50')는 화염에 대한 밀봉 스트립(60')의 직접적인 노출을 방지하는 목적을 가진 것이고,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된 밀봉 스트립(60')이 화염의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에, 도 10A, 도 10B 및 도 11을 참조하여,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셔터 커튼(12')의 변경예인 셔터 커튼(1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셔터 커튼(12")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셔터 커튼(12')과 유사한 구조 및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설명하고, 구조와 구성이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셔터 커튼(12")은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금속제 슬랫(18")으로 이루어져 있고, 복수의 금속제 슬랫(18")은 서로 상하로 배열되어 연결됨으로써 권취가능한 금속제 셔터 커튼을 형성하고 있다. 복수의 슬랫(18")은 셔터 커튼(12")의 양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는 1쌍의 금속제 체인(22")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체인(22")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되어 있고 2개의 인접한 링크(24")가 서로에 대해 피벗운동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24")로 이루어져 있다. 슬랫(18")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셔터 커튼(12')의 슬랫(18')과 동일한 것이다. 슬랫(18")은 도 9에 도시된 밀봉 스트립(60')과 동일한 밀봉 스트립(60")을 수납하고 있다. 도 10B에 도시된 2개의 슬랫(18")은 각 체인(22")의 대응하는 2개의 링크(24")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들 링크(24")는 도 10B의 점(P)으로 표시된 축을 가진 강제 샤프트(26")를 통해 서로 피벗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런 구성으로, 셔터 커튼(12")이 권취 및 권해될 때에는, 인접한 2개의 슬랫(18")이 점(P)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셔터 커튼(12)의 슬랫(18) 및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셔터 커튼(12')의 슬랫(18')과 마찬가지로, 셔터 커튼(12")의 슬랫(18")은 1쌍의 체인(22")의 대응하는 링크(24")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고, 체인(22")의 각각의 링크(24")는 대응하는 슬랫(18")의 1쌍의 측면벽 중 한쪽 측면벽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셔터 커튼(12")은 또한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롤러(30")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셔터 커튼(12 또는 12')의 롤러(30 또는 30')와는 달리, 각각의 롤러(30")는 체인의 링크들을 연결하고 있는 강제 샤프트(26")의 외측 단부 상이 아니라, 롤러 샤프트 브래킷(84)에 고정된 강제 샤프트(86)의 외측 단부 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 롤러 샤프트 브래킷(84)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슬랫(18")의 단부에 삽입되어 있고, 링크(24")를 슬랫(18")에 고정하는 나사를 통해 대응하는 슬랫(18") 및 대응하는 체인(22")의 링크(24")에 고정되어 있다. 강제 샤프트(86)는 롤러 샤프트 브래킷(84)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내측 단부와 볼 베어링(도시 안됨)을 통해 링형상 롤러(30")를 지지하고 있는 외측 단부를 가지고 있다. 롤러(30")는 금속 재료에 대해 낮은 마찰계수를 가진 합성수지 재료로 되어 있고, 볼 베어링의 아우터 레이스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도 11은 위에서 본 지주(15")의 단면도로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셔터 커튼(12")을 안내하기 위해 지주(15") 내에 수용된 가이드 레일(16")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6") 및 지주(15")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레일(16) 및 지주(15)와 유사한 구조 및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히, 가이드 레일(16")은 가이드 레일(16)과 동일한 것이며, 따라서, 가이드 레일(16")의 평행한 대향 내벽면으로 형성된 1쌍의 안내면(34a", 34b")을 가지고 있다. 롤러(30")는 안내면(34a", 34b")과 접촉상태로 유지되는 외주면을 가지고 있어, 롤러(30")가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안내된다. 안내면(34a", 34b")은, 가이드 레일(16") 내에서의 롤러(30")의 축방향 변위를 허용하도록, 상당한 크기의 롤러(30")의 축방향의 폭을 가지고 있다. 이 축방향은 슬랫(18")의 길이방향이기도 하다. 권상 셔터(10)가 설치된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여, 그 화재에 의해 셔터 커튼(12")이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셔터 커튼(12)의 슬랫(18")의 길이방향(즉 수평방향)으로의 비교적 큰 열팽창이 발생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상황에서 도, 각 롤러(30")의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16") 내부에서의 축방향 변위의 허용은 셔터 커튼(12")의 롤러(30")가 가이드 레일(16")에 의해 안전하게 안내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1쌍의 안내면(34a", 34b")은 그것들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각각의 리지(35a", 35b")를 가지고 있어, 롤러(30")가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16")의 안내면(34a", 34b")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조되고 구성된 셔터 커튼(12")은 대응하는 슬랫(18")에 고정되고 슬랫(18")의 1쌍의 측면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대응하는 강제 샤프트(86)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이 장착되어 있는 롤러(30")를 가지고 있으므로, 롤러(30")는 그것의 축을 슬랫(18")의 두께 범위 내에(즉, 슬랫(18")의 양 측벽면 사이에) 뻗어 있도록 하고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셔터 커튼(12')과 비교하여, 이 셔터 커튼(12")은 롤러 샤프트 브래킷(84)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이 셔터 커튼(12")은 롤러 샤프트 브래킷(84)의 사용으로 인해 셔터 커튼(12')보다 더 원활하게 상하 이동될 수 있으므로, 이 셔터 커튼(12")은 대형의 셔터 커튼용으로 더 바람직하다.

Claims (11)

  1. 서로 상하로 배열되어 연결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금속제 슬랫을 가진 셔터 커튼, 상기 셔터 커튼의 권취(卷取) 및 권해(卷解)를 행하여 상기 셔터 커튼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권취 기구, 및 상기 셔터 커튼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셔터 커튼의 양 측부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1쌍의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권상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 커튼은 상기 셔터 커튼의 양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는 1쌍의 금속제 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체인의 각각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복수의 슬랫은 상기 1쌍의 체인의 상기 복수의 링크 중의 대응하는 링크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슬랫의 각각은 일정한 단면형상을 갖는 일정 길이의 압출가공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재는 1쌍의 측면벽, 상기 1쌍의 측면벽의 상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가장자리부, 및 상기 1쌍의 측면벽의 하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있고,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상측의 슬랫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부와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하측의 슬랫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에 의해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에 래버린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셔터 커튼은, 다른 어떤 수단이 강구되지 않을 경우에 화재시에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의 열성 활모양 변형의 크기의 차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의 간극의 형성 또는 확장 중 적어도 하나를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인접한 슬랫의 각 쌍에 대해,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상측의 슬랫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부와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하측의 슬랫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가 서로 걸어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셔터 커튼은,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에 형성된 상기 래버린스를 통해 셔터 커튼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흐르는 기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셔터 커튼의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가 밀봉 스트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버린스에 의해, 화염에 대한 상기 밀봉 스트립의 직접적인 노출이 방지되고,
    상기 밀봉 스트립은, 화재시에 셔터 커튼이 고온에 노출되어 열이 가열된 셔터 커튼으로부터 상기 밀봉 스트립에 전달되었을 때, 연소하지는 않고 해당 슬랫 상에 고착해 버리는 난연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 셔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엘라스토머가 클로로프렌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 셔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재가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와 상기 하부 가장자리부 사이의 일정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1쌍의 측면벽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1개의 보강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 셔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커튼은, 다른 어떤 수단이 강구되지 않을 경우에 화재시에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사이의 열성 활모양 변형의 크기 차이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상측의 슬랫의 하부 가장자리부와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하측의 슬랫의 상부 가장자리부의 걸어맞춤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인접한 슬랫의 각 쌍마다 제공되어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한쪽에 고정되는 금속 스트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 셔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커튼은 그것의 양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1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슬랫이 열 팽창될 때, 상기 슬랫의 길이방향 바깥쪽으로의 상기 롤러의 변위를 허용하면서 상기 롤러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 셔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상기 복수의 링크 각각은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대응하는 하나의 슬랫의 상기 1쌍의 측면벽 중의 한쪽 측면벽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롤러 각각은 상기 체인의 2개의 인접한 링크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샤프트의 외측 단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 셔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상기 복수의 링크 각각은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대응하는 하나의 슬랫의 상기 1쌍의 측면벽 중의 한쪽 측면벽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롤러 각각은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대응하는 하나의 슬랫의 상기 1쌍의 측면벽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2개의 인접한 슬랫 중의 대응하는 하나의 슬랫에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의 외측 단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 셔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87028139A 2006-06-07 2007-05-29 권상 셔터 KR101312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58824 2006-06-07
JPJP-P-2006-158824 2006-06-07
PCT/JP2007/060899 WO2007142079A1 (ja) 2006-06-07 2007-05-29 巻上げシャッ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210A KR20090025210A (ko) 2009-03-10
KR101312337B1 true KR101312337B1 (ko) 2013-09-27

Family

ID=3880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139A KR101312337B1 (ko) 2006-06-07 2007-05-29 권상 셔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91891B2 (ko)
KR (1) KR101312337B1 (ko)
CN (1) CN101443524B (ko)
WO (1) WO20071420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385A (ko) 2019-07-24 2021-02-04 김기대 차열 강화 방화셔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9144A1 (de) * 2008-08-21 2010-02-25 Efaflex Inzeniring D.O.O. Hubtor
US8113265B2 (en) 2009-03-02 2012-02-14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Washdown door
KR101272859B1 (ko) * 2011-05-24 2013-06-10 주식회사 하늘셔터 윈드락 겸 롤러 장착형 다기능 내풍압 도어
JP5715019B2 (ja) * 2011-09-26 2015-05-07 三協立山株式会社 開口部建材
JP6120503B2 (ja) * 2012-08-05 2017-04-26 株式会社Lixil 枠体構造、及び、開口部装置
CN105178830A (zh) * 2014-06-20 2015-12-23 公安部四川消防研究所 一种建筑外墙窗户用防火隔热帘系统
JP6532671B2 (ja) * 2014-12-22 2019-06-19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防火用スクリーン
JP2015108291A (ja) * 2015-03-10 2015-06-11 三協立山株式会社 開口部建材
CN104806121B (zh) * 2015-05-08 2016-10-19 杨继宝 一种通风窗
CN104847243B (zh) * 2015-05-15 2017-03-15 昆明海顿自动门业有限公司 一种防盗格栅卷帘门窗
CN104847242B (zh) * 2015-05-19 2016-06-22 董永华 卷闸门
CN108969944B (zh) * 2018-07-05 2021-03-19 黄河科技学院 用于建筑立面的防燃装置
EP3987144B1 (en) * 2019-06-24 2024-02-21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High performance door
JP7408233B2 (ja) * 2019-09-19 2024-01-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機、パレット交換機
KR102389798B1 (ko) * 2020-03-16 2022-04-22 김재영 내풍압 단열 셔터
CN112622726A (zh) * 2020-12-11 2021-04-09 成都航天模塑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卷帘杯托总成的运动机构
CN115501510A (zh) * 2022-08-25 2022-12-23 广州市锦澜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卷帘式挡烟垂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7499U (ja) * 1981-10-15 1983-04-19 永大化工株式会社 シヤツタ−
JPH11173031A (ja) * 1997-12-12 1999-06-29 Sanwa Shutter Corp オーバーヘッドドアの扉体
JP2005061054A (ja) * 2003-08-12 2005-03-10 Bunka Shutter Co Ltd 開閉体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7490U (ja) * 1981-10-15 1983-04-19 松下電工株式会社 ドア用額縁
JPH02122885U (ko) * 1989-03-14 1990-10-09
JP3007119U (ja) * 1994-07-22 1995-02-07 株式会社田窪工業所 鎧戸の安全装置
JP3559927B2 (ja) * 2001-09-13 2004-09-02 栄徳 崎原 シャッターのスラット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7499U (ja) * 1981-10-15 1983-04-19 永大化工株式会社 シヤツタ−
JPH11173031A (ja) * 1997-12-12 1999-06-29 Sanwa Shutter Corp オーバーヘッドドアの扉体
JP2005061054A (ja) * 2003-08-12 2005-03-10 Bunka Shutter Co Ltd 開閉体の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385A (ko) 2019-07-24 2021-02-04 김기대 차열 강화 방화셔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91891B2 (ja) 2013-05-08
CN101443524A (zh) 2009-05-27
WO2007142079A1 (ja) 2007-12-13
CN101443524B (zh) 2012-05-30
KR20090025210A (ko) 2009-03-10
JPWO2007142079A1 (ja)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337B1 (ko) 권상 셔터
KR101056077B1 (ko) 감김 가능한 도어 단편을 가진 감김 도어
KR102085438B1 (ko) 하부 롤러를 갖춘 방화셔터
KR101497963B1 (ko)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JPH09203281A (ja) 防火又は防煙防火シャッター
KR101253617B1 (ko) 롤 셔터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JP2003089490A (ja) エレベータ用防災装置
KR102334716B1 (ko) 차열 강화 방화셔터
KR101850348B1 (ko) 나선형 롤링 도어
JP2004251021A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2085439B1 (ko)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JP2007068913A (ja) スライド式防火シャッタ
KR102458610B1 (ko) 수평형 방화셔터
JP3999139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H09313632A (ja) 連装式防火シャッタ−
KR20110064811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JP2007146383A (ja) 開閉装置
KR101531857B1 (ko)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ITGE940041A1 (it) Inferriata apribile predisposta per ricevere la zanzariera per vani di serramenti esterni.
KR102498101B1 (ko) 소화 기능을 가진 이중 스크린 방화셔터
JP2007332616A (ja) 開閉体装置
FI124783B (fi) Ylösrullautuva ovi ja menetelmä oviverhon reunan kiinnittämiseksi sivujohteeseen
JP2000204861A (ja) 建築用防火シャッタ―のスラット構造
JP5095270B2 (ja) 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