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798B1 - 내풍압 단열 셔터 - Google Patents

내풍압 단열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798B1
KR102389798B1 KR1020200031992A KR20200031992A KR102389798B1 KR 102389798 B1 KR102389798 B1 KR 102389798B1 KR 1020200031992 A KR1020200031992 A KR 1020200031992A KR 20200031992 A KR20200031992 A KR 20200031992A KR 102389798 B1 KR102389798 B1 KR 102389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lat
pad
protrusion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6790A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김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영 filed Critical 김재영
Priority to KR102020003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79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05Slat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69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풍압 단열 셔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셔터를 구성하는 슬랫에 단열패드와 공기를 이용한 단열층를 더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온기 및 냉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뿐만 아니라, 셔터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사용의 편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내풍압 단열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슬랫에 단열패드를 결합하고 단열판부를 이용해 공기층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내풍압 단열 셔터{WINDPROOF INSULATING SHUTTER}
본 발명은 내풍압 단열 셔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셔터를 구성하는 슬랫에 단열패드와 공기를 이용한 단열층를 더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온기 및 냉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뿐만 아니라, 셔터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사용의 편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내풍압 단열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터는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외부의 열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화재 발생시에는 화재가 건축물 또는 시설물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이다.
비행기 격납고, 발전소, 공장, 플랜트 등 산업용 시설 등과 같은 건축물에는 샤프트가 장착된 셔터가 설치되며, 복수의 셔터 유닛인 슬랫(slat)이 결속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됨으로서 셔터를 감아올리거나 내려서 즉, 상승 또는 하강시켜 문을 개폐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셔터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슬랫들이 연속적으로 상하로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 상부에 있는 셔터 박스에 장착된 샤프트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승 및 하강하여 셔터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셔터는 다수의 좁고 긴 형태의 슬랫, 슬랫의 상부 일측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슬랫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이 구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 모터의 정/역회전을 위한 조작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 박스, 슬랫의 양측 가장 자리 부위를 따라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슬랫의 상승 및 하강 작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 및 구동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슬랫을 감아올리거나 내리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슬랫의 일반적인 구조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성형되며, 전면 및 후면부재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슬랫을 이용한 셔터 구조는, 동절기에는 냉기가 하절기에 경우 온기가 금속재질의 특성에 따라 부재를 타고 열전도에 의해 쉽게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전달된 냉기 및 온기는 그대로 실내로 전달될 수 밖에 없으며 냉난방비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면 및 후면부재 사이에 단열재 등을 포함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냉기 및 온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하였고, 업계에서 이러한 냉온기 차단을 위한 해결방안은 끊임없이 연구되고 개발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9772호(2006. 10. 20.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온기 및 냉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뿐만 아니라, 셔터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사용의 편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내풍압 단열 셔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는, 배면판부와 전면판부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단열재를 충진한 슬랫을 상부와 하부로 직렬되게 결속하고, 결속한 다수개의 슬랫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 건축물의 출입부를 개폐한다.
이때, 슬랫은 단열패드가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상면과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패드홈부를 형성하고, 전면판부와 설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하여 전면판부와의 사이공간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단열판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일 실시예로, 단열패드는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홈부(33)를 형성한다.
그리고, 패드홈부는 홈부에 대응하는 내부 양측을 따라 제1돌부와 제2돌부를 돌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패드홈부는, 단열패드와 접하는 면이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진다.
한편, 단열판부는 전면판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연장형성한 결합돌부에 대응하는 단부를 따라 후크돌부를 형성하여 일체형으로 결합한다.
이때, 후크돌부는 패드홈부 상에 위치하고, 제2돌부는 후크돌부 일측에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한, 가이드 레일은, 결합부재에 의해 출입부 양측을 따라 결합한 관체 형상이다.
이때, 일 실시예로, 가이드 레일은, 슬랫이 삽입하는 위치로 개구부를 형성하고, 내부공간은 슬랫이 이동하도록 레일홀부를 형성하며, 개구부 양측에는 슬랫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가이드 레일은, 출입부의 바깥측에 위치하는 전면에 내부공간에 단열재를 충진한 보조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슬랫은 측부에 돌출되게 결합한 블록 형상의 윈드락부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의 레일홀부는 윈드락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턱부를 더 형성한다.
일 실시예로, 윈드락부는, 슬랫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결합하는 끼움바와, 끼움바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한 헤드블록과, 헤드블록의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는, 슬랫의 상면과 저면에 단열패드를 구비하고 전면판부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 금속 재질을 타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온기 및 냉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베어링 롤러를 이용한 윈드락부를 구비하고, 슬랫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해 사용 중 셔터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사용의 편이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에 적용한 슬랫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슬랫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를 구성하는 결속한 다수개의 슬랫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에 적용한 가이드 레일 및 슬랫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에 적용한 윈드락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1)는, 셔터를 구성하는 유닛인 슬랫(slat, 10)을 상부와 하부로 직렬되게 결속하여 회동되도록 구성됨으로서 설정의 제어에 따라 셔터를 감아올리거나 내려서 즉, 상승 또는 하강시켜 출입부(D)를 개폐한다.
또한, 슬랫(10)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이 구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 모터의 정/역회전을 위한 조작 스위치가 구비된 셔터박스(2)를 포함하고, 슬랫(10)의 양측 가장 자리 부위를 따라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슬랫(10)의 상승 및 하강 작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셔터(1)의 작동을 위한 설명은 공기의 기능 및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1)는, 내측(IN)의 배면판부(10a)와 외측(OUT)의 전면판부(10b)가 형성하는 내부공간(S)에 단열재(H)를 충진한 슬랫(10)을 상부와 하부로 직렬되게 결속하고, 결속한 다수개의 슬랫(10)이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함으로 건축물의 출입부(D)를 개폐한다.
상술의 단열재(H)는 내부공간(S) 상에 고밀도 우레탄을 충진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단열재(H)를 통해 외부의 온기 및 냉기를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내풍압 단열 셔터(1)는, 금속 재질의 특성을 타고 전달되는 냉.온기를 차단하고 단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일측에 단열패드(30)와 공기층(A)를 더 형성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한 슬랫(1)은 상면과 저면에 길이방향(도1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을 따라 패드홈부(1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술의 패드홈부(13)에는 단열패드(30)가 삽입되어 결합한다.
한편, 공기층(A)은 전면판부(10b)와 설정의 간격(a)을 가지면서 결합하여 사이공간을 형성하는 단열판부(10c)에 의해 형성한다.
상술의 단열패드(30)에 의해 전면판부(10b)와 배면판부(10a)의 금속재질로 성형된 슬랫(10)을 타고 내부로 침투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차단되며 단열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전면판부(10b)와 단열판부(10c) 사이공간에 형성한 공기층(A)은 외부(OUT)에서 내부(IN)로 전달되는 열을 일차적으로 차단하고, 다시 단열재(H)에 의한 차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높은 단열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재차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1)에 적용한 슬랫(1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술의 슬랫(10)은 내측(IN)에 위치하는 배면판부(10a)와, 외측(OUT)에 위치하는 전면판부(10b) 사이에 단열재(H)를 충진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슬랫(10)의 상면과 저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패드홈부(13)에 단열패드(30)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또한, 전면판부(10b)와의 사이공간 간격(a)을 통해 공기층(A)을 형성하는 단열판부(10c)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일 실시예로, 단열패드(30)는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홈부(33)를 형성한 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패드홈부(13)는 단열패드(30)의 양측 홈부(33)에 대응하게 내부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돌부(13a-1)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2돌부(13a-2)를 형성한다.
상술의 돌부(13a)가 홈부(33)를 따라 끼워지면서 슬라이드 삽입되어 단열패드(30)는 패드홈부(13)에 결합한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결합한 단열패드(3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패드홈부(13)는 단열패드(30)와 접하는 면이 기울기(α)를 가지는 경사면(13b)을 가진다.
상술의 경사면(13b)에 따라 패드홈부(13)의 저면에는 기울어진 각도에 의해 "∠" 형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단열패드는 끼움홈에 끼워져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재차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슬랫(10)을 구성하는 단열판부(10c)는 전면판부(10b)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연장형성한 결합돌부(14)에 대응하는 단부를 따라 후크돌부(15)를 형성하여 일체형으로 결합한다.
바람직하게 단열판부(10c)는 전면판부(10b)와 동일 재질이나,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때 후크돌부(15)는 슬랫(10)의 패드홈부(13) 상에 위치하고, 상술의 제2돌부(13a-2)는 후크돌부(15) 일측이 돌출됨에 따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도 3을 참조하면, 결합한 상태에서 단열판부(10c)가 단열패드(30)를 가압하고, 단열패드(30)는 단열판부(10c)를 가압하여 상호간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1)은, 결속한 다수개의 슬랫(10)이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함으로 건축물의 출입부(D)를 개폐한다.
도 1과 함께 도 5를 참조하면, 상술의 가이드 레일(20)은 결합부재(B)에 의해 출입부(D) 양측을 따라 결합한 관체 형상을 갖는다.
이때, 가이드 레일(20)은 슬랫(10)이 삽입하는 위치로 개구부(22)를 형성하고, 내부공간은 상기슬랫(10)이 이동하도록 레일홀부(21)를 형성하며, 개구부(22) 양측에는 슬랫(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탄성부재(50)는 슬랫(10)의 양측을 탄성적으로 접하면서 지지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1)의 사용 중 흔들림에 따라 슬랫(10)이 가이드 레일(2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흔들림을 흡수함으로 사용의 편이성을 극대화한다.
일 실시예로, 탄성부재(50)는 개구부(22)의 양측 홈에 삽입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모헤어 형태 또는 러버 재질의 부재일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레일(20)은 출입부(D)의 바깥측(외측)에 위치하는 전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재(H)를 충진한 보조판부(2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단열재(H)를 이용해 가이드 레일(20)을 통해 실내로 침투하는 냉기 및 온기를 차단하게 되고 단열효과는 더욱 높아진다.
더불어, 재차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풍압 단열 셔터(1)에 적용한 슬랫(10)은 가이드 레일(20)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측부 일측에 돌출되게 결합한 블록 형상의 윈드락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가이드 레일(20)의 레일홀부(31)에는 상술의 윈드락부(4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한 돌출턱부(24)를 더 포함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단열 셔터(1)의 사용시 외부 바람과 동작에 의해 슬랫(10)이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면서 강한 흔들림이 발생한다.
상술의 슬랫(10)에 결합한 윈드락부(40)는 풍압 또는 외부 충격을 받았을 때 돌출턱부(24)에 걸림으로써 슬랫(10)이 가이드 레일(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돌출턱부(24)는 설정의 각도(β)를 가지며 개구부(2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꺾여져 돌출 형성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한 상술의 윈드락부(40)는, 일 실시예로, 슬랫(10)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결합하는 끼움바(41)와, 끼움바(41)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한 헤드블록(42)과, 헤드블록(42)의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 롤러(4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헤드블록(42)은 돌출턱부(24)에 걸려 슬랫(10)의 이탈을 방지하고, 베어링 롤러(43)는 충격에 의한 헤드블록(42)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슬랫(10)의 승하강 이동 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내풍압 단열 셔터 10 : 슬랫
10a : 배면판부 10b : 전면판부
10c : 단열판부 13 : 패드홈부
13a : 돌부 13a-1 : 제1돌부
13a-2 : 제2돌부 14 : 결합돌부
15 : 후크돌부 20 : 가이드 레일
21 : 레일홀부 22 : 개구부
23 : 보조판부 24 : 돌출턱부
30 : 단열패드 40 : 윈드락부
41 : 끼움바 42 : 헤드블록
43 : 베어링 롤러 50 : 탄성부재
H : 단열재 B : 결합부재
A : 공기층 S : 내부공간
D : 출입부

Claims (5)

  1. 배면판부(10a)와 전면판부(10b)가 형성하는 내부공간(S)에 단열재(H)를 충진한 슬랫(10)을 상부와 하부로 직렬되게 결속하고, 결속한 다수개의 슬랫(10)이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함으로 건축물의 출입부(D)를 개폐하는 내풍압 단열 셔터에 있어서,
    상기 슬랫(10)은,
    단열패드(30)가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상면과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패드홈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판부(10b)와 설정의 간격(a)을 가지면서 결합하여 상기 전면판부(10b)와의 사이공간에 공기층(A)을 형성하는 단열판부(10c)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패드(30)는,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홈부(33)를 형성하고;
    상기 패드홈부(13)는, 상기 홈부(33)에 대응하는 내부 양측을 따라 제1돌부(13a-1)와 제2돌부(13a-2)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 단열 셔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홈부(13)는,
    상기 단열패드(30)와 접하는 면이 기울기(α)를 가지는 경사면(13b)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내풍압 단열 셔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부(10c)는 상기 전면판부(10b)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연장형성한 결합돌부(14)에 대응하는 단부를 따라 후크돌부(15)를 형성하여 일체형으로 결합하되;
    상기 후크돌부(15)는 상기 패드홈부(13)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돌부(13a-2)는 상기 후크돌부(15) 일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 단열 셔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결합부재(B)에 의해 출입부(D) 양측을 따라 결합한 관체 형상으로,
    상기 슬랫(10)이 삽입하는 위치로 개구부(22)를 형성하고, 내부공간은 상기슬랫(10)이 이동하도록 레일홀부(21)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22) 양측에는 슬랫(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 단열 셔터.
KR1020200031992A 2020-03-16 2020-03-16 내풍압 단열 셔터 KR10238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92A KR102389798B1 (ko) 2020-03-16 2020-03-16 내풍압 단열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92A KR102389798B1 (ko) 2020-03-16 2020-03-16 내풍압 단열 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790A KR20210116790A (ko) 2021-09-28
KR102389798B1 true KR102389798B1 (ko) 2022-04-22

Family

ID=7792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992A KR102389798B1 (ko) 2020-03-16 2020-03-16 내풍압 단열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79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43524B (zh) * 2006-06-07 2012-05-30 株式会社藤田 上卷式卷帘
KR200429772Y1 (ko) 2006-08-16 2006-10-27 이경호 ㄷ형가이드를 갖는 셔터
EP2894286A1 (en) * 2014-01-10 2015-07-15 Seraplastic S.r.l. Slat for a roller sh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790A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1394Y2 (ja) 断熱シャッター装置
CN100535378C (zh) 结构改良的中空玻璃内的百叶窗
KR101367913B1 (ko) 커튼박스 일체형 창호구조
KR101734128B1 (ko)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셔터의 제조방법
KR101253617B1 (ko) 롤 셔터
KR102389798B1 (ko) 내풍압 단열 셔터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CN200971738Y (zh) 结构改良的中空玻璃内的百叶窗
CN203441337U (zh) 一种百叶防盗窗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KR101774002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101926037B1 (ko)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
KR101774003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101870745B1 (ko) 단열겸용 방범셔터
CN202451030U (zh) 一种外遮阳装置
JP4315577B2 (ja) 開口部装置及び可撓性部材運動装置
KR101210516B1 (ko) 차양겸용 셔터를 가지는 통합창호
JP4127830B2 (ja) 窓の移動庇装置
KR102637917B1 (ko) 블라인드가 포함된 이중창
KR101763385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200420910Y1 (ko) 개방형 지붕
CN218407127U (zh) 一种适用于寒地的风向转动窗及装配式房屋
JPS6361468B2 (ko)
KR102340732B1 (ko) 복층유리용 자동블라인드장치
CN211233842U (zh) 一种游泳池防结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