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037B1 -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037B1
KR101926037B1 KR1020170055235A KR20170055235A KR101926037B1 KR 101926037 B1 KR101926037 B1 KR 101926037B1 KR 1020170055235 A KR1020170055235 A KR 1020170055235A KR 20170055235 A KR20170055235 A KR 20170055235A KR 101926037 B1 KR101926037 B1 KR 10192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ixed
guide
fix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1053A (ko
Inventor
백명희
Original Assignee
백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명희 filed Critical 백명희
Priority to KR1020170055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03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7Cellular screens, e.g. box or honeycomb-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의 양측 단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핀을 고정하여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므로 스크린의 승강시 스크린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원활한 승강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가이드 프레임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므로 소음을 방지하여 정숙성 개선에 기여하는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Insulated blind having guide structure}
본 발명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니콤 형상의 스크린에 의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 스크린의 양측 단부에 고정핀을 고정하여 가이드편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스크린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원활한 승강을 가능하게 하고 가이드 프레임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정숙성을 개선시키는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온난화가 심해지면서 하절기의 온도는 더욱 높아지고 동절기의 온도는 더욱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세대의 경우 점점 더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으로 각 건물들은 실내의 조망권을 좋게 하기 위해 건물 외벽에 유리를 사용하는 면적이 급증하고 있다.
유리의 사용면적이 높아지면 높아질 수록 유리창으로부터 태양광선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면서 실내온도의 열손실이 높아지게 되어 에너지 효율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창이 설치된 실내측에 블라인드를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블라인드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267호로 롤 블라인드가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된 롤 블라인드는 구동줄을 잡아당기게 되면, 클러치 바디가 프레임에서 회전하면서 스크린이 하부로 인출되어 태양광선이 직접적으로 실내나 인체에 도달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방지하는 이점은 있으나, 유리창으로부터 유입되는 열을 막지 못해 단열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크린이 인출되거나 복원될 때, 스크린의 양측 단부가 흔들려 창문에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런 현상이 지속될 경우 스크린의 양측 단부가 변형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단열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267호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크린의 양측 단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핀을 고정하여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므로 스크린의 승강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원활한 승강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가이드 프레임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정숙성이 개선되어 제품의 상품성이 한층 향상되는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는, 창문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실내의 천정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주름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고정되어 스크린의 하강시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게 하면서 스크린의 변형을 방지하는 무게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스크린을 승강시키는 당김끈;
상기 창문 내측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며 스크린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여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편; 및
상기 스크린의 양측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안내공간에 결합되며 창문을 개방하거나 선풍기에 의해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스크린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무게추는 스크린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안내공간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이 일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스크린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는 제1,2몸체; 상기 제1몸체에 관통되는 고정공; 상기 제2몸체의 내측에 돌출되며 상기 고정공에 고정되어 스크린을 고정하는 고정후크; 상기 제1,2몸체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형성되어 스크린이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2몸체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스크린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몸체의 고정돌기와 제2몸체의 고정돌기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은 스크린의 양측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에 의하면, 스크린의 양측 단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핀을 고정하여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므로 스크린의 승강시 스크린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원활한 승강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크린의 양측 단부가 불규칙하게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에 의하면, 스크린이 가이드 프레임과 접촉되는 면을 최소화하여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므로 정숙성을 한층 개선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단열 블라인드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고정핀이 스크린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 스크린이 상승 및 하강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100)는, 고정프레임(110), 스크린(120), 무게추(130), 당김끈(140), 가이드 프레임(150) 가이드편(160), 고정핀(170)으로 구성된다.
먼저, 고정프레임(110)은 실내의 천장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며, 창문의 내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주름형의 스크린(120)이 상·하로 승강하면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스크린(120)은 그 단면이 허니콤(honeycomb)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기층을 형성하며, 당김끈(140)을 당기게 되면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스크린(120)이 승강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의 일측단은 무게추(130)에 고정되며 타측단은 고정프레임(110) 내측으로 연결되어 당김끈(140)의 조작에 의해 승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통상적인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스크린(120)의 하부에는 스크린(120)의 승강시 하강을 원활하게 하면서 스크린(120)의 변형을 방지하는 무게추(130)가 고정된다.
상기 무게추(130)는 스크린(12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가이드 프레임(15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스크린(120)의 승강시 가이드 프레임(150)과 접촉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은 창문 내측의 벽체에 서로 대향하게 고정되며, 스크린(120)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여 승강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에는 고정핀(160)이 결합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공간(160')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간(160')은 가이드 프레임(15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편(16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160)은 고정핀(170)이 가이드 프레임(150)에서 승강할 수 있게 하면서 고정핀(170)이 가이드 프레임(150)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내측에는 스크린(120)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게 하는 고정핀(17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핀(170)은, 안내공간(160')에 결합하기 전에 스크린(120)의 양측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하는 작업을 선행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170)의 제1,2몸체(172)(173)를 양측으로 벌려 스크린(120) 측단부의 일정위치에 삽입시키되, 상기 스크린(120)이 제1몸체(172)에 형성된 스토퍼(176)에 접촉될 때까지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172)와 제2몸체(173)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2몸체(173)에 형성되어 선단부가 뾰족하게 돌출된 고정후크(175)가 스크린(120)을 통과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후크(175)는 제1몸체(172)에 형성된 고정공(174)에 탄력있게 결합되어 스크린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몸체(172)(173)의 내측에는 서로 엇갈리도록 고정돌기(177)가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120)의 양측면을 가압하므로 스크린(12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린(120)에 고정핀(170)이 고정되면, 상기 스크린(120)을 가이드 프레임(150)에 삽입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120)의 양측 단부에 고정핀(17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120)을 가이드 프레임(150)에 삽입하되, 상기 스크린(120)에 고정된 고정핀(170)의 헤드부(171)가 가이드 프레임(150) 내부의 안내공간(160')에 결합되도록 삽입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스크린(120)을 가이드 프레임(150)에 결합하는 순서는, 스크린(120)을 가이드 프레임(150)에 먼저 결합한 후,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을 실내 벽면에 고정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단열 블라인드(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끈(140)을 파지하여 하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스크린(120)과 무게추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가 무게추(130)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됨과 동시에 고정핀(170)이 가이드편(160)에 의해 승강하면서 하니콤 단면으로 형성된 스크린(120)이 접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12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된 고정핀(170)은 일정간격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스크린(120)이 접어지더라도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되며, 창문의 시야가 확보되면 외부의 열이 직접적으로 실내에 전달되거나 창문을 개방하여 외부공기를 유입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단열 블라인드
110: 고정 프레임 120: 스크린
130: 무게추 140: 당김끈
150: 가이드 프레임 160: 가이드편
160': 안내공간 170: 고정핀
171: 헤드부 172: 제1몸체
173: 제2몸체 174: 고정공
175: 고정후크 176: 스토퍼
177: 고정돌기

Claims (4)

  1. 창문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실내의 천정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주름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고정되어 스크린의 하강시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게 하면서 스크린의 변형을 방지하는 무게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스크린을 승강시키는 당김끈;
    상기 창문 내측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며 스크린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여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편; 및
    상기 스크린의 양측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안내공간에 결합되며 창문을 개방하거나 선풍기에 의해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스크린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핀이 구성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안내공간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이 일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스크린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는 제1,2몸체;
    상기 제1몸체에 관통되는 고정공;
    상기 제2몸체의 내측에 돌출되며 상기 고정공에 고정되어 스크린을 고정하는 고정후크;
    상기 제1,2몸체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형성되어 스크린이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스크린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몸체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스크린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몸체의 고정돌기와 제2몸체의 고정돌기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
KR1020170055235A 2017-04-28 2017-04-28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 KR101926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235A KR101926037B1 (ko) 2017-04-28 2017-04-28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235A KR101926037B1 (ko) 2017-04-28 2017-04-28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053A KR20180121053A (ko) 2018-11-07
KR101926037B1 true KR101926037B1 (ko) 2018-12-06

Family

ID=6436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235A KR101926037B1 (ko) 2017-04-28 2017-04-28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157U (ko) 2019-07-10 2021-01-20 김영조 가이드 레일 일체형 유리창용 창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55753A1 (en) * 2019-11-28 2021-11-18 Young Kwan Kim Roller blind with heat insulation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157U (ko) 2019-07-10 2021-01-20 김영조 가이드 레일 일체형 유리창용 창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053A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0206B2 (en) Window air conditioner
US8616260B2 (en) Hollow built-in window blind
KR101926037B1 (ko) 가이드 구조를 갖는 단열 블라인드
KR101016202B1 (ko)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KR101724120B1 (ko) 신축형 풍지판이 결합된 미서기문
US20150144276A1 (en) Roller shutter
KR20080086599A (ko) 창문설치구조
KR101075945B1 (ko) 에어 시일드 윈도우
CN111535729A (zh) 一种使用太阳能自供电的无线控制中空百叶窗
KR200471267Y1 (ko) 롤 블라인드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US11199043B2 (en) Horizontally sliding window
KR20150094293A (ko) 롤 블라인드형 단열장치
CN210164409U (zh) 中空玻璃内置百叶窗的外操控器导向装置
KR101138818B1 (ko) 기밀성 및 방음성이 향상된 창호
KR200487614Y1 (ko) 방풍모의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문틀용 방풍구
KR101870745B1 (ko) 단열겸용 방범셔터
KR200481172Y1 (ko) 가변설치수단을 갖는 전동블라인드
CN111058749A (zh) 一种百褶帘
KR102549470B1 (ko) 롤 블라인드의 기밀성능 확보를 위한 기밀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블라인드
JP4251354B2 (ja) シャッターの持ち上げ防止構造
KR101958020B1 (ko)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101549833B1 (ko) 창호용 탄성 풍지판
CN211144313U (zh) 一种抗风卷闸门
KR101608147B1 (ko)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