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020B1 -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020B1
KR101958020B1 KR1020160061615A KR20160061615A KR101958020B1 KR 101958020 B1 KR101958020 B1 KR 101958020B1 KR 1020160061615 A KR1020160061615 A KR 1020160061615A KR 20160061615 A KR20160061615 A KR 20160061615A KR 101958020 B1 KR101958020 B1 KR 101958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elastic
coupled
elastic pa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860A (ko
Inventor
유상원
Original Assignee
유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원 filed Critical 유상원
Priority to KR102016006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02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7Brakes preventing fast scree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 등에 설치하여 채광을 조절할 수 있는 롤 개폐형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의 승하강시 힘을 분산하고 탄성에 의해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A WINDING DEVICE FOR ROLL BLIND}
본 발명은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 등에 설치하여 채광을 조절할 수 있는 롤 개폐형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의 승하강시 힘을 분산하고 탄성에 의해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각종 건축물의 창문에 설치하여 입사되는 채광, 난방 및 시야를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평개폐형, 수직개폐형, 롤 개폐형으로 구분되며, 롤 개폐형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채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지봉의 측면에 부착된 줄을 조작함에 따라, 롤스크린의 승하강하여 개폐가 가능하며, 롤스크린이 펼쳐질 수 있도록 하부에 무게봉이 결합되고 조작 후 임의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 장치가 설치된다.
하지만, 롤스크린의 하강시 무게봉에 의해 신속하게 하강이 이루어지고 롤스크린이 펼쳐질 수 있으나, 승강시 롤스크린에 의해 승강시 작동 힘이 많이 가해지며, 승하강 작동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승하강 시 반복되는 작동에 의해 내부 구성의 수면이 단축 및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770043호 "반자동식 롤블라인드"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블라인드가 권취된 지지봉의 양측에서 구동브라켓과 종동브라켓을 결합하여 당김줄의 조작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는 구동브라켓에 결합되고 일측부에 엑셀스프링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로드가 결합되어 지지봉의 회전에 의해 엑셀스프링이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하지만, 엑셀스프링은 일정길이 이상 형성하게 되면 길이가 증가하여 탄성력이 쉽게 약해지고 장기간 사용시 충분한 탄성력을 가질 수 없으며, 일정길이 이상 형성되어 내부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라인드의 크기에 따라 엑셀스프링의 크기 및 길이를 변경해야 하며, 파손시 교체가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롤스크린 방식의 블라인드를 개폐시 지지봉의 회전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을 통해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편리하게 승하강이 가능한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라인드의 작동시 가해지는 탄성력을 순차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이중으로 이루어져 용이하게 탄성력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며, 좁은공간에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라인드의 길이 및 크기에 따라 탄성력이 가해지는 구성을 연장 및 단축할 수 있도록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사용 시 노후 및 파손된 구성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면에 고정되도록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고정브라켓의 내측에서 작동바의 조작에 의해 권취된 롤스크린을 승하강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진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브라켓에 밀착하여 상기 지지봉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부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봉의 회전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하고 길이방향으로 단축 및 연장할 수 있는 제 1탄성부; 상기 제 1탄성부에 결합하며,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 결합되어 롤스크린의 승하강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제 1탄성부 및 상기 연결축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탄성부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 1관통홈이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 1돌출부와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제 1돌출돌기 및 상기 제 1돌출돌기가 결합되는 제 1삽입홈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가능한 제 1연결부와,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 1연결부의 상기 제 1돌출부에 양끝단이 각각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는 제 1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탄성부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봉의 회전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하여 탄성력이 발생하고 길이방향으로 단축 및 연장할 수 있는 제 2탄성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탄성부는, 상기 제 1탄성부 및 상기 연결축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2관통홈이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 2돌출부와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제 2돌출돌기 및 상기 제 2돌출돌기가 결합되는 제 2삽입홈(65)이 형성하여 상호 결합 가능한 제 2연결부와,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 2연결부의 상기 제 2돌출부에 양끝단이 각각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는 제 2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축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탄성부, 상기 제 2탄성부 및 상기 연결축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지지봉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 막음판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축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의 회전시 상기 제 1탄성부 및 제 2탄성부가 순차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축에 마찰력을 가지도록 밀착되는 결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면에 고정되도록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고정브라켓의 내측에서 작동바의 조작에 의해 권취된 롤스크린을 승하강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진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브라켓에 밀착하여 상기 지지봉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부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봉의 회전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하고 길이방향으로 단축 및 연장할 수 있는 제 1탄성부; 상기 제 1탄성부에 결합하며,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탄성부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봉의 회전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하여 탄성력이 발생하고 길이방향으로 단축 및 연장할 수 있는 제 2탄성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탄성부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 1관통홈이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 1돌출부와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제 1돌출돌기 및 상기 제 1돌출돌기가 결합되는 제 1삽입홈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가능한 제 1연결부와,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 1연결부의 상기 제 1돌출부에 양끝단이 각각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는 제 1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에 따르면, 롤스크린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권취된 지지봉의 내부에 설치된 제 2탄성부 및 제 1탄성부에 의해 하강회전시 탄성력이 발생하여 적당한 회전속도로 원활하게 하강이 이루어지며, 승강회전시 하강에 의해 발생한 탄성력을 통해 원활하게 상승회전이 이루어져 승하강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라인드의 작동시 이중으로 이루어진 제 2탄성부 및 제 1탄성부에 순차적으로 탄성력을 발생하여 회전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좁은 공간에 설치가능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라인드의 길이 및 크기에 따라 제 2탄성부 및 제 1탄성부를 길이방향으로 연장 및 단축할 수 있는 결합구성으로 동일한 규격의 스프링을 다양한 블라인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 노후 및 파손된 구성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탄성부를 구비한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탄성부와 제 2탄성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탄성부와 제 2탄성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탄성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탄성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탄성부를 구비한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탄성부와 제 2탄성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탄성부와 제 2탄성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탄성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탄성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 등에 설치하여 채광을 조절할 수 있는 롤 개폐형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의 승하강시 힘을 분산하고 탄성에 의해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면에 고정되도록 양측단에 각각 위치하는 고정브라켓의 내측에 작동바의 조작에 의해 권취된 롤스크린이 승하강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져 승하강시 가해지는 힘을 통해 탄성력을 가져 편리하게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고정축(10), 회전부(20), 제 1탄성부(30), 연결축(40), 연결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축(10)은 상기 지지봉(1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축(10)은 상기 고정브라켓(100)과 결합되는 끝단에는 일정간격 상대적으로 큰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은 상기 고정브라켓(100)과 결합되고 타측에는 고정홈(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11)은 후술되는 상기 제 1연결부(31)와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10)과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블라인드의 고정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봉(110)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축(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봉(110)이 결합하며, 상기 지지봉(110)과 같이 회전된다.
상기 제 1탄성부(30)는 상기 지지봉(1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부(20)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봉(110)의 회전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하고 길이방향으로 단축 및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탄성부(30)는 제 1연결부(31)와 제 1스프링(36)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연결부(31)는 상기 고정축(10)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 1관통홈(32)이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 1돌출부(33)와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제 1돌출돌기(34) 및 상기 제 1돌출돌기(34)가 결합되는 제 1삽입홈(35)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스프링(36)은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 1연결부(31)의 상기 제 1돌출부(33)에 양끝단이 각각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탄성력을 가진다.
즉, 상기 제 1탄성부(30)는 상기 제 1연결부(31)는 상기 제 1돌출부(33)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 1스프링(36)은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 1돌출부(33)에 양끝단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제 1탄성부(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하여 양측에 위치한 상기 제 1연결부(31)의 외측이 서로 맞닿아 상기 제 1돌출돌기(34) 및 상기 제 1삽입홈(35)이 상호 결합하여 연장 및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40)은 상기 제 1탄성부(30)에 결합하며, 상기 고정축(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40)에는 상기 고정축(10)이 삽입되는 제 3관통홈(4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제 1삽입홈(35)이 결합되는 제 3돌출돌기(42) 및 제 1돌출돌기(32)가 삽입되는 제 3삽입홈(43)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3삽입홈(43)은 상기 연결축(40)의 외주면에 노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40)의 상기 제 3관통홈(41)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110)의 회전시 상기 제 1탄성부(30) 및 제 2탄성부(60)에 순차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축(10)에 마찰력을 가지도록 밀착되는 결합부재(80)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80)는 상기 고정축(10)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축(40)의 회전을 일정부분 억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50)는 상기 지지봉(100)의 내부에 결합되어 롤스크린(120)의 승하강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제 1탄성부(30) 및 상기 연결축(4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50)에는 상기 지지봉(110)과 고정되는 고정부(51)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제 1탄성부(30) 또는 상기 연결축(40)과 결합되는 결합부(5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51)는 일반적인 블라인드의 결합구조와 같은 구성으로, 지지봉(110)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52)는 상기 제 1돌출돌기(34)와 상기 제 3돌출돌기(42)가 삽입되는 제 4삽입홈(54) 및 상기 제 1삽입홈(35)과 상기 제 3삽입홈(43)에 결합되는 제 4돌출돌기(53)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 4돌출돌기(53) 및 상기 제 4삽입홈(54)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탄성부(30)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2탄성부(60)가 결합된다.
상기 제 2탄성부(60)는 상기 연결축(4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탄성부(30)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봉(110)의 회전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하여 탄성력을 가지고 길이를 단축 및 연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탄성부(60)는 제 2연결부(61)와 제 2스프링(6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연결부(61)는 상기 제 1탄성부(30) 및 상기 연결축(40)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2관통홈(62)이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 2돌출부(63)와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제 2돌출돌기(64) 및 상기 제 2돌출돌기(64)가 결합되는 제 2삽입홈(65)이 형성하여 상호 결합 가능한 제 2연결부(61)와
그리고 상기 제 2스프링(66)은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 2연결부(61)의 상기 제 2돌출부(63)에 양끝단이 각각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탄성력을 가진다.
즉, 상기 제 2탄성부(60)는 상기 제 1탄성부(30)와 동일한 구조로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제 1탄성부(30)가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50)는 상기 제 2탄성부(6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축(4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회전부(20) 측에 위치한 상기 제 2연결부(60)의 제 2돌출돌기(62) 및 제 2삽입홈(65)에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제 2탄성부(60)는 상기 제 1탄성부(30)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연장 및 단축할 수 있다.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의 회전시 상기 제 1탄성부와 상기 제 2탄성부는 다음과 같이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봉(110)의 회전 시 상기 롤스크린(120)이 상하로 이동하여 채광을 위해 원하는 위치로 조절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스크린(120)을 하강에 따라 상기 지지봉(110)이 회전한다.
이때, ①에 의해 상기 지지봉(110)의 회전하며 롤스크린(120)이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부(20)가 같이 회전하며, ②, ③의 제 2탄성부(60)가 순차적으로 회전에 의해 탄성력이 가해진다.
여기서 ④의 연결축(40)은 상기 ②, ③에 충분한 탄성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상기 고정축(10)에 고정되며, 일정 탄성력 이상이 가해지면 회전을 시작한다.
아울러 상기 제 2탄성부(60)는 탄성력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하면서 상기 연결축(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3삽입홈(43)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40)이 회전하면, ⑤, ⑥의 상기 제 1탄성부(30)가 순차적으로 회전하며 탄성력이 가해진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110)에 의해 상기 제 2연결부(61)가 회전을 하며, 상기 제 2스프링(66)이 압축 또는 인장을 통해 탄성력이 가해지며, 상기 연결축(40)에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①의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2탄성부(56)가 압축하여 길이가 줄어들며, ②의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2탄성부(56)가 팽창하여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40)은 상기 고정축(10)에 밀착되어 마착력에 의해 상기 제 2탄성부(60)에 충분한 탄성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회전을 억제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스프링(66)에 충분한 탄성력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축(10)이 회전을 하며 상기 제 1탄성부(30)가 압축 또는 인장을 통해 탄성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따라서, ①의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1탄성부(36)가 압축하여 길이가 줄어들며, ②의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1탄성부(36)가 팽창하여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 2스프링(66) 및 상기 제 1스프링(36)은 탄성력이 가해지면, 원주가 변경되므로 일정간격 이겨시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봉(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롤스크린(120)의 하강시 상기 제 2탄성부(60)와 상기 제 1탄성부(30)에 순차적으로 탄성력이 가해져 빠르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3, 4, 5 돌출돌기(34, 64, )에는 끝단이 삐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2, 3, 4, 5 삽입홈()의 끝단에는 삐족하게 형성된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후 일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강된 상기 롤스크린(120)을 상승하기 위해 상기 지지봉(110)이 역회전을 시작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110)의 회전 시에 상기 제 2탄성부(60)에 가해진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을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탄성부(6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 후 상기 제 1탄성부(3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지지봉(110)을 원활하게 회전시켜 상기 롤스크린(120)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하강시 가해진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롤스크린(120)의 승강시 상기 제 2탄성부(60) 및 상기 제 1탄성부(30)에 가해진 탄성력을 통해 적은 힘으로 자연스럽게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탄성부(60) 및 제 1탄성부(30)는 이중으로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탄성력에 의해 회전을 보조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으며, 길이 및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연장 및 단축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고정축 11: 고정홈
20: 회전부 30: 제 1탄성부
31: 제 1연결부 32: 제 1관통홈
33: 제 1돌출부 34: 제 1돌출돌기
35: 제 1삽입홈 36: 제 1스프링
40: 연결축 41: 제 3관통홈
42: 제 3돌출돌기 43: 제 3삽입홈
50: 연결부재 51: 고정부
52: 결합부 53: 제 4돌출돌기
54: 제 4삽입홈 60: 제 2탄성부
61: 제 2연결부 62: 제 2관통홈
63: 제 2돌출부 64: 제 2돌출돌기
65: 제 2삽입홈 66: 제 2스프링
70: 막음판 80: 결합부재
100: 고정브라켓 110: 지지봉
120: 롤스크린

Claims (6)

  1. 벽면에 고정되도록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고정브라켓(100)의 내측에서 작동바의 조작에 의해 권취된 롤스크린(120)을 승하강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110)으로 이루어진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결합되는 고정축(10);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밀착하여 상기 지지봉(110)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축(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20);
    상기 지지봉(1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부(20)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봉(110)의 회전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하고 길이방향으로 단축 및 연장할 수 있는 제 1탄성부(30);
    상기 제 1탄성부(30)에 결합하며, 상기 고정축(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40);
    상기 지지봉(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롤스크린(120)의 승하강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제 1탄성부(30) 및 상기 연결축(40)에 전달하는 연결부재(50) 및
    상기 연결축(4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탄성부(30)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봉(110)의 회전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하여 탄성력이 발생하고 길이방향으로 단축 및 연장할 수 있는 제 2탄성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탄성부(30)는,
    상기 고정축(10)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 1관통홈(32)이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 1돌출부(33)와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제 1돌출돌기(34) 및 상기 제 1돌출돌기(34)가 결합되는 제 1삽입홈(35)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가능한 제 1연결부(31)와,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 1연결부(31)의 상기 제 1돌출부(33)에 양끝단이 각각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는 제 1스프링(3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탄성부(60)는,
    상기 제 1탄성부(30) 및 상기 연결축(40)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2관통홈(62)이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 2돌출부(63)와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제 2돌출돌기(64) 및 상기 제 2돌출돌기(64)가 결합되는 제 2삽입홈(65)이 형성하여 상호 결합 가능한 제 2연결부(61)와,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 2연결부(61)의 상기 제 2돌출부(63)에 양끝단이 각각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는 제 2스프링(6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탄성부(30), 상기 제 2탄성부(60) 및 상기 연결축(40)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지지봉(110)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 막음판(7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40)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110)의 회전시 상기 제 1탄성부(30) 및 제 2탄성부(60)가 순차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축(10)에 마찰력을 가지도록 밀착되는 결합부재(8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1020160061615A 2016-05-19 2016-05-19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101958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15A KR101958020B1 (ko) 2016-05-19 2016-05-19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15A KR101958020B1 (ko) 2016-05-19 2016-05-19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860A KR20170130860A (ko) 2017-11-29
KR101958020B1 true KR101958020B1 (ko) 2019-07-04

Family

ID=6081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615A KR101958020B1 (ko) 2016-05-19 2016-05-19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9139A (zh) * 2018-01-14 2018-05-11 张航 一种隔热通气防火避光隐私伸缩可调型防盗门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1940A1 (de) 1992-04-09 1993-10-14 Hermann Huss Rolladenbau Fa Federwelle
KR100770043B1 (ko) * 2007-04-23 2007-10-26 곽명숙 반자동식 롤블라인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485B1 (ko) * 2005-07-22 2007-01-16 곽명숙 롤블라인드
KR20070082595A (ko) * 2007-08-01 2007-08-21 이정봉 이중스프링이 구비된 롤 블라인드 구동장치
KR101492020B1 (ko) * 2013-07-30 2015-02-10 김대영 롤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1940A1 (de) 1992-04-09 1993-10-14 Hermann Huss Rolladenbau Fa Federwelle
KR100770043B1 (ko) * 2007-04-23 2007-10-26 곽명숙 반자동식 롤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860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09B1 (ko) 블라인드
US10428899B2 (en) Window covering system and window covering control apparatus thereof
US8020602B2 (en) System for operating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11230881B2 (en) Block and tackle window blind
US9797189B2 (en) Cordless window shade and spring drive system thereof
US10415305B2 (en) Window shade
JP5209052B2 (ja) 自動上昇式の窓覆い
TWI564468B (zh) 窗簾及其致動系統
KR100669485B1 (ko) 롤블라인드
US11549308B2 (en) Window blind
KR101958020B1 (ko)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20120076049A (ko) 블라인드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KR20120008562U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US5316066A (en) Cord-lock mechanism
KR20110011573U (ko) 허니컴 쉐이드
JP6404171B2 (ja) ブラインド
KR20080089140A (ko) 건물 개방부를 가리는 커버링을 조작 구동하는 스프링모터와 드레그 브레이크
JP7328867B2 (ja) 遮蔽装置
TWI672428B (zh) 速度調節裝置及具備該速度調節裝置的日射遮蔽裝置
KR100851912B1 (ko) 탑 다운 방식의 커튼 및 커튼 구동장치
JP3197775U (ja) ローマンシェードの単一な引き紐式制御装置構造
CN208106274U (zh) 一种无绳窗帘
JP2005282133A (ja) 日射遮蔽装置の昇降限度停止装置
KR20130091519A (ko) 롤형 스크린 장치
JPH03679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