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485B1 - 롤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롤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485B1
KR100669485B1 KR1020050066846A KR20050066846A KR100669485B1 KR 100669485 B1 KR100669485 B1 KR 100669485B1 KR 1020050066846 A KR1020050066846 A KR 1020050066846A KR 20050066846 A KR20050066846 A KR 20050066846A KR 100669485 B1 KR100669485 B1 KR 100669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carrier
blinds
reduc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0183A (ko
Inventor
곽명숙
Original Assignee
곽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명숙 filed Critical 곽명숙
Priority to KR1020050066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485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을 통한 햇빛의 유입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실내 사생활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 등에 고정되는 고정용 프레임의 양측에 구동브라켓과 종동브라켓을 설치하고, 각각의 브라켓 사이에는 블라인드가 감겨지는 지지봉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는 블라인드의 펼침 방향과 감김 방향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블라인드의 감김 방향으로 일시적 걸림수단을 구비하는 캐리어와, 임펠러가 삽입된 케이싱의 내부에 점성유체(粘性流體)가 충진되는 감속기와, 지지봉의 회전(블라인드의 펼침)에 따른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캐리어 및 감속기를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엘레먼트를 삽입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당김줄이나 모터구동식 권취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블라인드의 펼침 및 감김 작동이 반자동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블라인드의 자동적인 감김 작동시 블라인드가 저속으로 서서히 감겨지도록 하여 롤블라인드의 사용에 따른 소음과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제품보다 롤블라인드의 정숙한 사용 및 그 사용수명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롤블라인드, 캐리어, 감속기

Description

롤블라인드{Roll blind}
도 1은 종래의 롤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롤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가동엘레먼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가동엘레먼트의 캐리어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가동엘레먼트의 일부 확대 정단면도.
도 6은 캐리어의 작동을 위한 더미부의 전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롤블라인드 11 : 고정용 프레임 12 : 구동브라켓
12a : 고정축 13 : 종동브라켓 14 : 지지봉
14a : 고정돌기 15 : 종동캡 16 : 블라인드
17 : 무게봉 20 : 가동엘레먼트 21 : 스프링
22,23 : 스프링 연결구 24,32 : 고정날개 25,26 : 고정핀
27 : 연결봉 30 : 캐리어 31,41 : 외부케이싱
33 : 볼삽입부 34,45 : 연결축 35 : 더미부
36,36' : 돌출부 36a : 걸림홈 37 : 볼이동홈
38 : 보조돌출부 39 : 롤러볼 40 : 감속기
42 : 임펠러 43 : 임펠러축 44 : 오일씰
46 : 연결스프링
본 발명은 창문을 통한 햇빛의 유입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실내 사생활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당김줄이나 모터구동식 권취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블라인드의 펼침 및 감김 작동이 반자동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블라인드의 자동적인 감김 작동시 블라인드가 저속으로 서서히 감겨지도록 하여 롤블라인드의 사용에 따른 소음과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제품보다 롤블라인드의 정숙한 사용 및 그 사용수명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Blind)라고 하는 것은 각종 건축물의 외벽이나 내벽에 구비되는 창문에 설치되어 차광이나 실내의 조명조절 또는 실내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차양 즉, 블라인드를 펼치거나 말아 올리는 형태의 롤블라인드 또는 라인블라인드와,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 각각의 블라인드를 로프로서 연결한 버티컬블라인드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블라인드 중에서 롤블라인드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체 등에 고정되는 고정용 프레임(2)의 양측에 구동브라켓(3)과 종동브라켓(3')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브라켓(3)(3') 사이에는 그 하단에 무게봉(7)이 고정된 블라인드(6)가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는 파이프 형태의 지지봉(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브라켓(3)의 내부에는 지지봉(4)을 회전시켜 블라인드(6)를 펼치거나 감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미도시된 구동장치가 당김줄(5)과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종동브라켓(3')의 내부에는 당김줄(5)을 사용하여 블라인드(6)를 펼치거나 감아들일 경우 무게봉(7)의 자중에 의하여 블라인드(6)가 스스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미도시된 스토퍼 수단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롤블라인드(1)는 당김줄(5)을 손으로 잡고 블라인드(6)의 펼침 작동과 감김 작동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행하여야 함으로서 롤블라인드(1)의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당김줄(5)에 의한 블라인드(6)의 펼침 방향과 감김 방향을 사용자가 쉽게 착각하여 롤블라인드(1)를 빈번하게 오작동시킬 뿐만 아니라, 바람이나 실내에 비치되는 각종 장애물에 의하여 당김줄(5)이 쉽게 꼬이거나 걸리게 됨으로서 롤블라인드(1)의 원활한 사용에 더욱 많은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당김줄(5)에 의하여 롤블라인드(1)를 작동시킬 경우 당김줄(5)의 이동에 따른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고, 당김줄(5) 자체가 바람에 의하여 벽체 등에 부딪히는 과정에서도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블라인드(6)가 지지봉(4)을 따라 빠른 속도로 감기게 되면, 벽체 등에 고정되는 고정용 프레임(2)과 그 양측 브라켓(3)(3')에 무게봉(7)에 의한 충격이 빈번하게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롤블라인드(1)의 정숙한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롤블라인드(1)의 사용수명 또한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구동브라켓(3)측에 기어식 감속장치를 설치함으로서 당김줄(5)에 의한 블라인드(6)의 이동 속도를 줄이도록 하거나, 또는 블라인드(6)의 펼침 작동과 감김 작동이 별도의 모터 구동수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전자의 경우는 당김줄(5)을 사용함에 따른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 상황에서 롤블라인드(1)의 전체적인 구조만을 복잡하게 하여 롤블라인드(1)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추가적인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것이었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블라인드(6)의 펼침 작동과 감김 작동이 모터 구동수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장점은 있으나, 모터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그 제어를 위한 전자부품과 같은 많은 부품들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롤블라인드(1)의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롤블라인드(1)의 제조단가를 크게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모터 구동에 따른 소음으로 인하여 실내용 블라인드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롤블라인드는 벽체 등에 고정되는 고정용 프레임의 양측에 구동브 라켓과 종동브라켓을 설치하고, 각각의 브라켓 사이에는 블라인드가 감겨지는 지지봉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는 블라인드의 펼침 방향과 감김 방향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블라인드의 감김 방향으로 일시적 걸림수단을 구비하는 캐리어와, 임펠러가 삽입된 케이싱의 내부에 점성유체(粘性流體)가 충진되는 감속기와, 지지봉의 회전(블라인드의 펼침)에 따른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캐리어 및 감속기를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엘레먼트를 삽입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당김줄이나 모터구동식 권취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블라인드의 펼침 및 감김 작동이 반자동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블라인드의 자동적인 감김 작동시 블라인드가 저속으로 서서히 감겨지도록 하여 롤블라인드의 사용에 따른 소음과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제품보다 롤블라인드의 정숙한 사용 및 그 사용수명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 등에 고정되는 고정용 프레임의 양측에는 구동브라켓과 종동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브라켓 사이에는 그 하단에 무게봉이 고정된 블라인드가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는 파이프 형태의 지지봉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는 구동브라켓측으로 연결되는 캐리어와, 종동브라켓의 종동캡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감속기와, 양측단에 스프링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로 캐리어와 감속기를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엘레먼트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는 그 외부케이싱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고정날개의 사이로 지지봉의 내측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는 지지봉의 내측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방사상의 고정날개가 형성된 일측 스프링 연결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몸체 일측에 외부케이싱을 관통하는 연결축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구동브라켓의 고정축이 몸체의 내부를 통하여 삽입되며, 외부케이싱의 몸체 내측을 따라 직선상으로 형성된 볼삽입부와의 사이에 롤러볼이 개재되도록 하는 더미부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더미부의 외측 표면에는 블라인드의 펼침 방향과 감김 방향에 따라 롤러볼이 이동하는 볼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이동홈에는 블라인드의 감김 방향측에 롤러볼의 일시적 걸림수단이 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감속기는 스프링 연결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케이싱의 내측에 임펠러가 점성유체와 함께 삽입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의 임펠러축이 오일씰을 개재시킨 상태로 외부케이싱의 벽체를 관통하여 스프링 연결구의 내부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축은 연결스프링과 연결축에 의하여 스프링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봉과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의 타단부에는 캐리어의 더미부 연결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핀에 의하여 상기 연결축과 연결봉이 캐리어측 스프링 연결구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롤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가동엘레먼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가동엘레먼트의 캐리어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가동엘레먼트의 일부 확대 정단면도이며, 도 6은 캐리어의 작동을 위한 더미부의 전개도로서,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중 미설명된 부호 15a는 힌지핀, 23a는 결착공, 31a는 축공, 34a는 핀공, 41a는 스냅식 결착구, 45a는 헤드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롤블라인드(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체 등에 고정되는 고정용 프레임(11)의 양측으로 구동브라켓(12)과 종동브라켓(13)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브라켓(12)(13) 사이에는 그 하단에 무게봉(17)이 고정된 블라인드(16)가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는 파이프 형태의 지지봉(1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 이와 같은 외부적인 구성은 종래의 롤블라인드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14)의 내부에는 구동브라켓(12)의 고정축(12a)이 삽입되어 구동브라켓(12)과 연결되는 캐리어(30)와, 힌지핀(15a)에 의하여 종동브라켓(13)과 연결되고 지지봉(14)의 내측에 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되는 종동캡(15)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감속기(40)와, 양측단에 스프링 연결구(22)(23)가 결합된 상태로 캐리어(30)와 감속기(40)를 연결하는 스프링(21)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엘레먼트(20)가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30)는 그 외부케이싱(31)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날개(32)의 사이로 지지봉(14)의 내측 고정돌기(14a)가 끼움식으로 삽입됨으로서 지지봉(14)과 함께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40)는 지지봉(14)의 내측 고정돌기(14a)가 끼움식으로 삽입되는 방사상의 고정날개(24)가 형성된 소켓 형상의 스프링 연결구(23)에 그 외부케이싱(4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서 스프링 연결구(23)와 함께 지지봉(14)의 내측에서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30)의 내부에는 블라인드(16)의 펼침 방향과 감김 방향에 따른 지지봉(14)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블라인드(16)의 감김 방향으로 일시적 걸림수단을 구비하는 롤블라인드(10)의 구동기구로서 더미부(35)(Dummy part)와 롤러볼(39)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감속기(40)의 내부에는 스프링(21)의 복원력에 의한 블라인드(16)의 감김속도를 점성유체의 저항에 의하여 감속시키도록 하는 감속기구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더미부(35)는 원통 형상의 몸체 일측에 외부케이싱(31)의 축공(31a)을 관통하는 연결축(34)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34)에는 고정핀(25)에 의하여 캐리어(30)측 스프링 연결구(22)와 연결되도록 하는 핀공(34a)이 형성되어 있으며, 더미부(35)의 몸체 타측을 통하여 상기 구동브라켓(12)의 고정축(12a)(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막대 형상을 가짐)이 삽입됨으로서 캐리어(30)를 구성하는 요소 중 상기 더미부(35)가 구동브라켓(12)과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더미부(35)의 외측 표면과 외부케이싱(31)의 몸체 내측을 따라 직선상으로 형성된 볼삽입부(33)와의 사이에는 롤러볼(39)이 삽입 설치되는 데, 상기 더미부(35)의 외측 표면은 블라인드(16)의 펼침 방향과 감김 방향을 따라 캐리어(30)의 외부케이싱(31)이 지지봉(14)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롤러볼(39) 의 볼이동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더미부(35)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볼이동홈(37)은 도 6에 도시된 더미부(35)의 전개도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이 매끄러운 곡선을 이루며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2개의 돌출부(36)(36')가 더미부(35)의 중앙 표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양측으로 개략 삼각 형태를 가지는 보조돌출부(38)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됨으로서, 각각의 돌출부(36)(36')(38)에 의한 나선형의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면상 더미부(35)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경로가 블라인드(16)의 펼침 및 감김 작동시 롤러볼(39)의 이동경로 즉, 캐리어(30)의 외부케이싱(31)이 지지봉(14)과 함께 회전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되고, 중앙부측 돌출부(36)(36')가 회전방향의 전환시 롤러볼(39)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하게 되며, 그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36) 하측에는 블라인드(16)의 감김 방향 즉, 도 6에서 상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롤러볼(39)이 일시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36a)이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더미부(35)의 볼이동홈(37) 구조는 블라인드(16)의 펼침 방향과 감김 방향에 따른 지지봉(14)과 외부케이싱(31)의 회전이 롤러볼(39)에 의하여 안내되도록 함과 동시에, 블라인드(16)의 감김 방향으로 롤러볼(39)의 일시적 걸림수단을 제공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볼이동홈(37)의 기하학적인 형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 이외의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볼이동홈(37)의 구조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322712호(고안의 명칭: 커튼용 캐리어)의 도면 제 4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롤블라인드의 펼침 및 감김 작동을 수행하는 캐리어 분야 뿐만 아니라, 그 이외에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다른 여러 가지의 캐리어 분야에서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로 이미 적용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40)는 그 외부케이싱(41)의 선단에 형성된 스냅식 결착구(41a)가 소켓 형상을 가지는 스프링 연결구(23)의 결착공(23a)에 탄력적으로 걸림 고정됨으로서 스프링 연결구(23)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연결구(23)는 방사상의 고정날개(24)에 의하여 지지봉(14)의 내측 고정돌기(14a)에 끼움식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40)의 외부케이싱(41)에는 임펠러(42)가 삽입 설치되는 데, 상기 임펠러(42)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외측 표면이 외부케이싱(41)의 내측면과 극간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임펠러(42)와 외부케이싱(41)의 사이에 해당하는 내부 공간에는 그리스(Grease)와 같은 점성유체가 충진됨으로서, 임펠러(42)에 대한 외부케이싱(41)의 회전이 점성유체에 의한 저항을 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42)로부터 연장되는 임펠러축(43)이 외부케이싱(41)의 일측 벽체를 관통하여 스프링 연결구(23)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임펠러축(43)의 관통 부위에는 점성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씰(44)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임펠러축(43)은 그 헤드부(45a)가 스프링 연결구(23)의 일측벽에 지지되는 상태로 스프링 연결구(23)를 관통하는 연결축(45)과 연결스프링(46)에 의하여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캐리어(30)의 더미부(35) 연결축(34)과 감속기(40)의 임펠러축(43)과 연결된 상기 연결축(45)이 해당 스프링 연결구(22)(23)에 삽입된 상태로 스프링(21)을 거쳐 동일 선상에서 서로 마주보게 되는 데, 이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연결축(34)(45)이 스프링(21)과 스프링 연결구(22)(2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봉(27)에 의하여 연결 설치된다.
또한, 캐리어(30)측에 해당하는 연결봉(27)의 단부는 고정핀(25)에 의하여 더미부(35)의 연결축(34) 및 해당 스프링 연결구(22)와 함께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감속기(40)측에 해당하는 연결봉(27)의 단부는 해당 스프링 연결구(23)와는 연결되지 않고 고정핀(26)에 의하여 그 내부로 삽입된 연결축(45)과 함께 연결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감속기(40)의 임펠러축(43)과 연결축(45)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스프링(46)은 블라인드(16)의 펼침 작동과 감김 작동시 감속기(40)의 외부케이싱(41)이 지지봉(14)과 함께 회전할 경우, 점성유체의 저항으로 인하여 임펠러(42)에 회전토크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상쇄시켜 연결축(45)과 연결봉(27)의 고정핀(26)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스프링(46)을 사용하지 않고 임펠러축(43)을 연결축(45)과 직결시킬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롤블라인드(10)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용 프레임(11)이 벽체 등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블라 인드(16)가 지지봉(14)의 외주면에 완전히 감겨져 있는 초기 상태에서, 블라인드(16)의 하단에 고정된 무게봉(17)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무게봉(17)을 하부측으로 당기게 되면, 고정용 프레임(11)의 양측 브라켓(12)(13) 사이에서 지지봉(14)이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지지봉(14)에 감겨져 있던 블라인드(16)가 펼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블라인드(16)의 펼침 작동이 이루어지는 원리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브라켓(12)의 고정축(12a)이 더미부(35)와 연결되어 더미부(35)의 회전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더미부(35)의 연결축(34)과 고정핀(25)으로 연결된 연결봉(27)과 스프링 연결구(22) 및 상기 연결봉(27)에 의하여 더미부(35)의 연결축(34)과 동일 선상에서 연결되는 감속기(40)측 연결축(45)과 연결스프링(46) 및 임펠러축(43)과 임펠러(42) 또한 회전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에 반하여, 지지봉(14)의 내측 고정돌기(14a)에 그 고정날개(24)(32)가 끼움식으로 결합된 캐리어(30)의 외부케이싱(31)과 감속기(40)측 스프링 연결구(23) 및 그 스프링 연결구(23)와 결합된 감속기(40)의 외부케이싱(41)은 블라인드(16)의 펼침 작동에 의한 지지봉(14)의 회전에 따라 더미부(35)와 임펠러축(43)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봉(14)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블라인드(16)의 펼침 작동시 캐리어(30)의 롤러볼(39)은 도 6에서 더미부(35)의 우측에 해당하는 볼이동홈(37)을 따라 외부케이싱(31)과 함께 회전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블라인드(16)의 펼침 방향은 도 6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이 되므로, 롤러볼(39)의 최초 위치와 상관없이 캐리어(30) 외부케이싱(31)의 볼삽입 부(33)에 삽입된 롤러볼(39)이 캐리어(30) 외부케이싱(31)의 회전에 따라 각각의 돌출부(36)(36')에 의하여 형성된 대각선상의 볼이동홈(37)을 타고 더미부(35)의 우측단으로 밀려난 다음, 그 우측단에 형성된 볼이동홈(37)을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서 블라인드(16)를 요구하는 폭만큼 펼칠 수 있게 된다.
또한, 캐리어(30)와 감속기(40)를 연결하는 가동엘레먼트(20)의 스프링(21)은 캐리어(30)측 스프링 연결구(22)가 더미부(35)의 연결축(34)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지 않게 되고, 감속기(40)측 스프링 연결구(23)는 그 고정날개(24)가 지지봉(14)의 내측 고정돌기(14a)에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지지봉(14)과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서, 양측 스프링 연결구(22)(23)의 사이에서 고정 설치된 상기 스프링(21)이 캐리어(30)측으로 꼬여지면서 블라인드(16)의 펼침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복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블라인드(16)를 요구하는 폭만큼 펼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게봉(17)을 놓게 되면, 스프링(21)으로부터 발생하는 복원력에 의하여 감속기(40)측 스프링 연결구(23)와 감속기(40)의 외부케이싱(41)이 지지봉(14) 및 캐리어(30)의 외부케이싱(31)과 함께 블라인드(16)의 감김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데, 블라인드(16)의 감김 방향은 도 6에서 상부를 향하는 방향이 되므로, 더미부(35)의 우측단부에 위치하고 있던 롤러볼(39)이 각각의 돌출부(36)(36')(38)에 의하여 형성된 대각선상의 볼이동홈(37)을 타고 더미부(35)의 좌측단부측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롤러볼(39)이 더미부(35)의 좌측단부로 밀려나가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돌출부(36)의 걸림홈(36a)에 롤러볼(39)이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하여 스 프링(21)의 복원력이 작용하더라도 롤러볼(39)이 볼삽입부(33)에 삽입되어 있는 캐리어(30)의 외부케이싱(31)이 지지봉(14)과 함께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됨으로서, 지지봉(14)이 블라인드(16)의 감김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블라인드(16)가 펼쳐진 상태 그대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블라인드(16)를 펼쳐 놓은 상태에서 블라인드(16)를 다시 감아들이고자 할 경우에는, 블라인드(16)의 하단에 고정된 무게봉(17)을 손으로 잡고 무게봉(17)을 하방으로 살짝 당겼다가 놓게 되면, 도 6에서 돌출부(36)의 걸림홈(36')에 걸려 있던 롤러볼(39)이 해당 걸림홈(36')으로부터 이탈되어 더미부(35)의 좌측단부에 해당하는 볼이동홈(37)을 따라 지속적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스프링(21)의 복원력에 의하여 캐리어(30) 및 감속기(40)의 외부케이싱(31)(41)과 감속기(40)측 스프링 연결구(23)가 더미부(35)와 임펠러축(43)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봉(14)과 함께 블라인드(16)의 감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블라인드(16)가 지지봉(14)에 완전하게 감겨지는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21)의 복원력에 의하여 블라인드(16)가 최초의 상태로 감겨질 경우, 지지봉(14)과 함께 회전하는 감속기(40)의 외부케이싱(41)이 임펠러(42)와의 사이에 충진된 점성유체에 의하여 그 회전에 따른 저항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하여 블라인드(16)의 감김 속도 즉, 지지봉(14)의 회전 속도가 점성유체의 저항에 의하여 감속됨으로서 블라인드(16)가 지지봉(14)측으로 서서히 부드럽게 감겨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롤블라인드는 별도의 당김줄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브라켓측에 캐리어 수단을 설치하여 블라인드의 펼침 작동과 감김 작동이 수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하여 그 감김 작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당김줄을 이용한 롤블라인드에 비하여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고, 바람이나 실내에 비치되는 각종 장애물에 의하여 당김줄이 꼬이거나 걸리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롤블라인드의 원활한 사용에 더욱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라인드의 펼침 작동과 감김 작동이 캐리어와 유압식 감속기에 의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당김줄과 체인을 이용하였던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롤블라인드의 사용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블라인드의 감김 속도가 감속기에 의하여 감속된 상태로 서서히 부드럽게 감겨지기 때문에, 벽체 등에 고정되는 고정용 프레임과 그 양측 브라켓측으로 무게봉에 의한 충격이 거의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롤블라인드의 정숙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롤블라인드의 사용수명 또한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블라인드의 펼침 작동만을 수동으로 행하고 그 감김 작동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블라인드의 펼침 작동과 감김 작동이 모터 구동수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경우와 비교하더라도, 그 사용의 편의성은 거의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블라인드의 전체적인 구조 및 그 제작과 설치에 따른 비용은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 구동에 따른 소음과 같은 실내 설치의 장애요인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실내용 블라인드로 적용시킬 수 있는 최적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벽체 등에 고정되는 고정용 프레임(11)의 양측에는 구동브라켓(12)과 종동브라켓(13)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브라켓(12)(13) 사이에는 그 하단에 무게봉(17)이 고정된 블라인드(16)가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는 파이프 형태의 지지봉(1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4)의 내부에는 구동브라켓(12)측으로 연결되는 캐리어(30)와, 종동브라켓(13)의 종동캡(15)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감속기(40)와, 양측단에 스프링 연결구(22)(23)가 결합된 상태로 캐리어(30)와 감속기(40)를 연결하는 스프링(21)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엘레먼트(20)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30)는 그 외부케이싱(31)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고정날개(32)의 사이로 지지봉(14)의 내측 고정돌기(14a)가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40)는 지지봉(14)의 내측 고정돌기(14a)가 삽입되는 방사상의 고정날개(24)가 형성된 일측 스프링 연결구(2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30)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몸체 일측에 외부케이싱(31)을 관통하는 연결축(34)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구동브라켓(12)의 고정축(12a)이 몸체의 내부를 통하여 삽입되며, 외부케이싱(31)의 몸체 내측을 따라 직선상으로 형성된 볼삽입부(33)와의 사이에 롤러볼(39)이 개재되도록 하는 더미부(35)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더미부(35)의 외측 표면에는 블라인드(16)의 펼침 방향과 감김 방향에 따라 롤러볼(39)이 이동하는 볼이동홈(37)이 형성되고, 상기 볼이동홈(37)에는 블라인드(16)의 감김 방향측에 롤러볼(39)의 일시적 걸림수단이 되는 걸림홈(36a)이 형성되며,
    상기 감속기(40)는 스프링 연결구(2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케이싱(41)의 내측에 임펠러(42)가 점성유체와 함께 삽입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42)의 임펠러축(43)이 오일씰(44)을 개재시킨 상태로 외부케이싱(41)의 벽체를 관통하여 스프링 연결구(23)의 내부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축(43)은 연결스프링(46)과 연결축(45)에 의하여 스프링(21)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봉(27)과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27)의 타단부에는 캐리어(30)의 더미부(35) 연결축(34)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핀(25)에 의하여 상기 연결축(34)과 연결봉(27)이 캐리어(30)측 스프링 연결구(22)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KR1020050066846A 2005-07-22 2005-07-22 롤블라인드 KR100669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846A KR100669485B1 (ko) 2005-07-22 2005-07-22 롤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846A KR100669485B1 (ko) 2005-07-22 2005-07-22 롤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83A KR20050080183A (ko) 2005-08-11
KR100669485B1 true KR100669485B1 (ko) 2007-01-16

Family

ID=3726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846A KR100669485B1 (ko) 2005-07-22 2005-07-22 롤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4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04B1 (ko) 2011-02-11 2011-12-26 금중식 롤 스크린의 감속장치
WO2014112837A1 (ko) 2013-01-18 2014-07-24 (주)테라솔라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KR200475067Y1 (ko) 2014-01-15 2014-11-03 김태연 롤 스크린 장치
KR101802112B1 (ko) 2017-05-22 2017-11-27 금중식 감속장치의 감속방향 선택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감속어셈블리
KR20220067746A (ko) 2020-11-18 2022-05-25 인네이처 주식회사 온도 감응형 변색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광용 물품
KR20230023162A (ko) 2021-08-10 2023-02-17 해피창 주식회사 가감속 유닛이 구비된 롤방충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581B1 (ko) * 2013-01-29 2015-01-02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한누리 회전체의 과회전 방지장치
KR101492020B1 (ko) * 2013-07-30 2015-02-10 김대영 롤 블라인드
KR101958020B1 (ko) * 2016-05-19 2019-07-04 유상원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102083283B1 (ko) * 2018-04-27 2020-03-02 (주)한솔아이엠비 구동 줄이 한 줄로 형성되는 블라인드
KR102505415B1 (ko) * 2022-06-30 2023-03-06 (주)이화산업 이송 대차용 커버 리트랙터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410B1 (ko) * 1983-11-17 1991-05-30 도오소 가부시끼가이샤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로울러 블라인드
KR20040068151A (ko) * 2002-10-07 2004-07-30 세이키 주코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410B1 (ko) * 1983-11-17 1991-05-30 도오소 가부시끼가이샤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로울러 블라인드
KR20040068151A (ko) * 2002-10-07 2004-07-30 세이키 주코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04B1 (ko) 2011-02-11 2011-12-26 금중식 롤 스크린의 감속장치
WO2014112837A1 (ko) 2013-01-18 2014-07-24 (주)테라솔라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KR200475067Y1 (ko) 2014-01-15 2014-11-03 김태연 롤 스크린 장치
KR101802112B1 (ko) 2017-05-22 2017-11-27 금중식 감속장치의 감속방향 선택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감속어셈블리
KR20220067746A (ko) 2020-11-18 2022-05-25 인네이처 주식회사 온도 감응형 변색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광용 물품
KR20230023162A (ko) 2021-08-10 2023-02-17 해피창 주식회사 가감속 유닛이 구비된 롤방충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83A (ko)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485B1 (ko) 롤블라인드
AU2005203064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US7267156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US10415305B2 (en) Window shade
KR20170105568A (ko) 윈도우 쉐이드 및 그 제어 시스템
TWI564468B (zh) 窗簾及其致動系統
KR100770043B1 (ko) 반자동식 롤블라인드
KR101048674B1 (ko) 롤 블라인드
WO2008124171A1 (en) Shade lifting mechanism
US20200370367A1 (en) Clutch Module For A Hoist Device And The Hoist Device Using The Same
KR100728938B1 (ko) 블라인드
KR20110011573U (ko) 허니컴 쉐이드
KR101153992B1 (ko) 롤 블라인드 리밋장치
AU2014263713A1 (en) Cam unit, horizontal blind, and drive unit for sunlight blocking device
JP3170391U (ja) ロールブラインド
KR101109136B1 (ko) 롤 블라인드
KR101863245B1 (ko) 일체형 이중 롤 블라인드용 하단바장치
JPH069586U (ja) カーテン装置
KR101958020B1 (ko)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100547287B1 (ko) 롤스크린용 구동브래킷
KR200310930Y1 (ko) 커튼 이동장치
KR200254701Y1 (ko)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KR200424973Y1 (ko) 롤 블라인드
KR200375899Y1 (ko) 개선된 밝기 조절구조를 가진 롤 블라인드
CN216932701U (zh) 窗帘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