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136B1 - 롤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롤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136B1
KR101109136B1 KR1020090059777A KR20090059777A KR101109136B1 KR 101109136 B1 KR101109136 B1 KR 101109136B1 KR 1020090059777 A KR1020090059777 A KR 1020090059777A KR 20090059777 A KR20090059777 A KR 20090059777A KR 101109136 B1 KR101109136 B1 KR 101109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rotating body
rotating
driven gea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272A (ko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좋은금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좋은금속(주) filed Critical 좋은금속(주)
Priority to KR102009005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1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2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inside the roller
    • E06B2009/725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inside the roller with epicyclic or planetary gear t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라이프의 상하폭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 스크린의 승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설치 시 스트라이프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제1 및 제2스크린이 설치되는 제1 및 제2권취봉과, 상기 제1권취봉을 회전시키는 권취구동기와, 상기 제1권취봉과 권취구동기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이물림되어 상기 제2권취봉를 회전시키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를 일정 거리 공회전 시키고, 상기 종동기어의 공회전거리를 조절하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한다.
롤 블라인드, 귄취봉, 스크린, 권취구동기, 클러치수단

Description

롤 블라인드{ROLL BLIND}
본 발명은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스트라이프의 상하폭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 스크린의 승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설치 시 스트라이프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커튼은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조절하기 위한 인테리어 소품이다. 이러한 커튼은 상술한 목적 이외에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거나, 방음, 방서, 방한 등의 목적을 갖는다. 특히, 벽이나 유리에서 느껴지는 단단하고 차가운 느낌을 부드럽고 따뜻하게 바꿔 인테리어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더 포함한다.
한편, 커튼은 개폐 동작에 따라 좌우로 개폐되는 방식과 상하로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분은 일반적이고 개괄적인 구분일 뿐이며, 실제로는 블라인드(blind), 버티컬(vertical), 스크린(screen), 로만셰이드(roman shade) 등으로 분류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블라인드, 특히 롤 블라인드(roll blind)는 일측에 결합된 체인을 당겨 롤 형태의 스크린을 감거나 펼쳐 빛을 유입하거나 차단하는 것으로, 롤 스크 린(roll screen)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빛을 유입하거나 차단하는 동작 이외에 유입되는 빛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어,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실내 밝기를 조절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술한 롤 블라인드의 단점을 개선하여 밝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롤 블라인드가 제안되었다.
밝기 조절이 가능한 롤 블라인드는, 투명구간과 불투명구간을 교대로 배치하여 스크린에 스트라이프(stripe)를 형성하고, 스트라이프가 형성된 스크린을 두 겹으로 배치하여 투명구간과 불투명구간을 서로 교차시킴으로써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두 겹의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스트라이프가 중첩 또는 상치되도록 하여 밝기를 조절한다.
하지만 현재 판매되고 있는 롤 블라인드의 스트라이프는 제품마다 서로 다른 상하폭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스트라이프를 중첩 또는 상치시키기 위한 조절수단의 규격 또한 서로 상이하며, 이로 인하여 범용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두 겹의 스크린에 형성된 스트라이프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세팅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세팅작업을 위해 롤 블라인드의 모든 구성요소를 분해해야만 했다. 따라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설치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품마다 서로 다르게 제작된 스트라이프의 상하폭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 스크린의 승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겹의 스크린에 형성된 스트라이프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세팅작업이 용이하고, 그에 따라 설치편의성이 대폭 향상된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롤 블라인드는, 스크린이 하나만 설치된 단일 롤 블라인드와, 스크린이 두 겹으로 설치된 이중 롤 블라인드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단일 롤 블라인드는, 스크린이 설치되는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을 회전시키는 권취구동기와, 상기 권취구동기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권취봉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에 이물림되어 권취봉를 회전시키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를 일정 거리 공회전 시키며 상기 종동기어의 공회전거리를 조절하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이중 롤 블라인드는, 제1 및 제2스크린이 설치되는 제1 및 제2권취봉과, 상기 제1권취봉을 회전시키는 권취구동기와, 상기 제1권취봉과 권취구동기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이물림되어 상기 제2권취봉를 회전시키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를 일정 거리 공회전 시키고, 상기 종동기어의 공회전거리를 조절하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단일 롤 블라인드와 이중 롤 블라인드의 종동기어는 일면에 양 단부를 갖는 원호형상의 클러치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2권취봉에 결합되고, 상기 종동기어가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체와, 상기 클러치홈에 삽입되는 제1클러치돌기가 형성되는 제2회전체와, 상기 클러치홈에 삽입되는 제2클러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체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밴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롤 블라인드는, 상기 제1 및 제2클러치돌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클러치홈의 일단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종동기어를 공회전 시킨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의 공회전거리는 상기 조절밴드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클러치돌기 사이의 거리를 근접 또는 이격시킴으로써 조절된다.
한편, 상기 이중 롤 블라인드의 권취구동기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인 휠 및 상기 체인 휠에 감기는 구동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체인 휠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인 휠의 일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대경부 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는 고정핀이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롤 블라인드는, 상기 제1 및 제2클러치돌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클러치홈의 일단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종동기어를 공회전 시킴과 동시에, 상기 조절밴드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클러치돌기 사이의 거 리를 근접 또는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종동기어의 공회전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마다 서로 다르게 제작된 스트라이프의 상하폭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 스크린의 승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가 체인 휠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이중 롤 블라인드의 모든 구성요소를 분해하지 않고도 두 겹의 스크린에 형성된 스트라이프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세팅작업이 용이하고, 그에 따라 설치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크린이 하나만 설치된 단일 롤 블라인드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스크린이 두 겹으로 설치된 이중 롤 블라인드이다. 이 중에서 단일 롤 블라인드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롤 블라인드의 도면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롤 블라인드 중 구동부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롤 블라인드는, 건축물의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권취봉(230)과, 권취봉(230)에 설치되는 스크린(250)과, 스크린(250)의 하단이 고정되는 웨이트바(260)와, 권취봉(2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00)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부(100)는, 권취구동기(110)와, 권취구동기(1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권취봉(230)에 단속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수단(120)을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스크린(250)은, 표면에 투명구간(252)과 불투명구간(254)이 교대로 배치되어 스트라이프(stripe)가 형성된 스크린일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구동부(1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권취구동기(110)는, 엔드플레이트(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인 휠(112)과, 체인 휠(112)에 감긴 구동체인(114)과, 엔드플레이트(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체인(114)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커버(116)를 포함한다.
권취구동기(110)에서 발생한 회전력은 전동수단(130~150)을 통해 클러치수단(120)으로 전달된다. 전동수단(130~150)의 구성을 살펴보면, 체인 휠(112)에 결합되는 구동기어(130)와, 클러치수단(120)에 마련되는 종동기어(140)와, 구동기어(130) 및 종동기어(140) 사이에 이물림되는 아이들기어(150)를 포함한다.
클러치수단(120)에 대해 살펴보면, 엔드플레이트(212)의 내측 일면에 고정체(121)가 고정, 결합된다. 고정체(121)의 일면에는 회전축(121s)이 돌출되고, 이 회전축(121s)에는 제1 및 제2회전체(122,1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회전체(122)에는 종동기어(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회전체(122)의 둘레에는 조절밴드(1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121s)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체(122)는 권취봉(230)에 삽입,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1회전체(122)의 둘레에는 복수의 리브(122a)가 돌출된다. 또한, 제1회전체(122)의 내주면에는 원호형상의 제1회전돌기(122b)가 형성된다.
제1회전체(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기어(140)는 일면에 양 단부를 갖는 원호형상의 클러치홈(1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회전체(123)와 조절밴드(124)에는 클러치홈(142)에 삽입되는 제1클러치돌기(123a)와 제2클러치돌기(124a)가 형성된다. 또한, 제2회전체(123)의 일면에는 제1회전돌기(122b)와 대응되는 원호형상의 제2회전돌기(123b)가 돌출되며, 제2회전돌기(123b)는 제1회전체(122)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제2회전체(123)의 둘레에는 제2클러치돌기(124a)가 삽입되는 다수의 걸림홈(123c)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고정체(121)의 회전축(121s)에는 탄성부재(125)가 끼워진다. 이 탄성부재(125)는 제1회전체(122)를 원주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수단으로, 회전축(121s)의 둘레에 감기는 토션부(125a)와, 토션부(125a)의 양 단부에서 돌출되어 제1 및 제2회전돌기(122b,123b)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부(125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수단(12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구동기어(130)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면 종동기어(140)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종동기어(140)가 회전할 때, 클러치홈(142)의 구간 내에서 클러치돌기(123a,124a)가 안내되는 동안에는 종동기어(140)만 공회전을 한다.
이 상태에서 종동기어(140)가 계속 회전하여 클러치돌기(123a,124a 중 어느 하나)가 클러치홈(142)의 어느 일측 단부에 접촉되면 제2회전체(123)와 조절밴드(124)가 회전되고, 제2회전체(123)의 제2회전돌기(123b)가 제1회전체(122)의 제1회전돌기(122b)에 접촉하여 제1회전체(122)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권취봉(230)이 회전하며 스크린(24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 블라인드의 도면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 블라인드의 상부와 하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 블라인드는, 건축물의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권취봉(220,230)과, 제1 및 제2권취봉(220,230)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스크린(240,250)과, 제1 및 제2스크린(240,250)의 하단이 고정되는 웨이트바(260)와, 제1 및 제2권취봉(220,2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00)를 포함한다.
프레임(210)은 창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양 단부에는 엔드플레이트(212)가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12) 사이에는 제1 및 제2권취봉(220,2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및 제2권취봉(220,230)에는 제1 및 제2스크린(240,250)의 상단이 각각 고정, 설치된다.
제1 및 제2권취봉(220,230)에 상단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스크린(240,250)은 제1 및 제2권취봉(220,230)을 회전시킬 경우 상승 또는 하강한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 개시된 제1 및 제2스크린(240,250)은 통상의 스크린과 달리 일정한 간격을 갖는 스트라이프(stripe)가 표면에 형성된다. 즉, 투명구간(242,252)과 불투명구간(244,254)이 교대로 배치되어 스트라이프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스크린(240,250)을 완전히 올리거나 내리지 않더라도 빛의 유입을 차단 및 허용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스크린(240,250) 중 어느 하나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경우 투명구간(242,252)과 불투명구간(244,254)의 중첩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입되는 빛의 양이 달라져 다양한 실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스크린(240,250)을 하향으로 지지하는 웨이트바(260)는, 제1 및 제2스크린(240,250)의 하단이 고정되는 제1웨이트바(262)와, 제1웨이트바(262)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웨이트바(26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웨이트바(260) 중 제2웨이트바(264)의 상단에는 관통슬롯(266)이 형성된다. 이 관통슬롯(266)은 제1 및 제2스크린(240,250)의 간극을 좁혀 빛샘현상(제1 및 제2스크린(240,250)의 불투명구간(244,254) 사이로 빛이 통과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관통슬롯(266)의 폭은 제1웨이트바(262)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관통슬롯(266)을 통과한 제1 및 제2스크린(240,250)은 일정 높이까지 근접하다가 벌어지게 되므로, 승강 시 제1 및 제2스크린(240,250)의 간극이 최소인 지점에서 마찰전기가 발생하여 서로 부착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관통슬롯(266)의 상부에 확장바(268)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데, 이 확장바(268)의 직경은 관통슬롯(266)의 폭보다 크고 제1웨이트바(262)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100)는 제1 및 제2스크린(240,250)을 감거나 펴기 위하여 제1 및 제2권취봉(220,23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다. 특히, 제1 및 제2권취봉(220,230)에 각각 결합되는 구동기어(130) 및 종동기어(140) 중 어느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종동기어)를 공회전 시킴으로써, 제1 및 제2스크린(240,250)의 투명구간(242,252)과 불투명구간(244,254)의 중첩폭을 조절하여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동부(1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 블라인드 중 구동부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고,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 블라인드 중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는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12) 중 어느 하나, 즉 제1 및 제2권취봉(220,230)의 양 단부 중 어느 일단에 설치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제1권취봉(220)을 회전시키는 권취구동기(110)와, 권취구동기(1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제2권취봉(230)에 단속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수단(120)을 포함한다.
우선, 권취구동기(110)는, 엔드플레이트(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인 휠(112)과, 체인 휠(112)에 감겨 제1권취봉(220)을 회전시키는 구동체인(114)과, 엔드플레이트(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체인(114)의 이탈을 방지함 과 동시에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커버(11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권취구동기(110)의 구동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구동체인(114)을 당기면 체인 휠(112)이 회전하며 제1권취봉(220)을 회전시키고, 제1권취봉(220)이 회전함에 따라 제1스크린(도 4의 240)을 감거나 풀어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권취구동기(110)에서 발생한 회전력은 전동수단(130~150)을 통해 클러치수단(120)으로 전달된다. 전동수단(130~150)의 구성을 살펴보면, 권취구동기(110), 좀 더 상세하게는 체인 휠(112) 및 제1권취봉(220)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기어(130)와, 클러치수단(120)에 마련되는 종동기어(140)와, 구동기어(130) 및 종동기어(140) 사이에 이물림되는 아이들기어(150)를 포함한다.
상술한 전동수단(130~150)의 구성요소 중 아이들기어(150)는 구동기어(130)와 종동기어(14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기계요소이다. 이 아이들기어(150)는 구동기어(130)와 종동기어(140)의 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두 개를 설치할 경우 동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구동기어(130)와 종동기어(14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휠(112)의 일면에는 다단의 결합돌기(118)가 형성된다. 또한, 구동기어(130)의 일면, 즉 체인 휠(112)과 대면하는 일면에는 결합돌기(118)에 삽입 가능한 다단의 결합홈(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다단으로 형성된 결합돌기(118)와 결합홈(132)의 대경부 측면에는 고정홈(119,134) 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19,134)에는 고정핀(136)이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홈(119,134)은 결합돌기(118)와 결합홈(132)의 대경부 양 측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고정핀(136)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홈(119,134)에 삽입,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118), 결합홈(132) 및 고정홈(119,134)을 포함하는 체인 휠(112)과 구동기어(130)는 고정핀(136)을 제거할 경우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모든 구성요소를 분해하지 않고도 제1 및 제2스크린(도 4의 240,250)에 형성된 투명구간(242,252)과 불투명구간(244,254)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한 세팅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일례로, 이(齒)간거리가 2mm인 구동기어(130)를 이간거리만큼 회전시킬 경우 제1스크린(240)이 2mm씩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제1 및 제2스크린(240,250)에 형성된 투명구간(242,252)과 불투명구간(244,254)의 위치를 쉽게 일치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클러치수단(12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엔드플레이트(212)의 내측 일면에는 고정체(121)가 고정, 결합된다. 고정체(121)의 일면에는 회전축(121s)이 돌출되고, 이 회전축(121s)에는 제1 및 제2회전체(122,1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회전체(122)에는 종동기어(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회전체(122)의 둘레에는 조절밴드(1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121s)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체(122)는 제2권취봉(230)에 삽입,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1회전체(122)의 둘레에는 복수의 리브(122a)가 돌출된다. 또한, 제1회전체(122)의 내주면에는 원호형상의 제1회전돌기(122b)가 형성된다.
제1회전체(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기어(140)는 일면에 양 단부를 갖는 원호형상의 클러치홈(1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회전체(123)와 조절밴드(124)에는 클러치홈(142)에 삽입되는 제1클러치돌기(123a)와 제2클러치돌기(124a)가 형성된다. 또한, 제2회전체(123)의 일면에는 제1회전돌기(122b)와 대응되는 원호형상의 제2회전돌기(123b)가 돌출되며, 제2회전돌기(123b)는 제1회전체(122)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제2회전체(123)의 둘레에는 제2클러치돌기(124a)가 삽입되는 다수의 걸림홈(123c)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고정체(121)의 회전축(121s)에는 탄성부재(125)가 끼워진다. 이 탄성부재(125)는 제1회전체(122)를 원주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수단으로, 회전축(121s)의 둘레에 감기는 토션부(125a)와, 토션부(125a)의 양 단부에서 돌출되어 제1 및 제2회전돌기(122b,123b)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부(125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수단(12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구동기어(130)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면 종동기어(140)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종동기어(140)가 회전할 때, 클러치홈(142)의 구간 내에서 클러치돌기(123a,124a)가 안내되는 동안에는 종동기어(140)만 공회전을 한다. 따라서 제2권취봉(230)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종동기어(140)가 계속 회전하여 클러치돌기(123a,124a 중 어느 하나)가 클러치홈(142)의 어느 일측 단부에 접촉되면 제2회전체(123)와 조절밴드(124)가 회전되고, 제2회전체(123)의 제2회전돌기(123b)가 제1회전체(122)의 제1회전돌기(122b)에 접촉하여 제1회전체(122)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2권취봉(230)이 제1권취봉(220)과 함께 회전하며 제1스크린(240)과 제2스크린(25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한편,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클러치돌기(123a,124a)의 이격거리(d)를 조절하여 종동기어(140)의 공회전거리(D)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절밴드(124)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클러치돌기(123a,124a)의 이격거리(d)가 좁아지면 종동기어(140)의 공회전거리(D)가 연장된다. 반면, 제1 및 제2클러치돌기(123a,124a)를 이격시키면 종동기어(140)의 공회전거리(D)가 단축된다.
이는 제품마다 서로 다르게 제작된 투명구간(242,252)과 불투명구간(244,254)의 상하폭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 스크린의 승강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투명구간(242,252)과 불투명구간(244,254)의 상하폭이 넓으면, 제1 및 제2클러치돌기(123a,124a)의 이격거리(d)가 좁혀 종동기어(140)의 공회전거리(D)를 연장시킨다. 반면, 투명구간(242,252)과 불투명구간(244,254)의 상하폭이 좁으면, 제1 및 제2클러치돌기(123a,124a)를 이격시켜 종동기어(140)의 공회전거리(D)를 단축시킨다.
이때, 제2클러치돌기(124a)가 삽입되는 걸림홈(123c)은 조절밴드(124)를 일정 거리마다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총 3개로 이루어진다. 이는 현재 판매되고 있는 스크린의 투명구간과 불투명구간의 상하폭이 115mm, 125mm, 135mm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걸림홈(123c)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구간과 불투명구간의 상하폭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롤 블라인드의 도면.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롤 블라인드 중 구동부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 블라인드의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 블라인드의 상부와 하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 블라인드 중 구동부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 블라인드 중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구동부 110: 권취구동기
120: 클러치수단 130: 구동기어
140: 종동기어 150: 아이들기어
210: 프레임 220: 제1권취봉
230: 제2권취봉 240: 제1스크린
250: 제2스크린 260: 웨이트바

Claims (21)

  1. 삭제
  2. 스크린이 설치되는 권취봉;
    상기 권취봉을 회전시키는 권취구동기;
    상기 권취구동기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권취봉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에 이물림되어 권취봉를 회전시키며, 일면에 양 단부를 갖는 원호형상의 클러치홈이 형성된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를 일정 거리 공회전시키며, 상기 종동기어의 공회전거리를 조절하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권취봉에 결합되고 상기 종동기어가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체와, 상기 클러치홈에 삽입되는 제1클러치돌기가 형성되는 제2회전체와, 상기 클러치홈에 삽입되는 제2클러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체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클러치돌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클러치홈의 일단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종동기어가 공회전 되며, 상기 조절밴드를 회전하여 제1 및 제2클러치돌기 사이의 거리를 근접 또는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종동기어의 공회전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의 둘레에는 제2클러치돌기가 삽입되는 다수의 걸림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에는 내주면을 따라 원호형상의 제1회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1회전돌기와 대응되는 원호형상의 제2회전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제2회전돌기는 상기 제1회전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를 관통하여 제1회전체에 결합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둘레에 감겨 상기 제1회전체를 원주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체의 둘레에 감기는 토션부 및 상기 토션부의 양 단부에서 돌출되어 제1 및 제2회전돌기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7. 삭제
  8. 제1 및 제2스크린이 설치되는 제1 및 제2권취봉;
    상기 제1권취봉을 회전시키는 권취구동기;
    상기 제1권취봉과 권취구동기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이물림되어 상기 제2권취봉를 회전시키며, 일면에 양 단부를 갖는 원호형상의 클러치홈이 형성된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를 일정 거리 공회전시키며, 상기 종동기어의 공회전거리를 조절하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2권취봉에 결합되고 상기 종동기어가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체와, 상기 클러치홈에 삽입되는 제1클러치돌기가 형성되는 제2회전체와, 상기 클러치홈에 삽입되는 제2클러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체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클러치돌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클러치홈의 일단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종동기어가 공회전 되며, 상기 조절밴드를 회전하여 제1 및 제2클러치돌기 사이의 거리를 근접 또는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종동기어의 공회전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의 둘레에는 제2클러치돌기가 삽입되는 다수의 걸림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 사이에 이물림되는 아이들기어를 더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에는 내주면을 따라 원호형상의 제1회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1회전돌기와 대응되는 원호형상의 제2회전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제2회전돌기는 상기 제1회전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를 관통하여 제1회전체에 결합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둘레에 감겨 상기 제1회전체를 원주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 는 롤 블라인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체의 둘레에 감기는 토션부 및 상기 토션부의 양 단부에서 돌출되어 제1 및 제2회전돌기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권취봉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권취구동기와 클러치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크린의 하단이 고정되는 웨이트바를 더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바는, 상기 제1 및 제2스크린의 하단이 고정되는 제1웨이트바와, 길이방향으로 관통슬롯이 형성된 관 형상의 제2웨이트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웨이 트바는 상기 제2웨이트바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스크린은 상기 관통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17.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동기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인 휠 및 상기 체인 휠에 감기는 구동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체인 휠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체인 휠의 일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대경부 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는 고정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대경부 양 측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체인 휠의 둘레에 안내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KR1020090059777A 2009-07-01 2009-07-01 롤 블라인드 KR101109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777A KR101109136B1 (ko) 2009-07-01 2009-07-01 롤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777A KR101109136B1 (ko) 2009-07-01 2009-07-01 롤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72A KR20110002272A (ko) 2011-01-07
KR101109136B1 true KR101109136B1 (ko) 2012-02-24

Family

ID=4361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777A KR101109136B1 (ko) 2009-07-01 2009-07-01 롤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111B1 (ko) 2014-11-21 2016-07-08 썬파크 주식회사 롤 블라인드
JP7112940B2 (ja) * 2018-11-05 2022-08-0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ロールスクリー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9414A1 (fr) 1997-08-26 1999-03-03 Zurfluh-Feller S.A. Treuil à cordon à commande décalée
KR200412622Y1 (ko) 2006-01-05 2006-03-29 김성철 개선된 밝기조절 구조를 가진 쉐이드
KR100866344B1 (ko) * 2008-05-07 2008-10-31 김성철 롤 블라인드
KR200444675Y1 (ko) 2008-04-29 2009-05-27 김석기 밝기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롤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9414A1 (fr) 1997-08-26 1999-03-03 Zurfluh-Feller S.A. Treuil à cordon à commande décalée
KR200412622Y1 (ko) 2006-01-05 2006-03-29 김성철 개선된 밝기조절 구조를 가진 쉐이드
KR200444675Y1 (ko) 2008-04-29 2009-05-27 김석기 밝기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롤 블라인드
KR100866344B1 (ko) * 2008-05-07 2008-10-31 김성철 롤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72A (ko)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674B1 (ko) 롤 블라인드
US6786270B2 (en) Lift lock for blind
JP5566285B2 (ja) 可変径巻付機構を備えダブルピッチ配列が可能なブラインドのための選択的傾動
JP2008545076A (ja) 多重選択シェードシステム
WO2013019283A1 (en) Window shade having a resistance balancing mechanism
US20130333849A1 (en) Window Treatment having an Adjustable Bottom Bar
US20050155720A1 (en) Roman shade capable of adjusting light transmittance
US7100663B2 (en) Window covering and method of use
KR20100134397A (ko) 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장치
KR20100010743U (ko) 롤 블라인드
EP3765699B1 (en) Window shade and spring drive system thereof
CA3086296C (en) Semi-rigid chain assembly
KR101109136B1 (ko) 롤 블라인드
US20040040673A1 (en) Modular framed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6957681B2 (en) Embedded type motorized blind device
KR20110011573U (ko) 허니컴 쉐이드
JP2004143753A (ja) ブラインド内蔵複層ガラス
KR20090056282A (ko) 롤스크린
KR102259305B1 (ko)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KR200340030Y1 (ko) 개선된 밝기 조절기능을 가진 롤 블라인드
KR200359541Y1 (ko) 개선된 밝기 조절구조를 가진 롤 블라인드
KR200424973Y1 (ko) 롤 블라인드
KR101289531B1 (ko) 무소음 듀얼롤 블라인드장치
KR101340623B1 (ko) 블라인드 장치
JP3253373B2 (ja) 複層ガラス内蔵ブライ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