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305B1 -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305B1
KR102259305B1 KR1020200143419A KR20200143419A KR102259305B1 KR 102259305 B1 KR102259305 B1 KR 102259305B1 KR 1020200143419 A KR1020200143419 A KR 1020200143419A KR 20200143419 A KR20200143419 A KR 20200143419A KR 102259305 B1 KR102259305 B1 KR 102259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s
guide
main frame
blind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석
Original Assignee
(주)월드블라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블라인드 filed Critical (주)월드블라인드
Priority to KR1020200143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2Details of ladder-tapes or ladder chains, e.g. buckles for local shortening of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2009/285Means for actuating a rod (being tilt rod or lift r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수평 배치된 다수의 슬랫을 펼치거나 접어 차광 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슬랫의 개폐를 간편하게 하면서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슬랫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블라인드(1)의 설치기능을 하며, 측방향 내부 상측에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1단턱(121)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단턱(121)의 안쪽으로 제1수용부(120)를 갖고, 하향으로 일정간격 수평 배치된 다수의 슬랫(110)이 마련된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일측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작동줄(212)이 마련되고, 상기 작동줄(212)의 조작을 통해 회전하는 구동축(220)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0)와; 상기 제1수용부(120)에 삽입되는 제1가이드(310)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1가이드(310)의 양단부에는 수직으로 상기 제1단턱(121)의 안쪽에 걸리는 다수의 포스트(311)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게 하고, 상기 다수의 슬랫(110)에 제1조절끈(333) 및 제2조절끈(345)을 이용해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부(20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으로 상기 제1조절끈(333) 및 제2조절끈(345)이 풀리거나 감기면서 상기 다수의 슬랫(110)의 차광기능을 위한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Blind of wood or aluminum slat}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수평 배치된 다수의 슬랫을 펼치거나 접어 차광 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슬랫의 개폐를 간편하게 하면서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슬랫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건축물의 창호에 설치되어 기본적으로 차광 기능을 하면서 실내 인테리어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편의용품의 일종이며, 롤 형태의 차광막을 펼치거나 감아서 사용하는 롤 스크린 블라인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우드슬랫을 펼치거나 접어 사용하는 우드 블라인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슬랫을 펼치거나 접어 사용하는 버티컬 블라인드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블라인드 중에 우드 블라인드의 경우 다수의 슬랫을 작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다수의 슬랫에 조절끈으로 연결되어 작동체의 동력을 이용해 조절끈에 연결된 다수의 슬랫을 작동시키는 작동체; 상기 작동체의 하부로 조절끈 이용해 수직으로 일정간격 배치되게 수평 연결되어 상하로 펼쳐지거나 접히면서 차광 기능을 하는 다수의 슬랫;으로 구성된 우드블라인드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10-2079088호를 살펴보면, 수평 우드 슬랫들이 조절끈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 및 개폐되는 우드 블라인드이며, 적어도 일부의 상기 우드 슬랫들 사이에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광차단성 보조 블라인드 편이 삽입되고, 상기 보조 블라인드 편은 슬랫들의 중심부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승강 조절끈과 우드 슬랫의 전면에 고정되는 각도 조절끈 사이에 경사지게 삽입되어 비고정식으로 위치하며, 삽입된 보조 블라인드 편은 상기 우드 블라인드가 개방 및/또는 폐쇄 상태에서 상측은 상부 슬랫의 하면에 밀착하고, 하측은 하부 슬랫의 상면에 밀착되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수의 슬랫의 상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동력부의 동력을 이용해 다수의 슬랫을 조절끈으로 풀거나 감아 승강작동 시키는 작동체 등의 블라인드 부속품들은 나사 등의 체결부품을 통해 블라인드 상단의 메인프레임에 조립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블라인드의 전체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체결부품의 체결작업에 따라 제작이 번거로우며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블라인드를 설치 장소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의 경우 블라인드의 메인프레임 상단부에 나사 등의 체결부품으로 결합되거, 상기 메인프레임에 브래킷 구조가 일체화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블라인드의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브래킷의 위치변경이 쉽지 않아 시공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79088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라인드에서 다수의 슬랫을 작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동력부의 동력을 이용해 다수의 슬랫을 작동시키는 작동체 등의 블라인드 부속품들을 블라인드의 메인프레임에 단순 끼움에 의한 체결구조를 마련함에 따라 블라인드의 전체 구조를 단순화시켜 블라인드의 제작을 간편하게 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라인드를 설치 장소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을 블라인드의 메인프레임 상단부에 단순 끼움에 의해 체결되게 함에 따라 블라인드의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브래킷의 결합위치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되게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설치기능을 하며, 측방향 내부 상측에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1단턱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단턱의 안쪽으로 제1수용부를 갖고, 하향으로 일정간격 수평 배치된 다수의 슬랫이 마련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작동줄이 마련되고, 상기 작동줄의 조작을 통해 회전하는 구동축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되는 제1가이드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1가이드의 양단부에는 수직으로 상기 제1단턱의 안쪽에 걸리는 다수의 포스트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게 하고, 상기 다수의 슬랫에 제1조절끈 및 제2조절끈을 이용해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으로 상기 제1조절끈 및 제2조절끈이 풀리거나 감기면서 상기 다수의 슬랫의 차광기능을 위한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라인드의 전체 구조가 단순화되면서 블라인드의 제작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라인드의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브래킷의 결합위치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어 시공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에 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에 대한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2는 블라인드 중 메인프레임의 측면도, 도 3은 블라인드 중 작동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따른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블라인드(1)를 설치되게 하고 차광 기능의 다수의 슬랫(110)이 마련된 메인프레임(100); 작동줄(212)의 조작에 따라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0); 구동부(200)의 동력을 이용해 다수의 슬랫(110)의 차광기능을 위한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1)에 대한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블라인드(1)의 설치기능을 하며, 측방향 내부 상측에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1단턱(121)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단턱(121)의 안쪽으로 제1수용부(120)를 갖고, 하향으로 일정간격 수평 배치된 다수의 슬랫(110)이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슬랫(110)을 이용해 차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하향으로 일정간격 수평 배치되고, 작동체(300)의 제1조절끈(333) 및 제2조절끈(345)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히고,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 각도를 조절하여 차광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슬랫(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슬랫(110)은 우드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얇은 띠 형태의 판재를 수직 방향으로 일정간격 수평 배치시켜 마련하는데, 상기 다수의 슬랫(110)의 중앙에는 제1조절끈(333)이 관통되는 슬랫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슬랫홀(111)을 통해 제1조절끈(333)이 다수의 슬랫(110)을 관통하는 상태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슬랫(110)에 제1조절끈(333)의 끝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다수의 슬랫(110)이 제1조절끈(33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슬랫(110)은 제1조절끈(333)이 감기는 과정에서 상기 제1조절끈(333)이 고정된 최하단의 슬랫(110)이 상승하면 최하단 슬랫(110)의 상부에 위치한 다수의 슬랫(110)이 순차적으로 들어올리면서 접혀지는 작동을 하고, 상기 제1조절끈(333)이 풀리면 슬랫(110)의 자체 무게에 의해 제1조절끈(333)이 풀리는 길이에 대응하여 다수으이 슬랫(110)이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향 개구된 형태로 상기 개구된 측방향 상부 안쪽에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1단턱(121)이 형성되어 내부로 작동체(300)의 조립 공간을 제공하는 제1수용부(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수용부(120)는 동일 단면이 연속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이며, 상기 제1수용부(120)는 상향 개구부를 갖으면서 작동체(300)의 조립을 수행되게 하고, 상기 제1수용부(120)의 측방향으로 구동부(200) 및 마감캡(240)이 조립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수용부(120)의 상향 개구된 측방향 상부 안쪽에는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1단턱(121)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단턱(121)은 작동체(300)의 제1가이드(310)에 마련된 포스트(311)가 상기 제1단턱(121)의 안쪽으로 끼워져 걸릴 수 있는 높이로 마련되어 상기 작동체(300)를 제1수용부(120)의 내부에 단순 끼움 구조로 조립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제1단턱(121)의 상부에는 상기 제1단턱(121) 상부로 돌출된 제3단턱(140)의 간격에 의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121)과 제3단턱(140) 사이의 홈을 통해 외장패널(131)을 선택적으로 끼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제1수용부(120)의 외부 측방향 양측 길이방향으로 끼움 공간을 제공하여 블라인드(1)의 외장패널(131)을 끼움 구조로 조립되게 하는 제2단턱(1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단턱(130)은 제1수용부(120)의 외부 측방향에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제2단턱(130)은 상하 끝단에 직각 형태로 꺾이면서 상호 대향되어 돌출형성되어 내측에 외장패널(131)을 끼워 조립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단턱(130)의 홈을 이용해 외장패널(131)을 메인프레임(1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한다.
이때, 상기 외장패널(131)의 경우 판재 형태로 제작되는데, 블라인드(1)의 디자인적 요소로 다양한 패널, 색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제1수용부(120)의 상단 양측에 상향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상향 돌출된 측으로 브래킷(150)을 끼움 꾸조로 조립되게 하는 제3단턱(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3단턱(140)은 제1수용부(120)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단턱(121)의 상부에 대문자 T자 형태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의 제3단턱(140)이 각각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단턱(140)은 블라인드(1)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150)이 끼움 결합되는 단턱을 제공하며, 상기 브래킷(150)에 형성된 브래킷홈(151)이 상기 제3단턱(140)에 끼워지면서 상기 브래킷(150)을 메인프레임(100)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3단턱(140)을 통해 브래킷(15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블라인드(1)의 설치 위치에 대응한 위치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특징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3단턱(140)을 부가함에 따라 블라인드(1)를 설치 장소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150)을 블라인드(1)의 메인프레임(100) 상단부에 단순 끼움에 의해 체결되게 하여 블라인드(1)의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브래킷(150)의 결합위치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일측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작동줄(212)이 마련되고, 상기 작동줄(212)의 조작을 통해 회전하는 구동축(220)이 작동체(300)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부(200)는;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작동줄(212)이 마련되고, 상기 작동줄(212)의 회전력을 기어를 이용해 회전동력으로 전환시켜 제공하는 기어박스(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어박스(210)는 메인프레임(100)의 제1수용부(120) 일측방향으로 끼움 조립되는데, 상기 기어박스(210)의 내부에는 작동줄(212)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기어가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기어박스(210)의 일측에는 기어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축(211)이 일부 노출되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작동줄(212)은 기어박스(210)의 측방향으로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별도 풀리를 이용해 기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기어박스(21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작동줄(212)은 무한궤도 형태로 연속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작동줄(212)을 통해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블라인드(1)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생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기어박스(210)의 동력전달 측에 축 결합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어박스(210)의 동력을 작동체(300)에 전달하는 구동축(2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220)은 기어박스(210)의 기어축(211)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100)의 제1수용부(120) 내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작동체(300)에 축 결합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22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에 대응한 막대 형태의 축으로 제작되며, 상기 기어박스(210)의 회전동력을 작동체(300)에 전달시켜 상기 회전동력을 이용해 작동체(300)에 마련된 제1작동줄(212) 및 제2작동줄(212)이 선택적으로 풀리거나 감기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체(300)는;
상기 제1수용부(120)에 삽입되는 제1가이드(310)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1가이드(310)의 양단부에는 수직으로 상기 제1단턱(121)의 안쪽에 걸리는 다수의 포스트(311)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게 하고, 상기 다수의 슬랫(110)에 제1조절끈(333) 및 제2조절끈(345)을 이용해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부(20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으로 상기 제1조절끈(333) 및 제2조절끈(345)이 풀리거나 감기면서 상기 다수의 슬랫(110)의 차광기능을 위한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작동체(300)는; 다수의 포스트(311)를 이용해 제1수용부(120)의 내측 제1단턱(121)에 걸리면서 끼움 방식으로 작동체(300)를 조립되게 하고, 상기 다수의 포스트(311) 사이로 마련된 제2수용부(313)를 이용해 제2가이드(320), 내통체(330), 외통체(340)를 끼움 조립되게 하는 제1가이드(31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310)는 메인프레임(100)의 제1수용부(120) 특정 위치 안쪽으로 삽입되는데, 상기 제1가이드(310)는 판체의 각 모서리 측에 상부로 돌출된 4개의 포스트(311)가 각각 형성된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포스트(311)는 메인프레임(100)의 제1수용부(120)에 제1가이드(310)가 삽입되면 상기 포스트(311)의 상단면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제1단턱(121) 안쪽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이때, 상기 포스트(311)는 포스트(311) 사이로 제2가이드(320), 내통체(330), 외통체(340)를 끼움 조립하기 위한 제2수용부(313)가 상향 개구된 라운드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310)의 포스트(311) 상단부가 메인프레임(100)의 제1단턱(121) 안쪽에 걸리면서 고정되는 구조로 상기 제1가이드(310)를 이용해 작동체(300)를 메인프레임(100)에 끼움 조립되게 한다.
상기 제1가이드(310)의 저면에는 내통체(330)에 연결된 제1조절끈(333) 및 외통체(340)에 연결된 제2조절끈(345)이 관통 삽입되면서 다수의 슬랫(110) 측으로 연결되게 하는 제1통홀(3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홀(312)은 제1조절끈(333) 및 제2조절끈(345)이 간섭 없이 관통되는 구멍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310)는, 제2수용부(313)의 일측으로 제2가이드(320)를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게 하는 제1돌부(314); 및 상기 제1돌부(314)의 대향된 제2수용부(313)에 외통체(340)를 걸림 방식으로 끼움 조립되게 하는 제2돌부(3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돌부(314)는, 제2수용부(313)의 한쪽에 위치한 한 쌍의 포스트(311)에 직각의 돌기가 대칭 형태로 각각 형성되어 마련되는데, 상기 제1돌부(314)에 의한 끼움 공간을 통해 제2가이드(320)의 측판(321)이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게 한다.
상기 제2돌부(315)는, 상기 제1돌부(314)가 형성된 반대쪽 제2수용부(313)의 한 쌍의 포스트(311)에 내측 상부에 외통체(340)가 걸릴 수 있는 위치로 라운드형의 돌기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부(313)에 외통체(340)가 삽입되면 상기 제2돌부(315)에 걸려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제2돌부(315)를 통해 외통체(340)를 끼움방식으로 조립되게 한다.
특징적으로 본 발명은 제1돌부(314)를 통해 제2가이드(32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상기 제2돌부(315)를 통해 원통 형태의 외통체(340)를 끼움 방식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나사 등에 의한 체결부품이 필요 없어 제작이 간편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작동체(300)는; 상기 제2수용부(313)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는데, 제1나선부(322a)를 이용해 내통체(330)를 나선회전으로 전후 이동되게 지지하는 제2가이드(32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가이드(320)는, 제2수용부(313)의 제1돌부(314)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져 상기 제2가이드(320)를 제1가이드(310)에 조립되게 하는 측판(321); 및,
상기 측판(321)의 중앙으로 관통홀로 형성되면서 내주에 제1나선부(322a)를 갖는 가이드홀(32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판(321)은, 제1가이드(310)의 제1돌부(314)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는 판체로 제작되며, 상기 측판(321)을 이용해 내통체(330), 외통체(340)를 제2가이드(320)가 지지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홀(322)은, 상기 측판(321)의 중앙에 관형으로 관통 구멍을 갖으면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322)의 내주로 내통체(330)가 나선결합되는 제1나선부(322a)가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나선부(322a)를 통해 조립되는 내통체(330)를 지지하면서 나선에 의한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322)의 하부에는 제1조절끈(333)을 제1가이드(310) 측으로 관통 삽입되게 하는 제2통홀(322b)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홀(322b)은 제1조절끈(333)에 간섭이 없는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320)의 측판(321) 한쪽 하부에는 임의 간격으로 서로 대향된 돌출판 형태의 제3스토퍼(324)가 형성되고, 상기 제3스토퍼(324)는 외통체(340)의 탄성체(344)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더불어, 상기 제2가이드(320)는, 내통체(330)가 제2가이드(320)에 인접하게 이동하면 상기 내통체(330)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상기 내통체(330)의 회전측에 걸림 기능을 하는 제1스토퍼(3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스토퍼(323)는, 내통체(330)가 전후 이동하는 측의 한쪽에 내통체(330)가 제2가이드(320)에 최대한 인접하게 이동하면 상기 내통체(330)가 걸릴 수 있도록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스토퍼(323)를 통해 내통체(330)가 무리하게 제2가이드(320) 측으로 회전하여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작동체(300)는; 상기 제1나선부(322a)에 제2나선부(331)를 이용해 나선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320)를 통해 제1가이드(310)에 끼움 조립되는데, 상기 제2가이드(320)에 결합된 측으로 제1조절끈(333)이 연결되고, 상기 제1나선부(322a)와 제2나선부(331)의 나선회전에 의한 전후 이동 중 상기 제1조절끈(333)이 상기 제2나선부(331)에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 공간을 제공하는 내통체(33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내통체(330)는 제2가이드(320)의 가이드홀(322)에 관통삽입되어 조립되는데, 상기 내통체(330)는 중공의 관체로 제작되어 상기 제2가이드(320)에 조립되면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내통체(330)의 한쪽 일측에는 제1조절끈(333)이 내통체(330)에 고정되는 제1끈홀(3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끈홀(332)은 상기 제1조절끈(333)이 내통체(330)의 안쪽으로 매듭을 이용해 고정되면서 상기 제1조절끈(333)의 일단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내통체(330)는, 제1나선부(322a)에 나선결합되고, 상기 제1나선부(322a)를 통해 나선회전으로 전후 이동 중에 외주에 제1조절끈(333)이 감기거나 풀리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나선부(331) 및,
상기 제2나선부(331)의 외주 일측으로 외통체(340)의 키(342)가 결합되어 회전력을 내통체(330)에 전달되게 하는 키홈(334);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나선부(331)는, 내통체(330)의 외주에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나선부(331)를 통해 상기 내통체(330)를 제2가이드(320)의 제1나선부(322a)에 나선체결로 조립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2나선부(331)는 제2가이드(320)의 제1나선부(322a)에 나선결합되면 상기 제1나선부(322a)를 따라서 나선회전하는 제2나선부(331)의 외주에 제1끈홀(332)을 통해 연결된 제1조절끈(333)이 감기도록 하고, 상기 내통체(330)가 전후 이동하는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1조절끈(333)이 제2나선부(331)에 감기거나 풀린다.
상기 키홈(334)은, 내통체(330)의 외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이며, 외통체(340)에 형성된 키(342)가 상기 키홈(334)에 삽입되면서 상기 외통체(340)의 회전력을 상기 내통체(330)에 전달시키는 기능을 한다.
더불어, 상기 내통체(330)는, 제2가이드(320)에 인접하게 이동하면 상기 제2가이드(320)에 형성된 제1스토퍼(323)에 걸리면서 회전을 억제하는 제2스토퍼(33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스토퍼(335)는 제1가이드(310)에 조립되는 측 외주 일측에 돌기 형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내통체(330)가 제1가이드(310) 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스토퍼(335)가 제1가이드(310)의 제1스토퍼(323)에 걸리면서 상기 내통체(330)의 회전을 억제하면서 제1가이드(310) 측으로 내통체(330)가 무리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작동체(300)는; 상기 내통체(33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수용부(313)에 끼움 조립되는데,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20)에 연결되면서 회전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통해 상기 내통체(330)의 회전조작을 선택적 수행되게 하는 외통체(3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통체(340)는, 내통체(330)에 끼워지며, 구동부(200)의 구동축(220)이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축(220)의 동력이 전달되는 축부(341);
상기 축부(341)의 내부로 내통체(330)에 키홈(334)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통체(330)에 구동축(220)의 동력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키(342); 및,
상기 축부(341)의 전단부 외주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310)의 제2수용부(313) 내측에 지지되어 끼움 결합을 유도하는 지지돌부(343);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축부(341)는, 일단에 구동축(220)이 축 결합되는 축홀(341a)이 형성된 원통체로 제작되며, 상기 축부(341)는 내통체(330)의 제2나선부(331)가 형성된 외측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축부(341)의 키(342)와 내통체(330)의 키홈(334)의 연결 구조에 따라 외통체(340)를 내통체(330)에 조립되게 한다.
이때, 상기 축부(341)는 상기 축홀(341a)에 구동부(200)의 구동축(220)이 축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220)의 회전력이 축부(341)를 통해 내통체(330)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의 작동줄(212)의 조작에 따라 상기 내통체(330)에서 제1조절끈(333)이 선택적으로 풀리거나 감기도록 한다.
상기 키(342)는, 상기 축부(341)의 내주 일측에 내통체(330)의 키홈(334)에 대응한 위치로 형성되는데, 상기 키(342)가 키홈(334)에 끼워지는 구조로 상기 외통체(340)가 내통체(330)에 지지되면서 조립되고, 상기 외통체(340)의 회전력을 내통체(330)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돌부(343)는, 축부(341)의 한쪽 외주 둘레에 돌출 형성되면서 외통체(340)가 제1가이드(310)에 조립되면 상기 지지돌부(343)가 제1가이드(310)의 제2돌부(315) 안쪽에 지지되어 외통체(340), 내통체(330), 제2가이드(320)가 제1가이드(310)에 고정되게 한다.
더불어, 상기 외통체(340)는, 제2조절끈(345)이 연결되는 탄성체(344)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344)는 지지돌부(343)가 형성된 측 외주에 끼움 결합되는데, 한 쌍의 제2조절끈(345)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제2끈홀(344a)이 서로 대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끈홀(344a)에 제2조절끈(345)이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제2조절끈(345)을 제1가이드(310)이 제1통홀(312)을 통해 슬랫(110)에 연결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제2조절끈(345)의 경우 상기 탄성체(344)의 한 쌍의 제2끈홀(344a)에 각각 연결되면서 다수의 슬랫(110) 양측단부에 수직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슬랫(110) 양측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탄성체(344)가 외통체(340)의 회전에 대응하여 특정 각도만큼(탄성체(344)가 제3스토퍼(324)에 지지되는 간격) 회전하면 상기 한 쌍의 제2조절끈(345)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상하 움직이면서 상기 슬랫(110)의 수평각도를 조절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를 도 4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블라인드 중 슬랫의 측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블라인드(1) 중 상기 슬랫(110)은; 제2조절끈(345)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다수의 슬랫(110) 사이의 공간이 닫히면 다수의 슬랫(110)이 서로 맞닿는 면접부(113)를 갖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면접부(113)는 다수의 슬랫(110)이 제2조절끈(345)에 의해 한쪽 지점이 올려지면서 기울어져 다수의 슬랫(110) 사이의 간격인 공간이 닫히면서 상기 다수의 슬랫(110)이 서로 맞닿는 부분이며, 상기 다수의 슬랫(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면접부(113)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면접부(113)를 통해 다수의 슬랫(110) 사이의 공간이 닫히면서 슬랫(110)의 폐쇄 동작을 유도하면 다수의 슬랫(110) 사이로 빈틈이 없어 빛의 유입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랫(110)은; 다수의 슬랫(110) 사이의 공간이 상기 면접부(113)를 통해 닫히면, 상기 면접부(113)에 자기력을 적용시켜 자기력을 이용해 상기 다수의 슬랫(110)이 부착방식으로 닫히게 하는 자성체(1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성체(114)는 자석의 일종으로 상기 면접부(113)에 띠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의 슬랫(110)이 닫히면 상기 자성체(114)가 면접부(113)를 통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맞닿으면서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상기 자성체(114)의 자기력을 이용해 다수의 슬랫(110)을 부착방식으로 닫히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블라인드 100; 메인프레임
110; 슬랫 120; 제1수용부
130; 제2단턱 140; 제3단턱
200; 구동부 210; 기어박스
220; 구동축 240; 마감캡
300; 작동체 310; 제1가이드
320; 제2가이드 330; 내통체
340; 외통체

Claims (5)

  1. 블라인드(1)의 설치기능을 하며, 측방향 내부 상측에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1단턱(121)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단턱(121)의 안쪽으로 제1수용부(120)를 갖고, 하향으로 일정간격 수평 배치된 다수의 슬랫(110)이 마련된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일측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작동줄(212)이 마련되고, 상기 작동줄(212)의 조작을 통해 회전하는 구동축(220)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0)와;
    상기 제1수용부(120)에 삽입되는 제1가이드(310)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1가이드(310)의 양단부에는 수직으로 상기 제1단턱(121)의 안쪽에 걸리는 다수의 포스트(311)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게 하고, 상기 다수의 슬랫(110)에 제1조절끈(333) 및 제2조절끈(345)을 이용해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부(20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으로 상기 제1조절끈(333) 및 제2조절끈(345)이 풀리거나 감기면서 상기 다수의 슬랫(110)의 차광기능을 위한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하향으로 일정간격 수평 배치되고, 작동체(300)의 제1조절끈(333) 및 제2조절끈(345)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히고,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 각도를 조절하여 차광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슬랫(1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향 개구된 형태로 상기 개구된 측방향 상부 안쪽에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1단턱(121)이 형성되어 내부로 작동체(300)의 끼움 조립 공간을 제공하는 제1수용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제1수용부(120)의 상단 양측에 상향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상향 돌출된 측으로 브래킷(150)이 끼움 구조로 조립되게 하는 제3단턱(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체(300)는 다수의 포스트(311)를 이용해 제1수용부(120)의 내측 제1단턱(121)에 걸리면서 끼움 방식으로 작동체(300)를 조립되게 하는 제1가이드(310);
    상기 제1가이드(310)에 형성되는 제2수용부(313)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는데, 제1나선부(322a)를 이용해 내통체(330)를 나선회전으로 전후 이동되게 지지하는 제2가이드(320);
    상기 제1나선부(322a)에 제2나선부(331)를 이용해 나선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320)를 통해 제1가이드(310)에 끼움 조립되는데, 상기 제2가이드(320)에 결합된 측으로 제1조절끈(333)이 연결되고, 상기 제1나선부(322a)와 제2나선부(331)의 나선회전에 의한 전후 이동 중 상기 제1조절끈(333)이 상기 제2나선부(331)에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 공간을 제공하는 내통체(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제1수용부(120)의 외부 측방향 양측 길이방향으로 끼움 공간을 제공하여 블라인드(1)의 외장패널(131)을 끼움 구조로 조립되게 하는 제2단턱(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310)는 제2수용부(313)의 한 쌍의 포스트(311) 내측 상부에 외통체(340)가 걸릴 수 있는 위치로 라운드형의 돌기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통체(340)를 걸림 방식으로 끼움 조립되게 하는 제2돌부(3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랫(110)은 제2조절끈(345)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다수의 슬랫(110) 사이의 공간이 닫히면 다수의 슬랫(110)이 서로 맞닿는 면접부(113)를 갖고,
    상기 면접부(113)에 자기력을 이용해 상기 다수의 슬랫(110)이 부착방식으로 닫히게 하는 자성체(114)를 더 포함한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43419A 2020-10-30 2020-10-30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KR102259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419A KR102259305B1 (ko) 2020-10-30 2020-10-30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419A KR102259305B1 (ko) 2020-10-30 2020-10-30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305B1 true KR102259305B1 (ko) 2021-06-01

Family

ID=7637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419A KR102259305B1 (ko) 2020-10-30 2020-10-30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3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137Y1 (ko) * 2004-02-11 2004-04-30 이유백 롤 블라인드의 브래킷
KR101620606B1 (ko) * 2015-01-13 2016-05-12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블라인드용 슬래트 정렬장치
KR102079088B1 (ko) 2018-07-27 2020-04-07 우드뱅크 주식회사 차단성이 강화된 우드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137Y1 (ko) * 2004-02-11 2004-04-30 이유백 롤 블라인드의 브래킷
KR101620606B1 (ko) * 2015-01-13 2016-05-12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블라인드용 슬래트 정렬장치
KR102079088B1 (ko) 2018-07-27 2020-04-07 우드뱅크 주식회사 차단성이 강화된 우드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270B2 (en) Lift lock for blind
US7267156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US10711517B2 (en) Lifting device of cordless covering
AU2005203064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US20090223641A1 (en) Cordless Roller Shade
US20050155720A1 (en) Roman shade capable of adjusting light transmittance
CN113585945A (zh) 一种可伸缩百叶窗及其使用方法
US20220136324A1 (en)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feature having a bottom rail leveling mechanism
US20150211292A1 (en) Window blind
US6766846B2 (en) Electric blind
KR102259305B1 (ko) 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KR20110011573U (ko) 허니컴 쉐이드
US7308927B2 (en) Window blind system
KR101109136B1 (ko) 롤 블라인드
JP2004143753A (ja) ブラインド内蔵複層ガラス
KR102672248B1 (ko) 가감속 유닛이 구비된 롤방충망
KR102347603B1 (ko) 방충망을 갖는 전동 블라인드 기구
JP6479413B2 (ja) 昇降コード支持装置及び遮蔽装置
AU2006220376B2 (en) Draw cord arrangement
KR102028024B1 (ko) 멀티 블라인드용 헤드레일 조립체
JPH0520873Y2 (ko)
JPH0524795Y2 (ko)
KR200349164Y1 (ko) 버티컬 블라인드
WO2002095177A1 (en) Mechanism for window shade
JPH037735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