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164Y1 - 버티컬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버티컬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164Y1
KR200349164Y1 KR20-2004-0004143U KR20040004143U KR200349164Y1 KR 200349164 Y1 KR200349164 Y1 KR 200349164Y1 KR 20040004143 U KR20040004143 U KR 20040004143U KR 200349164 Y1 KR200349164 Y1 KR 200349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rope
blind
wor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원
Original Assignee
(주) 코인씨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인씨앤엠 filed Critical (주) 코인씨앤엠
Priority to KR20-2004-0004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2Travellers; Lamellae suspension stems
    • E06B9/364Operating mechanisms there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7Lamellae suspensions ; Bottom weights; Bottom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울러와 로프조절장치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고장이 잘 나지 않고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간격유지바아가 캐리어에서 잘 이탈하지 않으며, 로프가 프레임의 내부에서 끊어지더라도 수월하게 다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프레임, 회전축, 볼체인, 로프를 갖는 버티컬 블라인드에 있어서, 간격유지바아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과 기어결합하는 워엄휘일과, 상기 워엄휘일에 기어결합하는 워엄과, 상기 워엄에 장착되며 블라인드를 고정하는 블라인드고정부를 갖는 피동캐리어와; 상기 피동캐리어를 상기 간격유지바아를 이용하여 구동시키는 구동캐리어;를 갖는 버티컬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티컬 블라인드{Vertical blinds}
본 고안은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울러와 로프조절장치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고장이 잘 나지 않고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간격유지바아가 캐리어에서 잘 이탈하지 않으며, 로프가 프레임의 내부에서 끊어지더라도 수월하게 다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은 통상 투명한 유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실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또한 햇빛이 직접 비추기 때문에 하절기 등의 밝은 대낮에는 직사광선에 의하여 실내온도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하여 가정에서는 창문에는 커튼을 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고층건물에서는 잘 파손되지 않는 원단으로 제조되는 버티컬 블라인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버티컬 블라인드는 측면에 조정손잡이가 달려 있어서 용이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도 6은 종래 버티컬 블라인드에 사용되는 캐리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캐리어는 캐리어몸체와 워엄, 워엄휘일, 블라인드고정부, 로울러 그리고 간격유지바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 버티컬 블라인드의 작동을 설명하면, 창문 등을 차폐하고자 할경우 로프(미도시)를 조작하여 블라인드를 창문의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로프는, 로울러를 사용하여 프레임(미도시)의 하부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개의 캐리어를 거쳐 조절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로프를 조절하면 캐리어의 상단부에 끼워지는 간격유지바아에 의해 각각의 캐리어가 간격을 유지하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캐리어가 이동하면서 캐리어의 블라인드고정부에 고정설치되는 블라인드가 이동하게되므로 창문 등이 차폐되는 것이다.
차폐된 창문 등에 유입되는 햇빛의 양을 조절할 경우 볼체인(미도시)을 조작하여 블라인드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다. 먼저 볼체인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과 결합되어있는 워엄휘일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워엄휘일의 회전으로 인해 워엄휘일에 기어결합된 워엄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워엄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워엄에 장착된 블라인드고정부 또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블라인드의 각도가 가변된다. 여기서, 워엄이 대략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180도 정도 회전하게 되면, 이 워엄의 기어가 워엄휘일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워엄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며 결국에는 블라인드도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블라인드의 회전에 따라 유입되는 햇빛의 양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버티컬 블라인드는, 캐리어가 로울러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로울러는, 단순히 캐리어의 면에서 돌출된 힌지를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것이어서 오래 사용하다 보면 로울러의 구멍이 헐거워져 힌지로부터 이탈하거나 돌출된 힌지가 부러지게 됨으로써 버티컬 블라인드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버티컬 블라인드는, 종종 캐리어의 상단에 끼워진 간격유지바아가 이탈하여 로프를 조절해도 캐리어가 이동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버티컬 블라인드는, 로프를 조절하여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따로 조절장치를 장착해야했으며, 로프가 프레임의 내부에서 끊어졌을 때 로프조정손잡이의 무게로 인해 끊어진 쪽의 로프가 흘러내려 다시 연결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로울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고장이 잘 나지 않고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버티컬 블라인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격유지바아가 캐리어에서 잘 이탈하지 않는 버티컬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절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로프가 프레임의 내부에서 끊어지더라도 수월하게 다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버티컬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부절개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동캐리어의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동캐리어의 일부절개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구동캐리어의 확대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휨방지부의 사시도,
도 6은 종래 버티컬 블라인드에 사용되는 캐리어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 프레임 4: 회전축 6: 로프
8: 볼체인 10: 피동캐리어 20: 워엄휘일
22: 돌기 30: 워엄 32: 블라인드고정부
40: 슬라이딩홈 50: 끼움돌기 60: 구동캐리어
62: 매듭부 70: 로프통과공 80: 휨방지부
82: 안내부재 84: 이동조절구 90: 간격유지바아
100: 종래 캐리어 110: 워엄휘일 120: 워엄
122: 블라인드고정부 130: 로울러 140: 간격유지바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프레임, 회전축, 볼체인, 로프를 갖는 버티컬 블라인드에 있어서, 간격유지바아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과 기어결합하는 워엄휘일과, 상기 워엄휘일에 기어결합하는 워엄과, 상기 워엄에 장착되며 블라인드를 고정하는 블라인드고정부를 갖는 피동캐리어와; 상기 피동캐리어를 상기 간격유지바아를 이용하여 구동시키는 구동캐리어;를 갖는 버티컬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캐리어의 일측에는 로프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가 상기 로프통과공을 관통하는 상기 구동캐리어의 내부에는 상기 로프통과공의 크기보다 적어도 크게 로프매듭부가 형성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바아는 캐리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 말단부가 반원형으로 말려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라인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 블라인드의 무게가 한쪽으로 치우쳐 회전축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구동캐리어와 상기 피동캐리어의 역방향으로 휨방지부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로프에는 상기 휨방지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이동조절구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휨방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로프가 관통하는 2개의 통공을 가지며, 상기 이동조절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조절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안내부재의 통공은 서로 높낮이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동캐리어와 상기 구동캐리어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는 슬라이딩홈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부절개사시도이다. 도 1에는 피동캐리어가 1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통상적으로 버티컬 블라인드에 사용되는 캐리어는 복수개이므로 나머지 피동캐리어는 생략한 것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2)의 내부에는, 회전축(4)이 피동캐리어(10)와 구동캐리어(60) 그리고 휨방지부(80)를 관통하고 있으며, 로프(6)가 피동캐리어(10)를 거쳐 구동캐리어(60)와 휨방지부(80)를 관통하고 있다. 여기서, 구동캐리어(60) 내부에 위치한 로프(6)는 매듭부(62)를 형성하고 있으며, 휨방지부(80)를 관통하여 지나간 로프(6)의 일측에는 이동조절구(84)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캐리어(60)의 상단에 간격유지바아(90)의 일측이 장착되어 있으며, 간격유지바아(90)의 타측은 반원형으로 둥글게 말려서 피동캐리어(1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동캐리어(10)의 상단에도 간격유지바아(90)의 일측이 장착되며, 간격유지바아(90)의 타측 또한 반원형으로 둥글게 말려서(미도시) 다른 피동캐리어(10)의 상단에 장착된다. 그리고 피동캐리어(10)와 구동캐리어(60), 휨방지부(80)의 하단에는 프레임(2)의 하부면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홈(40)이 형성되어 있으며, 피동캐리어(10)와 구동캐리어(60)의 하부에는 블라인드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동캐리어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워엄휘일(20)이 피동캐리어(10)의 통공에 장착되어 있으며 그에 인접하여 워엄(30)이 워엄휘일(20)에 기어결합되어 있다. 워엄휘일(20)에는 비원형의 회전축(4)이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22)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피동캐리어(10)의 하부에는 워엄(30)의 하부에 장착된 블라인드고정부(32)가 위치하고, 피동캐리어(10)의 상단 일측에는 끼움돌기(50)가 형성되어 간격유지바아(90)가 끼워지며, 간격유지바아(90)의 일측 말단부는 반원형으로 둥글게 말려있다. 그리고 피동캐리어(10)의 하부에는 프레임(2)의 하부면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40)이 형성되어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동캐리어의 일부절개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피동캐리어(10)의 내부에는 워엄휘일(20)과 워엄(30)이 기어결합되어 있다. 워엄휘일(20)의 통공에는 비원형의 회전축(4)이 결합할 수 있도록 돌기(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워엄(30)의 하부에는 블라인드고정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동캐리어(10)의 상단 일측에는 끼움돌기(50)가 형성되어 있고, 피동캐리어(10)의 하부에는 슬라이딩홈(4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구동캐리어의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피동캐리어(10)와 같이 워엄휘일(20)이 구동캐리어(60)의 통공에 장착되어 있으며 그에 인접하여 워엄(30)이 워엄휘일(20)에 기어결합되어 있다. 워엄휘일(20)에는 비원형의 회전축(4)이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22)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구동캐리어(60)의 하부에는 워엄(30)의 하부에 장착된 블라인드고정부(32)가 위치하고, 구동캐리어(60)의 상단 일측에는 끼움돌기(50)가 형성되어 간격유지바아(90)가 끼워지며, 구동캐리어(60)의 상단 타측에는 로프통과공(70)이 형성된다. 간격유지바아(90)의 일측 말단부는 반원형으로 둥글게 말려있다. 그리고 구동캐리어(60)의 하부에는 프레임(2)의 하부면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40)이 형성되어있다.
여기서, 구동캐리어의 일부절개사시도는 도 3에 도시된 피동캐리어의 일부절개사시도와 거의 유사하며, 도 4와 도 3만으로도 충분히 설명이 가능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휨방지부의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구동캐리어(60)와 같이 휨방지부(80)의 상단 일측에는 끼움돌기(50)가 형성되며, 휨방지부(80)의 상단 타측에는 로프통과공(70)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부재(82)는 서로 높낮이가 다른 두개의 통공을 가지며, 상기 통공이 로프통과공(70)과 마주보도록 휨방지부(80)의 상단에 장착된다. 그리고 휨방지부(80)의 하부에는 프레임(2)의 하부면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40)이 형성되어있다.
여기서, 휨방지부의 일부절개사시도는 도 3에 도시된 피동캐리어의 일부절개사시도와 거의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의 작용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햇빛을 완전하게 차단하고자 할 경우, 블라인드를 창문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로프(6)를 조작하게 된다. 즉, 로프(6)를 당기면 구동캐리어(60) 내부의 로프매듭부(62)에 의해 구동캐리어(60)가 회전축(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구동캐리어(60)의 상단에 끼워져있는 간격유지바아(90)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구동캐리어(60)와 피동캐리어(10)의 간격이 일정거리로 이격되면 구동캐리어(60) 상단에 끼워진 간격유지바아(90)의 반원형상의 일측말단이 피동캐리어(10)의 상단에 위치한 끼움돌기(50)에 걸리게 되어 피동캐리어(10)를 같이 이동시키게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복수개의 피동캐리어(10) 또한 상기에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일정거리를 유지한채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캐리어가 이동하면서 캐리어의 블라인드고정부(32)에 고정설치되는 블라인드가 이동하게되므로 햇빛이 차단되는 것이다.
여기서, 버티컬 블라인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무게가 버티컬 블라인드의 일측에 몰리게 되므로 타측쪽의 회전축(4)이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버티컬 블라인드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휨방지부(80)가 구동캐리어(60)와 타측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여 회전축(4)의 휘임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로프(6)를 작동하여 구동캐리어(60)가 타측으로 이동하면 구동캐리어(60)의 일측면과 휨방지부(80)의 타측면이 맞닿게 되어 밀게 되므로 휨방지부(80) 또한 타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프(6)에 장착된 이동조절구(84)는 휨방지부(80)과 휨방지부(80)에 장착된 안내부재(82)를 자유롭게 통과하여 휨방지부(80)가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창문 등을 차폐하고자 블라인드를 이동시킬때에는 안내부재(82)에 형성된 높낮이가 다른 통공 중 로프통과공(70)의 크기와 같거나 큰 통공을 통하여 이동하기 때문이다.
버티컬 블라인드를 사용한 후 창문 등을 차폐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반대로 동작한다. 즉, 로프(6)를 당기면 구동캐리어(60) 내부의 로프매듭부(62)가 아까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구동캐리어(60)와 구동캐리어(60)의 상단에 끼워져있는 간격유지바아(90)도 움직이게 되는데, 구동캐리어(60)의 간격유지바아(90)는 피동캐리어(10)의 간격유지바아(9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구동캐리어(60)의 일측면이 피동캐리어(10)의 타측면에 맞닿게 되어 밀게 되므로 피동캐리어(10)는 구동캐리어(60)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이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복수개의 피동캐리어 또한 상기에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순차적인 이동을 보여주게 된다.
여기서 로프매듭부(62)에 의해 구동캐리어(60)와 피동캐리어(10)는 일측으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휨방지부(80)의 경우에는 따로 떨어져 있게 된다. 그러나, 구동캐리어(60)와 휨방지부(80)가 일정간격으로 멀어지게 되면 로프(6)에 장착된 이동조절구(84)가 휨방지부(80)를 밀게 되어 구동캐리어(60) 등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 이는, 창문 등을 차폐하고자 블라인드를 이동시킬 때와는 다르게 이동조절구(84)가 안내부재(82)에 형성된 높낮이가 다른 통공 중 로프통과공(70)의 크기보다 작은 통공과 만나게 되어 이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차폐된 창문 등에 유입되는 햇빛의 양을 조절할 경우는 종래의 버티컬 블라인드와 작동방식이 같지만, 이해를 돕기위해 본 고안의 도면에 비추어 설명하고자 한다. 볼체인(8)을 당기게되면 볼체인(8)이 당겨지는 방향에 따라 회전축(4)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4)과 결합되어있는 워엄휘일(20)은 회전축(4)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워엄휘일(20)의 회전으로 인해 워엄휘일(20)에 기어결합된 워엄(30)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같이 워엄(3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워엄(30)에 장착된 블라인드고정부(32) 또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블라인드의 각도가 가변된다. 여기서, 워엄(30)이 대략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180도 정도 회전하게 되면, 이 워엄(30)의 기어가 워엄휘일(20)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워엄(30)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며 결국에는 블라인드도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블라인드의 회전에 따라 유입되는 햇빛의 양이 조절되는 것이다.
여기서, 피동캐리어와 구동캐리어, 휨방지부의 이동은 로프매듭부와 회전축만을 이용해도 가능하지만,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고 안정적으로 사용하는데에는 슬라이딩홈을 형성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사용되는 캐리어는 피동캐리어 대신 구동캐리어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휨방지부는, 휨방지부와 안내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캐리어를 이용하여 안내부재를 삽입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제작비용을 절감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1개의 이동조절구를 이용하여 버티컬 블라인드의 차폐동작에 따라 휨방지부를 이동시켜 회전축이 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이동조절구가 통과하지 못하는 휨방지부의 로프통과공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이동조절구를 설치, 즉 회전축이 휘어질 수 있는 부분에 휨방지부를 일측 로프에 고정시켜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는, 로울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고장이 잘 나지 않고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는, 간격유지바아가 캐리어에서 잘 이탈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는, 조절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로프가 프레임의 내부에서 끊어지더라도수월하게 다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프레임, 회전축, 볼체인, 로프를 갖는 버티컬 블라인드에 있어서,
    간격유지바아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과 기어결합하는 워엄휘일과,
    상기 워엄휘일에 기어결합하는 워엄과, 상기 워엄에 장착되며 블라인드를 고정하는 블라인드고정부를 갖는 피동캐리어와;
    상기 피동캐리어를 상기 간격유지바아를 이용하여 구동시키는 구동캐리어;를 갖는 버티컬 블라인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캐리어의 일측에는 로프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가 상기 로프통과공을 관통하는 상기 구동캐리어의 내부에는 상기 로프통과공의 크기보다 적어도 크게 로프매듭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바아의 일측 말단부가 반원형으로 말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캐리어와 상기 피동캐리어의 역방향으로 장착되는 휨방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에는 상기 휨방지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이동조절구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휨방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로프가 관통하는 2개의 통공을 가지며, 상기 이동조절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통공은 서로 높낮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캐리어와 상기 구동캐리어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는 슬라이딩홈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
KR20-2004-0004143U 2004-02-18 2004-02-18 버티컬 블라인드 KR200349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43U KR200349164Y1 (ko) 2004-02-18 2004-02-18 버티컬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43U KR200349164Y1 (ko) 2004-02-18 2004-02-18 버티컬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164Y1 true KR200349164Y1 (ko) 2004-04-29

Family

ID=4934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143U KR200349164Y1 (ko) 2004-02-18 2004-02-18 버티컬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1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261B2 (en) Adjustment mechanisms for shades
US7267156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US6786270B2 (en) Lift lock for blind
FI70978C (fi) Lamellgardin
KR100817245B1 (ko) 롤블라인드 버티컬
JP6228973B2 (ja) 2つのブラインド上部レールを有するブラインド
KR101048674B1 (ko) 롤 블라인드
KR200349164Y1 (ko) 버티컬 블라인드
KR100696370B1 (ko) 루버셔터
KR100673826B1 (ko)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JP2016172974A (ja) 縦型ブラインド
KR20220170304A (ko) 버티컬 블라인드 커튼
JP2009052243A (ja) ルーバー装置および建具
KR101109136B1 (ko) 롤 블라인드
KR20180111301A (ko) 롤 블라인드
JP2004143753A (ja) ブラインド内蔵複層ガラス
KR20160112238A (ko) 롤 블라인드용 웨이트 유닛장치
KR200310930Y1 (ko) 커튼 이동장치
KR200149324Y1 (ko) 복층유리내의 브라인드 구동장치
KR200325687Y1 (ko) 버티컬 블라인드의 캐리어 동력전달구조
KR200187439Y1 (ko) 차단막의 권취자동 조정장치
KR101340623B1 (ko) 블라인드 장치
KR100406400B1 (ko) 버티칼 블라인드
JPH10159467A (ja) ブラインドの操作機構
KR200176140Y1 (ko) 버티칼 브라인드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