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826B1 -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826B1
KR100673826B1 KR1020050081052A KR20050081052A KR100673826B1 KR 100673826 B1 KR100673826 B1 KR 100673826B1 KR 1020050081052 A KR1020050081052 A KR 1020050081052A KR 20050081052 A KR20050081052 A KR 20050081052A KR 100673826 B1 KR100673826 B1 KR 100673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opening
interior panel
pane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신
Original Assignee
조남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신 filed Critical 조남신
Priority to KR1020050081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8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 G09F7/10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and slideably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가이드레일이 상호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가이드수단과, 가이드레일에 등 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클러치와, 상기 회전클러치에 연결 설치되어 인테리어패널을 설치하는 패널고정수단과, 그 패널고정수단을 회동시켜 인테리어패널을 개폐하는 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건축물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는 상기 인테리어패널을 필요에 따라 루버형태로 개폐하거나, 또는, 그 루버형태로 개폐되는 각 패널의 개폐각도를 달리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커튼 형태로도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건축물의 외벽을 수시로 자유롭게 변화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건축물. 인테리어패널. 개폐장치. 회전클러치. 방향전환수단

Description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of interior panel for building outside wal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일 요부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클러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확대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확대 분해 사시도,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인테리어패널의 제1작용도로서, 도4a는 패널이 닫힌 상태이고, 도4b는 도4a의 회전클러치 작용도이며, 도4c는 도4a의 방향전환수단 작용도이다.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인테리어패널의 제2작용도로서, 도5a는 패널이 열린 상태이고, 도5b는 도5a의 회전클러치 작용도이며, 도5c는 도5a의 방향전환수단 작용도이다.
도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인테리어패널의 제3작용도로서, 도6a는 패널이 커튼 형태로 열린 상태이고, 도6b는 도6a의 회전클러치 작용도이며, 도6c는 도6a의 방향전환수단 작용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회전클러치인 제2회전체가 제1회전체를 통과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수단 11 : 가이드프레임
12 : 가이드레일 20 : 회전클러치
21 : 제1회전체 22 : 슬라이딩 홈
23 : 돌출부 24 : 축
25 : 제2회전체 26 : 가이드 홈
27 : 슬라이딩돌기 30 : 패널고정수단
31 : 회전 바 32 : 구멍
33 : 와이어 34 : 와이어권취모터
35 : 패널고정부재 36 : 인테리어패널
40 : 방향전환수단 41 : 웜기어
42 : 회전축 43 : 웜 나사
44 : 감속정역모터 W : 슬라이딩 홈의 폭
W' : 슬라이딩돌기 폭
본 발명은 유리창이 설치되지 않고 외장마감패널로만 마감 처리되는 각종 건 축물의 외벽에 그 건축물의 외관 미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다양한 디자인 연출과, 해당 벽면의 환기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각종 건축물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미를 창출하고 있으며, 그 건축물의 미를 창출하기 위한 일환으로 건물 외벽에 대리석이나 화강암등과 같은 석재패널을 고정구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석재패널 설치방법은, 규격화된 석재패널을 건축물외벽에 바둑판형태로 상호 연결 설치하는 방법이 대부분이고, 간혹 상기 석재패널 대신에 컬러화 된 세라믹패널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석재패널이나 세라믹패널을 이용한 바둑판형태로 상호 연결 설치된 건축물 외벽은 시공 초기에는 산뜻함과 깨끗함으로 인하여 호감을 얻을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나게 되면 시공 초기에 느끼던 산뜻함과 깨끗함 보다는 지루함과 단순함을 느끼게 되어 사람들의 시선이 외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래 건축물의 외벽에서 느껴지는 지루함과 단순함을 탈피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환기도 가능하게 한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건축물의 외 벽에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이 상호 마주보며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등 간격으로 일정폭만큼 절취된 가이드레일을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하여 된 가이드수단;
상기 가이드레일의 각 절취된 부분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제1회전체가 설치되고, 그 제1회전체에는 슬라이딩 홈에 끼워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된 제2회전체를 설치하여 된 회전클러치;
상기 제2회전체간에 회전 바가 연결 설치되고 그 회전 바의 양측에는 패널고정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패널고정부재의 상단에는 인테리어패널을 고정 설치하여 된 패널고정수단;
상기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일측 가이드프레임의 이면에 상기 제1회전체와 연동되게 축 결합되는 웜기어가 설치되고 그 웜기어가 설치된 가이드프레임의 일 측에는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는 웜 나사가 형성된 회전축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 끝단에는 감속정역모터를 설치하여 된 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를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가이드수단(10)인 가이드프레임(11)은, 콘크리트 타설된 건축물의 해당 외벽에 2개를 한조로 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프레임(11)이 일정간격 유지하며 상호 마주보게 나란히 설치된다. 단 상기 가이드프레임(11)은 상기 건축물의 해당 외벽에 이미 설 치된 고정프레임(도면미도시)에 브래킷을 이용한 볼트체결이거나 용접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1)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등 간격으로 일정폭만큼 절취된 가이드레일(12)을 가이드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레일(12)의 절취된 부분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회전클러치(20)의 제1회전체(21)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상호 마주보는 가이드프레임(11)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의 설치위치는 상호 일직선이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2)의 절취된 부분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의 형상이 원형인 제1회전체(21)가 설치되는데, 그 제1회전체(21)의 표면에는 슬라이딩 홈(22)이 형성되고, 그 슬라이딩 홈(22)은 해당면의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체(21)의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22)은 중앙부에 상기 가이드레일(12)을 높이 및 폭과 동일한 높이 및 폭을 갖는 돌출부(23)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3)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22)의 배열은, 상부는 넓고 그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역 사다리꼴 형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제2회전체(25)가 결합된 후 하부로 슬라이딩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제1회전체(21)의 슬라이딩 홈(22)에 끼워 결합되는 제2회전체(25)는,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홈(22)과 결합되는 면에는 중앙에 상기 돌출부(23)와 가이드레일(12)을 수용하는 가이드 홈(26) 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는 상기 슬라이딩 홈(22)에 끼워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27)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슬라이딩돌기(27)의 배열은 상기 슬라이딩 홈(22)의 배열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2회전체(25)가 제1회전체(21)에 결합되면 더 이상 하부로는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회전체(21) 및 제2회전체(25)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22) 및 슬라이딩돌기(27)의 폭은 가이드레일(12)의 최상부에 설치된 제1회전체(21) 및 제2회전체(27)의 슬라이딩 홈(22) 및 슬라이딩돌기(27)의 폭이 가장 넓고 그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져 상기 가이드레일(12)의 최하부에 위치한 제2회전체(25)가 그 상부에 설치된 제1회전체(21)를 순차적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2회전체(25)간에는 회전 바(31)가 연결 설치되고 그 회전 바(31)의 양측에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고정부재(35)가 설치되며 상기 패널고정부재(35)의 상단에는 인테리어패널(36)이 고정 설치된다. 단, 상기 회전 바(31)는 패널고정부재(35)를 관통하며 그와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회전 바(31)가 회전하면 패널고정부재(35)도 같이 회전되고 그에 따라 패널고정부재(35)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인테리어패널(36)도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단, 상기 패널고정부재(35)에 설치되는 인테리어패널(36)은 10mm이하의 세라믹 박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그 이상의 패널을 사용해도 되고, 또, 합성수지패널, 목재패널, 석재패널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1)의 사이 최상단 및 최하단에는 양측으로 회전 휠(38,38a)이 설치된 회전축(37,37a)이 설치되고, 상기 각 회전 바(31)의 양측에는 구멍(32)이 천공되며 그 구멍(32)에는 와이어(33)를 삽입 설치하되, 그 와이어(33)를 상기 최상단 및 최하단에 위치한 회전축(37,37a)에 설치된 회전 휠(38,38a)에 권취하여 와인딩 되게 구성하고, 상기 최상단 및 최하단에 설치된 회전 축(37,37a) 중 어느 선택된 회전 축의 중앙부에는 체인스프라켓(39)이 설치되고, 그 체인스프라켓에는 체인을 설치하되 그 체인을 정역감속모터(34)의 체인스프라켓과 연결 설치하여 정역감속모터가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최하부의 패널고정수단(10)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상승하여 오픈되고, 상기 정역감속모터(34)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면 패널고정수단(10)이 내려와 원위치 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회전 바(31)의 구멍(32)을 관통하는 와이어(33)는 그 구멍(32)의 하단부분에 매듭(33a)을 형성하여 회전 바(31)가 설치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2)이 설치된 일측 가이드프레임(11)의 이면에는 도1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회전체(21)와 연동되게 축(24) 결합되는 웜기어(41)가 설치되고 그 웜기어(41)가 설치된 가이드프레임(11)의 일측에는 상기 웜기어(41)와 치합되는 웜 나사(43)가 형성된 회전축(42)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42)의 일측 끝단에는 감속정역모터(44)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웜기어(41)의 형태는 반원 이하의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원의 크기로 함이 좋다, 그 이유는 웜기어(41)가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기 때 문에 그 협소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웜 나사(43)가 형성된 회전축(42)은 웜기어(41)의 작동과 함께 정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데, 그 회전을 원활함과 안전한 지지를 위하여 베어링블럭 또는 고정브래킷(45)을 이용하여 가이드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에 대한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가 건축물의 외벽 목적하는 곳에 설치되어 인테리어패널(36)을 클로징 한 상태에 대하여 도4a 내지 도4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a와 같이 인테리어패널(36)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때의 회전클러치(20)인 제1회전체(21) 및 제2회전체(25)와 가이드레일(12)간의 각도는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80∼90ㅀ 회전된 상태이며, 웜기어(41)는 도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가 회전축(42)에 형성된 웜 나사(43)와 치합된 상태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인테리어패널(36)을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버개폐 방식으로 열기 위해서는 감속정역모터(44)를 정 방향으로 구동시켜 회전축(42)회전시키게 되면 웜 나사(43)가 회전되면서 도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웜기어(41)가 회전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클러치(20)인 제1회전체(21) 및 제2회전체(25)가 회전하면서 회전 바(31)가 회전하여 패널고정부재(35)를 회전시킴으로 인테리어패널(36)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클러치(20)인 제1회전체(21) 및 제2회전체(25)와 가이드레일(12)간의 각도는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직선을 유지하게 되며 웜기어(41)와 웜 나사(43)간의 치합부분은 도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4c의 반대부분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인테리어패널(36)을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튼개폐 방식으로 열기 위해서는 정역감속모터(34)를 구동시켜 와이어(33)를 회동시키게 되면 그 회동되는 와이어(33)에 의해 최하부에 위치한 제2회전체(25)에서부터 그 상부에 순차적으로 위치한 제2회전체(25)를 순차적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다.
단, 상기 제2회전체(25)가 순차적으로 들어 올려질 때에는 제1회전체(21)를 통과해야 하는데, 그 통과되는 원리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2)의 최상부에 설치된 제1회전체(21) 및 제2회전체(25)의 슬라이딩 홈(22) 및 슬라이딩돌기(27)의 폭(W,W')이 가장 넓고 그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회전체(25)가 제1회전체를 통과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한편, 상기 역 사다리꼴 형태의 슬라이딩 홈 및 슬라이딩돌기 배열 각도는 모두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체(25)가 순차적으로 들어 올려질 때의 제1회전체(21) 및 제2회전체(25)와 웜기어(41)의 위치는 도6b 및 도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5b 및 도5c의 위치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호 치합되는 웜기어(41)와 웜 나사(43)의 각 단위체별 치차 비율을 달리하게 되면 인테리어패널(36)의 개폐 각도를 각자 달리할 수 있음으로 다양한 디자인 연출은 물론, 문자 등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는 인테리어패널을 필요에 따라 루버형태로 개폐하거나, 또는, 그 루버형태로 개폐되는 각 패널의 개폐각도를 달리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커튼 형태로도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건축물의 외벽을 수시로 자유롭게 변화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 개폐장치를 극장 건축물의 창호에 설치하게 되면 극장의 영화 상영시에는 폐하고 극장의 영화상영이 끝나면 개하여 실내 환기 및 채광을 할 수 있음은 물론, 비상 상황시에는 피난구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건축물의 외벽에 한쌍의 가이드프레임이 상호 마주보며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등 간격으로 일정폭만큼 절취된 가이드레일을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하여 된 가이드수단;
    상기 가이드레일의 각 절취된 부분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제1회전체가 설치되고, 그 제1회전체에는 슬라이딩 홈에 끼워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된 제2회전체를 설치하여 된 회전클러치;
    상기 제2회전체간에 회전 바가 연결 설치되고 그 회전 바의 양측에는 패널고정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패널고정부재의 상단에는 인테리어패널을 고정 설치하여 된 패널고정수단;
    상기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일측 가이드프레임의 이면에 상기 제1회전체와 연동되게 축 결합되는 웜기어가 설치되고 그 웜기어가 설치된 가이드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는 웜 나사가 형성된 회전축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 끝단에는 감속정역모터를 설치하여 된 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 및 슬라이딩돌기는 양측으로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 및 슬라이딩돌 기의 배열은 상부는 넓고 그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역 사다리꼴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 및 슬라이딩돌기의 폭은 가이드레일의 최상부에 설치된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의 슬라이딩 홈 및 슬라이딩돌기의 폭이 가장 넓고 그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져 상기 가이드레일의 최하부에 위치한 제2회전체가 그 상부에 설치된 제1회전체를 순차적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사이 최상단 및 최하단에는 양측으로 회전 휠이 설치된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각 회전 바의 양측에는 구멍이 천공되며 그 구멍에는 와이어를 삽입 설치하되, 그 와이어를 상기 최상단 및 최하단에 설치된 회전 휠에 권취하여 와인딩 되게 구성하고, 상기 최상단 및 최하단에 설치된 회전 축 중 어느 선택된 회전 축의 중앙부에는 체인스프라켓이 설치되고, 그 체인스프라켓에는 체인을 설치하되 그 체인을 정역감속모터의 체인스프라켓과 연결 설치하여 정역감속모터가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최하부의 패널고정수단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상승하여 오픈되고, 상기 정역감속모터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면 패널고정수단이 내려와 원위치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치합되는 웜기어와 웜 나사의 각 단위체별 치차 비율을 달리하여 패널고정수단의 회전 각도를 달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웜기어는, 반원 이하의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KR1020050081052A 2005-09-01 2005-09-01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KR100673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052A KR100673826B1 (ko) 2005-09-01 2005-09-01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052A KR100673826B1 (ko) 2005-09-01 2005-09-01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826B1 true KR100673826B1 (ko) 2007-01-24

Family

ID=3801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052A KR100673826B1 (ko) 2005-09-01 2005-09-01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8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333B1 (ko) 2007-11-16 2008-01-15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차양장치
CN103334664A (zh) * 2013-07-04 2013-10-02 殷月伟 同轴杆直线往复运动驱动装置及汽车遮阳帘
KR101639706B1 (ko) * 2016-02-02 2016-07-14 주식회사 재현테크 이중 구조의 블레이드를 갖는 선박용 웨더 타이트 루버의 개폐구조물 및 이중 구조의 블레이드가 적용된 선박용 웨더 타이트 루버
CN110186138A (zh) * 2019-06-24 2019-08-30 福建农林大学 一种建筑物新风节能加湿装置
CN112196208A (zh) * 2020-10-20 2021-01-08 郭颂 一种外墙装饰铝单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171B1 (ko) * 1990-12-29 1993-11-24 주식회사 금성사 영상정보 검색방법
KR960004233Y1 (ko) * 1993-02-02 1996-05-23 산본기업 주식회사 건물 방화용 루우버 보드(Louver Board) 개폐장치
JPH11270037A (ja) 1998-03-23 1999-10-05 Shimizu Corp 建物のガラス壁面の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171B1 (ko) * 1990-12-29 1993-11-24 주식회사 금성사 영상정보 검색방법
KR960004233Y1 (ko) * 1993-02-02 1996-05-23 산본기업 주식회사 건물 방화용 루우버 보드(Louver Board) 개폐장치
JPH11270037A (ja) 1998-03-23 1999-10-05 Shimizu Corp 建物のガラス壁面の構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333B1 (ko) 2007-11-16 2008-01-15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차양장치
CN103334664A (zh) * 2013-07-04 2013-10-02 殷月伟 同轴杆直线往复运动驱动装置及汽车遮阳帘
CN103334664B (zh) * 2013-07-04 2015-09-09 殷月伟 同轴杆直线往复运动驱动装置及汽车遮阳帘
KR101639706B1 (ko) * 2016-02-02 2016-07-14 주식회사 재현테크 이중 구조의 블레이드를 갖는 선박용 웨더 타이트 루버의 개폐구조물 및 이중 구조의 블레이드가 적용된 선박용 웨더 타이트 루버
CN110186138A (zh) * 2019-06-24 2019-08-30 福建农林大学 一种建筑物新风节能加湿装置
CN112196208A (zh) * 2020-10-20 2021-01-08 郭颂 一种外墙装饰铝单板
CN112196208B (zh) * 2020-10-20 2021-11-09 山东沃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外墙装饰铝单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826B1 (ko)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US5839492A (en) Window apparatus with built in shading device
KR101048674B1 (ko) 롤 블라인드
KR101192170B1 (ko)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
JP4126380B1 (ja) 折り畳み式雨戸
JP2019505259A (ja) 調整可能なスパンを有する電気ハウジング装置
JP4814850B2 (ja) ルーバー装置および建具
KR100509343B1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US6957681B2 (en) Embedded type motorized blind device
KR20110122353A (ko) 하단에 개폐장치가 부착된 인터널블라인드
KR100673827B1 (ko)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JP2004143753A (ja) ブラインド内蔵複層ガラス
KR20110100843A (ko) 전동 슬라이드 갤러리 창을 포함한 구조물
TWI611091B (zh) 天窗式百葉窗簾
KR101109136B1 (ko) 롤 블라인드
JP4677321B2 (ja) 木製可動ルーバ
JP3098637U (ja) ルーバー装置とこれに用いるルーバー。
KR200307832Y1 (ko) 안전발코니 겸용 창호시스템
KR200340249Y1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200149324Y1 (ko) 복층유리내의 브라인드 구동장치
KR200355962Y1 (ko) 상.하 및 좌.우 개폐가 가능한 커튼
KR101750319B1 (ko) 출입구 자동 회전문 장치
KR200287075Y1 (ko) 이중 유리창
JP5253985B2 (ja) 屋内開口部通風構造
KR20070080459A (ko) 슬라이드형 커버가 구비된 조명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