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170B1 -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 - Google Patents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170B1
KR101192170B1 KR1020100058455A KR20100058455A KR101192170B1 KR 101192170 B1 KR101192170 B1 KR 101192170B1 KR 1020100058455 A KR1020100058455 A KR 1020100058455A KR 20100058455 A KR20100058455 A KR 20100058455A KR 101192170 B1 KR101192170 B1 KR 101192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ub
light emitting
windows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523A (ko
Inventor
이진복
Original Assignee
이진복
모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복, 모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진복
Priority to KR1020100058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17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46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continuous, e.g. closed lo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48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having teet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붙박이 창호에 비해 환기를 위한 투광창 개방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며, 특히 개방이나 닫힘 상태를 위한 투광창의 이동 거리가 종래에 비해 훨씬 짧아 개방이나 닫힘을 위한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구동모터에 의한 작동 시 전력 소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는, 사각 도어틀; 상호 이격되어 상기 도어틀 내에 설치되고 각각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통기공을 갖는 두 메인투광창; 상기 두 메인투광창 사이에 밀착 배열되고 상기 각 통기공과 비(非)일치되게 다수의 대응통기공을 갖는 서브투광창; 및 상기 두 메인투광창의 각 통기공과 상기 서브투광창의 각 대응통기공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투광창을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동작케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BUILT-IN WINDOW OF SLIDING TYPE}
본 발명은 붙박이 창호에 있어 3중 구조의 투광창 구조를 갖고, 특히 외측 두 투광창의 통기공과 가운데 위치한 투광창의 통기공이 서로 일치되게 하거나 비(非)일치되게 하여 실내외를 차단하거나 실내 환기를 가능케 한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에 관한 것이다.
붙박이 창호 중, 특히 실내 환기를 위하여 실내외 유통이 가능하도록 한 붙박이 창호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65636호(1999.10.20.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상하개폐가능한 붙박이 창호』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하단이 개방된 외부창틀 및 이 외부창틀의 안쪽 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내부지지틀을 가지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과,
상기 외부창틀의 상부부재에 내장되어 양단이 창틀의 좌우측 부재에 고정되는 제1지지축과,
상기 제1지지축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측 풀리와,
상기 좌우측 풀리 중 일측 풀리를 정역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좌우측 풀리를 연결하는 밸런서와,
상기 풀리들의 회동을 탄성 제어하도록 상기 제1지지축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양단이 지지축과 풀리에 고정되는 좌우측 비틀림 코일스프링과, 그리고
상기 좌우측 풀리에 차례로 권취되고 자유단이 창문프레임의 좌우측 부재 배면에 연결되는 좌우측 견인로우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동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하여 창문이 간단하게 승하강 됨에 따라 창문의 개폐가 편리하고 창문을 완전 개방할 수 있으므로 실내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도 줄일 수 있는 상하개폐가능한 붙박이 창호를 제공하고자 하고 있으나,
창문을 상하 개폐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특히 벽체에 시공하는데 있어서도 어려움이 있는 구조이다.
특히 붙박이 창호에 있어 창문의 크기가 설치 환경에 따라 다소 틀리겠지만, 통상 대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창문을 상하로 개폐하는데 있어서는 큰 동력을 갖는 모터 등이 요구될 수밖에 없고, 이를 벽체 또는 창틀 내에 매립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연결고리에 연결된 견인로우프 재질은 해당 공보에 기재되어 있지는 않으나, 통상 금속 와이어인 것을 감안한다면, 잦은 사용에 의해 늘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창문의 상하 개폐를 위한 작동 거리가 변경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풀리에 견인로우프가 감기게 될 때 풀리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감기는 등, 감김 동작이 일정치 않을 수 있어 이 또한 창문의 상하 개폐를 위한 작동 거리가 변경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는,
사각 도어틀;
상호 이격되어 상기 도어틀 내에 설치되고 각각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통기공을 갖는 두 메인투광창;
상기 두 메인투광창 사이에 밀착 배열되고 상기 각 통기공과 비(非)일치되게 다수의 대응통기공을 갖는 서브투광창; 및
상기 두 메인투광창의 각 통기공과 상기 서브투광창의 각 대응통기공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투광창을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동작케 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구현예로, 상기 서브투광창은 이의 각 대응통기공이 상기 두 메인투광창의 각 통기공과 상호 연결되기 위한 슬라이딩 거리만큼 상기 도어틀 내벽 단부(端部)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구현예로, 상기 도어틀은 좌우 내벽에 상기 서브투광창이 드나들게 되는 요입형 제1 및 제2 안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브투광창은 비(非)슬라이딩 시 우측단부가 상기 제2안착공간부에 진입되어 있고, 슬라이딩 시 좌측단부가 상기 제1안착공간부에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슬라이딩 전후 상태에서 상기 서브투광창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는 상기 각 메인투광창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와 상호 대응되게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는,
붙박이 창호에 있어 3중 구조의 투광창 구조를 갖되, 가운데 위치한 투광창을 좌우로 슬라이딩 동작케 하여 각 투광창에 형성된 통기공이 상호 일치되거나 비(非)일치되게 함으로서, 실내외를 차단하거나 실내 환기를 가능케 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의 일 예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평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의 다른 예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설치 상태 정면 구성도,
도 6은 도 4의 평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에서 제1 구현예의 구동수단을 나타낸 설치 상태 정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에서 제2 구현예의 구동수단을 나타낸 설치 상태 정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에서 제3 구현예의 구동수단을 나타낸 설치 상태 정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임의적으로 절단한 메인투광창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온전한 메인투광창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의 "A", 도 4의 "B" 와 "C", 도 7의 "D", 도 8의 "E", 도 9의 "F"는 각각 해당 영역에 대한 요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는,
크게 도어틀(10), 메인투광창(20), 서브투광창(30) 및 구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도어틀(1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수직프레임(11),
상기 제1수직프레임(11)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수직프레임(1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프레임(11, 12)의 상하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수평프레임(13, 14)
을 포함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의 사각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상기 각 프레임(11, 12, 13, 14)은 내측 양단부(兩端部)에 후술할 두 메인투광창(20) 외측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단턱부(1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투광창(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의 소음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외의 자연광(또는 조명광)이 실내로 투광되도록 하며, 나아가 조망(眺望)의 기능을 위한 것으로,
전후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도어틀(10) 내에 설치되고 각각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통기공(21)을 갖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두 메인투광창(20)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프레임(11, 12)과 상기 제1 및 제2 수평프레임(13, 14)에 의해 이루어진 상기 도어틀(10) 내부에 전후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서, 상기 두 메인투광창(20) 사이에 이격공간부(S)가 형성된다.
서브투광창(30)은
상기 두 메인투광창(20) 사이에 밀착 배열되고 상기 각 통기공(21)과 비(非)일치되게 다수의 대응통기공(3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서브투광창(30)은 상기 두 메인투광창(20) 사이에 형성된 상기 이격공간부(S) 내에 배열되되, 상기 두 메인투광창(20)과 상기 서브투광창(30)은 상호 간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호 밀착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브투광창(30)의 원활한 좌우 직선 슬라이딩 동작을 위하여 상기 서브투광창(30)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이들 모두에 롤링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투광창(20)의 각 통기공(21)과 상기 서브투광창(30)의 각 대응통기공(31)은 원형, 삼각이상의 다각형, 타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숫자, 문자, 도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예로, 건물명이나 상호 등을 표현하기 위한 문자나 도형 등을 각 투광창(20, 30)에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서브투광창(30)의 이동에 의해 상기한 문자나 도형 등이 일치되게 함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실내외 유통(공기 흐름 등) 기능은 물론, 건물명이나 상호 등의 노출 및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구동수단(40)은
상기 두 메인투광창(20)의 각 통기공(21)과 상기 서브투광창(30)의 각 대응통기공(31)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투광창(30)을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동작케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구현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각 구현예의 구동수단을 구분하기 위하여 제1 구현예의 구동수단에 대한 도면부호를 '40A', 제2 구현예의 구동수단에 대한 도면부호를 '40B', 제3 구현예의 구동수단에 대한 도면부호를 '40C'로 정하기로 한다.
도 7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구동수단(40A)은
제1구동모터(41),
외주면에 나선부(421)를 갖고 상기 제1구동모터(41)에 연결되는 구동축(42), 그리고
상기 구동축(42)의 나선부(421)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대응나선부(431)를 갖고 상기 서브투광창(3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장착되는 제1중계부재(43)
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모터(41)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42)이 정 또는 역회전하게 됨으로서, 상기 제1중계부재(43)가 장착된 상기 서브투광창(30)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도 8에서와 같이, 제2 구현예의 구동수단(40B)은
제2구동모터(44),
상기 제2구동모터(41)에 연결되는 구동풀리(45),
상기 구동풀리(45)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종동풀리(46),
상기 구동풀리(45)와 상기 종동풀리(46)에 감기는 벨트(47), 그리고
상기 벨트(47)와 연결되어 상기 서브투광창(3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장착되는 제2중계부재(48)
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2구동모터(44)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45)가 정 또는 역회전하게 되고, 이와 상기 종동풀리(46)에 감기 상기 벨트(47) 또한 동일한 연동 동작을 하게 됨으로서, 상기 제2중계부재(48)가 장착된 상기 서브투광창(30)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도 9에서와 같이, 제3 구현예의 구동수단(40C)은
상기 도어틀(10)의 제1수평프레임(13) 또는 제2수평프레임(14)에 수평 방향으로 전후 관통 형성된 장공(49), 그리고
일단부(一端部)가 상기 장공(49)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부(他端部)가 상기 서브투광창(30)에 장착되는 제3중계부재(50)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공(49)은 상기 제3중계부재(50)의 일단부, 즉 손잡이 역할 부분이 좌우로 슬라이딩되기 위한 공간으로서, 이 공간은 상기 두 메인투광창(20)의 각 통기공(21)과 상기 서브투광창(30)의 각 대응통기공(31)이 상호 비(非)일치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되기까지의 상기 서브투광창(30) 이동 거리와 상응한 수평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3중계부재(50)의 일단부를 잡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힘을 가하게 됨으로서, 상기 제3중계부재(50)의 타단부가 장착된 상기 서브투광창(30)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일 예에 따른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투광창(30)은 이의 각 대응통기공(31)이 상기 두 메인투광창(20)의 각 통기공(21)과 상호 연결되기 위한 슬라이딩 거리(D1)만큼 상기 도어틀(10) 내벽, 즉 상기 도어틀(10)의 제1수직프레임(11) 내벽 단부(端部)로부터 이격된다.
결국 상기한 슬라이딩 거리인 D1은 하나의 통기공(21)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 L1과 이와 연결되기 위한 하나의 대응통기공(31) 중심을 지나는 가성선 L2에 있어 L1과 L2를 잇는 직선거리인 D2에 해당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통기공(21)과 상기 각 대응통기공(31)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개방', 반대로 상호 비(非)일치된 상태를 '닫힘'이라고 정하기로 한다.
일 예의 붙박이 창호에서 닫힘 상태의 서브투광창(30)은 도 3의 [가]에서와 같이, 서브투광창(30)의 좌측 단부가 상기 두 메인투광창(20) 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또한 개방 상태의 서브투광창(30)은 도 3의 [나]에서와 같이, 서브투광창(30)의 우측 단부가 상기 두 메인투광창(20) 측으로 노출되어 있기에,
개방 및 닫힘 상태에서 상기 서브투광창(30)의 좌측이나 우측 단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미관상 좋지 못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고자, 다른 예에 따른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틀(10)의 좌우 내벽, 즉 상기 제1 및 제2 수직프레임(11, 12)의 각 내벽에 상기 서브투광창(30)이 드나들게 되는 요입형 제1 및 제2 안착공간부(111, 121)가 형성되고,
상기 서브투광창(30)은 비(非)슬라이딩 시(즉, 닫힘 시) 우측단부가 상기 제2안착공간부(121)에 진입되어 있고,(도 6의 [가] 참조)
슬라이딩 시(즉, 개방 시) 좌측 단부가 상기 제1안착공간부(111)에 진입된다.(도 6의 [나] 참조)
아울러 슬라이딩 전후 상태에서(즉, 개방과 닫힘 상태에서) 상기 서브투광창(3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가 상기 각 메인투광창(2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와 상호 대응되게 위치하게 된다.
결국 상기 서브투광창(30)의 좌우 폭은 상기 두 메인투광창(20)의 좌우 폭에 상기 제1안착공간부(111) 또는 상기 제2안착공간부(121)의 요입된 깊이를 더한 것에 해당됨에 따라,
상기 서브투광창(30)은 개방 및 닫힘 상태에서도 이의 좌측이나 우측 단부가 상기 두 메인투광창(20) 측으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보기가 좋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도어틀
11, 12 : 제1 및 제2 수직프레임
111, 121 : 제1 및 제2 안착공간부
13, 14 : 제1 및 제2 수평프레임
15 : 단턱부
20 : 메인투광창
21 : 통기공
30 : 서브투광창
31 : 대응통기공
40, 40A, 40B, 40C : 구동수단
41 : 제1구동모터 42 : 구동축
421 : 나선부 43 : 제1중계부재
431 : 대응나선부 44 : 제2구동모터
45 : 구동풀리 46 : 종동풀리
47 : 벨트 48 : 제2중계부재
49 : 장공 50 : 제3중계부재

Claims (4)

  1. 사각 도어틀(10);
    상호 이격되어 상기 도어틀(10) 내에 설치되고 각각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통기공(21)을 갖는 두 메인투광창(20);
    상기 두 메인투광창(20) 사이에 밀착 배열되고 상기 각 통기공(21)과 비(非)일치되게 다수의 대응통기공(31)을 갖는 서브투광창(30); 및
    상기 두 메인투광창(20)의 각 통기공(21)과 상기 서브투광창(30)의 각 대응통기공(31)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투광창(30)을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동작케 하는 구동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틀(10)은 좌우 내벽에 상기 서브투광창(30)이 드나들게 되는 요입형 제1 및 제2 안착공간부(111, 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브투광창(30)은 비(非)슬라이딩 시 우측단부가 상기 제2안착공간부(121)에 진입되어 있고, 슬라이딩 시 좌측단부가 상기 제1안착공간부(111)에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전후 상태에서 상기 서브투광창(3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는 상기 각 메인투광창(2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와 상호 대응되게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
KR1020100058455A 2010-06-21 2010-06-21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 KR101192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455A KR101192170B1 (ko) 2010-06-21 2010-06-21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455A KR101192170B1 (ko) 2010-06-21 2010-06-21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523A KR20110138523A (ko) 2011-12-28
KR101192170B1 true KR101192170B1 (ko) 2012-10-17

Family

ID=4550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455A KR101192170B1 (ko) 2010-06-21 2010-06-21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5178B (zh) * 2016-03-30 2017-08-29 东莞电力设计院 一种可调的孔洞式防雨通风窗
CN107386939A (zh) * 2017-09-08 2017-11-24 肇庆高新区恒泰信息服务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防误判隐形防盗窗
CN110080665B (zh) * 2019-05-17 2024-07-12 陈宁 一种多变组合窗
CN111411876A (zh) * 2020-03-27 2020-07-14 重庆美森门业有限公司 一种限流式入室木门
KR102522294B1 (ko) * 2022-02-22 2023-04-17 김연옥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523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170B1 (ko)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
CN108643809A (zh) 双操控节能型多层中空玻璃百叶窗
CN109057675B (zh) 单边操控中空玻璃内置百叶窗
KR101693796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CN200992940Y (zh) 多功能可升降式安全防盗百叶窗
CN109057674A (zh) 操作省力的单侧双操控中空玻璃内置百叶窗
JP4755571B2 (ja) 建築物の開口部装置
KR100673826B1 (ko)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JP4081502B1 (ja) ブラインド
JP2010270496A (ja) 通風機能付構造物
KR101135374B1 (ko) 회전형 환풍 붙박이 창호
CN105370188A (zh) 中空玻璃内置百叶窗升降结构
CN2688789Y (zh) 玻璃幕墙处的隐藏式开关通风窗
JP2007170138A (ja) 竪軸滑り出し窓
KR20130004711U (ko) 전동 환기창
JP4367756B2 (ja) 方立部内換気装置
CN209494487U (zh) 中空玻璃内置百叶窗的外操控器与外操控器导轨配合结构
CN112303783A (zh) 一种带有照明面板的通风设备及使用方法
CN218894560U (zh) 一种仿古建筑的采光结构
JP398195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0385437B1 (ko) 스크린이 내장된 유리창
CN109057676A (zh) 单侧双操控中空玻璃内置百叶窗
JPH0211589Y2 (ko)
JP2008127967A (ja) 建築物の開口部外装装置
KR102700827B1 (ko) 고소 설치형 창문용 개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