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294B1 -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 - Google Patents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294B1
KR102522294B1 KR1020220022653A KR20220022653A KR102522294B1 KR 102522294 B1 KR102522294 B1 KR 102522294B1 KR 1020220022653 A KR1020220022653 A KR 1020220022653A KR 20220022653 A KR20220022653 A KR 20220022653A KR 102522294 B1 KR102522294 B1 KR 102522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ion
window
slider
doub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옥
Original Assignee
김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옥 filed Critical 김연옥
Priority to KR102022002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사이드(side)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각각 형성되되 소정의 갭(gap)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유리(window) 재질의 이중창; 상기 이중창을 지지하는 윈도 프레임; 및 상기 윈도 프레임에 결합하되 상기 이중창의 통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결로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결로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Window having function to remove condensed water}
본 발명은,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지만 콤팩트한 구조로써 창문의 유리(glass)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에 관한 것이다.
빌라나 아파트, 혹은 일반 빌딩에는 도 1과 같은 창호(1)가 마련된다. 유리(30, glass)가 설치된 창문(20, window)을 구비하는 창호(1)는 베란다 혹은 창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과 같은 창호(1)는 깔끔한 외관을 구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해서 널리 사용된다.
한편, 창호(1)가 밀폐 용도로 아주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특히 겨울철에 실내외의 온도차로 인해 창문(20)의 유리(30)에 습기가 생길 수 있는데, 습기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면 창호(1)가 설치된 벽면의 벽지에 오염이 발생하거나 혹은 곰팡이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도 1처럼 창문(20)을 열어 발생한 습기를 제거하는 일이 잦다. 하지만, 겨울철에 창문(20)을 무리하게 개방해두면 실내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창문(20)을 열지 않더라도 보다 효과적이면서도 간편하게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8-001576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054772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지만 콤팩트한 구조로써 창문의 유리(glass)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사이드(side)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각각 형성되되 소정의 갭(gap)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유리(window) 재질의 이중창; 상기 이중창을 지지하는 윈도 프레임; 및 상기 윈도 프레임에 결합하되 상기 이중창의 통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결로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결로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결로 방지부는, 상기 이중창 사이의 갭을 지나면서 상기 통기공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 상기 윈도 프레임 내에 형성되되 상기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가 이동될 수 있게 자리를 제공하는 슬라이더 터널; 상기 윈도 프레임의 전면부에 상기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슬롯; 및 상기 슬롯을 통해 일단부는 상기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슬롯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착탈식 손잡이이며, 상기 착탈식 손잡이의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에 상기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 프레임은, 고정용 프레임부; 및 상기 결로 방지부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고정용 프레임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용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지만 콤팩트한 구조로써 창문의 유리(glass)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창호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에서 통기공이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통기공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영역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2의 B 영역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에서 결로 방지부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 분리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에서 결로 방지부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에서 통기공이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통기공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 영역의 확대 정면도,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6은 도 2의 B 영역의 확대 정면도,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100)는 간단하지만 콤팩트한 구조로써 창문의 유리(glass)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100)는 이중창(110), 윈도 프레임(120) 및 결로 방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창(110)은 유리(window) 재질의 창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중창(110)은 소정의 갭(gap)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이중창(110)의 사이드(side)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111)이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중창(110)들에 각각 5개씩 통기공(111)이 형성되고 있는데, 통기공(111)의 개수는 이보다 많을 수도 있고 적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윈도 프레임(120)은 이중창(110)을 지지하는 틀이다. 플라스틱의 사출 구조물로 윈도 프레임(120)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결로 방지부(130)는 윈도 프레임(120)에 결합하되 이중창(110)의 통기공(1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결로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로 방지부(130)는 이중창(110) 사이의 갭을 지나면서 통기공(111)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131)와, 윈도 프레임(120) 내에 형성되되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131)가 이동될 수 있게 자리를 제공하는 슬라이더 터널(132)과, 윈도 프레임(120)의 전면부에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131)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슬롯(133)과, 슬롯(133)을 통해 일단부는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13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슬롯(13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134)를 포함할 수 있다.
결로 방지부(13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2, 도 4 및 도 5처럼 이중창(110)의 통기공(111)을 차폐, 즉 막는 경우이다.
이때는 손잡이(134)를 잡고, 도 2, 도 4 및 도 5의 화살표처럼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131)를 이동시키면 된다. 그러면,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131)가 이중창(110) 사이의 갭을 지나면서 통기공(111)을 차폐한다. 따라서, 실내와 실외 간의 공기 이동은 없다.
다음, 도 3, 도 6 및 도 7처럼 이중창(110)의 통기공(111)을 개방, 즉 여는 경우이다.
다시 말해, 도 2, 도 4 및 도 5처럼 이중창(110)의 통기공(111)을 차폐하고 지낼 경우, 겨울철에는 실내외 온도차로 인해 이중창(110)에 습기가 생길 수 있다. 이때, 습기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면 창호(100)가 설치된 벽면의 벽지에 오염이 발생하거나 혹은 곰팡이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원래는 도 1처럼 전면 개방을 해야 하지만 이럴 경우, 온도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때는 도 3, 도 6 및 도 7처럼 이중창(110)의 통기공(111)을 개방하면 된다.
즉 손잡이(134)를 잡고, 도 3, 도 6 및 도 7의 화살표처럼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131)를 이동시키면 된다. 그러면,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131)가 이중창(110) 사이의 갭을 지나면서 통기공(111)을 개방한다. 따라서, 실내와 실외 간의 공기 이동이 허용됨에 따라 습기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통기공(111)만큼만 개방되기 때문에 실내 온도 손실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지만 콤팩트한 구조로써 창문의 유리(glass)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에서 결로 방지부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9는 도 8의 요부 분리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 역시, 이중창(110), 윈도 프레임(220) 및 결로 방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윈도 프레임(220)은 고정용 프레임부(221)와, 고정용 프레임부(221)에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용 프레임부(222)를 포함한다.
이에, 도 8에서 도 9처럼 분리용 프레임부(222)를 분리한 후, 결로 방지부(230) 등을 유지보수한 후, 다시 도 8처럼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결로 방지부(230) 역시, 이중창(210) 사이의 갭을 지나면서 통기공(211)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231)와, 윈도 프레임(220) 내에 형성되되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231)가 이동될 수 있게 자리를 제공하는 슬라이더 터널(232)과, 윈도 프레임(220)의 전면부에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231)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슬롯(233)과, 슬롯(233)을 통해 일단부는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23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슬롯(23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손잡이(234)는 착탈식 손잡이(234)로 적용되는데, 착탈식 손잡이(234)의 단부에 수나사부(234a)가 형성되고,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231)에 수나사부(234a)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231a)가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 또는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지만 콤팩트한 구조로써 창문의 유리(glass)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에서 결로 방지부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 역시, 이중창(110), 윈도 프레임(320) 및 결로 방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로 방지부(330) 역시, 이중창(210) 사이의 갭을 지나면서 통기공(211)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231)와, 윈도 프레임(220) 내에 형성되되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231)가 이동될 수 있게 자리를 제공하는 슬라이더 터널(232)과, 윈도 프레임(220)의 전면부에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231)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슬롯(233)과, 슬롯(233)을 통해 일단부는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23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슬롯(23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234)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그 기능과, 구조, 역할이 같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윈도 프레임(320)은 고정용 프레임부(321)와, 고정용 프레임부(321)에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용 프레임부(322)를 포함한다. 이때, 분리용 프레임부(322)에는 자리홈부(322a)가 형성된다.
그리고, 분리용 프레임부(322)의 내측에는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23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슬라이더 탄성 가압부(360)가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슬라이더 탄성 가압부(360)는 분리용 프레임부(322)의 자리홈부(322a)에 배치되는 가압대(361)와, 일측은 가압대(361)에 연결되고 타측은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231)에 연결되며,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231)가 이중창(110)의 통기공(111)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362)를 포함한다. 탄성부재(362)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봄이나 가을에는 굳이 통기공(111)을 개방할 필요가 없는데, 이때는 분리용 프레임부(322)를 열고 그 내측에 슬라이더 탄성 가압부(360)를 넣어둘 수 있다. 그러면, 슬라이더 탄성 가압부(360)의 탄성부재(362)가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231)를 계속 탄성 가압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통기공(111)이 임의로 개방되는 일은 없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지만 콤팩트한 구조로써 창문의 유리(glass)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 110 : 이중창
111 : 통기공 120 : 윈도 프레임
130 : 결로 방지부 131 :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
132 : 슬라이더 터널 133 : 슬롯
134 : 손잡이

Claims (4)

  1. 사이드(side)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각각 형성되되 소정의 갭(gap)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유리(window) 재질의 이중창;
    고정용 프레임부와, 상기 고정용 프레임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용 프레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중창을 지지하는 윈도 프레임; 및
    상기 윈도 프레임에 결합하되 상기 이중창의 통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결로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결로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로 방지부는,
    상기 이중창 사이의 갭을 지나면서 상기 통기공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
    상기 윈도 프레임 내에 형성되되 상기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가 이동될 수 있게 자리를 제공하는 슬라이더 터널;
    상기 윈도 프레임의 전면부에 상기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슬롯; 및
    상기 슬롯을 통해 일단부는 상기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슬롯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용 프레임부에는 자리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용 프레임부의 내측에는 상기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슬라이더 탄성 가압부가 적용되며,
    상기 슬라이더 탄성 가압부는,
    상기 분리용 프레임부의 자리홈부에 배치되는 가압대; 및
    일측은 상기 가압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에 연결되며, 상기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가 상기 이중창의 통기공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착탈식 손잡이이며,
    상기 착탈식 손잡이의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로 방지용 슬라이더에 상기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
  4. 삭제
KR1020220022653A 2022-02-22 2022-02-22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 KR102522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653A KR102522294B1 (ko) 2022-02-22 2022-02-22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653A KR102522294B1 (ko) 2022-02-22 2022-02-22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294B1 true KR102522294B1 (ko) 2023-04-17

Family

ID=8613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653A KR102522294B1 (ko) 2022-02-22 2022-02-22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2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80A (ko) * 2007-07-16 2009-01-21 주식회사 알서스 환기장치
KR20110138523A (ko) * 2010-06-21 2011-12-28 모건주식회사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
KR20140054772A (ko) 2012-10-29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15768A (ko) 2014-04-25 2018-02-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N213297650U (zh) * 2020-07-22 2021-05-28 圣都家居装饰有限公司 一种带可调式合页结构的金固拼接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80A (ko) * 2007-07-16 2009-01-21 주식회사 알서스 환기장치
KR20110138523A (ko) * 2010-06-21 2011-12-28 모건주식회사 미닫이형 환풍 붙박이 창호
KR20140054772A (ko) 2012-10-29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15768A (ko) 2014-04-25 2018-02-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N213297650U (zh) * 2020-07-22 2021-05-28 圣都家居装饰有限公司 一种带可调式合页结构的金固拼接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325A (en) Hurricane door light
KR101027310B1 (ko) 미닫이 창호의 다기능 슬라이딩 틈새 방지구
US5282504A (en) Venetian blind assembly for a glazed door
KR101917256B1 (ko) 방충 및 미세먼지 차단용 복합 미서기 창호
KR102522294B1 (ko) 결로 방지용 기능성 창호
KR101390690B1 (ko) 창호의 틈새 밀폐구
JP2659519B2 (ja) 框および框への閉塞板取り付け構造
KR101877471B1 (ko) 복합 미서기 창호
KR101584618B1 (ko) 이탈방지 스톱퍼부를 갖는 미닫이 창문
KR100594503B1 (ko) 단열 및 방음이 뛰어난 미닫이 창호의 틈새방지구조
US6604323B1 (en) Composite window framework fabricated using recycled styrene foam panels
KR101502665B1 (ko) 양개형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CN111779435A (zh) 门关自动下移封闭的挡板
KR101336583B1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102069079B1 (ko) 창호용 빗물 유입 방지 패널
KR102040442B1 (ko) 미세먼지 차단효과가 향상된 창틀
KR101519646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창호용 방풍장치
KR20160004239U (ko) 글라스창호 및 한지창호를 구비한 복합 창호
KR20110064527A (ko) 듀얼밸류 단열 복합 문테 없는 창호 프레임 구조
CN112901046A (zh) 一种隔绝性好的门窗
JP3340909B2 (ja) 窓枠用換気装置
KR200413513Y1 (ko) 새시용 바람막이
CN217538402U (zh) 一种带内平开通风防蚊虫结构推拉门
KR102528020B1 (ko) 창문 틈새 차단형 방풍구
JP2016069936A (ja) 換気装置付き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