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400B1 - 버티칼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버티칼 블라인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06400B1 KR100406400B1 KR10-2000-0076810A KR20000076810A KR100406400B1 KR 100406400 B1 KR100406400 B1 KR 100406400B1 KR 20000076810 A KR20000076810 A KR 20000076810A KR 100406400 B1 KR100406400 B1 KR 1004064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 fabric
- guide rail
- end cap
- wir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2—Travellers; Lamellae suspension stems
- E06B9/364—Operating mechanisms therei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8—Driving means other than pulling cord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티칼 블라인드를 조작하기 위한 원단 거리조절 코드와 원단 각도조절 체인을 두 개 두지 않고 단일로된 폐곡선 형상의 와이어를 마련하고, 이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캐리어를 이동시켜 원단의 이동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새롭게 마련함으로써, 작업자가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두 개의 구성부품인 원단 거리조절 코드와 원단 각도조절 체인을 각각 별도로 조작해야 하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한 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상기 두줄의 코드와 두줄의 체인이 서로 꼬여 엉켜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됨에 따라 작업자는 추후 사용시 코드와 체인의 상호 엉킴을 해제한 후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버티칼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캐리어 거리조절 및 원단각도 가변수단에 의해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받아 원단과 함께 좌우로 이동됨과 아울러 틸트바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다수개의 캐리어에 구비된 원단각도 가변기어에 의해 원단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버티칼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거리조절 및 원단각도 가변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틸트바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엔드캡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부를 구비한 제2 엔드캡과; 상기 수용 공간부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 풀리부를 갖는 구동 기어와; 축방향이 교차되게 상기 구동 기어에 치차 결합되고, 상기 틸트바의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 기어와; 일부는 상기 풀리부에 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 엔드캡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위치한 두줄중 어느 한줄은 상기 캐리어에 구비된 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폐곡선 형상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적정 위치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통과공을 통과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두 개의 구체와; 상기 캐리어중에서 상기 제2 엔드캡에 인접한 캐리어에 설치되어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구체의 통과를 제한하고,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는 체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티칼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티칼 블라인드를 조작하기 위한 원단 거리조절 코드와 원단 각도조절 체인을 두 개 두지 않고 단일로된 폐곡선 형상의 와이어를 마련하고, 이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캐리어를 이동시켜 원단의 이동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새롭게 마련함으로써, 작업자가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두 개의 구성부품인 원단 거리조절 코드와 원단 각도조절 체인을 각각 별도로 조작해야 하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한 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상기 두줄의 코드와 두줄의 체인이 서로 꼬여 엉켜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됨에 따라 작업자는 추후 사용시 코드와 체인의 상호 엉킴을 해제한 후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버티칼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티칼 블라인드는 그 가격이 커텐에 비해 저렴하고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며, 독특한 미려함을 연출하고 있어 연립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의 베란다나 발코니의 창틀, 또는 사무실이나 오피스텔의 대형 창문 내측 상단의 천정부에 설치되어 사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일반화되어 있는 버티칼 블라인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가이드레일(100)과, 캐리어(120)와, 원단(140)과, 원단 거리조절 코드(150)와, 원단 각도조절 체인(160)과, 횡단면이 +형단면을 갖는 소정 길이의 틸트바(180)과, 스페이서(190), 한쌍의 엔드캡(200)(210)등을 포함하여 상기 원단거리조절 코드(150)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원단(140)이 이동하여 펼쳐지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원단 각도조절 체인(160)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원단(1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티칼 블라인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원단(140)이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두줄의 원단 거리조절 코드(150)중 캐리어(120)에 고정된 원단 거리조절 코드(150)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캐리어(120)들은 틸트바(180)의 안내를 받아가면서 가이드레일(100)의 한쪽 방향, 즉 좌측 엔드캡(210)쪽으로 모여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작 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창문을 통해 투과된 태양광이 실내로 들어 올수 있음과 아울러 실내에 있는 사용자는 실외 환경을 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원단 거리조절 코드(150)중 캐리어(120)에 고정되지 않은 다른 원단 거리조절 코드(150)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캐리어(120)들은 틸트바(180)의 안내를 받아가면서 가이드레일(100)의 한쪽 방향, 즉 우측 엔드캡(20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캐리어(120)들은 이동하면서 우측 엔드캡(200)쪽으로 완전히 모여지는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스페이서(19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된다.
따라서, 원단(140)들은 창문(미도시)을 가리는 상태, 즉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조작 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창문을 통해 투과된 태양광이 실내로 들어 올수 없음과 아울러 실내에 있는 사용자는 실외 환경을 볼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원단(140)에 의해 창문이 가려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두줄의 원단 각도조절 체인(160)중 어느 하나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스프로켓(23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되며, 이 스프로켓(230)의 회전에 따라 스프로켓(230)의 구동기어(231)는 원통체(220)의 자전기어(221)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후, 구동기어(23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자전기어(221)는 자전하면서 상기 좌측 엔드캡(210)의 기어공(211)에 형성된 기어부(211a)와 치차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기어 메커니즘에 따라 상기 좌측 엔드캡(210)은 가이드레일(10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이기 때문에 상기 좌측 엔드캡(210)의 기어공(211) 내부에서 상기 원통체(220)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통체(220)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 원통체(220)에 고정된 틸트바(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후, 틸트바(180)가 회전함에 따라 캐리어(120)의 워엄휘일(125)도 회전하게 되며, 이 워엄휘일(125)의 회전력을 부여받은 워엄(122)도 회전하게 되며, 결국에는 원단(140)의 각도가 조절된다.
여기서, 틸트바(180)가 회전함에 따라 워엄휘일(125)이 회전하게 되는 이유는, 틸트바이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워엄휘일(125)의 중공부 내주면이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원단(140)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원단(140)에 의해 창문이 가려진 상태에서 창문을 통해 실내로 투과되는 태양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종래 버티칼 블라인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원단을 좌우로 이동시켜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원단 거리조절 코드와, 창문을 통해 실내로 투과되는 태양광을 조절하기 위해 원단의 각조를 가변시키는 원단 각도조절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두 개의 구성부품인 원단 거리조절 코드와 원단 각도조절 체인을 각각 별도로 조작해야 하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
둘째, 원단 거리조절 코드와 원단 각도조절 체인이 가이드 레일의 한쪽단측에 수직 하방향으로 늘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두줄의 코드와 두줄의 체인이 서로 꼬여 엉켜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됨에 따라 작업자는 추후 사용시 코드와 체인의 상호 엉킴을 해제한 후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버티칼 블라인드를 조작하기 위한 원단 거리조절 코드와 원단 각도조절 체인을 두 개 두지 않고 단일로된 폐곡선 형상의 와이어를 마련하고, 이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캐리어를 이동시켜 원단의 이동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새롭게 마련함으로써, 작업자가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두 개의 구성부품인 원단 거리조절 코드와 원단 각도조절 체인을 각각 별도로 조작해야 하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한 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상기 두줄의 코드와 두줄의 체인이 서로 꼬여 엉켜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됨에 따라 작업자는 추후 사용시 코드와 체인의 상호 엉킴을 해제한 후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버티칼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의 조립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의 결합 외관 사시도로서 원단이 한쪽으로 모여져 창문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도면에서 오른쪽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6 내지 도 7은 도 5 이후에서 나타나는 버티칼 블라인드의 작용으로 원단이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에서 원단이 펼쳐지는 최초의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의 결합 외관 사시도로서 원단이 펼쳐져 창문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에서 원단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원단이 회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캐리어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구성의 하나인 틸트바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12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캐리어에 체크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캐리어에 체크부재가 체결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 엔드캡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 엔드캡의 내부에 설치된 구성요소를 보인 일측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 엔드캡에 설치되는 커버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가이드 레일 310 : 캐리어
320 : 제1 엔드캡 330 : 제2 엔드캡
340 : 틸트바 350 : 와이어
360 : 무게추 400 : 구동 기어
410 : 종동 기어 420,430 : 구체
450 : 체크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캐리어 거리조절 및 원단각도 가변수단에 의해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받아 원단과 함께 좌우로 이동됨과 아울러 틸트바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다수개의 캐리어에 구비된 원단각도 가변기어에 의해 원단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버티칼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거리조절 및 원단각도 가변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틸트바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엔드캡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부를 구비한 제2 엔드캡과; 상기 수용 공간부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 풀리부를 갖는 구동 기어와; 축방향이 교차되게 상기 구동 기어에 치차 결합되고, 상기 틸트바의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 기어와; 일부는 상기 풀리부에 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 엔드캡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위치한 두줄중 어느 한줄은 상기 캐리어에 구비된 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폐곡선 형상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적정 위치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통과공을 통과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두 개의 구체와; 상기 캐리어중에서 상기 제2 엔드캡에 인접한 캐리어에 설치되어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구체의 통과를 제한하고,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는 체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의 조립 외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의 결합 외관 사시도로서 원단이 한쪽으로 모여져 창문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도면에서 오른쪽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6 내지 도 7은 도 5 이후에서 나타나는 버티칼 블라인드의 작용으로 원단이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에서 원단이 펼쳐지는 최초의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의 결합 외관 사시도로서 원단이 펼쳐져 창문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에서 원단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원단이 회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캐리어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구성의 하나인 틸트바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12의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캐리어에 체크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캐리어에 체크부재가 체결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 엔드캡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 엔드캡의 내부에 설치된 구성요소를 보인 일측 정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 엔드캡에 설치되는 커버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캐리어 거리조절 및 원단각도 가변수단에 의해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받아 원단과 함께 좌우로 이동됨과 아울러 틸트바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다수개의 캐리어에 구비된 원단각도 가변기어에 의해 원단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버티칼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거리조절 및 원단각도 가변수단의 구성을 달리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는 크게 가이드 레일(300)과, 캐리어(310)와, 원단과, 제1 엔드캡(320)과, 제2 엔드캡(330)과, 틸트바(340)와, 와이어(350)와, 무게추(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천장(미도시)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구되고,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안내공(301)이 형성되고, 양측벽(302)(303)의 내측에 각각 가이드홈(302a)(303a)이 만들어지도록 가이드 리브(302b)(303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310)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1)과, 워엄(312)과, 원단 고정구(313)와, 워엄휘일(314)과, 로울러(3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워엄(312)과 워엄휘일(314)은 전술한 원단각도 가변기어를 지칭한다.
상기 하우징(311)은 상기 워엄(3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제1 공간부(316)와, 상기 워엄 휘일(3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이 제1 공간부(316)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된 상부 개구 형상의 제2 공간부(317)와, 상기 제2 공간부(317)를 형성하는 측벽(318)에 각각 형성된 회전공(319)과, 상기 제1, 제2 공간부(316)(317)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스페이서 끼움부(319a)와, 이 스페이서 끼움부(319a)의 하부에 형성된 통과공(319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울러(315)는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가이드홈(302a)(303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로 인해 상기 원단의 개수 만큼의 다수개의 캐리어(310)가 가이드 레일(30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37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상기 캐리어(310)의 스페이서 끼움부(319a)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탄은 다른 캐리어의 스페이서 설치부에 고정 결합된 스페이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스페이서(370)는 다수개의 캐리어(310)에 중첩 연결되어 있어, 캐리어(310)들의 이격 거리가 증가될 때 이들의 이격 거리가 스페이서(370)의 길이보다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틸트바(340)는 상기 가이드 레일(300)의 내부에 내재되는 것으로, 그 횡단면은 일례로 +자형 단면을 갖으며, 그 길이는 가이드 레일(300)의 양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틸트바(340)는 상기 회전공(319)을 통해 워엄(312)에 관통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캐리어(310)가 정지한 경우에 틸트바(340)가 회전되며 워엄(312)이 회전되고, 상기 캐리어(310)가 틸트바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틸트바(340)가 회전되면 워엄(312)이 거의 회전되지 않는 구조가 되도록 상기 틸트바와 워엄이 상호 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캐리어 거리조절 및 원단각도 가변수단의 구성은 제1 엔드캡(320)과, 제2 엔드캡(330)과, 구동 기어(400)와, 종동 기어(410)와, 와이어(350)와, 무게추(360)와, 구체(420)(430)와, 체크부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엔드캡(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300)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틸트바(340)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보스부(321)가 구비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322는 제1 엔드캡(320)의 가장 자리부에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300)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끼움부이다.
상기 제2 엔드캡(330)은 도 2와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300)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부(33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332는 제2 엔드캡(330)의 가장 자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300)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끼움부이다.
상기 구동 기어(400)는 일단부에 풀리부(40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엔드캡(330)의 수용 공간부(331)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종동 기어(410)는 축방향이 교차되게 상기 구동 기어(400)에 치차 결합되고, 상기 틸트바(340)의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331)내에서 상기 구동 기어(4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기어(400)와 종동 기어(41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웜과 워엄휘일을 예로 들수 있다.
상기 와이어(350)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플렉시블한 재질로 된 것으로, 일부는 상기 풀리부(401)에 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300)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 엔드캡(32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300)의 내부에 위치한 두줄중 어느 한줄은 상기 캐리어(310)에 구비된 통과공(319b)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350)가 제1 엔드캡(32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기 위해서는 두 개의 통공(323)(324)이 상기 제1 엔드캡(320)에 형성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400)의 풀리부(401)에 거치된 와이어(350)가 제2 엔드캡(330)을 통해 가이드 레일(300)의 내부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 엔드캡(330)에 와어어 통과공(411)(412)을 형성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무게추(3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치 이상의 중량물이 내재된 몸체(361)와, 이 몸체(361)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로울러(362)로 구성되며, 이 로울러(362)에는 상기 제1 엔드캡(32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350)의 일부가 거치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350)에 무게추(360)를 거치되도록 하면, 이 무게추(360)의 중량으로 인해 와이어(350)는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여기서, 상기 무게추(360)를 반드시 사용하지 않아도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의 작동에는 별 지장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구체(420)(430)는 상기 와이어(350)의 적정 위치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310)에 형성된 통과공(319b) 및 상기 제2 엔드캡(330)에 형성된 와이어 통과공(411)(412) 및 제1 엔드캡(320)의 통공(323)(324) 및 무게추(360)의 로울러(362)를 통과할 수 있는 외경을 갖고 있다.
상기 체크부재(45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캐리어(310)중에서 상기 제2 엔드캡(330)에 가장 인접한 캐리어(310)의 설치되어 상기 통과공(319b)을 통해 상기 구체(420)(430)의 통과를 제한함과 아울러 상기 통과공(319b)을 통해 상기 와이어(350)의 통과를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체크부재(450)는 상기 캐리어(3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캐리어(3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체크부재(450)를 상기 캐리어(3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경우에는 캐리어(310)와 체크부재(450)를 별도의 제작 장비로 제작한 후에 이들을 다시 조립하면 된다.
한편, 상기 체크부재(450)를 상기 캐리어(310)에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기존 캐리어 제작 장비를 이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제작장비로써만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블라인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10)들이 모두 제1 엔드캡(320)쪽으로 모여진 상태에서 제1 엔드캡(320)의 외부로 인출된 두줄의 와이어중에서 선택된 와이어(350)를 실선 화살표처럼 하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구동 기어(400)의 풀리부(40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 와이어를 지속적으로 잡아당기면 와이어에 고정된 구체(430;흰색 구체)는 제1 엔드캡(320)에 형성된 통공(324)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반면에 다른 와이어(350)는 점선 화살표처럼 상방향으로 제1 엔드캡(320)에 형성된 통공(323)을 통해 가이드 레일(300)의 내부로 들어가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50)에 고정된 구체(420;검은색 구체)는 가이드 레일(300)의 내부에서 체크부재(450)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구동 기어(400)의 풀리부(401)로 근접된다.
이때, 구체(430:흰색 구체)는 무게추(360)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와이어를 지속적으로 인출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420;검은색 구체)는 구동 기어(400)의 풀리부(401)를 지나 제2 엔드캡(330)에 가장 인접한 캐리어(310)에 근접하게 되는 반면에 구체(430:흰색 구체)는 무게추(360)의 로울러(361)를 지나 캐리어(310)들의 통과공(319b)을 통과한 후에 최종적으로 제2 엔드캡(330)에 가장 인접한 캐리어(310)에 구비된 체크부재(450)에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와이어(350)를 하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인출하면 또는 잡아당겨 도 4에서 도 7까지 진행되는 과정에서 와이어(350)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 회전력은 구동 기어(400)의 풀리부(401)에 전달되며, 이 풀리부(401)의 회전력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400)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 구동 기어(400)의 회전력은 종동 기어(4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동 기어(410)가 회전됨에 따라 이에 고정된 틸트바(34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틸트바(340)의 회전력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엄(31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워엄(312)의 회전력에 의해 워엄 휘일(413)이 회전되어 결국에는 원단 고정구(313)가 회전되어 원단의 각도가 가변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50)를 점선 화살표처럼 하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2 엔드캡(330)에 가장 인접한 캐리어(310)에 구비된 체크부재(450)에 걸려져 있는 구체(430:흰색 구체)는 캐리어(310)를 밀면서 제2 엔드캡(330) 방향인 구동 기어(400)의 풀리부(401)에 근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최초 캐리어(310)가 구체(430:흰색 구체)에 의해 견인 당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370)의 작용에 의해 나머지 캐리어(310)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캐리어(31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50)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 회전력은 구동 기어(400)의 풀리부(401)에 전달되며, 이 풀리부(401)의 회전력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400)를 회전시키게되며, 이 구동 기어(400)의 회전력은 종동 기어(4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동 기어(410)가 회전됨에 따라 이에 고정된 틸트바(34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틸트바(340)의 회전력으로 인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31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웜(312)의 회전력에 의해 워엄 휘일(314)이 회전되어 원단 고정구(313)가 회전되어 원단의 각도가 가변되어야 하는 것이 정상적이다.
그러나, 회전하고 있는 틸트바(340)를 따라 구체(430:흰색 구체)의 견인력에 의해 캐리어(310)들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캐리어(310)들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되어 벌어지는 거리동안에 틸트바(3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캐리어(310)에 설치된 웜(312)의 회전각도는 극히 작기 때문에 캐리어(310)들이 이동하는 동안에는 원단의 각도가 가변되지 않게 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50)를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하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구체(430:흰색 구체)는 제2 엔드캡(330)에 가장 인접한 캐리어(310)에 구비된 체크부재(450)로부터 멀어지면서 다수의 캐리어(310)에 형성된 통과공(319b)을 통과하여 제1 엔드캡(320)에 근접하게 됨과 아울러 구체(420:검은색 구체)는 가이드 레일(3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도 9의 상태에서 와이어(350)를 지속적으로 잡아당기면, 구체(420:검은색 구체)는 제2 엔드캡(330)에 가장 인접한 캐리어(310)에 구비된 체크부재(450)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는 반면에 구체(430;흰색 구체)는 무게추(360)의 바로 위에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와이어(350)를 하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인출하면 또는 잡아당겨 도 10에서 도 11까지 진행되는 과정에서 와이어(350)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 회전력은 구동 기어(400)의 풀리부(401)에 전달되며, 이 풀리부(401)의 회전력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400)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 구동 기어(400)의 회전력은 종동 기어(4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동 기어(410)가 회전됨에 따라 이에 고정된 틸트바(34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틸트바(340)의 회전력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31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웜(312)의 회전력에 의해 워엄 휘일(314)이 회전되어 결국에는 원단 고정구(313)가 회전되어 원단의 각도가 가변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도 11의 상태에서 와이어(350)를 지속적으로 잡아당기면, 와이어(350)의 견인력에 의해 구체(420:검은색 구체)는 이동되며, 이 구체(420;검은색 구체)에 의해 제2 엔드캡(330)에 가장 인접한 캐리어(310)는 밀리면서 제1 엔드캡(320)측으로 모여지게 된다.
즉, 캐리어(310)들은 제1 엔드캡(320)으로 모여지게 되며, 결국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여기서, 상기 도 11에서 도 4와 같이 되는 과정에서, 와이어(350)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 회전력은 구동 기어(400)의 풀리부(401)에 전달되며, 이 풀리부(401)의 회전력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400)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 구동 기어(400)의 회전력은 종동 기어(4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동 기어(410)가 회전됨에 따라 이에 고정된 틸트바(34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틸트바(340)의 회전력으로 인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31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웜(312)의 회전력에 의해 워엄 휘일(314)이 회전되어 원단 고정구(313)가 회전되어 원단의 각도가 가변되어야 하는 것이 정상적이다.
그러나, 회전하고 있는 틸트바(340)를 따라 구체(420;검은색 구체)의 견인력에 의해 캐리어(310)들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캐리어(310)들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모여지는 거리 동안에 틸트바(3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캐리어(310)에 설치된 웜(312)의 회전각도는 극히 작기 때문에 캐리어(310)들이 이동하는 동안에는 원단의 각도가 가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단일의 폐곡선 형상의 와이어와 이에 상응하는 구성 요소를 마련함으로써 원단을 접거나 펼칠수 있음며,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태양광의 양을 원단의 각도로 가변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블라인드에 따르면, 버티칼 블라인드를 조작하기 위한 원단 거리조절 코드와 원단 각도조절 체인을 두 개 두지 않고 단일로된 폐곡선 형상의 와이어를 마련하고, 이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캐리어를 이동시켜 원단의 이동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새롭게 마련함으로써, 작업자가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두 개의 구성부품인 원단 거리조절 코드와 원단각도조절 체인을 각각 별도로 조작해야 하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한 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상기 두줄의 코드와 두줄의 체인이 서로 꼬여 엉켜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됨에 따라 작업자는 추후 사용시 코드와 체인의 상호 엉킴을 해제한 후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등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4)
- 캐리어 거리조절 및 원단각도 가변수단에 의해 캐리어(310)가 가이드 레일(300)의 안내를 받아 원단과 함께 좌우로 이동됨과 아울러 틸트바(3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다수개의 캐리어(310)에 구비된 원단각도 가변기어에 의해 원단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버티칼 블라인드에 있어서,상기 캐리어 거리조절 및 원단각도 가변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300)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틸트바(340)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엔드캡(320)과; 상기 가이드 레일(300)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부(331)를 구비한 제2 엔드캡(330)과; 상기 수용 공간부(331)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 풀리부(401)를 갖는 구동 기어(400)와; 축방향이 교차되게 상기 구동 기어(400)에 치차 결합되고, 상기 틸트바(340)의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331)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 기어(410)와; 일부는 상기 풀리부(401)에 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300)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 엔드캡(32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300)의 내부에 위치한 두줄중 어느 한줄은 상기 캐리어(310)에 구비된 통과공(319b)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폐곡선 형상의 와이어(350)와; 상기 와이어(350)의 적정 위치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통과공(319b)을 통과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두 개의 구체(420)(430)와; 상기 캐리어(310)중에서 상기 제2 엔드캡(330)에 인접한 캐리어(310)에 설치되어 상기 통과공(319b)을 통해 상기 구체(420)(430)의 통과를 제한하고, 상기 통과공(319b)을 통해 상기 와이어(350)의 통과를 허용하는 체크부재(4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칼 블라인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체크부재(450)는 상기 캐리어(3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칼 블라인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체크부재(450)는 상기 캐리어(31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칼 블라인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구동 기어(400)는 웜이고, 상기 종동 기어(410)는 워엄 휘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칼 블라인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76810A KR100406400B1 (ko) | 2000-12-15 | 2000-12-15 | 버티칼 블라인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76810A KR100406400B1 (ko) | 2000-12-15 | 2000-12-15 | 버티칼 블라인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46562A KR20020046562A (ko) | 2002-06-21 |
KR100406400B1 true KR100406400B1 (ko) | 2003-11-20 |
Family
ID=27682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76810A KR100406400B1 (ko) | 2000-12-15 | 2000-12-15 | 버티칼 블라인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0640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8125A (ko) * | 2014-08-08 | 2016-02-17 | 이병우 | 버티칼용 블라인드 및 그 구동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5455B1 (ko) * | 2018-07-11 | 2019-07-02 | 조준석 | 버티컬 타입의 블라인드 |
-
2000
- 2000-12-15 KR KR10-2000-0076810A patent/KR1004064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8125A (ko) * | 2014-08-08 | 2016-02-17 | 이병우 | 버티칼용 블라인드 및 그 구동장치 |
KR101672819B1 (ko) | 2014-08-08 | 2016-11-08 | 이병우 | 버티칼용 블라인드 및 그 구동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46562A (ko) | 2002-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92843B2 (en) | Enclosure for blind | |
US11142945B2 (en) | Bias activated safety blind control | |
US5645685A (en) | Venetian blinds | |
CA2965257A1 (en) | Window covering positional adjustment apparatus | |
US11105149B2 (en) | Enclosed blind control with opening and sliding member, and profile and multiple sprocket | |
US20230057794A1 (en) | Window blind wand | |
US7451798B2 (en) | Window blind system | |
US20060196614A1 (en) | Window shade | |
KR100406400B1 (ko) | 버티칼 블라인드 | |
CN109339682B (zh) | 一种窗帘装置 | |
KR102235750B1 (ko) | 방충 도어 | |
CA2980064C (en) | Enclosed blind control with opening and sliding member, and profile and multiple sprocket | |
JP3256156B2 (ja) | ブラインドの操作機構 | |
KR200303902Y1 (ko) |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브라인드 | |
KR200288756Y1 (ko) | 반투과성커튼을 구비한 이중커튼 | |
JP3813551B2 (ja) | 縦型ブラインド | |
KR101536572B1 (ko) | 커튼 장치 | |
KR101180883B1 (ko) | 상하, 좌우, 전동식 무대 모형막 | |
KR102347603B1 (ko) | 방충망을 갖는 전동 블라인드 기구 | |
KR20220106417A (ko) | 커튼장치 | |
KR200373380Y1 (ko) | 로만쉐이드용 줄 조절장치 | |
KR100798679B1 (ko) | 롤스크린장치 | |
KR200221063Y1 (ko) | 버티칼 블라인드의 캐리어 | |
KR20240079541A (ko) | 하나의 승강조작코드를 이용하여 하단바의 자유낙하 및 차양슬랫의 틸팅에 대한 선택적 조작이 가능한 베네시안 블라인드 | |
KR200311898Y1 (ko) | 블라인드 캐리어 엔드캡용 로울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