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572B1 - 커튼 장치 - Google Patents

커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572B1
KR101536572B1 KR1020140018627A KR20140018627A KR101536572B1 KR 101536572 B1 KR101536572 B1 KR 101536572B1 KR 1020140018627 A KR1020140018627 A KR 1020140018627A KR 20140018627 A KR20140018627 A KR 20140018627A KR 101536572 B1 KR101536572 B1 KR 101536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opening
curtain
guid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준
Original Assignee
양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준 filed Critical 양승준
Priority to KR1020140018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3/00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 A47H2001/047Curtain rails with multiple track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과 원리로 신속한 개폐가 가능한 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부,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1커튼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1이동부,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1이동부와 마주하고 상기 제2커튼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2이동부, 상기 이동로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갈라지며, 상기 갈라진 부분이 상기 가이드부를 타고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개폐부 중 가이드부의 상측으로 갈라진 부분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개폐부 중 가이드부의 하측으로 갈라진 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Description

커튼 장치{CURTAIN APPARATUS}
본 발명은 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curtain)은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에 치거나 칸막이로서도 사용되는 막류(幕類)의 총칭을 말하는 것으로, 광선의 조절, 시선의 차단, 방음, 방서, 방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 실용성 외에 벽이나 유리의 딱딱한 감을 부드럽게 하고 색채의 배합에 따라 실내장식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주거양식이 서구화됨에 따라 중요한 생활용구의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커튼은 차양과 방음, 방서, 방한 및 실내장식 등의 목적으로 실내의 창이나 베란다에 주로 사용되나, 목적과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결합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커튼은 한 개의 커튼지 상단을 창문 상측으로 설치된 레일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다수개 설치된 커튼 걸이구에 고정시키고, 커튼지 상단 일측은 고정하여 어느 일 방향으로만 커튼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된 것과, 상기 레일에 한 쌍의 커튼을 걸고, 한 쌍의 커튼의 양단을 레일에 고정시킨 후 좌,우 양측으로 여닫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커튼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커튼지를 개폐해야 하므로, 어린아이와 노약자 등의 경우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커튼에 자동개폐장치를 더 구비하여 커튼에 대한 개폐가 용이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커튼지 개폐에 연관되는 부품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튼의 제조단가가 높아지고 커튼의 개당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건비가 지나치게 높아지며, 부품의 오작동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67794호(2007.10.10) 등록특허공보 제10-0786116호(2007.12.1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과 원리로 신속한 개폐가 가능한 커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부,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1커튼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1이동부,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1이동부와 마주하고 상기 제2커튼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2이동부, 상기 이동로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갈라지며, 상기 갈라진 부분이 상기 가이드부를 타고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개폐부 중 가이드부의 상측으로 갈라진 부분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개폐부 중 가이드부의 하측으로 갈라진 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상기 개폐부가 위치되는 한 쌍의 제1결합판,
상기 제1결합판의 사이에 제자리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의 이동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제1롤러부,
상기 제1결합판의 사이에 결합되며, 제1결속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의 하측부분과 결속되어 상기 제1이동부가 상기 개폐부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상기 개폐부가 위치되는 한 쌍의 제2결합판,
상기 제2결합판의 사이에 제자리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의 이동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제2롤러부,
상기 제2결합판의 사이에 결합되며, 제2결속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의 상측부분과 결속되어 상기 제2이동부가 상기 개폐부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고정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로에 형성되고 상기 제1커튼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1이동부와 함께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제1보조 이동부, 상기 이동로에 형성되고 상기 제2커튼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2이동부와 함께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제2보조 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동로에 형성되는 회전부, 상기 레일부와 회전부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회전부가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로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대칭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의 하측부분과 상측부분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는 보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는, 개폐부가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만 하면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커튼부와 제2커튼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커튼부와 제2커튼부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개폐 구조로 인해 레일부의 외부로 노출된 개폐부의 상측부분 또는 하측부분 중 어느 하나만 아래로 당기거나 위로 올리더라도 제1커튼부와 제2커튼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에 적용된 구성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에 적용된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개폐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에 적용된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개폐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에 적용된 구성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에 적용된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개폐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에 적용된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개폐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장치는 창문, 출입구, 무대장치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로(11)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부(10), 상기 이동로(11)를 따라 이동되고 일단에 제1커튼부(60)가 설치되어 있는 제1이동부(20), 상기 이동로(11)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1이동부(20)와 마주하고 일단에 제2커튼부(70)가 설치되어 있는 제2이동부(30), 상기 이동로(11)에 형성되는 가이드부(40), 상기 가이드부(4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갈라지며, 상기 갈라진 부분이 상기 가이드부(40)를 타고 상기 이동로(11)를 따라 이동되는 개폐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부(1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로(1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후술되는 개폐부(50)는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레일부(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출입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로(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10)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가이드부(40) 및 보조 가이드부(100)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홀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10)의 저면 중앙부분은 후술되는 제1이동부(20)와 제2이동부(3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된 부분의 양측에는 바닥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이동부(20)는 상기 레일부(10)의 이동로(11)를 따라 이동되면서 제1커튼부(6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다시 제1결합판(21)과 제1롤러부(22)와 제1걸이부(26)와 제1고정부(23)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이동부(20)는 도1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부(10)의 중앙부분과 우측을 왕복이동 하면서 제1커튼부(60)를 개폐시킨다.
그러나, 상기 제1이동부(20)는 상기 레일부(10)의 중앙부분과 좌측을 왕복이동하면서 제1커튼부(60)를 개폐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1결합판(21)은 상기 이동로(11)에 위치되는 것으로,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개폐부(50)가 위치된다.
상기 제1롤러부(22)는 회전축(25)을 통해 상기 제1결합판(21)의 사이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10)의 바닥부(12)를 타고 레일부(10)의 이동로(11)를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제1롤러부(22)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제1결합판(21)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25)은 별도의 구성으로 상기 제1결합판(21)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롤러부(22)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양측이 상기 제1결합판(2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5)은 제1결합판(21)에 별도의 구성으로 설치될 경우 상기 제1결합판(21)의 사이에서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1롤러부(22)가 상기 회전축(25)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된다.
상기 제1걸이부(26)는 상기 제1롤러부(22)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커튼부(60)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측에 상기 회전축(25)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제1커튼부(60)와의 연결을 위한 고리부(11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걸이부(26)는 일부분이 레일부(10)의 절개된 부분을 따라 양방향으로 왕복이동 될 수 있다.
상기 제1커튼부(60)는 광선의 조절, 시선의 차단, 방음, 방서, 방한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재질 및 형상 등이 일반적인 커튼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커튼부(60)에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세로 형태의 주름이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리부(110)는 상기 제1걸이부(26)와 제1커튼부(6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단면이 원 형상, 'ㄹ'자 형상, 낚시 바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리부(110)는 일측이 제1걸이부(26)의 관통홀에 관통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커튼부(60)의 상측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제1커튼부(60)와 상기 제1이동부(20)를 연결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커튼부(60)는 상기 제1이동부(2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23)는 상기 제1이동부(20)와 개폐부(5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결합판(21)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측이 상기 제1결합판(21)에 관통설치된다.
이러한 제1고정부(23)는 제1결속부(24)를 통해 상기 개폐부(50) 중 가이드부(40)의 상측으로 갈라진 부분(B)에 결속되어 상기 제1이동부(20)가 상기 개폐부(5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23)는 상기 개폐부(50) 중 가이드부(40)의 상측으로 갈라진 부분 부분(B) 대신 하측으로 갈라진 부분(A)에 결속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결속부(24)는 끈이나 와이어 또는 낚시줄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1이동부(20)가 상기 개폐부(50)와 함께 이동되면 상기 제1커튼부(60)는 상기 제1이동부(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상 설명한 제1이동부(20)는 제1보조 이동부(80)와 함께 제1커튼부(60)를 개폐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보조 이동부(80)는 다수개가 제1이동부(20)와 이동로(11)의 끝단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고리부(110)를 통해 상기 제1커튼부(6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보조 이동부(80)는 상기 제1이동부(2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보조 이동부(80)는 상기 제1이동부(20)가 개폐부(50)와 함께 이동되면 상기 제1커튼부(60)에 의해 상기 제1이동부(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한편, 상기 제2이동부(30)는 상기 레일부(10)의 이동로(11)를 따라 이동되면서 제2커튼부(7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다시 제2결합판(31)과 제2롤러부(32)와 제2걸이부(36)와 제2고정부(33)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이동부(30)는 도1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부(10)의 중앙부분과 좌측을 왕복이동 하면서 제2커튼부(70)를 개폐시킨다.
그러나, 상기 제2이동부(30)는 상기 제1이동부(20)가 레일부(10)의 중앙부분과 좌측을 왕복 이동할 경우 레일부(10)의 중앙부분과 우측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제2커튼부(70)를 개폐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이동부(20)와 제2이동부(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커튼부(60)와 제2커튼부(70)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결합판(31)은 상기 이동로(11)에 위치되는 것으로,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개폐부(50)가 위치된다.
상기 제2롤러부(32)는 회전축(35)을 통해 상기 제2결합판(31)의 사이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10)의 바닥부(12)를 타고 레일부(10)의 이동로(11)를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제2롤러부(32)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제2결합판(31)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35)은 별도의 구성으로 상기 제2결합판(31)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2롤러부(32)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양측이 상기 제2결합판(3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5)은 제2결합판(31)에 별도의 구성으로 설치될 경우 상기 제2결합판(31)의 사이에서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2롤러부(32)가 상기 회전축(35)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된다.
상기 제2걸이부(36)는 상기 제2롤러부(32)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커튼부(70)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측에 상기 회전축(35)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제2커튼부(70)와의 연결을 위한 고리부(11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2걸이부(36)는 일부분이 레일부(10)의 절개된 부분을 따라 양방향으로 왕복이동 될 수 있다.
상기 제2커튼부(70)는 제1커튼부(6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33)는 상기 제2이동부(30)와 개폐부(5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결합판(31)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측이 상기 제2결합판(31)에 관통설치된다.
이러한 제2고정부(33)는 제2결속부(34)를 통해 상기 개폐부(50) 중 가이드부(40)의 하측으로 갈라진 부분(A)에 결속되어 상기 제2이동부(30)가 상기 개폐부(5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동이부와 제1이동부(20)의 이동방향은 반대방향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2이동부(30)가 상기 개폐부(50)와 함께 이동되면 상기 제2커튼부(70)는 상기 제2이동부(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33)는 상기 제1고정부(23)가 상기 개폐부(50) 중 가이드부(40)의 하측으로 갈라진 부분(A)에 결속될 경우, 상기 개폐부(50) 중 가이드부(40)의 상측으로 갈라진 부분(B)에 결속된다.
상기 제2결속부(34)는 상기 제1결속부(24)와 동일하게 끈이나 와이어 또는 낚시줄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2이동부(30)는 제2보조 이동부(90)와 함께 제2커튼부(70)를 개폐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보조 이동부(90)는 다수개가 상기 제2이동부(30)와 이동로(11)의 끝단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고리부(110)를 통해 상기 제2커튼부(7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보조 이동부(90)는 상기 제2이동부(3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보조 이동부(90)는 상기 제2이동부(30)가 개폐부(50)와 함께 이동되면 상기 제2커튼부(70)에 의해 상기 제2이동부(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레일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개폐부(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다시 회전부(41)와 회전축(42)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41)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양측 부분이 상기 레일부(10)의 내부 양측벽과 마주한다.
상기 회전축(42)은 상기 회전부(4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공지의 볼트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부(10)의 설치홀과 회전부(41)에 순차적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회전부(41)는 상기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부(5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42) 중 일부분은 상기 레일부(10)의 설치홀과 회전부(4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레일부(10)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부분에는 너트를 체결하므로서 상기 회전축(42)이 상기 레일부(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가이드부(40)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부(50)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인내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부(100)가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 가이드부(100)는 상기 가이드부(4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가이드부(100)는 상기 이동로에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대칭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에 형성되는 보조 가이드부(100)는 상기 가이드부(40)보다 높은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부(50)의 상측부분(B)을 가압하게 되고, 하부에 형성되는 보조 가이드부(100)는 상기 가이드부(40)보다 낮은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부(50)의 하측부분(A)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형태가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개폐부(50)는 항상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50)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중앙부분이 상기 회전부(41)의 측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그 상측부분(B)이 상기 회전부(41)의 상측부분을 타고 상기 이동로(11)의 폭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 하측부분은 상기 회전부(41)의 하측부분과 보조 가이드부(100)를 타고 상기 이동로(11)의 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50) 중 회전부(41)의 상측으로 갈라진 부분(B)에는 상기 제1결속부(24)와의 결합을 위한 두 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 갈라진 부분(A)에는 상기 제2결속부(34)와의 결합을 위한 두 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50) 중 회전부(41)의 상,하 방향으로 갈라진 일부분은 상기 이동로(11)의 출입구를 통해 레일부(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가 되어 일종의 손잡이 기능을 함에 따라, 사용자가 제1커튼부(60)와 제2커튼부(7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개폐부(50)의 노출되는 부분에는 별도의 제어손잡이(미도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50)의 노출되는 부분에는 별도의 동력부(미도시)를 연결하여 제1커튼부(60)와 제2커튼부(70)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10)의 끝 부분에는 상기 개폐부(50)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안내부(120a)와 제2안내부(120b)와 제3안내부(120c)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안내부(120a) 내지 제3안내부(120c)는 상기 가이드부(4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부(120a)는 상기 가이드부(40)보다 낮은 부분에 위치되는 보조 가이드부(100)와 수평선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안내부(120b)와 제3안내부(120c)는 상기 제1안내부(120a)보다 높은 부분에 위치되면서 서로 수평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50) 중 회전부(41)의 상측으로 갈라진 부분(B)은 상기 제1안내부(120a)와 제2안내부(120b)의 사이를 거쳐 레일부(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측으로 갈라진 부분(A)은 상기 제2안내부(120b)와 제3안내부(120c)의 사이를 거쳐 레일부(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개폐부(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50)는 제어되는 과정에서 제1안내부(120a)와 제2안내부(120b)와 제3안내부(120c)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하, 도3 및 도6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3과 같이 제1커튼부(60)와 제2커튼부(70)가 창문을 가리고 있는 상태에서 창문을 노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레일부(10)의 외부로 노출된 개폐부(50) 중 가이드부(40)의 상측으로 갈라진 상측부분(B)을 아래로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개폐부(50)의 상측부분(B)은 상기 가이드부(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개폐부(50)의 하측부분은 상기 가이드부(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이동부(20)와 제1보조 이동부(80)는 상기 개폐부(50)의 상측부분과 함께 이동되고 상기 제2이동부(30)와 제2보조 이동부(90)는 상기 개폐부(50)의 하측부분과 함께 이동되며, 이로 인해 제1커튼부(60)와 제2커튼부(70)는 도6과 같이 각각 포개진 상태가 되어 창문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도6과 같이 창문이 노출된 상태에서 제1커튼부(60)와 제2커튼부(70)를 통해 창문을 가리고자 할 경우, 상기 레일부(10)의 외부로 노출된 개폐부(50) 중 상기 가이드부(40)의 하측부분으로 갈라진 하측부분을 아래로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개폐부(50)의 상측부분은 상기 가이드부(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개폐부(50)의 하측부분은 상기 가이드부(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이동부(20)와 제1보조 이동부(80)는 상기 개폐부(50)의 상측부분과 함께 이동되고 상기 제2이동부(30)와 제2보조 이동부(90)는 상기 개폐부(50)의 하측부분과 함께 이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커튼부(60)와 제2커튼부(70)는 도3과 같이 각각 펼쳐진 상태가 되어 창문을 가리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50)의 하측부분 또는 상측부분 중 어느 하나를 당기거나 올리게 되면 다른 부분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커튼부(60)와 제2커튼부(70)를 개폐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의 커튼 장치(1)는 개폐부(50)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 중 어느 하나만 아래로 당기거나 위로 올리더라도 상기와 같이 제1커튼부(60)와 제2커튼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레일부 11 : 이동로
12 : 바닥부 20 : 제1이동부
21 : 제1결합판 22 : 제1롤러부
23 : 제1고정부 24 : 제1결속부
25,35,42 : 회전축 26 : 제1걸이부
30 : 제2이동부 31 : 제2결합판
32 : 제2롤러부 33 : 제2고정부
34 : 제2결속부 36 : 제2걸이부
40 : 가이드부 41 : 회전부
50 : 개폐부 60 : 제1커튼부
70 : 제2커튼부 80 : 제1보조 이동부
90 : 제2보조 이동부 100 : 보조 가이드부
110 : 고리부 120a : 제1안내부
120b : 제2안내부 120c : 제3안내부

Claims (5)

  1.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부,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고 제1커튼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1이동부,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1이동부와 마주하고 제2커튼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2이동부,
    상기 이동로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갈라지며, 상기 갈라진 부분이 상기 가이드부를 타고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개폐부 중 가이드부의 상측으로 갈라진 부분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개폐부 중 가이드부의 하측으로 갈라진 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이동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상기 개폐부가 위치되는 한 쌍의 제1결합판,
    상기 제1결합판의 사이에 제자리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의 이동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제1롤러부,
    상기 제1결합판의 사이에 결합되며, 제1결속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의 하측부분과 결속되어 상기 제1이동부가 상기 개폐부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상기 개폐부가 위치되는 한 쌍의 제2결합판,
    상기 제2결합판의 사이에 제자리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의 이동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제2롤러부,
    상기 제2결합판의 사이에 결합되며, 제2결속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의 상측부분과 결속되어 상기 제2이동부가 상기 개폐부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커튼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이동로에 형성되고 상기 제1커튼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1이동부와 함께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제1보조 이동부,
    상기 이동로에 형성되고 상기 제2커튼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2이동부와 함께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제2보조 이동부
    를 더 포함하는 커튼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동로에 형성되는 회전부,
    상기 레일부와 회전부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회전부가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
    을 포함하는 커튼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이동로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대칭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의 하측부분과 상측부분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는 보조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커튼 장치.
KR1020140018627A 2014-02-18 2014-02-18 커튼 장치 KR101536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27A KR101536572B1 (ko) 2014-02-18 2014-02-18 커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27A KR101536572B1 (ko) 2014-02-18 2014-02-18 커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572B1 true KR101536572B1 (ko) 2015-07-14

Family

ID=5379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627A KR101536572B1 (ko) 2014-02-18 2014-02-18 커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7962A (zh) * 2018-03-06 2018-09-04 佛山市高明区杨和金属材料专业镇技术创新中心 一种智能窗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013U (ko) * 1998-05-16 1998-08-17 이상명 패널 스크린 커튼
JP2000333822A (ja) * 1999-05-26 2000-12-05 Toso Co Ltd 電動カーテン装置用駆動プーリ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013U (ko) * 1998-05-16 1998-08-17 이상명 패널 스크린 커튼
JP2000333822A (ja) * 1999-05-26 2000-12-05 Toso Co Ltd 電動カーテン装置用駆動プーリ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7962A (zh) * 2018-03-06 2018-09-04 佛山市高明区杨和金属材料专业镇技术创新中心 一种智能窗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3831B1 (en) Movable mosquito screen, particularly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KR101871766B1 (ko) 방진 기능이 구비된 롤 타입 방충망
KR101866294B1 (ko)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US5125447A (en) Safety device for window decoration cords
KR101536572B1 (ko) 커튼 장치
KR101571106B1 (ko) 상하, 좌우 개폐가 가능한 스마트커튼장치
KR102426568B1 (ko) 방진망과 방충망을 갖는 롤 몸체 이동으로 차단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창호
KR101456931B1 (ko) 차양 장치
KR101358945B1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캐터필러 구조
JPH06158961A (ja) 網戸装置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KR100553254B1 (ko) 착탈형 행거식 방충망 장치
KR101672409B1 (ko) 롤 방충망을 이용한 복합 창호
JP6301077B2 (ja) 障子保持部材、及び、建具
KR20180044758A (ko) 롤스크린용 잠금장치
KR101667497B1 (ko) 권취형 스크린 도어
KR101473225B1 (ko) 수직 이동형 블라인드
KR101601139B1 (ko)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TW202043611A (zh) 自動閉合之紗門窗裝置及其組件
KR20210049289A (ko)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IT201900002879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zanzariere e tende avvolgibili
JP6890383B2 (ja) 建具
KR102427598B1 (ko)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
KR100406400B1 (ko) 버티칼 블라인드
US1933904A (en) Garage door opera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