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139B1 -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 Google Patents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139B1
KR101601139B1 KR1020150131477A KR20150131477A KR101601139B1 KR 101601139 B1 KR101601139 B1 KR 101601139B1 KR 1020150131477 A KR1020150131477 A KR 1020150131477A KR 20150131477 A KR20150131477 A KR 20150131477A KR 101601139 B1 KR101601139 B1 KR 101601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ain body
lifting
blin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호
Original Assignee
강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호 filed Critical 강남호
Priority to KR1020150131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06B2009/785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by belts, straps, bands, tapes, cords, tassels
    • E06B2009/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는 블라인드에 구비된 스크린의 권취를 조절하는 승강줄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단 양측에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본체;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무한벨트 형태의 상기 승강줄의 하부에 외주면이 안착되는 롤러; 및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본체에 결합 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커터; 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줄에 사용자의 목이 감겨 사용자가 몸부림침에 의해 상기 승강줄에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롤러가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고, 이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커터에 의해 상기 승강줄이 커팅된다.
이에 의하면, 어린이 등의 사용자가 승강줄에 목이 감겨 몸부림치는 경우, 사용자의 발버둥치는 힘이 승강줄에 가해지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던 롤러가 본체로부터 이탈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커터가 승강줄을 잘라 승강줄에 목이 감겨 있던 사용자는 승강줄로부터 벗어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Safety bar for string of blind}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줄에 결합되어 무게추 기능을 하면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에 관한 것이다.
커튼은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조절하기 위한 인테리어 소품이다. 이러한 커튼은 상술한 목적 이외에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거나, 방음, 방서, 방한 등의 목적을 갖는다. 특히, 벽이나 유리에서 느껴지는 단단하고 차가운 느낌을 부드럽고 따뜻하게 바꿔 인테리어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더 포함한다.
한편, 커튼은 개폐 동작에 따라 좌우로 개폐되는 방식과 상하로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분은 일반적이고 개괄적인 구분일 뿐이며, 실제로는 롤 블라인드(roll blind), 버티컬 블라인드(verticalblind), 스크린 블라인드(screen blind), 로만셰이드(roman shade), 콤비 스크린(combi screen) 등으로 분류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블라인드에서 스크린 또는 블라인드를 상하좌우로 작동시키기 위한 블라인드 줄은 아이들이 걸려 넘어지거나 블라인드 줄에 목에 감기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 여러가지 구조의 장치가 제안되었는데, 종래의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고 제조단가가 높아 당 업계에서 실제 제품으로의 적용이 거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4-012556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한 구조를 가져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어 실제 제품화하여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는 블라인드에 구비된 스크린의 권취를 조절하는 승강줄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단 양측에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본체;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무한벨트 형태의 상기 승강줄의 하부에 외주면이 안착되는 롤러; 및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본체에 결합 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커터; 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줄에 사용자의 목이 감기는 경우 사용자의 목에 상기 본체의 상단이 밀착되고, 사용자의 몸부림침에 의해 상기 승강줄에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승강줄은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롤러가 외측으로 이탈되도록 힘을 가해 상기 롤러가 상기 본체 내의 정위치에서 상방으로 이탈되게 하고, 이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커터에 의해 상기 승강줄이 커팅된다.
상기 롤러는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 사이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 중 서로 마주하는 면 상단에서 중간 부분까지에는 상기 롤러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경로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로홈은 하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로홈 하단에서 연장되되, 경로홈보다 더 깊게 단차져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터의 하단은 경사지게 날(blade)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에 의하면, 어린이 등의 사용자가 승강줄에 목이 감겨 발버둥치는 경우, 사용자의 발버둥치는 힘이 승강줄에 가해지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던 롤러가 정위치에서 상방으로 이탈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커터가 승강줄을 잘라 승강줄에 목이 감겨 있던 사용자는 승강줄로부터 벗어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롤러 및 커터 3가지 구성요소로만 이루어져 그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도 용이하며, 제조 단가도 낮출 수 있으므로 실제 제품화하여 쉽게 적용하기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가 블라인드의 승강줄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중 롤러가 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가 블라인드의 승강줄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중 롤러가 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100)는 종래 일반적인 블라인드(10)의 승강줄(20)에 결합되는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블라인드를 간략히 설명하면, 블라인드는 빛 차단을 위한 스크린이 권취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스프라켓과, 스프라켓에 결합되어 일측을 잡아 당기면 스크린이 회전체에서 풀려 펼쳐지고 타측을 잡아당기면 펼쳐진 스크린이 회전체에 감기게 하는 승강줄 및 승강줄에 결합되어 무게추 기능을 하는 안전바를 포함한다.
여기서, 승강줄은 무한 벨트 형태로 일반적인 직물 재질로 된 줄 또는 볼 체인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라인드의 구조는 실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조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100)는 승강줄(20)의 무게추 기능을 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120) 및 본체(110)에 구비되어 승강줄(2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승강줄(20)을 자를 수 있는 커터(130)를 포함한다.
본체(110)의 상단에는 한 쌍의 지지돌기(111)가 서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돌기(111) 중 서로 마주하는 면의 상단에서 중간 부분까지에는 경로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경로홈(112)은 그 깊이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하방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경로홈(112)의 하단에는 경로홈(112)에 연장되게 결합홈(113)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결합홈(113)은 경로홈(112)과 단차져 경로홈(112)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된다.
여기서, 경로홈(112)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결합홈(113)만이 형성된다.
롤러(120)는 원통 형상으로 무한 벨트 형상의 승강줄(20)의 하부 내측에 외주면이 안착되며, 이 외주면은 승강줄(20)이 중심에 올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롤러(120)의 양 측면에는 결합돌기(121)가 돌출 형성되어, 롤러(120)가 본체(110)에 결합 시 결합돌기(121)가 경로홈(11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결합홈(113)에 암수 결합된다. 경로홈(112)이 없는 경우, 결합돌기(121)는 지지돌기(111)의 내면에 밀착되어 하강하다 결합홈(113)에 암수 결합된다.
한편, 롤러(120)의 외주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삽입홈(122)이 형성된다.
커터(130)는 지지돌기(111) 사이에 배치되고, 하단에 날(blade)이 형성되며, 롤러(120)가 본체(110)에 결합 시 커터(130)는 롤러(120)의 삽입홈(122)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날이 형성된 커터(130)의 하단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승강줄(20)을 더 잘 자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커터(1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체(110)와 커터(130)의 결합은 본체(110)를 사출 방식으로 제조 시 금형 내에 미리 커터(130)를 제 위치에 배치시킨 후 사출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일측의 지지돌기(111) 내면에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타측 지지돌기(111)에는 관통홀(미도시)을 형성하여 관통홀을 통해 커터(130)를 삽입시킨 후 관통홀의 입구를 폐쇄하는 방법에 의해 본체(110)에 커터(130)를 구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100)는 어린이와 같은 사용자가 무심코 승강줄(20)에 목이 감겨 몸부림을 칠 경우, 몸부림칠 때 발생하는 힘이 승강줄(20)에 걸리게 되고, 이 승강줄(20)에 걸린 힘이 롤러(120)에 전달되어 롤러(120)가 정위치에서 이탈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승강줄(20)에 목이 감겨 승강줄(20)에 의해 목을 조이는 경우 안전바(100)의 상단은 사용자의 목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사용자의 몸부림에 의해 승강줄(20)은 본체(110)에 대해 롤러(120)를 본체(110)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하는 힘을 가함으로 롤러(120)는 정위치에서 상방으로 이탈하게 된다.
롤러(120)가 정위치에서 이탈되면 롤러(120)의 삽입홈(122) 내에 삽입되어 있던 커터(130)가 외부로 노출되고, 날이 형성된 커터(130)의 하단에 승강줄(20)이 밀착되어 좌우로 움직이게 되므로 승강줄(20)은 커터(130)에 의해 끊어지게 된다.
따라서, 승강줄에 목이 감겨 질식되고 있던 사용자는 질식 상태에서 빠져 나와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100)는 본체(110), 롤러(120) 및 커터(130) 3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므로 그 구조가 종래보다 현저히 단순하고, 따라서 그 제조과정 및 제조단가가 낮아 실제 블라인드에 적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100... 안전바 110... 본체
111... 지지돌기 112... 경로홈
113... 결합홈 120... 롤러
121... 결합돌기 122... 삽입홈
130... 커터

Claims (5)

  1. 블라인드에 구비된 스크린의 권취를 조절하는 승강줄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단 양측에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본체;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무한벨트 형태의 상기 승강줄의 하부에 외주면이 안착되는 롤러; 및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본체에 결합 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커터; 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줄에 사용자의 목이 감기는 경우 사용자의 목에 상기 본체의 상단이 밀착되고, 사용자의 몸부림침에 의해 상기 승강줄에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승강줄은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롤러가 외측으로 이탈되도록 힘을 가해 상기 롤러가 상기 본체 내의 정위치에서 상방으로 이탈되게 하고, 이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커터에 의해 상기 승강줄이 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 사이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 중 서로 마주하는 면 상단에서 중간 부분까지에는 상기 롤러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경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로홈은 하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로홈 하단에서 연장되되, 경로홈보다 더 깊게 단차져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하단은 경사지게 날(blad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KR1020150131477A 2015-09-17 2015-09-17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KR101601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77A KR101601139B1 (ko) 2015-09-17 2015-09-17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77A KR101601139B1 (ko) 2015-09-17 2015-09-17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139B1 true KR101601139B1 (ko) 2016-03-08

Family

ID=5553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77A KR101601139B1 (ko) 2015-09-17 2015-09-17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635A (ko) * 2017-07-28 2019-02-11 소장심 블라인드 무게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3650A (en) * 1994-08-19 1996-09-10 Verosol Usa Inc. Child safety device for looped cords
KR20110106249A (ko) * 2011-08-12 2011-09-28 안은로 블라인드용 안전 웨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KR20140076921A (ko) * 2012-12-13 2014-06-23 최동준 블라인드 줄의 안전장치
KR20140125560A (ko) 2013-04-19 2014-10-29 허승준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KR101505535B1 (ko) * 2014-04-21 2015-03-24 황기원 커튼 조정줄용 안전 손잡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3650A (en) * 1994-08-19 1996-09-10 Verosol Usa Inc. Child safety device for looped cords
KR20110106249A (ko) * 2011-08-12 2011-09-28 안은로 블라인드용 안전 웨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KR20140076921A (ko) * 2012-12-13 2014-06-23 최동준 블라인드 줄의 안전장치
KR20140125560A (ko) 2013-04-19 2014-10-29 허승준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KR101505535B1 (ko) * 2014-04-21 2015-03-24 황기원 커튼 조정줄용 안전 손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635A (ko) * 2017-07-28 2019-02-11 소장심 블라인드 무게추
KR101968653B1 (ko) 2017-07-28 2019-04-12 소장심 블라인드 무게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6120C (en) Chain guide for dual roller blind
US8662136B2 (en) Anti-strangulation apparatus for, and hanging freely with, a looped cord of a window covering device
KR101348337B1 (ko) 롤 블라인드
US20150197983A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actuation of a group for moving a curtain/awning
GB2517547A (en) Operating mechanism for a screen assembly
US20190264503A1 (en) Tensioner and safety enclosure for window blind loop drive
US20190264501A1 (en) Tensioner and safety enclosure for window blind hoop drive and channel cut out
KR101601139B1 (ko)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KR200467065Y1 (ko) 분리가능한 커튼 코드
CA2834099C (en) Cordless blind systems having cord enclosures with a swivel feature and methods of assembling such cord enclosures
KR20130011342A (ko) 조정 줄을 갖는 블라인드의 어린이 안전장치
US20120305200A1 (en) Safe Window Blind
JP6151556B2 (ja) 日射遮蔽装置の駆動ユニット
US20150184456A1 (en) Shade lock assembly
KR101400243B1 (ko) 안전성이 개선된 롤 블라인드
KR20140125560A (ko)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KR20180066644A (ko) 롤스크린 블라인드 승강 장치
KR101562372B1 (ko)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JP7018909B2 (ja) 日射遮蔽装置
US20230313607A1 (en) Chain shroud for roller shade
KR101536572B1 (ko) 커튼 장치
JP6345526B2 (ja) セーフティツール
KR102121668B1 (ko) 블라인드 작동줄용 안전장치
FI128432B (fi) Sälekaihtimen pohjanappi
IT201900002879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zanzariere e tende avvolgib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