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560A -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560A
KR20140125560A KR20130043478A KR20130043478A KR20140125560A KR 20140125560 A KR20140125560 A KR 20140125560A KR 20130043478 A KR20130043478 A KR 20130043478A KR 20130043478 A KR20130043478 A KR 20130043478A KR 20140125560 A KR20140125560 A KR 20140125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hain
fixing
safety
moving plate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준
Original Assignee
허승준
(주)미소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준, (주)미소디자인 filed Critical 허승준
Priority to KR2013004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5560A/ko
Publication of KR20140125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2Details of ladder-tapes or ladder chains, e.g. buckles for local shortening of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체인의 외면을 보호관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높이를 조절하여 감쌀 수 있어 어린 아이들이 볼체인을 목에 감고 놀 수 있는 환경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이다.
이는 내부에 무게추가 설치되면서 볼체인이 이동하는 이동통로를 U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면 양단에 상향 돌출된 고정돌기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안전추와; 상기 무게추의 고정돌기에 체결되며 하단에는 외면에 고정돌기가 체결되는 체결홈을 형성하고 표면 양측에 내부를 관통하는 볼체인 삽입구멍이 형성된 고정판과; 표면에 내부를 관통하는 볼체인 삽입공을 형성하고 내부를 관통하면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이동되고 고정핀에 의해 고정 및 해지가 이루어진 푸쉬버튼을 갖는 이동판과; 고정판과 이동판 사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름관 형태의 보호관을 체결하여 이루어진 안전장치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Blind ball chain safety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체인의 외면을 보호관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높이를 조절하여 감쌀 수 있어 어린 아이들이 볼체인을 목에 감고 놀 수 있는 환경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차단하며, 아이들이 없을 때는 보호관을 무게추의 상단까지 내려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을 주지 않는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튼은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조절하기 위한 인테리어 소품이다. 이러한 커튼은 상술한 목적 이외에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거나, 방음, 방서, 방한 등의 목적을 갖는다. 특히, 벽이나 유리에서 느껴지는 단단하고 차가운 느낌을 부드럽고 따뜻하게 바꿔 인테리어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더 포함한다.
한편, 커튼은 개폐 동작에 따라 좌우로 개폐되는 방식과 상하로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분은 일반적이고 개괄적인 구분일 뿐이며, 실제로는 롤 블라인드(roll blind), 버티컬 블라인드(verticalblind), 스크린 블라인드(screen blind), 로만셰이드(roman shade), 콤비 스크린(combi screen) 등으로 분류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나열된 블라인들은 스크린 또는 블라인드를 브라켓의 한쪽에 설치된 스프로켓(sprocket)으로 라운드 형태로 연결된 볼체인과 같은 블라인드 줄을 한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스크린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권취관에서 풀리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 창문 등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블라인드에서 스크린 또는 블라인드를 상하좌우로 작동시키기 위한 블라인드 줄은 아이들이 걸려 넘어지거나 블라인드 줄에 목에 감기는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블라인드 줄 때문에 숨진 어린이가 2001년 이후 8명이 나왔고 사망까진 이르지 않았지만 질식사할 뻔한 사고도 19건에 이른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우리나라의 지식경제부에서는 최근 블라인드를 안전관리품목으로 지정하는 내용의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했으며, 이에 맞춰 블라인드 줄의 안전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2010년 11월 15일에 등록공고된 한국등록특허 제994401호에서는 롤스크린 장치의 볼체인이나 코드줄과 같은 블라인드 줄에 의한 소아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소아안전 롤스크린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소아안전 롤스크린 장치는 하나의 몸체를 2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몸체 외면에 다수의 볼체인홈과 내주면에 걸림홈을 갖는 결합공과 표면 일측에 상향 돌출된 역마름모꼴의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대칭이 되도록 결합된 탄성기어와;
상기 상측몸체의 내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축스프링이 체결되는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하측몸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측몸체가 압축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상향 돌출되면서 탄성기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기어의 볼체인홈에 설치된 볼체인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안전고리를 설치한 후 하측으로 잡아당겨 벽에 고정 설치하여 탄성기어의 회전 구속이 볼체인의 장력에 의해 자동 해지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아안전 롤스크린 장치는 볼체인이나 코드줄의 안전고리를 팽팽하게 잡아 당긴 후 고정 설치해야만 롤스크린이 작동되어 블라인드 줄에 의한 소아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994401호에 개시된 소아안전 롤스크린 장치는 시중에 판매되는 블라인드 제품 또는 이미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블라인드 제품에 적용할 수 없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볼체인에는 별다른 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안전고리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아이들이 볼체인을 목에 걸고 장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볼체인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호관을 체결하여 아이들이 볼체인을 목에 걸고 장난할 수 환경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무게추가 설치되면서 볼체인이 이동하는 이동통로를 U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면 양단에 상향 돌출된 고정돌기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안전추와; 상기 무게추의 고정돌기에 체결되며 하단에는 외면에 고정돌기가 체결되는 체결홈을 형성하고 표면 양측에 내부를 관통하는 볼체인 삽입구멍이 형성된 고정판과; 표면에 내부를 관통하는 볼체인 삽입공을 형성하고 내부를 관통하면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이동되고 고정핀에 의해 고정 및 해지가 이루어진 푸쉬버튼을 갖는 이동판과; 고정판과 이동판 사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름관 형태의 보호관을 체결하여 이루어진 안전장치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는 볼체인의 외면 전체를 보호관의 감싸 어린 아이들이 볼체인을 목에 감고 노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안전사고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는 보호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셋째는 어린 아이들이 없을 때는 보호관을 하측으로 내려 원래의 볼체인 기능를 발휘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는 장점이 있다.
넷째는 각 부품을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여 제조 원가를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판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4~7은 본 발명인 보호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보호관이 하측으로 내려간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에서 본 본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판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고, 도 4~7은 본 발명인 보호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보호관이 하측으로 내려간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다.
이의 도면 부호 100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100)는 내부에 무게추(101)가 내장되고 볼체인(1)이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이동통로(102)가 형성된 안전추(110)와, 고정돌기(103)가 체결되는 체결홈(121)이 형성된 고정판(120)과 볼체인(1)을 고정 및 해지하는 푸쉬버튼(132)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판(130)과, 고정판(120)과 이동판(130) 사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름관 형태의 보호관(140)을 체결하여 이루어진 안전장치(150)로 구성한다.
상기 안전추(110)는 내부에 일정 무게를 갖는 무게추(101)를 형성하고 상면 양측에 볼체인(1)이 삽입되는 이동하는 이동통로(102)를 U자 형태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면의 전, 후방 면에는 상향 돌출된 고정돌기(103)를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다.
상기 이동통로(102)의 한쪽에 삽입된 볼체인(1)은 다른 쪽으로 배출하여 라운드 형태로 사용하게 되고, 내부에 내장된 무게추(101)는 하중에 의해 볼체인(1)이 수직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전장치(150)는 고정판(120)과 이동판(130) 및 고정판(120)과 이동판 (130)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보호관(1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판(120)은 전,후방의 외면 중앙에 안전추(110)의 고정돌기(103)가 체결되는 사각 형태의 홈인 체결홈(121)을 형성하고, 표면에 내부를 관통하는 원형의 볼체인 삽입구멍(122)을 2개 형성한다.
상기 고정판(120)의 상면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높낮이를 조절 가능한 주름관 형태의 보호관(140)을 고정한다.
상기 보호관(140)은 플렉시블(Flexible)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높낮이 조절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보호관(140)의 형태는 타원이나 원형 및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름관 형태인 보호관(140)은 필요에 따라서는 하니컴 형태나 고무관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관의 다른 형태는 첨부된 도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면이 3단으로 중첩되는 안테나(160)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상기 안테나(160)를 뽑았을 때는 볼체인(1)의 외면을 일정 높이로 감싸게 된다. 상기 안테나(160) 형식은 3단 이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재질은 금속 및 합성수지로 사용한다.
상기 보호관의 또 다른 형태는 첨부된 도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170)으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상기 스프링(170)은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탄성이 좋아 상,하 작동이 용이하며, 상측으로 잡아 올리면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볼체인(1)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상기 이동판(130)은 표면에 내부를 관통하는 원형의 볼체인 삽입공(131)을 2개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면 그 형태는 사각 형태이며 표면에 볼체인(1)이 삽입되는 체결공(133)이 형성된 푸쉬버튼(132)을 설치한다.
상기 푸쉬버튼(132)은 첨부된 도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공(133)의 양측에는 탄성스프링(134)이 체결된 결합돌기(13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33)의 한쪽 측면에 노리쇠(135)가 이동판(13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푸쉬버튼(132)을 전방으로 누르면 체결공(133)에 삽입된 볼체인(1)의 끈을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킴과 동시에 노리쇠(135)가 외부로 돌출되면서 푸쉬버튼(132)이 볼체인(1)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푸쉬버튼(132)이 볼체인(1)을 물고 고정되어 있어 이동판(130)이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노리쇠(135)를 누르게 되면 스프링(134)의 압축이 해지되면서 푸쉬버튼(132)이 원위치로 오게 되고, 이동판(130)이 볼체인(1)에서 고정 상태가 해지되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판(120)과 이동판(130)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여 경량이면서 제조원가를 줄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안전장치(150)의 고정판(120)을 안전추(110)의 상면에 체결한 후 안전추(110)의 결합돌기(103)를 고정판(120)의 체결홈(122)에 삽입하여 고정판(120)을 고정한다,
그런 다음, 주름관 형태의 보호관(140)을 하측으로 눌려 오므라지게 한 후에 볼체인(1)의 한 줄을 이동판(130)의 볼체인 삽입공(131)에 삽입한 후 그 끝단을 고정판(110)의 구멍(122)을 통과시키고 안전추(110)의 이동통로(102)로 삽입한다.
그리고 이동통로(102)로 배출된 볼체인(1)을 삽입 역순으로 고정판(120)과 이동판(13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시킨 후에 2개의 볼체인(1)을 별도의 연결구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먼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전추(110)의 상면에 안전장치(150)를 고정 설치한다.
그런 다음, 첨부된 도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정장치(150)의 이동판(130)을 하측으로 내려 보호관(140)이 줄어들도록 하여 볼체인(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볼체인(1)의 한쪽 줄을 잡고 작동하여 블라인드의 높이를 조절항 후에, 안전장치(150)의 이동판(130)을 잡고 상측으로 들어올려 볼체인(1)의 외면을 감싼다.
이때, 필요에 따라 보호관(1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한 높이로 보호관(140)을 들어올린 후에 이동판(130)의 푸쉬버튼(132)을 눌려 볼체인(1)의 끈에 이동판(130)을 고정한다.
즉, 볼체인(1)의 외면 전체나 일부분을 보호관(140)으로 감싸고 있어 어린 아이들이 볼체인(1)을 목에 감고 놀 수 없으므로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차단하게 된다.
101:무게추 102:이동통로
103:고정돌기 110:안전추
120:고정판 121:체결홈
130:이동판 132:푸쉬버튼
140:보호관 150:안전장치

Claims (8)

  1. 내부에 무게추가 설치되면서 볼체인이 이동하는 이동통로를 U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면 양단에 상향 돌출된 고정돌기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안전추와;
    상기 무게추의 고정돌기에 체결되며 하단에는 외면에 고정돌기가 체결되는 체결홈을 형성하고 표면 양측에 내부를 관통하는 볼체인 삽입구멍이 형성된 고정판과,
    표면에 내부를 관통하는 볼체인 삽입공을 형성하고 내부를 관통하면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이동되고 고정핀에 의해 고정 및 해지가 이루어진 푸쉬버튼을 갖는 이동판과,
    고정판과 이동판 사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름관 형태의 보호관을 체결하여 이루어진 안전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에 형성된 푸쉬버튼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볼체인을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은 여러 단이 중첩되는 안테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은 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은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볼체인의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의 형태는 타원, 원형,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은 하니컴이나 고무관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의 고정판과 이동판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KR20130043478A 2013-04-19 2013-04-19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KR20140125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478A KR20140125560A (ko) 2013-04-19 2013-04-19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478A KR20140125560A (ko) 2013-04-19 2013-04-19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560A true KR20140125560A (ko) 2014-10-29

Family

ID=5199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3478A KR20140125560A (ko) 2013-04-19 2013-04-19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55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39B1 (ko) 2015-09-17 2016-03-08 강남호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KR20190037595A (ko) 2017-09-29 2019-04-08 문제선 블라인드 안전 조작줄
GB2623179A (en) * 2019-07-05 2024-04-10 Maxxmar Inc Gravity activated safety blind contr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39B1 (ko) 2015-09-17 2016-03-08 강남호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KR20190037595A (ko) 2017-09-29 2019-04-08 문제선 블라인드 안전 조작줄
GB2623179A (en) * 2019-07-05 2024-04-10 Maxxmar Inc Gravity activated safety blind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900B1 (ko) 블라인드 줄에 결합되는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CA2848755C (en) A curtain pull bead fixing apparatus
US7793700B2 (en) Window blind safety device
EP3152382B1 (en) Child safe operating wand for a blind
US9506290B2 (en) Tension device for looped-cord system
KR101159248B1 (ko) 블라인드용 안전 보호구
US20190264501A1 (en) Tensioner and safety enclosure for window blind hoop drive and channel cut out
KR20140125560A (ko) 블라인드의 볼체인 안전 보호장치
US20190264503A1 (en) Tensioner and safety enclosure for window blind loop drive
WO2013064308A1 (en) Movable mosquito screen, particularly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DK201470008A1 (en) Window covering
KR20150130191A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부착장치
US10584529B2 (en) Safety device for a chain of a shade
KR200467065Y1 (ko) 분리가능한 커튼 코드
KR101413744B1 (ko) 롤 블라인드 작동줄의 안전장치
KR101383801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블라인드
KR20160012418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양장치
KR101601139B1 (ko)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KR101562372B1 (ko)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KR101243905B1 (ko) 블라인드 줄에 결합되는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KR101340622B1 (ko) 롤 블라인드용 줄의 안전체결구
KR101437853B1 (ko) 소아 안전사고 방지용 롤 블라인드
CA2996355C (en) Tensioner and safety enclosure for window blind loop drive
KR200219421Y1 (ko) 강화유리도어용 측면 보호캡
KR200350826Y1 (ko) 미닫이 도어 손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