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701Y1 -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 Google Patents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701Y1
KR200254701Y1 KR2020010024865U KR20010024865U KR200254701Y1 KR 200254701 Y1 KR200254701 Y1 KR 200254701Y1 KR 2020010024865 U KR2020010024865 U KR 2020010024865U KR 20010024865 U KR20010024865 U KR 20010024865U KR 200254701 Y1 KR200254701 Y1 KR 200254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er
sleeve
blind
ball chain
rol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재석
Original Assignee
곽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재석 filed Critical 곽재석
Priority to KR2020010024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701Y1/ko

Links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스크린을 적은 힘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어저스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적은 힘으로 롤스크린을 파이프에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축에 끼워져 자유회전하며 볼체인을 안내하는 볼체인가이드와, 회전부와 구동부로 되며 상기 구동부가 볼체인가이드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부를 수용하는 슬리브로 된 공지의 블라인드 어저스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주연에 형성한 선기어와, 상기 슬리브를 수용하며 선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마운팅된 유성캐리어와, 상기 유성캐리어를 수용하며 내주연에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내접기어가 형성된 커버로 구성되는 블라인드의 어저스터를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본고안은 선기어와 피니언기어 및 내접기어에 의하여 회전력이 감속되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들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블라인드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Adjuster of blind}
본 고안은 블라인드의 어저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스크린을 적은 힘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어저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창문을 통해 햇빛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고 실내의 미관을 수려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작동방식이나 형태에 따라 롤 스크린 블라인드, 베네시안 블라인드, 버티컬 블라인드, 로만쉐이드 블라인드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여러 종류의 블라인드 중 롤스크린 블라인드는 창문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승, 하강되며 상기 창문을 가리거나 여는 것인데, 이러한 롤스크린 블라인드는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햇빛을 차단하는 롤스크린(113)이 파이프(112)에 결합 고정되고, 이 파이프(112)의 양측 선단에는 롤스크린(113)을 작동시키는 어저스터(100)와 권취롤러(114)를 각각 설치되며, 상기 어저스터(100) 및 권취롤러(114)는 천장이나 창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111)에 지지되도록 되었다.
또한 어저스터(100)는 첨부한 도면 도 2에서와 같이 고정축(101)에 끼워져 자유회전하며 볼체인(110)을 안내하는 볼체인가이드(102)와, 회전부(104) 및 구동부(105)로 되며 고정축(101)에 끼워치는 회전체(103)와, 상기 회전체(103)의 회전부(104)를 수용하는 슬리브(109)로 구성되었으며, 회전체(103)의 구동부(105)는 한 쌍의 측판(106) 사이에 다수의 걸림편(107)과 걸림홈(108)이 형성되어 볼체인(110)이 걸릴 수 있도록 되었다.
이와 같은 롤스크린(113)이 파이프(112)에 감기거나 풀어지며 창문을 가리는것은 어저스터(1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볼체인(110)을 잡고 아래로 당기면 어저스터(100)의 회전체(103)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슬리브(109)와 파이프(112)가 회전된다.
따라서 롤스크린(113)이 상기 파이프(112)에 감기거나 풀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롤스크린 블라인드는 파이프(112)에 감긴 롤스크린(113)을 풀 때 상기 롤스크린(113)의 하중에 의하여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풀리는 반면, 파이프(112)에 감을 때에는 롤스크린(113)의 하중을 극복하여야 하므로 볼체인(110)을 힘껏 당겨야 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파이프(112) 내부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롤스크린(113)을 파이프에 감을 때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감을 수 있도록 된 것이 있으나, 이 경우에는 파이프(112)에 감긴 롤스크린(113)을 풀 때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반대방향으로 파이프(112)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볼체인(110)을 힘껏 당겨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어린이나 노약자들은 블라인드를 작동시킬 때 힘들어하는 등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은 힘으로 롤스크린을 파이프에 감거나 풀 수 있는 블라인드의 어저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롤스크린 블라인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롤스크린 블라인드의 구성도.
*도면의 부호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어저스터 11 ; 고정축 12 : 홈
13 : 볼체인가이드 14 : 개구부 15,23 : 구멍
16 : 회전체 17 : 구동부 21 : 회전부
22 : 절개부 25 : 슬리브 27 : 멈춤턱
29 : 선기어 30 : 유성캐리어 31 : 피니언기어
32 : 커버 33 : 내접기어 36 : 브라켓
38 : 볼체인 43 : 롤스크린 44 : 파이프
45 : 권취롤러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축에 끼워져 자유회전하며 볼체인을 안내하는 볼체인가이드와, 회전부와 구동부로 되며 상기 구동부가 볼체인가이드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부를 수용하는 슬리브로 된 공지의 블라인드 어저스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주연에 형성한 선기어와, 상기 슬리브를 수용하며 선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마운팅된 유성캐리어와, 상기 유성캐리어를 수용하며 내주연에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내접기어가 형성된 커버로 구성되는 블라인드의 어저스터를 제안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선기어와 피니언기어 및 내접기어에 의하여 감속이 이루어지므로 적은 힘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롤스크린 블라인드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외주연의 일측 선단에 스냅링(40)이 끼워지는 홈(12)을 갖는 고정축(11)을 형성하고, 중앙에 상기 고정축(11)이 끼워지는 구멍(15)과 하측에 볼체인(38)이 순환되는 개구부(14)갖는 볼체인가이드(13)를 형성하며, 볼체인(38)을 당길 때 회전하게 되는 구동부(17)와 고정축(11)에 결합되는 스프링(41)의 돌기(42)가 걸리는 절개부(22)를 갖는 회전부(21) 및 중앙에 고정축(11)이 끼워지는 구멍(23)을 갖는 회전체(16)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부(17)는 측판(18) 사이에 다수의 걸림편(19)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19)과 걸림편(19) 사이에 볼체인(38)이 걸리는 걸림홈(20)이 형성되도록 하고, 회전부(21)측에 위치한 측판(18)의 일곳을 절개하여 볼체인(38)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4)을 형성하여 구비한다.
이후, 회전부(21)를 수용하며 롤스크린(43)의 자중에 의해 회전체(16)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리브(25)를 형성하는데, 이 슬리브(25)의 내측에 회전체(16)의 절개부(22)에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41)의 돌기(42)가 걸리는 멈춤턱(27)을 형성하고, 내부 일측에 관통구멍(28)을 갖는 격판(26)을 형성하며, 외주연에는 선기어(29)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슬리브(25)를 수용하며 선기어(29)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1)를 마운팅한 유성캐리어(30)를 형성하고, 유성캐리어(30)를 수용하며 파이프(44)에 수용되는 커버(32)는 내주연에 피니언기어(31)와 치합되는 내접기어(33)를 형성하고, 일측 선단에는 관통구멍(35)을 갖는 격판(34)을 형성한다.
또한, 어저스터(10)를 체결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36)과 고정축(11)의 일측 선단에 형성된 홈(12)에 삽입 체결되는 스냅링(4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각각의 부품을 조립하여 어저스터(10)를 구비하는데, 그 조립은 고정축(11)에 볼체인 가이드(13)와 회전체(16)를 끼운 다음 스프링(41)을 끼우되, 상기 스프링(41)의 돌기(42)가 회전부(21)의 절개부(22)에 걸리도록 하고, 이후, 슬리브(25)를 회전체(16)의 회전부(21)에 끼운 다음, 유성캐리어(30)를 슬리브(25)에 끼워 피니언기어(31)와 선기어(29)가 치합되도록 하며, 상기유성캐리어(30)에 커버(32)를 끼워 피니언기어(31)와 내접기어(33)가 치합되도록 한 후, 커버(32)의 관통구멍(35)을 관통하여 나온 고정축(11)의 홈(12)에 스냅링(40)을 끼우면 된다.
첨부한 도면의 부호 중 미설명 부호 37은 브라켓(36)의 체결구멍이고, 39는 볼체인(38)의 볼이며, 44는 롤스크린(43)이 결합된 파이프, 45는 파이프(44)의 일측을 지지하는 권취롤러, 46은 파이프(44)에 수용되는 권취롤러(45)의 회전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볼체인(38)의 일측을 볼체인가이드(13)의 개구부(14)에 삽입 관통시킨 다음, 상기 볼체인(38)의 볼(39) 하나를 회전체(16)의 측판(18)에 형성한 삽입홈(24)에 삽입시키고, 측판(18)를 회전시키면 볼체인(38)의 볼(39)들이 구동부(17)의 걸림홈(20)에 하나씩 삽입되며 볼체인(38)이 설치된다.
이후, 브라켓(36)의 체결구멍(37)에 나사못 등을 삽입 관통시키고 건물 실내의 천장이나 벽, 창틀 등에 상기 나사못을 박아 브라켓(36)을 체결 고정시킨 다음, 상기 브라켓(36)에 어저스터(10)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어저스터(10)가 설치되면 상기 어저스터(10)로부터 롤스크린(43)의 폭만큼 띄운 거리에 권취롤러(45)를 설치하는데, 그 방법은 상기 어저스터(10)의 설치방법과 동일하게 브라켓(36)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36)에 권취롤러(45)를 결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어저스터(10)와 권취롤러(45)의 설치가 완료되면 마지막으로 롤스크린(43)의 설치하는데, 이 롤스크린(43)은 파이프(44)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어저스터(10)의 커버(32)와 권취롤러(45)의 회전구(46)를 파이프(44)의 양측 선단에 각각 삽입시키면 그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롤스크린 블라인드의 사용은 볼체인(38)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볼체인(38)은 링 형상으로서 볼체인(38)의 볼(39) 일부가 회전체(16)의 구동부(17)에 형성한 걸림홈(20)에 삽입되어 걸려있고, 나머지 부분은 볼체인가이드(13)의 개구부(14)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볼체인가이드(13)의 아래에 위치하는 볼체인(38)은 실제는 1개의 선으로 되었지만 회전체(16)의 양측으로 내려와 있으므로, 당길 수 있는 선은 2개가 된다.
따라서 상기 2개 선 중 어느 한 선을 당기면 이 힘에 의해 구동부(17)에 걸려있던 볼체인(38)이 당기는 쪽으로 이동하고, 다른 선이 구동부(17)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17)측의 볼체인(38)이 당기는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구동부(17)의 걸림홈(20)에 삽입된 볼체인(38)의 볼(39)들이 당기는 쪽으로 이동하다 걸림편(19)에 걸리게 되나, 볼체인(38)을 잡아당기는 힘이 더욱 강하기 때문에 상기 볼(39)은 계속하여 당기는 쪽으로 끌려가게 된다.
이처럼 볼체인(38)의 볼(39)이 구동부(17)의 걸림편(19)에 걸려진 상태에서 당기는 쪽으로 끌려가게 되면, 이 볼(38)에 의해 걸림편(19)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편(19)의 회전으로 회전체(16)가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체(16)의 절개부(22)에 스프링(41)의 돌기(42)가 걸려있으므로, 회전체(16)가 회전하면서 상기 돌기(42)를 스프링(41)이 권취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밀어 스프링(42)의 내경을 벌리게 되고, 그 결과 스프링(42)도 고정축(11) 상에서 함께 회전한다.
또한, 슬리브(25)의 멈춤턱(27)이 회전체(16)의 절개부(2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슬리브(25)도 회전체(16)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리브(25)가 회전하면 상기 슬리브(25)의 선기어(29)에 치합된 피니언기어(31)가 슬리브(25)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내접기어(33)가 피니언기어(31)와 치합된 커버(32)도 피니언기어(3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롤스크린(43)이 결합된 파이프(44)도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파이프(44)가 회전하면 이 파이프(44)상에 권취되어 있는 롤스크린(43)의 권취상태가 풀어져 창문을 가리거나 또는 권취상태가 풀어져 창문을 가리고 있던 롤스크린(43)이 파이프(44)에 권취되며 창문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볼체인(38)의 어느 한 선을 당겨 롤스크린(43)이 파이프(44)에서 풀어지거나 또는 권취된 상태가 된 이후, 다시 롤스크린(43)을 파이프(44)에 권취시키거나 권취상태를 풀려고 할 때에는 상기에서 볼체인(38)의 당겼던 선이 아닌 다른 선을 당기면 되는데, 그 과정은 상기와 동일하나 회전방향이 반대로 되어 롤스크린(43)이 권취되거나 풀리는 것이다.
한편, 롤스크린(43)이 자체 하중에 의해 내려오며 파이프(44)를 회전시킬 우려가 있으나, 이는 스프링(41)에 의해서 방지된다.
즉, 볼체인(38)에 의하지 않고 롤스크린(43)의 하중에 의하여 파이프(44)가 회전하려 할 경우, 그 힘이 커버(32)와 유성캐리어(30)를 거쳐 슬리브(25)에 전달되어 상기 슬리브(25)의 멈춤턱(27)이 돌기(42)를 스프링(41)의 권취방향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41)의 내경이 더욱 좁아지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스프링(41)이 고정축(11)의 외주연을 더욱 조이게 되어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롤스크린(43)의 하중에 의해서는 파이프(44)가 회전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슬리브(25)의 회전력이 유성캐리어(30)의 피니언기어(31)에 의하여 감속되어 커버(32)에 전달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들도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롤스크린(43)을 파이프(44)에 권취시키거나 풀 수 있다.
상기에서는 롤스크린 블라인드의 어저스터(10)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로만쉐이드 블라인드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블라인드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슬리브의 외주연에 선기어를 형성하고, 선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마운팅된 유성캐리어와 유성캐리어를 수용하는 커버를 형성하여 된 것으로, 상기 선기어와 피니언기어 및 내접기어에 의하여 회전력이 감속되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들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블라인드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고정축(11)에 끼워져 자유회전하며 볼체인(38)을 안내하는 볼체인가이드(13)와, 회전부(21) 및 구동부(17)로 되며 상기 구동부(17)가 볼체인가이드(13)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체(16)와, 상기 회전체(16)의 회전부(21)를 수용하는 슬리브(25)로 된 공지의 블라인드 어저스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5)의 외주연에 형성한 선기어(29)와, 상기 슬리브(25)를 수용하며 선기어(29)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1)가 마운팅된 유성캐리어(30)와, 상기 유성캐리어(30)를 수용하며 내주연에 피니언기어(31)와 치합되는 내접기어(33)가 형성된 커버(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KR2020010024865U 2001-08-16 2001-08-16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KR200254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865U KR200254701Y1 (ko) 2001-08-16 2001-08-16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865U KR200254701Y1 (ko) 2001-08-16 2001-08-16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701Y1 true KR200254701Y1 (ko) 2001-11-24

Family

ID=7306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865U KR200254701Y1 (ko) 2001-08-16 2001-08-16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7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257B1 (ko) 2008-08-13 2011-01-04 정장훈 롤러식 스크린의 감속장치
KR102224948B1 (ko) 2020-01-23 2021-03-05 김상균 자동조심(自動調心)형 블라인드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257B1 (ko) 2008-08-13 2011-01-04 정장훈 롤러식 스크린의 감속장치
KR102224948B1 (ko) 2020-01-23 2021-03-05 김상균 자동조심(自動調心)형 블라인드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156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RU2118439C1 (ru) Управляющий механизм с муфтой для роликовых штор
US7000670B2 (en) Blind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reof
AU2005203064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CA2558707A1 (en) Worm gear drive mechanism for a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KR100669485B1 (ko) 롤블라인드
US20050109471A1 (en) Window covering lifting system and method
KR101730776B1 (ko) 롤스크린 감속장치
US11866992B2 (en) Cordless operating safety blind
WO2015186807A1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102031526B1 (ko)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
JP2005521815A (ja) 閉鎖又は日除け設備のための補償スプリングに張力を加える機構
JP3896342B2 (ja) 電動ブラインド
KR200254701Y1 (ko)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KR20120008562U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ITTO980186A1 (it) Dispositivo di comando per una tenda a rullo.
KR200449680Y1 (ko) 롤 스크린의 스크린 회동장치
EP2695550B1 (en) Solar radiation shield device and device for operating same
KR100547287B1 (ko) 롤스크린용 구동브래킷
KR200222378Y1 (ko)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JPH0739665U (ja) 左右兼用型の嵌込み部材
CN215820542U (zh) 一种窗帘布控制装置
JP7475235B2 (ja) 日射遮蔽装置及び日射遮蔽装置用の操作装置
JPH11256959A (ja) カーテン回転駆動装置
JPH0616125Y2 (ja) ロ−ル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