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378Y1 -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 Google Patents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378Y1
KR200222378Y1 KR2020000032148U KR20000032148U KR200222378Y1 KR 200222378 Y1 KR200222378 Y1 KR 200222378Y1 KR 2020000032148 U KR2020000032148 U KR 2020000032148U KR 20000032148 U KR20000032148 U KR 20000032148U KR 200222378 Y1 KR200222378 Y1 KR 200222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er
ball chain
roll screen
bli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재석
Original Assignee
곽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재석 filed Critical 곽재석
Priority to KR2020000032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3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378Y1/ko

Links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라인드의 어저스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의 어저스터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터에 설치되는 볼체인을 당길 때, 상기 볼체인을 안내하는 볼체인 가이드를 형성하고,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를 설치할 때 볼체인을 어저스터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수요자들에게는 작동의 편의와 제품 선택의 폭을 넓혀주며, 작업자 및 제작자에게는 일손을 절감시켜 작업의 편의와 비용의 절감을 제공하는 블라인드의 어저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고정축에 끼워져 자유회전하며 걸림홈이 형성된 회전체의 일측을 수용하는 볼체인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연에 형성한 걸림홈 중 어느 한 곳을 개방하여 삽입홈을 형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어저스터를 보관 관리할 때, 상기 어저스터와 볼체인을 따로 보관 관리할 수 있어 서로간에 엉키는 일이 없고, 볼체인을 어저스터에 설치하는 것도 제작시에 하지 않고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를 설치할 때 하므로 제작 과정에서 일손이 절감되며, 사용시에도 볼체인을 어떠한 각도에서 당겨도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Adjuster of blind}
본 고안은 블라인드의 어저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의 롤 스크린을 감거나 푸는 역할을 하는 어저스터에 볼체인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상기 볼체인을 다양한 각도에서 당길 수 있도록 하는 블라인드의 어저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창문이나 현관 등 건물의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부분에 설치하여 상기 햇빛을 차단하고 실내의 미관을 수려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 베네시안식 블라인드, 버티컬 블라인드, 로만쉐이드 블라인드 등 그 형태와 방식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종류의 블라인드 중 주로 직물로 된 넓은 막으로 창문 등을 개폐하는 블라인드를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라 하는데, 이러한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는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햇빛을 차단하는 롤 스크린(1)이 파이프(3)에 결합 고정되고, 이 파이프(3)의 양측 선단에는 어저스터(4)와 권취롤러(5)를 각각 설치하는데, 상기 어저스터(4) 및 권취롤러(5)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구(4a,5a)는 천장에 고정 설치된 레일(2)에 삽입되고, 하측에 형성된 회전구(4a,5a)는 파이프(3)에 삽입되어, 롤 스크린(1)이 결합된 파이프(3)가 어저스터(4)와 권취롤러(5)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를 사용하는 것은 어저스터(4)에 설치된 볼체인(6)에 의해 이루어 지는데, 상기 볼체인(6)은 단부가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무한궤도 형태로 되어 실제로는 1개의 선이지만 상기 어저스터(4)로부터 당길 수 있도록 나온 선은 2개의 선이다.
따라서, 이 선들 중 어느 한 쪽 선을 당기면 어저스터(4)의 회전구(4b)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다른 쪽 선을 당기면 상기 회전구(4b)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구(4b)가 회전하면 이 회전구(4b)와 결합된 파이프(3)도 같이 회전하여 롤 스크린(1)이 상기 파이프(3)에 감기거나 풀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파이프(3)를 회전시켜 롤 스크린(1)을 감거나 푸는 것은 어저스터(4)에 의해 이루어지며, 권취롤러(5)는 파이프(3)가 회전될 때 상기 권취롤러(5)에 형성된 회전구(5b)가 함께 회전하며 파이프(3)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는 롤 스크린(1)을 파이프(3)에 감거나 풀기 위해 볼체인(6)을 당길 때, 상기 볼체인(6)을 그 설치 위치로부터 수직으로 당겨야 파이프(3)가 회전하여 롤 스크린(1)이 감기거나 풀어지게 되며, 비스듬하게 당기면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즉, 사람은 신체 구조상 어떤 물체를 아래로 당길 때 위치의 변화 없이 수직으로 당기기보다는 자기 자신쪽을 향해 당기는 것이 자연스럽고 본능적인 것인데, 어저스터(4)에는 볼체인(6)을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 장치가 없고, 오직 고정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볼체인(6)을 비스듬하게 당길 경우, 상기 볼체인(6)의 볼이 어저스터(4)의 몸체에 걸려 당겨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볼체인(6)을 당기는 도중 자신도 모르게 자신쪽을 향해 비스듬히 당기게 되어, 상기 볼체인(6)이 당겨지다 중간에 어저스터(4)의 몸체에 볼이 끼여 멈추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면 다시 볼체인(6)을 수직이 되게 하여 당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또한, 상기 어저스터(4)는 그 조립하는 과정에 있어서, 나중에 볼체인(6)만을 별도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어저스터(4)를 조립할 때 볼체인(6)도 함께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상의 불편함과 보관 관리상의 불편함은 물론 일반 수요자들에게도 그들의 취향이나 설치장소의 여건에 따른 볼체인의 길이를 선택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저스터(4)는 볼체인(6)이 그 내부에 설치된상태로 완제품이 되므로, 제작과정에서 더 많은 일손이 필요하며, 보관 관리에 있어서도 볼체인(6)은 볼체인(6)끼리 어저스터(4)는 어저스터(4)끼리 보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볼체인(6)과 어저스터(4)가 함께 보관되는 것이기 때문에, 볼체인(6)의 볼이 어저스터(4)의 틈 사이로 들어가 서로간에 엉키게 되는 문제점과, 수요자들의 선택을 제한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의 어저스터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터에 설치되는 볼체인을 당길 때, 상기 볼체인을 안내하는 볼체인 가이드를 형성하고,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를 설치할 때 볼체인을 어저스터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수요자들에게는 작동의 편의와 제품 선택의 폭을 넓혀주며, 작업자 및 제작자에게는 일손을 절감시켜 작업의 편의와 비용의 절감을 제공하는 블라인드의 어저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고정축에 끼워져 자유회전하며 걸림홈이 형성된 회전체의 일측을 수용하는 볼체인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연에 형성한 걸림홈 중 어느 한 곳을 개방하여 삽입홈을 형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어저스터가 적용된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의 설치상태도
도 2는은 본 고안에 의한 어저스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어저스터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회전체에 볼체인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볼체인 가이드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어저스터가 적용된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부호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어저스터 11 : 고정축 14 : 볼체인 가이드
16 : 개구부 17 : 회전체 18 : 구동부
22 : 삽입홈 25 : 스프링 27 : 슬리브
29 : 멈춤턱 32 : 스냅링 36 : 볼체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어저스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어저스터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의 어저스터(10)를 형성함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내부 중공부에 다수의 돌기(12)를 형성하고 외주연의 일측 선단에는 스냅링(32)이 끼워지는 홈(13)을 형성한 고정축(11)을 구비하고, 중앙에 상기 고정축(11)이 끼워지는 구멍(15)을 갖는 볼체인 가이드(14)를 형성하되, 이 볼체인 가이드(14)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회전체(17)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하고, 하단단부가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볼체인(36)이 순환하는 개구부(16)를 형성하여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볼체인 가이드(14)에 일측이 삽입되는 회전체(17)는 볼체인(36)을 당길 때 회전하게 되는 구동부(18))와, 일측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단부에 고정축(11)에 결합되는 스프링(25)의 돌기(26) 외측이 걸리는 회전부(23)를 형성하며, 중앙에는 고정축(11)이 끼워지는 구멍(24)을 형성하여 구비한다.
상기에 있어서, 구동부(18)는 측판(19) 사이에 다수의 걸림편(21)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21)과 걸림편(21) 사이에 볼체인(36)이 걸리는 걸림홈(20)이 형성되도록 하고, 회전부(23)측에 위치한 측판(19)의 일곳을 절개하여 볼체인(36)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2)을 형성하여 구비한다.
이후, 볼체인(36)에 의하지 않고 롤 스크린의 자중에 의해 회전체(17)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리브(27)를 형성하는데, 이 슬리브(27)는 상기 회전체(17)의 회전부(23)가 삽입되는 구멍(28)을 형성하되, 상기 구멍(28)의 일측에는 격판(30)을 형성하고, 이 격판(30)의 중앙에 고정축(11)의 홈(13)만이 삽입 관통되는 결합구멍(31)을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25)의 돌기(26) 내측이 걸리는 멈춤턱(29)을 형성하여 구비한다.
또한, 어저스터(10)를 체결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33)은 상기 고정축(11)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지지부(34)와 건물의 실내 천장이나 벽에 체결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는 체결구멍(35)을 형성하여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각각의 부품을 조립하여 어저스터(10)를 형성 구비하는데, 그 조립은 고정축(11)에 볼체인 가이드(14)와 회전체(17)를 끼운 다음 스프링(25)을 끼우되, 상기 스프링(25)의 돌기(26)가 회전부(23)의 개방된 단부에 걸리도록 하고, 이후, 슬리브(27)를 회전체(17)의 회전부(23)에 끼운 다음, 고정축(11)의 홈(13)에 스냅링(32)을 끼우면 어저스터(10)의 형성이 완료된다.
한편, 첨부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회전체에 볼체인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볼체인 가이드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어저스터가 적용된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의 설치상태도이다.
첨부한 도면의 미설명 부호 37은 롤 스크린이며, 38은 상기 롤 스크린(37)이 결합된 파이프, 39는 상기 파이프(17)의 일측을 지지하는 권취롤러, 40은 권취롤러(39)에 형성한 회전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어저스터(10)는 첨부한 도면 도 6에서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이 설치하는 과정은 먼저, 브라켓(33)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즉, 브라켓(33)의 체결구멍(35)에 나사못 등을 삽입 관통시키고 건물 실내의 천장이나 벽 등에 상기 나사못을 박으면 브라켓(33)이 체결 고정된다.
이후, 어저스터(10)에 볼체인(36)을 설치한 다음, 상기 어저스터(10)를 브라켓(33)에 설치하는데, 어저스터(10)에 볼체인(36)을 설치하는 방법은 첨부한 도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볼체인(36)의 일측을 볼체인 가이드(14)의 개구부(16)에 삽입 관통시킨 다음, 상기 볼체인(36)의 볼 하나를 회전체(17)의 측판(19)에 형성한 삽입홈(22)에 삽입시킨 후, 측판(19)를 일방향(도 4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도시)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볼체인(36) 중 삽입홈(22)에 삽입된 볼 이후의 볼들은 구동부(18)의 걸림홈(20)에 하나씩 삽입되어 가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판(19)을 한 바퀴 회전시키면 볼체인(36)의 볼들이 구동부(18)의 걸림홈(20)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어저스터(10)에 볼체인(36)이 설치되면, 상기 어저스터(10)를 천장, 벽 등에 설치한 브라켓(33)에 고정 설치하는데, 그 방법은 브라켓(33)의 지지부(34)를 고정축(11)의 중공부로 삽입시키면 어저스터(10)가 브라켓(33)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33)의 지지부(34)는 고정축(11)의 중공부에 형성한 다수의 돌기(12) 사이로 끼워져 고정되므로, 고정축(11)은 항상 그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어저스터(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어저스터(10)로부터 롤스크린(36)의 폭만큼 띄운 거리에 권취롤러(38)를 설치하는데, 그 방법은 상기 어저스터의 설치방법과 동일하게 브라켓(33)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33)의 지지부(34)에 권취롤러(39)가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어저스터(10)와 권취롤러(39)의 설치가 완료되면 마지막으로 롤 스크린(37)의 설치하는데, 이 롤 스크린(37)은 파이프(38)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파이프(38)의 양측을 어저스터(10)와 권취롤러(39)에 설치하면 된다.
즉, 어저스터(10)의 슬리브(27)와 권취롤러(39)의 회전구(40)를 파이프(38)의 양측 선단에 각각 삽입시키면 그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의 사용은 볼체인(36)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볼체인(36)은 단부가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무한궤도 형상으로서, 볼체인(36)의 볼 일부가 회전체(17)의 구동부(18)에 형성한 걸림홈(20)에 삽입되어 걸려있고, 나머지 부분은 볼체인 가이드(14)의 개구부(16)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볼체인 가이드(14)의 아래에 위치하는 볼체인(36)은 실제는 1개의 선이지만, 당길 수 있는 선은 첨부한 도면 도 5에서와 같이 2개의 선이다.
즉, 상기 2개의 선 중 어느 한 선을 아래로 당기면 이 힘에 의해 다른 선은 위로 올라가게 된다.
즉, 볼체인(36)의 2개 선 중 어느 한 선을 당기면 이 힘에 의해 구동부(18)에 걸려있던 볼체인(36)이 당기는 쪽으로 이동하고, 다른 선이 구동부(18)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18) 측의 볼체인(36)이 당기는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구동부(18)의 걸림홈(20)에 삽입된 볼체인(36)의 볼들이 당기는 쪽으로 이동하다 걸림편(21)에 걸리게 되나, 볼체인(36)을 잡아당기는 힘이 더욱 강하기 때문에 상기 볼은 계속하여 당기는 쪽으로 끌려가게 된다.
이처럼 볼체인(36)의 볼이 구동부(18)의 걸림편(21)에 걸려진 상태에서 당기는 쪽으로 끌려가게 되면, 이 볼에 의해 걸림편(21)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걸림편(21)들은 회전체(17)의 일부분이고, 상기 회전체(17)는 그 중심에 고정축(11)이 끼워져 상기 고정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볼체인(36)을 당기는 힘에 의해 걸림편(21)은 고정축(11) 상에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걸림편(21)의 회전으로 회전체(17)가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체(17)의 회전부(23) 개방 단부에 스프링(25)의 돌기(26) 외측이 걸려있으므로, 회전체(17)가 회전하면서 이 돌기(26)를 밀게 된다.
즉, 상기 돌기(26)의 외측을 미는 것은 스프링(25)이 권취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미는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스프링(25)의 내경을 벌리게 되어 스프링(25)도 고정축(11) 상에서 함께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25)이 회전하면, 이 스프링(25)의 돌기(26) 내측에 위치하는 슬리브(27)의 멈춤턱(29)이 상기 돌기(26)에 걸려 함께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슬리브(27)도 회전하게 되며, 이 슬리브(27)가 회전하면 롤 스크린(36)이 결합되고 일측 선단에 슬리브(27)가 끼워진 파이프(37)도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파이프(38)가 회전하게 되면 이 파이프(38) 상에 권취되어 있는 롤 스크린(37)의 권취상태가 풀어지거나 또는 권취상태가 풀어진 롤 스크린(37)이 다시 파이프(38)에 권취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38)가 회전할 때 권취롤러(39)는 파이프(38)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상기 파이프(38)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롤 스크린(37)이 파이프(38)에서 풀어지거나 또는 권취된 상태가 된 이후, 이와는 반대로 롤 스크린(37)을 파이프(38)에 권취하거나 권취상태를 풀 때에는 상기에서 볼체인(36)의 선 중 당겼던 선이 아닌 다른 선을 당기면 되는데, 그 과정은 상기와 동일하나, 회전방향은 반대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볼체인 가이드(14)는 볼체인(36)을 당길 때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첨부한 도면 도 5에서와 같이 볼체인 가이드(14)는 고정축(11) 상에서 자유회전하므로, 볼체인(36)의 선 중 어느 한 선을 잡고 당기면 볼체인 가이드(14)의 개구부(16)는 볼체인(36)을 당기는 쪽으로 이동한다.
즉, 볼체인(36)을 잡고 당길 때 굳이 수직으로 당기지 않고 비스듬하게 당긴다 하더라도, 당길 때 볼체인(36)이 팽팽해지는 힘에 의해 볼체인 가이드(14)의 개구부(16)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각도에서라도 볼체인 가이드(14)의 개구부(16)가 확보되기 때문에 상기 볼체인(36)을 용이하게 당길 수 있게 된다.
한편, 롤 스크린 식 블라인드가 설치되었을 때 롤 스크린(37)이 자체 하중에 의해 내려오며 파이프(38)를 회전시킬 우려가 있으나, 이는 스프링(25)에 의해서 방지된다.
즉, 볼체인(36)에 의하지 않고 롤 스크린(37)의 하중에 의해 파이프(38)가 회전할 경우, 이 파이프(38)의 일측에 삽입된 슬리브(27)도 회전하게 되나, 이 슬리브(27)의 멈춤턱(29)이 스프링(25)의 돌기(26) 내측에 위치하므로, 슬리브(27)가 회전하면 상기 스프링(25)의 돌기(26) 내측을 밀게 된다.
그러나, 스프링(25)의 돌기(26) 내측을 미는 것은 스프링(25)의 권취된 방향으로 상기 돌기(26)를 미는 것이므로, 그 내경이 더욱 좁아지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스프링(25)이 고정축(11)의 외주연을 더욱 조이게 되어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롤 스크린(37)의 하중에 의해서는 파이프(38)가 회전할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의 어저스터를 형성함에 있어서, 회전체의 측판에 볼체인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볼체인을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볼체인 가이드를 형성한 것으로, 어저스터를 보관 관리할 때, 상기 어저스터와 볼체인을 따로 보관 관리할 수 있어 서로간에 엉키는 일이 없고, 볼체인을 어저스터에 설치하는 것도 제작시에 하지 않고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를 설치할 때 하므로 제작 과정에서 일손이 절감되며, 사용시에도 볼체인을 어떠한 각도에서 당겨도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고안이다.

Claims (1)

  1. 고정축(11)에 끼워져 자유회전하며 걸림홈(20)이 형성된 회전체(17)의 일측을 수용하는 볼체인 가이드(14)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17)의 외주연에 형성한 걸림홈(20) 중 어느 한 곳을 개방하여 삽입홈(22)을 형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KR2020000032148U 2000-11-16 2000-11-16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KR200222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48U KR200222378Y1 (ko) 2000-11-16 2000-11-16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48U KR200222378Y1 (ko) 2000-11-16 2000-11-16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378Y1 true KR200222378Y1 (ko) 2001-05-02

Family

ID=7306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148U KR200222378Y1 (ko) 2000-11-16 2000-11-16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3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640B1 (ko) * 2006-02-06 2006-12-19 곽재석 롤 스크린의 자동 승강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640B1 (ko) * 2006-02-06 2006-12-19 곽재석 롤 스크린의 자동 승강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3802B2 (en) Cordless blinds
KR101182509B1 (ko) 블라인드
US7523777B2 (en) Roman shade
US8381793B2 (en) Lift and tilt mechanisms for a venetian blind
KR100669485B1 (ko) 롤블라인드
JPH09303068A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102031526B1 (ko)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
US6935398B2 (en) Operating unit for a window covering
KR20120008841U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KR200222378Y1 (ko)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KR100728938B1 (ko) 블라인드
AU2014263713A1 (en) Cam unit, horizontal blind, and drive unit for sunlight blocking device
KR200187439Y1 (ko) 차단막의 권취자동 조정장치
KR200254701Y1 (ko)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KR102669195B1 (ko) 패브릭 텐션 장치
KR200310930Y1 (ko) 커튼 이동장치
KR102437668B1 (ko) 탑다운 바텀업 블라인드
KR102661216B1 (ko) 허니콤 블라인드
JPH0559235B2 (ko)
KR20220074213A (ko) 패브릭 텐션 장치
JPH0214633Y2 (ko)
KR200296711Y1 (ko) 커튼 이동장치
KR200320104Y1 (ko) 직물 쉐이드의 권취장치
JP3398849B2 (ja) 建物用ドアにおけるワイヤ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