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151A -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151A
KR20040068151A KR10-2004-7007832A KR20047007832A KR20040068151A KR 20040068151 A KR20040068151 A KR 20040068151A KR 20047007832 A KR20047007832 A KR 20047007832A KR 20040068151 A KR20040068151 A KR 20040068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inding
clutch
damp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5350B1 (ko
Inventor
스기야마노보루
아오키타카시
사와구치나오토
아오야마타케시
Original Assignee
세이키 주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94104A external-priority patent/JP40732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47915A external-priority patent/JP3990317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키 주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키 주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8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3Horizontally moving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7Brakes preventing fast screen movement
    • E06B2009/808Fluid brakes

Abstract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의 스크린의 권취시에 있어서의 충격 및 충돌음을 완화하기 위한 댐퍼를 설치하면서도, 스크린의 전개 조작에 있어서의 저항을 가급적으로 저감하는 것으로, 권취박스의 일단의 브래킷에 고정한 코일스프링의 타단을 권취축에 고정하고, 또한, 상기 충격 및 충돌음을 완화하는 댐퍼를 설치한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권취박스에 고정한 고정축상의 댐퍼와 권취축 사이에, 코일스프링의 회전 가압력에 저항해서 스크린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댐퍼와 권취축 사이의 접속이 끊어지고, 권취축이 스크린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댐퍼와 권취축 사이가 접속되는 일방향 클러치기구를 끼워장착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AUTOMATIC WIND-UP SCREEN DEVICE}
종래, 코일스프링을 구동원으로 하는 권취축에 스크린을 감음과 아울러, 그 스크린의 선단에 개폐조작용의 조작프레임을 부착하고, 상기 스크린을 자동적으로 권취하도록 한 스크린장치는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자동 권취식의 스크린장치에 있어서는, 코일스프링의 뒤틀림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스크린을 권취하기 때문에, 권취의 완료시에 권취속도가 커져서 스크린의 선단에 부착된 조작프레임이 권취박스에 충돌할 때에 큰 충격을 주거나, 혹은 큰 충돌음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그것에 대한 대책으로서, 상기 권취속도의 증대를 억제하기 위한 댐퍼를 설치하는 등의 배려가 이루어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3-106076호 참조).
이 종래의 스크린장치에 있어서의 댐퍼에서는, 통상, 권취축의 회전방향에관계없이 항상 권취축의 회전력이 상기 댐퍼에 전달되어, 그 댐퍼에 내장된 일방향 클러치기구에 의해, 권취축 스크린을 권취할 때에는 상기 댐퍼에 의한 저항을 권취축에 주고, 되감기에 의해 스크린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상기 저항을 주지 않고 용이하게 스크린의 전개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방향 클러치기구는 댐퍼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스크린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을 회전시킬 경우에도, 전개조작에 약간의 저항력이 작용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예를 들면 오일 댐퍼의 경우에는, 댐퍼 내의 오일 누설을 막는 고무패킹과 그것을 관통하는 축의 마찰에 의한 저항력이 있어, 그것에 의해 스크린의 전개를 위한 조작이 다소라도 무거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댐퍼는, 스크린의 권취를 위한 코일스프링의 권취력을 저하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스크린에 바람 등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스크린의 권취력은, 댐퍼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현저하게 저하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권취가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방진, 차광, 단열, 방충 등을 위한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권취축에 내장된 코일스프링의 비틀림에 의한 회전 가압력을 스크린의 권취용의 구동원으로 하는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한 권취시의 충격 및 충돌음을 완화하기 위한 댐퍼를 설치한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파단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동 평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제1실시예의 댐퍼 작동상태(스크린의 권취시)에 있어서의 권취축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댐퍼 비작동상태(스크린의 전개시)에 있어서의 권취축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권취축측 클러치편의 나사이동 개시시(스크린의 권취 개시시)에 있어서의 권취축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의 댐퍼 작동상태에 있어서의 권취축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제2실시예의 스크린의 전개시에 있어서의 권취축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파단 정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제3실시예의 댐퍼 작동상태(이동부재가 클러치편에 대하여 이동개시)에 있어서의 권취축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제3실시예의 댐퍼 작동상태(이동부재가 클러치편에 대하여 이동중)에 있어서의 권취축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3실시예의 댐퍼 작동상태(이동부재가 클러치편에 대하여 정지)에 있어서의 권취축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제3실시예의 댐퍼 비작동상태에 있어서의 권취축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권취축측 클러치편의 나사이동 개시시(스크린의 권취 개시시)에 있어서의 부분파단 정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제4실시예의 권취축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일방향 클러치기구에 있어서의 스크린의 전체 권취상태의 부분파단 정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제5실시예의 권취축측 클러치편이 댐퍼측 클러치편으로부터 이탈하는 시점에 있어서의 부분파단 정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제5실시예의 권취축측 클러치편의 이동 완료시(스크린의 전개 완료시)에 있어서의 부분파단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크린 프레임 2 : 측부 프레임
3 : 상부 프레임 4 : 하부 프레임
5 : 측부 프레임 6 : 권취축
7 : 스크린 8 : 조작프레임
9 : 코일스프링 10 : 걸림부재
12, 13 : 브래킷 14, 15, 64, 65 : 지지부재
16, 66, 67 : 고정축 18, 19, 68, 69 : 스프링받이
25, 75 : 오일 댐퍼 25a, 75a : 회전축
25b : 연결부 30, 40, 80, 90 : 일방향 클러치기구
31, 32, 41, 42, 81, 85, 91, 95 : 클러치편
31a, 32a, 41a, 42a, 81a, 85a, 91a, 95a : 클러치 톱니
33, 43 : 지지축 33a, 43a, 86a : 플랜지부
34, 48, 89 : 스프링 44, 87, 97 : 나선동작기구
45, 66a, 67a, 96a : 수나사 46, 86b, 95b : 암나사
47, 66b : 공전역 49 : 고정부착자
67b : 핀 75b : 제동 통
75c : 시일부재 75d, 85c : 스토퍼
75e : 축이음매 82, 92 : 클러치부재
84, 94 : 클러치 스프링 85b, 96c : 홈
86, 96 : 이동부재 86c : 볼록부
88 : 스프링시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코일스프링을 구동원으로 하는 권취축에 스크린을 감아서 상기 스크린을 자동적으로 권취하도록 한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권취시에 있어서의 충격 및 충돌음을 완화하기 위한 댐퍼를 설치하면서도, 스크린의 전개시에 있어서의 저항을 가급적으로 저감함으로써 조작성을 개선한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임의로 설정한 감속 개시시점까지는 댐퍼가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스크린의 권취를 위한 코일스프링의 권취력을 유효하게 작용시키도록 한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감속 개시시점을 간단히 조절 가능하게 한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개조작 도중의 스크린을 1/2 개방으로 한 상태에서 잘못해서 조작프레임을 놓아버린 경우 등에 배려하여, 스크린의 전개량의 여하에 관계 없이, 스크린을 수납하는 후기의 일정범위 이내에 있어서 상기 댐퍼에 의한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한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권취박스에 상기 권취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그 권취박스의 일단의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한 코일스프링의 타단을 권취축에 고정한 스프링받이에 부착하고, 상기 권취박스의 브래킷에 고정된 고정축과 권취축 사이에, 상기 권취축에 대하여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댐퍼를 설치한 자동 권취식의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상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회전 가압력에 저항해서 스크린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댐퍼와 권취축 사이의 접속이 끊어지고, 권취축이 스크린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권취의 후기에 있어서 상기 댐퍼와 권취축 사이가 접속되는 일방향 클러치기구를 끼워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에 있어서는, 권취박스에 고정한 고정축상의 댐퍼와 권취축 사이에, 스크린의 권취시에 댐퍼와 권취축을 접속하는 일방향 클러치기구를 설치하고, 스크린의 전개시에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기구에 의해 권취축의 회전이 댐퍼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 스크린의 전개 조작시에는 댐퍼 내의 마찰 등에 기인하는 저항력도 작용하는 일이 없고, 스크린의 전개시에 있어서의 저항을 가급적으로 저감하여, 종래의 댐퍼 내에 일방향 클러치기구를 내장할 경우에 비하여, 한층 경쾌하게 스크린의 전개조작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에 있어서의 일방향 클러치기구로서는, 상기 권취박스에 고정한 고정축에 댐퍼를 개재해서 설치한 댐퍼측의 클러치편과, 권취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설치한 지지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끼워넣어진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구비하고, 양 클러치편의 사이에, 스크린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맞물리지 않지만, 스크린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권취축이 회전할 경우에는 맞물리는 클러치 톱니를 설치하고,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대하여 양 클러치 톱니가 맞물리는 정도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일방향 클러치기구를 간단히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일방향 클러치기구로서는, 상기 권취박스에 고정한 고정축에 댐퍼를 개재해서 설치한 댐퍼측의 클러치편과, 권취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으로 하고, 또한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설치한 지지축에 대하여 나선동작기구를 개재해서 연결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구비하고, 상기 나선동작기구는,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이 상기 지지축에 대하여 회전은 하지만, 스크린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 스크린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권취축이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기구로서 구성하고, 양 클러치편에 그들이 접촉시에 서로 맞물리는 클러치 톱니를 설치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권취축에 대하여 댐퍼에 의한 제동력을 임의시점에서 작용시켜, 그 시점까지는 코일스프링에 의한 스크린의 권취력을 상기 제동력에 의해 저감시키는 일 없이,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상기 나선동작기구로서는, 댐퍼측의 클러치편상의 지지축과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의 쌍방에 설치한 서로 나사결합하는 나사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나사홈과 그것에 끼워넣는 핀 등의 돌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권취축측의 클러치편과 지지축 사이의 상기 나선동작기구를, 권취축에 의해 스크린의 권취를 개시하고나서 클러치편 상호의 접속에 의해 댐퍼가 동작하는 감속 개시시점까지,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설정하고, 상기 지지축상에, 스크린의 전개시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이 상기 나선동작기구의 작동범위를 초과했을 때에,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지지축에 대하여 그 자리에서 공전시키는 공전역을 형성한 것으로서 구성되며, 이 경우에, 지지축상의 공전역에 있는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나선동작기구측에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대한 지지축의 수직설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그것에 의해서 댐퍼의 동작시기, 즉 권취축의 감속 개시시점을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방향 클러치기구로서는, 권취박스에 고정한 고정축에 댐퍼를 개재해서 설치한 댐퍼측의 클러치편과, 권취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구비하고, 또한 양 클러치편을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클러치 스프링, 및 스크린의 개폐시에 스크린의 전체 권취상태로부터 권취축이 일정수의 회전을 행하는 동안 양 클러치편을 접합상태로 유지하고, 그 후에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상기 양 클러치편을 이간시키도록 작동하는 클러치의 시간차 작동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일방향 클러치기구는, 댐퍼측의 클러치편과, 권취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으로 하고, 내주에 암나사를 형성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구비하고, 또한 외주에 상기 암나사에 나사결합시키는 나사를 갖고, 고정축상을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지만 회전을 구속받아서 슬라이딩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댐퍼측에 가압하는 클러치 스프링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의 시간차 작동수단으로서는,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에 대하여 상기 고정축 축선방향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이동부재를 구비하고, 그 클러치편과 이동부재를 권취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가능하게 하여, 그들 사이에 클러치 스프링을 끼워장착하고, 또한 상기 이동부재를 고정축에 대하여 나선동작기구를 통해서 연결하고, 상기 나선동작기구는, 스크린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초기의 일정수의 회전에 있어서, 상기 양 클러치편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가 댐퍼측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구동되어, 일정수 회전후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과 이동부재가 일체로 되어서 댐퍼측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하며, 스크린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권취축이 회전할 경우에는, 권취축측의 클러치편과 이동부재가 일체로 되어서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 양 클러치편이 서로 맞물린 후의 일정수의 회전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만이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기구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선동작기구는, 고정축과 이동부재에 설치한 서로 나사결합하는 나사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과 이동부재 사이의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는, 스크린의 권취의 후기에 있어서의 댐퍼 동작범위로서 설정된다.
이들의 경우, 권취박스의 브래킷에 설치한 고정축과 권취축에 설치한 스프링받이 사이에 스크린 권취용의 코일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코일스프링의 회전 가압력을 조정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축과 권취축 사이에 댐퍼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이동부재와 고정축 사이의 나선동작기구를, 권취축에 의해 스크린의 권취를 개시하고나서 클러치편 상호의 접속에 의해 댐퍼가 동작하는 감속 개시시점까지,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설정하고, 상기 고정축상에 스크린의 전개시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이 상기 나선동작기구의 작동범위를 초과했을 때에,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고정축에 대하여 그 자리에서 공전시키는 공전역을 형성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에 따르면, 코일스프링을 구동원으로 하는 권취축 스크린을 감아서, 상기 스크린을 자동적으로 권취하도록 한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권취시에 있어서의 충격 및 충돌음을 완화하기 위한 댐퍼를 설치하면서도, 스크린의 전개시에 있어서의 저항을 가급적으로 저감하는 것에 의해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감속 개시시점까지는 댐퍼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스크린의 권취를 위한 코일스프링의 권취력을 유효하게 작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일방향 클러치기구를, 권취박스에 고정한 고정축에 댐퍼를 개재해서 설치한 댐퍼측의 클러치편과, 권취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으로 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구비하고, 또한 양 클러치편을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클러치 스프링, 및 스크린의 개폐시에 스크린의 전체 권취상태로부터 권취축이 일정수의 회전을 행하는 동안 양 클러치편을 접합 상태로 유지하고, 그 후에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상기 양 클러치편을 이간시키도록 작동하는 클러치의 시간차 작동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하면, 스크린의 전개량의 여하에 관계 없이, 스크린을 수납하는 후기의 일정 범위 이내에만 있어서 상기 댐퍼에 의한 제동력을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스크린의 전개시에 있어서의 저항을 저감해서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권취시에는 권취용 코일스프링의 권취력을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있고, 게다가, 스크린의 전개조작의 도중의 스크린을 1/2 개방으로 한 상태에서 잘못해서 조작프레임을 놓아버렸을 경우 등에도, 상기 댐퍼의 제동력을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프레임이 권취박스에 충돌해서 큰 충격을 주거나, 또는 큰 충돌음을 발생하거나, 조작프레임과 권취박스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여서 생각하지 않는 부상을 입는 일이 없고, 조작성 및 안전성을 개선한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권취식의 스크린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권취식의 스크린장치의 제1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스크린을 수평당김식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한 스크린장치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의 스크린장치는, 상기 수평당김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는 스크린을 윗쪽으로 자동권취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크린장치는, 건물 개구부에 있어서의 차광, 단열, 혹은 방충 등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그들의 용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선반의 앞면이나, 밥상을 배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배상차의 개구부용의 방진용 스크린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스크린장치는, 건물 개구부에 설치하는 스크린 프레임(1)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 프레임(1)의 한쪽의 측부 프레임(2)을, 스크린(7)을 감는 회전가능한 권취축(6)을 지지하는 권취박스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상기 스크린 프레임(1)은, 상기 측부 프레임(2)의 상하단에 연결된 상하 프레임(3, 4)과, 상기 측부 프레임(2)에 대향하는 다른쪽의 측부 프레임(5)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측부 프레임(2)을 구성하는 권취박스 내의 권취축(6)에 코일스프링(9)을 내장시키고, 이 코일스프링(9)의 비틀림에 의한 회전 가압력을 권취축(6)의 스크린 권취를 위한 구동원으로 하여, 스크린(7)을 자동 개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스크린(7)의 선단에는 개폐조작용의 조작프레임(8)을 부착하고, 상기조작프레임(8)에 설치한 걸림부재(10)를 스크린(7)의 팽팽히 설치시에 측부 프레임(5)에 결합시켜, 스크린(7)을 팽팽히 설치하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7) 및 조작프레임(8)의 상하단은, 상기 상하 프레임(3, 4)에 안내시키고 있다.
권취박스 상하단의 브래킷(12, 13)에 대하여 양단을 각각 지지부재(14, 15)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킨 상기 권취축(6)에는, 그 내부에, 하부의 브래킷(13)에 끝부가 고정된 고정축(16)을 삽입통과시키고, 상기 고정축(16)에 고정적으로 지지시킨 스프링받이(18)에 코일스프링(9)의 일단을 감아부착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스프링(9)의 타단을 상기 고정축(16)으로는 회전가능하고 권취축(6)으로는 고정한 스프링받이(19)에 고정적으로 부착하고 있다. 따라서, 스크린(7)의 권취축(6)은 고정축(16)에 코일스프링(9)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6)의 선단에는 오일 댐퍼(25)를 설치하고, 그 오일 댐퍼의 회전축(25a)과 권취축(6) 사이에 일방향 클러치기구(30)를 설치하고 있다.
이 일방향 클러치기구(30)는 코일스프링(9)의 회전 가압력에 저항해서 스크린(7)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6)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댐퍼(25)와 권취축(6) 사이의 접속이 자동적으로 끊어지고, 권취축(6)이 코일스프링(9)의 가압력에 의해 스크린(7)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댐퍼(25)와 권취축(6) 사이가 접속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기구(30)는, 그 회전축(25a)에 연결한 댐퍼측의 클러치편(31)과, 권취축(6)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31)에 설치한 지지축(3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끼워삽입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3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양 클러치편(31, 32)의 사이에는, 스크린(7)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6)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맞물리지 않지만, 스크린(7)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권취축(6)이 회전할 경우에는 맞물리는 클러치 톱니(31a, 32a)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32)을 댐퍼측의 클러치편(31)에 대하여 양 클러치 톱니(31a, 32a)가 맞물리는 정도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 지지축(33)의 선단의 플랜지부(33a)와 클러치편(32) 사이에 스프링(34)을 설치하고 있다. 이 스프링(34)은, 도 1의 스크린장치를 상하 반대로 해서 설치했을 경우에도 클러치편(32)을 클러치편(31)에 대하여 항상 접촉시킬 수 있는 정도로 누르는 것이면 좋다. 또한, 도 1의 상태에서 클러치편(32)의 중량이 그것을 항상 클러치편(31)에 압압하는 것에 충분한 것이면, 그것을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스프링(34)을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오일 댐퍼(25)는, 상기 고정축(16)에 케이싱의 연결부(25b)를 연결하고, 상기 케이싱 내에 점성유체를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수용한 제동 통에 상기 회전축(25a)을 연결하고, 그 회전축(25a)을 케이싱의 커버를 통해서 도출한 것이지만, 그것에 한하지 않고, 주지의 각종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제1실시예에서는, 고정축(16)에 댐퍼(25)의 케이싱의 연결부(25b)를 연결하고, 클러치편(31)에 댐퍼(25)의 회전축(25a)을 연결하고 있지만, 연결이 그 반대이어도 관계없다.
상기 구성을 갖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에 있어서는, 권취박스에 고정한 고정축(16)상의 댐퍼(25)와 권취축(6) 사이에, 스크린(7)의 권취시에 댐퍼(25)와 권취축(6)을 접속하는 일방향 클러치기구(30)를 설치하여, 스크린(7)의 전개시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일방향 클러치기구(30)에 의해 권취축(6)의 회전이 댐퍼(25)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 스크린(7)의 전개 조작시에는 댐퍼(25) 내의 마찰 등에 기인하는 저항력도 작용할 일이 없고, 스크린(7)의 전개시에 있어서의 저항을 가급적으로 저감하여, 종래의 댐퍼 내에 일방향 클러치기구를 내장하는 경우에 비하여 한층 경쾌하게 스크린의 전개조작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7)을 코일스프링(9)에 축적된 회전 가압력에 의해 권취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일방향 클러치기구(30)가 접속된 상태로 되므로, 권취축(6)이 댐퍼(25)를 통해서 고정축(16)에 접속되게 되고, 그 때문에, 상기 권취축(6)은 코일스프링(9)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지만, 댐퍼(25)의 완충력에 의해 회전속도의 증대가 억제되고, 그것에 의해, 조작프레임(8)이 권취박스에 충돌할 때에 큰 충격을 주거나, 큰 충돌음을 발생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의 동작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제2실시예의 일방향 클러치기구 부분을 제외하는 전체적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의해 설명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제2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붙인 상기 제1실시예의 부호를 사용해서 설명하고, 그들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일방향 클러치기구(40)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권취박스의 브래킷(13)에 고정한 고정축(16)에 댐퍼(25)를 통해서 연결한 댐퍼측의 클러치편(41)과, 권취축(6)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41)에 설치한 지지축(43)에 대하여 나선동작기구(44)를 개재해서 연결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42)을 구비하고 있다. 댐퍼(25) 자체에 대해서는, 먼저 제1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다.
양 클러치편(41, 42) 사이에는, 서로 맞물리는 클러치 톱니(41a, 42a)를 설치하고 있다. 이들 클러치 톱니(41a, 42a)는, 스크린(7)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6)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맞물리지 않지만, 스크린(7)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권취축(6)이 회전할 경우에는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구성을 구비할 필요는 없고, 상호의 압접에 의해 회전을 전달하는 것이어도 관계없다.
상기 나선동작기구(44)는,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측의 클러치편(41)상의 지지축(43)과 권취축측의 클러치편(42)의 쌍방에 설치한 부분의 서로에 나사결합하는 수나사(45)와 암나사(46)에 의해 구성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상기 지지축(43) 또는 클러치편(42)에 형성한 나사홈과, 다른쪽에 설치한 그것에 끼워넣는 핀 등의 돌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요컨대, 권취축측의 클러치편(42)이 상기 지지축(43)에 대하여 회전하여 스크린(7)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6)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그 클러치편(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41)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 스크린(7)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권취축(6)이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4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기구이면 된다.
도시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클러치편(42)과 지지축(43) 사이의 나선동작기구(44)에서는, 수나사(45)의 길이에 따라, 권취축(6)에서 스크린(7)의 권취를 개시하고나서 클러치편(41, 42)의 상호의 접속에 의해 댐퍼(25)가 동작하는 감속 개시시점까지의 스크린(7)의 권취량을 설정하고, 그 동안에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42)을 댐퍼측의 클러치편(4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나사이동) 하도록 하고 있다. 도 5는 권취축(6)에서 스크린(7)의 권취를 개시하는 시점의 상태를, 도 6은 클러치편(41, 42)의 상호의 접속에 의해 댐퍼(25)가 동작하게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수나사(45)의 길이에 따라 댐퍼(25)가 동작하는 감속 개시시점까지의 스크린(7)의 권취량을 설정하면, 권취 개시로부터 감속 개시시점의 사이에 있어서는 댐퍼(25)가 동작하지 않고, 그 때문에, 스크린에 바람 등의 외력이 작용하고 있어도, 코일스프링(9)의 강한 권취력을 그대로 이용해서 스크린(7)을 권취할 수 있다.
또한, 권취축(6)이 스크린의 전개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편(42)이 클러치편(41)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나사이동하고, 그 때문에, 클러치편(41, 42)의 접속이 끊어지므로 댐퍼(25)에 권취축(6)의 회전이 전달될 일은 없고, 스크린(7)의 전개 조작은 경쾌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스크린(7)의 전개 조작을 계속하고, 클러치편(42)이 상기 나선동작기구(44)의 작동범위를 초과했을 때, 즉, 수나사(45)에 나사결합하고 있는 클러치편(42)의 암나사(46)가 상기 수나사(45)의 범위를 초과하였을 때는, 상기 클러치편(42)을 지지축(43)에 대하여 그 자리에서 공전시키기 때문에, 상기 지지축(43)에 있어서의 수나사(45)의 형성단에, 나사가 없는 공전역(47)(도 6참조)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수나사(45)의 형성하는 범위는, 완전한 전개 상태로부터 권취축(6)에 의해 스크린(7)이 권취될 때에, 그 도중에서 한쌍의 클러치편(41, 42)이 접합되어서 댐퍼(25)가 작동을 개시할 때까지 클러치편(42)의 암나사(46)가 이동하는 범위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크린(7)의 길이에 차이가 있는 스크린장치에 적용할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공전역(47)에서 그 길이의 차이가 흡수되게 된다.
지지축(43)상에 있어서의 상기 공전역(47)에 있는 클러치편(42)을 수나사(45)측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으로서, 상기 지지축(43)의 선단의 플랜지부(43a)와 클러치편(42) 사이에는 스프링(48)을 설치하고 있다. 이 스프링(48)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1실시예의 스프링(34)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41)에는, 지지축(43)을 나사삽입에 의해 세워 설치하고, 그 나사삽입 위치를 고정나사 등의 고정부착자(49)로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지지축의 수직설치 깊이는, 상기 고정부착자(49)를 분리하여 클러치편(41)에 대한 지지축(43)의 수직설치 깊이를 바꾸는 것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서 상기 수나사(45)의 길이가 바뀌므로, 댐퍼(25)의 동작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권취식의 스크린장치의 제3실시예의 전체적인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지만, 권취축(6)의 내부구조를 제외하는 기본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와 바뀐 부분이 없기 때문에, 동일부분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이는 것으로서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실시예의 스크린장치는, 권취박스 상하단의 브래킷(12, 13)에 대하여 양단을 각각 지지부재(64, 65)를 개재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킨 권취축(6)의 내부에, 상부의 브래킷(12)에 끝부가 고정된 고정축(66)을 삽입통과시킴과 아울러, 하부의 브래킷(13)에 끝부가 고정된 고정축(67)을 삽입통과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66)에 고정적으로 지지시킨 스프링받이(68)에 코일스프링(9)의 일단을 감아부착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스프링(9)의 타단을 상기 고정축(66)에는 회전가능하고 권취축(6)에는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한 스프링받이(69)에 고정적으로 부착하고 있다. 따라서, 스크린(7)의 권취축(6)은 고정축(66)에 코일스프링(9)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2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67)의 선단에는 오일 댐퍼(75)를 설치하고, 상기 오일 댐퍼(75)의 회전축(75a)과 권취축(6) 사이에 일방향 클러치기구(80)를 설치하고 있다.
이 일방향 클러치기구(80)는, 코일스프링(9)의 회전 가압력에 저항해서 스크린(7)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6)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댐퍼(75)와 권취축(6) 사이의 접속이 자동적으로 끊어지고, 권취축(6)이 코일스프링(9)의 가압력에 의해 스크린(7)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댐퍼(75)와 권취축(6) 사이가 접속되도록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기구(80)는, 상기 권취박스에 고정한 고정축(67)에 오일 댐퍼(75)를 개재해서 설치한 댐퍼측의 클러치편(81)과, 권취축(6)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권취축(6)측의 클러치편(85)을 구비하고, 또한 양 클러치편(81, 85)을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클러치 스프링(84), 및 스크린(7)의 개폐시에 상기 스크린(7)의 전체 권취상태로부터 권취축(6)이 일정수의 회전을 행하는 동안 양 클러치편(81, 85)을 접합상태로 유지하고, 그 후에 상기 클러치 스프링(84)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상기 양 클러치편(81, 85)을 이간시키도록 작동하는 클러치의 시간차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클러치부재(8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클러치부재(82)는, 권취축(6)측의 클러치편(85) 및 상기 클러치편(85)에 대하여 상기 고정축(67)의 축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한 이동부재(8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동부재(86)는 그 기단(基端)의 플랜지부(86a)의 내주에 암나사(86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를 상기 고정축(67)에 설치한 수나사(67a)와 서로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나선동작기구(87)를 구성하여, 상기 이동부재(86)를 클러치편(85)에 대하여 고정축(67)의 축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86)는 클러치편(81)측의 끝부에 형성한 볼록부(86c)를 상기 클러치편(85)에 형성한 홈(85b)에 스플라인 끼워맞춤하는 것에 의해 서로 끼워넣어져 있고, 상기 클러치편(85)에 있어서의 클러치편(81)측과는 반대측의 끝부에, 상기 이동부재(86)의 볼록부(86c)가 접촉하는 스토퍼(85c)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클러치편(85)과 이동부재(86)는 상기권취축(6)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상기 이동부재(86)의 볼록부(86c)가 클러치편(85)의 홈(85b) 내에 있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양 클러치편(81, 85)의 사이에는, 스크린(7)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6)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맞물리지 않지만, 스크린(7)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권취축(6)이 회전할 경우에는 맞물리는 클러치 톱니(81a, 85a)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권취축측의 클러치부재(82)에 있어서의 클러치편(85)을 댐퍼측의 클러치편(81)에 대하여 양 클러치 톱니(81a, 85a)가 맞물리는 정도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 이동부재(86)의 기단의 플랜지부(86a)와 클러치편(85) 사이에 클러치 스프링(84)을 설치하고 있다. 이 클러치 스프링(84)은, 도 8의 스크린장치를 상하 어떤 자세로 설치했을 경우에도 클러치편(85)을 클러치편(81)에 대하여 항상 접촉시킬 수 있는 정도로 누르는 것이면 좋다.
상기 나선동작기구(87)는 권취축(6)측의 클러치부재(82)가 상기 고정축(67)에 대하여 회전은 하지만, 스크린(7)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6)을 회전시킬 경우에, 초기의 일정수의 회전에 있어서는 권취축(6)측의 클러치편(85)의 클러치 톱니(85a)와 댐퍼(75)측의 클러치편(81)의 클러치 톱니(81a)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이동부재(86)만이 댐퍼(75)측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도 9∼도 10), 일정수 회전하여 이동부재(86)의 볼록부(86c)가 클러치편(85)의 스토퍼(85c)에 도달한 후에 있어서는, 상기 클러치편(85)과 이동부재(86)가 일체가 되어서 댐퍼(75)측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구조로 하고 있다(도 11∼도 12).
반대로, 스크린(7)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권취축(6)이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클러치부재(82)에 있어서의 클러치편(85)과 이동부재(86)가 일체가 되어서 댐퍼(75)측의 클러치편(8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도 12∼도 11), 권취축(6)측의 클러치부재(82)의 클러치 톱니(85a)와, 댐퍼(75)측의 클러치편(81)의 클러치 톱니(81a)가 서로 맞물린 후의 회전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부재(86)가 댐퍼(75)측의 클러치편(8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도 11∼도 9). 이 동안, 권취축(6)의 회전이 이동부재(86), 클러치편(85), 그것과 맞물리는 클러치편(81)을 통해서 오일 댐퍼(75)의 케이싱에 전달되고, 한편, 오일 댐퍼(75)의 회전축(75a)은 고정축(67)에 의해 권취박스의 브래킷(1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댐퍼(75)가 기능하여 권취축(6)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상술한 바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부재(86)와 고정축(67) 사이의 나선동작기구(87)는 스크린(7)의 전개를 개시하고나서 그 전개를 행하고 있는 동안, 고정축(67)에 대하여 이동부재(86)를 댐퍼(75)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도 11에 나타내는 거리(d)만큼 이동한 후에 클러치편(85)과 결합해서 상기 클러치편(85)도 동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때문에, 스크린(7)의 권취시에는, 클러치편(85)이 클러치편(81)으로부터 이간되어 있지 않을 경우(도 10 및 도 11)는, 권취의 개시와 동시에 클러치편(81, 85)이 접속되어서 댐퍼(75)가 작동하고, 한편, 양 클러치편(81, 85)이 이간되어 있을 경우(도 12)에는, 스크린(7)의 권취에 의해 이동부재(86)가 클러치편(85)과 함께 댐퍼(75)측으로 이동하여, 클러치편(85)이 클러치편(81)에 접촉한 후 스크린(7)의 권취가 완료할 때까지, 즉, 이동부재(86)가 거리(d)의 사이를 나사전진하는 동안 댐퍼(75)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오일 댐퍼(75)는, 케이싱을 구성하는 클러치편(81)의 내부에 점성유체를 개재해서 제동 통(75b)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있고, 상기 제동 통(75b)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75a)을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밀봉부재(75c)를 개재해서 도출시키고, 그 선단을 상기 고정축(67)의 선단에 연결한 것이지만, 그것에 한하지 않고, 주지의 각종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에 있어서는, 권취박스에 고정한 고정축(67)상의 댐퍼(75)와 권취축(6) 사이에, 스크린(7)의 권취시에 댐퍼(75)와 권취축(6)을 접속하는 일방향 클러치기구(80)를 설치하고, 스크린(7)의 전개시에는, 도 9∼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일방향 클러치기구(80)에 의해 권취축(6)의 회전이 댐퍼(75)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 스크린(7)의 전개 조작시에는 댐퍼(75) 내의 마찰 등에 기인하는 저항력도 작용할 일이 없고, 스크린(7)의 전개시에 있어서의 저항을 가급적으로 저감하여, 종래의 댐퍼 내에 일방향 클러치기구를 내장할 경우에 비하여, 한층 경쾌하게 스크린의 전개조작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7)을 코일스프링(9)에 축적된 회전 가압력에 의해 권취하는 경우에는, 도 9∼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7)의 수납 완료의 직전에 있어서의 권취축(6)의 수회전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기구(80)가 접속된 상태로 되므로, 권취축(6)이 댐퍼(75)를 통해서 고정축(67)에 접속되게 되고, 그 때문에, 상기 권취축(6)은 코일스프링(9)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지만, 댐퍼(75)의 완충력에 의해 회전속도의 증대가 억제되고, 그것에 의하여 조작프레임(8)이 권취박스에 충돌할 때에 큰 충격을 주거나, 큰 충돌음을 발생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스크린(7)의 전개량의 여하에 관계 없이, 스크린(7)을 수납하는 후기의 일정 범위 이내에만 있어서 상기 댐퍼(75)에 의한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스크린(7)의 전개시에 있어서의 저항을 저감해서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권취시에는 권취용의 코일스프링(9)의 권취력을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있고, 또한, 스크린(7)의 전개조작 도중의 스크린(7)을 1/2 개방으로 한 상태에서 잘못해서 조작프레임(8)을 놓아버렸을 경우 등에도, 상기 댐퍼(75)의 제동력을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있고, 조작프레임(8)이 권취박스에 충돌해서 큰 충격을 주거나, 또는 큰 충돌음을 발생하거나, 조작프레임(8)과 권취박스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여서 생각하지 않는 부상을 입는 것 같은 일이 없고, 나아가서는, 종래의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에 비하여 조작성 및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4실시예의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는, 스크린(7)의 권취를 위한 구동원으로서의 코일스프링(9)과 일방향 클러치기구 부분을, 권취박스의 상단의 브래킷(12)에 끝부를 고정한 고정축(66)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이 제4실시예의 일방향 클러치기구 부분의 주된 구성은, 도 8에 의해 설명한 제3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제4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3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붙인 상기 제3실시예의 부호를 사용해서 설명하고, 그들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4실시예의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는, 권취박스의 브래킷(12, 13)에 대하여 양단을 각각 지지부재(64, 65)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킨 상기 권취축(6)에는, 그 내부에, 상부의 브래킷(12)에 끝부가 고정된 고정축(66)을 삽입통과시키고, 상기 고정축(66)에 고정적으로 지지시킨 스프링받이(68)에 코일스프링(9)의 일단을 감아부착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스프링(9)의 타단을, 상기 고정축(66)으로는 회전 가능하고 권취축(6)으로는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스프링받이(69)에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스크린(7)의 권취축(6)은 고정축(66)에 코일스프링(9)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축(66)은 코일스프링(9)의 회전 가압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주지 수단에 의해, 권취박스의 브래킷에 대하여 임의로 회전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4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66)의 선단에는 오일 댐퍼(75)를 설치하고, 그 오일 댐퍼(75)의 회전축(75a)과 권취축(6) 사이에 일방향 클러치기구(8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기구(80)는, 상기 권취박스에 고정한 고정축(67)에 오일 댐퍼(75)를 개재해서 설치한 댐퍼측의 클러치편(81)과, 권취축(6)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권취축(6)측의 클러치편(85)을 구비하고, 또한 양 클러치편(81, 85)을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클러치 스프링(84), 및 스크린(7)의 개폐시에 상기 스크린(7)의 전체 권취상태로부터 권취축(6)이 일정수의 회전을 행하는 동안 양 클러치편(81, 85)을 접합상태로 유지하고, 그 후에 상기 클러치 스프링(8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양 클러치편(81, 85)을 이간시키도록 작동하는 클러치의 시간차 작동수단을 구성하는클러치부재(8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9)의 회전 가압력의 조정을 위하여 고정축(66)이 적당히 회전되고, 그것에 의해서 고정축(66)상의 수나사(66a)상에 있어서의 이동부재(86)의 위치가 변하는 것으로부터, 스크린(7)의 전개 조작을 계속하고, 클러치부재(82)에 있어서의 이동부재(86)가 나선동작기구(87)의 작동범위를 초과했을 때, 즉, 고정축(66)에 형성한 수나사(66a)에 나사결합하고 있는 이동부재(86)의 암나사(86b)가 상기 수나사(66a)의 범위를 초과했을 때에는, 상기 이동부재(86)를 고정축(66)에 대하여 그 자리에서 공전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축(66)에 있어서의 수나사(66a)의 형성단에, 나사가 없는 공전역(66b)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수나사(66a)의 형성범위는, 완전한 전개 상태로부터 권취축(6)에 의해 스크린(7)이 권취될 때에, 그 도중에 한쌍의 클러치편(81, 85)이 접합되어서 댐퍼(75)가 작동을 개시할 때까지, 이동부재(86)의 암나사(86b)가 이동하는 범위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크린(7)의 길이에 차이가 있는 스크린장치에 적용할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공전역(66b)에서 그 길이의 차이가 흡수되게 된다.
고정축(66)상에 있어서의 상기 공전역(66b)에 있는 클러치부재(82)에 있어서의 이동부재(86)를 수나사(66a)측에 가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정축(66)상에 설치한 스프링시트(88)와 상기 이동부재(86) 사이에는 스프링(89)을 설치하고 있다. 이 스프링(89)은, 권취축(6)이 스크린(7)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이동부재(86)의 암나사(86b)를 고정축(66)의 수나사(66a)에 대하여 항상 나사결합시킬 수 있는 정도로 누르는 것이면 된다. 또, 도 14의 상태에서 이동부재(86)(클러치부재(82))의 중량이 그 암나사(86b)를 항상 고정축(66)의 수나사(66a)에 압압하는 것에 충분한 것이면, 그것을 상기 가압수단으로 하여 스프링(89)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 이 제4실시예의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3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동일부분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5실시예의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는, 일방향 클러치기구(90)로서, 댐퍼측의 클러치편(91)과, 권취축(6)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내주에 암나사(95b)를 형성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95) 및 외주에 상기 암나사(95b)에 나사결합시키는 수나사(96a)를 갖고, 고정축(67)상을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부재(96)를 구비한 클러치의 시간차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부분의 클러치부재(92), 및 상기 이동부재(96)를 댐퍼측으로 가압하는 클러치 스프링(94)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 이 제5실시예의 일방향 클러치기구 부분을 제외하는 주된 구성은, 도 8에 의해 설명한 제3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제5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3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붙인 상기 제3실시예의 부호를 사용해서 설명하고, 그들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예에 대해서 또한 상술하면, 상기 클러치부재(9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주에 암나사(95b)를 형성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95) 및 상기 클러치편(95)에대하여 상기 고정축(67)의 축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이동부재(96)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96)의 외주에 형성한 수나사(96a)를 권취축측의 클러치편(95)의 내주의 암나사(95b)와 서로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나선동작기구(97)를 구성하고, 도 15 내지 도 1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96)를 클러치편(95)에 대하여 고정축(67)의 축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96)는, 그 내주의 대향위치에 형성한 홈(96c, 96c)에 상기 고정축(67)의 축선방향에 수직으로 관통시킨 핀(67b)의 양단을 끼워넣음으로써, 고정축(67)에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95)을 댐퍼측의 클러치편(91)에 대하여 양 클러치 톱니(91a, 95a)가 맞물리는 정도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 이동부재(96)에 있어서의 권취축(6)의 지지부재(65)측의 끝부와 상기 고정축(67)상에 설치한 스프링시트(68) 사이에 클러치 스프링(94)을 설치하고 있다. 이 클러치 스프링(94)은, 스크린장치를 상하 어떤 자세로 설치했을 경우에도 클러치편(95)을 클러치편(91)에 대하여 항상 맞물리게 할 수 있는 정도로 누르는 것이면 된다.
상기 나선동작기구(97)는, 도 15에 나타내는 전체 권취상태로부터 스크린(7)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6)을 회전시킬 경우에, 도 16의 상태에 이르는 초기의 일정수의 회전에 있어서는, 권취축(6)측의 클러치편(95)의 클러치 톱니(95a)와 댐퍼(75)측의 클러치편(91)의 클러치 톱니(91a)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이동부재(96)만이 수나사(96a)와 암나사(95b)의 나사결합에 의해 댐퍼(75)측으로 구동되고, 일정수 회전해서 이동부재(96)의 끝부가 댐퍼(75)의 스토퍼(75d)에 도달한 후에 있어서는, 도 16 및 도 1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부재(96)가 그 위치에 정지해서 상기 클러치편(95)이 댐퍼(75)측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반대로, 스크린(7)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권취축(6)이 회전할 경우에는, 도 17의 상태로부터 상기 클러치편(95)이 수나사(96a)와 암나사(95b)의 나사결합에 의해 도 16의 위치까지 구동되어서, 클러치편(95)의 클러치 톱니(95a)와, 댐퍼(75)측의 클러치편(91)의 클러치 톱니(91a)가 서로 맞물리고, 그 후의 회전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부재(96)가 댐퍼(75)측의 클러치편(91)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구동되어, 도 15의 상태가 된다.
도 15의 상태로 된 후는, 권취축(6)의 회전이 클러치편(95) 및 그것과 맞물리는 클러치편(91)을 통해서 오일 댐퍼(75)의 케이싱에 전달되고, 한편, 오일 댐퍼(75)의 회전축(75a)은 고정축(67)에 의해 권취박스의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댐퍼(75)가 기능하여 권취축(6)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부재(96)와 고정축(67) 사이의 나선동작기구(97)는 스크린(7)의 전개를 개시하고나서 그 전개를 행하고 있는 동안, 고정축(67)에 대하여 이동부재(96) 및 클러치편(95)을 도 15의 상태로부터 도 16, 도 17의 상태까지 이동시키고, 그 후는 클러치편(95)을 클러치편(91)으로부터 이간하는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스크린(7)의 권취시에는 그 반대의 동작을 한다. 그 때문에, 스크린(7)의 권취시에는, 클러치편(95)이 클러치편(91)으로부터 이간하고 있지 않을 경우(도 15∼도 16)는, 권취의 개시와 동시에 클러치편(91, 95)이 접속되어서 댐퍼(75)가 작동하고, 한편, 양 클러치편(91, 95)이 이간하고 있을 경우(도 17)에는, 스크린(7)의 권취에 의해 이동부재(96)가 클러치편(95)을 댐퍼(75)측으로 이동시키고, 클러치편(95)이 클러치편(91)에 접촉한 후 스크린(7)의 권취가 완료될 때까지 댐퍼(75)가 동작하게 된다.
또, 댐퍼(75)의 케이싱에 설치한 축이음매(75e)에는, 필요에 따라서 권취박스의 브래킷에 설치한 권취용 스프링의 고정축(도 8 및 도 14 참조) 등을 연결할 수 있다. 단, 상기 고정축을 연결했을 경우에는, 제2실시예와 같은 취지로, 이동부재(96)의 수나사(96a)의 상부에 클러치편(95)을 그 자리에서 공전시키기 위한 나사가 없는 공전역을 형성하고, 또한, 권취박스의 브래킷에 대한 상기 고정축의 회전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회전 가압력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 제5실시예의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3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동일부분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Claims (13)

  1. 스크린을 감는 권취축에 내장된 코일스프링의 비틀림에 의한 회전 가압력을 스크린의 권취용 구동원으로 하고, 상기 스크린의 선단에 개폐조작용의 조작프레임을 부착하여 상기 스크린을 개폐하도록 한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로서,
    권취박스에 상기 권취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그 권취박스의 일단의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한 코일스프링의 타단을 권취축에 회전불가능하게 부착한 스프링받이에 부착하고, 상기 권취박스의 브래킷에 고정된 고정축과 권취축 사이에, 상기 권취축에 대하여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댐퍼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상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회전 가압력에 저항해서 스크린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댐퍼와 권취축 사이의 접속이 끊어지고, 권취축이 스크린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적어도 권취의 후기에 있어서 상기 댐퍼와 권취축 사이가 접속되는 일방향 클러치기구를 끼워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방향 클러치기구로서, 상기 권취박스에 고정한 고정축에 댐퍼를 개재해서 설치한 댐퍼측의 클러치편과, 권취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설치한 지지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끼워넣어진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구비하고,
    양 클러치편의 사이에, 스크린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맞물리지 않지만, 스크린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권취축이 회전할 경우에는 맞물리는 클러치 톱니를 설치하고,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대하여 양 클러치 톱니가 맞물리는 정도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일방향 클러치기구로서, 상기 권취박스에 고정한 고정축에 댐퍼를 개재해서 설치한 댐퍼측의 클러치편과, 권취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설치한 지지축에 대하여 나선동작기구를 통해서 연결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구비하고,
    상기 나선동작기구는,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이 상기 지지축에 대하여 회전은 하지만, 스크린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권취축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 스크린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권취축이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기구로서 구성하고,
    양 클러치편에는 그들이 접촉시에 서로 맞물리는 클러치 톱니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나선동작기구가, 댐퍼측의 클러치편상의 지지축과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의 쌍방에 형성한 서로 나사결합하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과 지지축 사이의 나선동작기구를, 권취축에 의해 스크린의 권취를 개시하고나서 클러치편 상호의 접속에 의해 댐퍼가 동작하는 감속 개시시점까지,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설정하고,
    상기 지지축상에, 스크린의 전개시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이 상기 나선동작기구의 작동범위를 초과했을 때에,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지지축에 대하여 그 자리에서 공전시키는 공전역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지지축상의 공전역에 있는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나선동작기구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대한 지지축의 수직설치 깊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그것에 의해서 댐퍼의 동작시기를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일방향 클러치기구로서, 상기 권취박스에 고정한 고정축에 댐퍼를 개재해서 설치한 댐퍼측의 클러치편과, 권취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구비하고, 또한 양 클러치편을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클러치 스프링, 및 스크린의 개폐시에 스크린의 전체 권취상태로부터 권취축이 일정수의 회전을 행하는 동안 양 클러치편을 접합상태로 유지하고, 그 후에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상기 양 클러치를 이간시키도록 작동하는 클러치의 시간차 작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클러치의 시간차 작동수단으로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에 대하여 상기 고정축의 축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이동부재를 구비하고, 그 클러치편과 이동부재를 권취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그들 사이에 클러치 스프링을 끼워장착하고, 또한 상기 이동부재를 고정축에 대하여 나선동작기구를 통해서 연결하며,
    상기 나선동작기구는, 스크린을 회전조절하는 방향으로 권취축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초기의 일정수의 회전에 있어서 상기 양 클러치편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가 댐퍼측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 일정수 회전한 후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과 이동부재가 일체로 되어서 댐퍼측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하며, 스크린을 감아넣는 방향으로 권취축이 회전할 경우에는, 권취축측의 클러치편과 이동부재가 일체로 되어서 댐퍼측의클러치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 양 클러치편이 서로 맞물린 후의 일정수의 회전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만이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기구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나선동작기구가 고정축과 이동부재에 형성한 서로 나사결합하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과 이동부재 사이의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를, 스크린의 권취의 후기에 있어서의 댐퍼 동작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권취박스의 브래킷에 설치한 고정축과 권취축에 설치한 스프링받이 사이에 스크린 권취용의 코일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에 대한 상기 고정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코일스프링의 회전 가압력을 조절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축과 권취축 사이에 댐퍼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이동부재와 고정축 사이의 나선동작기구를, 권취축에 의해 스크린의 권취를 개시하고나서 클러치편 상호의 접속에 의해 댐퍼가 동작하는 감속 개시시점까지,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댐퍼측의 클러치편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설정하고,
    상기 고정축상에, 스크린의 전개시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이 상기 나선동작기구의 작동범위를 초과했을 때에, 상기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고정축에 대하여 그 자리에서 공전시키는 공전역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일방향 클러치기구로서, 댐퍼측의 클러치편과, 권취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그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내주에 암나사를 새겨설치한 권취축측의 클러치편을 구비하고, 또한 외주에 상기 암나사에 나사결합시키는 나사를 갖고, 고정축상을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이지만 회전이 구속되어서 슬라이딩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댐퍼측으로 가압하는 클러치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KR1020047007832A 2002-10-07 2003-10-07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KR100635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94104 2002-10-07
JP2002294104A JP4073286B2 (ja) 2002-10-07 2002-10-07 自動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
JP2003147915A JP3990317B2 (ja) 2003-05-26 2003-05-26 自動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
JPJP-P-2003-00147915 2003-05-26
PCT/JP2003/012822 WO2004031525A1 (ja) 2002-10-07 2003-10-07 自動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151A true KR20040068151A (ko) 2004-07-30
KR100635350B1 KR100635350B1 (ko) 2006-10-17

Family

ID=3207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832A KR100635350B1 (ko) 2002-10-07 2003-10-07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38667B2 (ko)
EP (1) EP1550787B1 (ko)
KR (1) KR100635350B1 (ko)
CA (1) CA2467472C (ko)
WO (1) WO200403152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485B1 (ko) * 2005-07-22 2007-01-16 곽명숙 롤블라인드
KR100701860B1 (ko) * 2005-04-18 2007-03-30 박영호 방충망의 승하강 속도조절이 자유로운 방충망장치
KR100909039B1 (ko) * 2009-03-23 2009-07-22 이명숙 롤 회전방식 방충망의 감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0513B2 (en) * 2001-10-22 2007-05-01 420820 Ontario Limited Screen frame with integral roll screen compartment and improvements thereof
WO2004051047A1 (en) * 2002-12-04 2004-06-17 Jae-Suk Kwak The roll screen for reduction device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W200503651A (en) * 2003-07-18 2005-02-01 Fu-Mei Fun Buffer device for roller blinds
JP4685002B2 (ja) * 2004-06-14 2011-05-18 セイキ住工株式会社 横引きロール網戸
US20060162878A1 (en) * 2005-01-27 2006-07-27 Paul Lin Window blind with a resistance-providing unit
US7461683B2 (en) * 2005-02-28 2008-12-09 Wen-Jen Wang Curtain rolling buffer apparatus
DE102005014173B4 (de) * 2005-03-29 2010-11-11 Webasto Ag Rolloanordnung, insbesondere Laderaumabdeckung für den Laderaum eines Fahrzeugs, mit Endlagendämpfung
ITMI20050198U1 (it) * 2005-05-25 2006-11-26 Salvatore Lupo Dispositivo di controllo della velocita' di apertura o chiusura di una zanzariera o somile
AU2006257667A1 (en) * 2005-06-16 2006-12-21 Screenline Innovations Inc. Retractable screen door housing handle balancing system
CA2621180A1 (en) * 2005-09-01 2007-03-08 Megair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biologically contaminated air
KR20100084604A (ko) * 2007-10-24 2010-07-27 쮸 시아오잉 감아올림 스크린 장치
CN101608530B (zh) 2009-07-16 2012-01-25 李七妹 一种卷帘用的卷筒驱动装置的改进结构
JP5284238B2 (ja) * 2009-10-07 2013-09-11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JP5284239B2 (ja) * 2009-10-07 2013-09-11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IT1400360B1 (it) * 2010-06-01 2013-05-31 Mv Line Srl Ora Mv Line Spa Zanzariera avvolgibile a scorrimento orizzontale per porte e finestre
CN101949256B (zh) * 2010-08-11 2012-07-25 杨再德 一种铝合金内开内倒窗的内置式隐形纱窗盒
JP5776304B2 (ja) * 2011-04-22 2015-09-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巻取り装置
CN102213070B (zh) 2011-05-13 2012-10-17 李七妹 一种窗帘用珠链式拉绳机构
CN102251741B (zh) 2011-05-13 2012-10-17 李七妹 一种窗帘用双方向可调驱动的拉绳机构
US9480241B2 (en) 2011-07-05 2016-11-01 Eric James Holmstrom Retractable leash system
CN102767329B (zh) 2012-07-23 2014-07-16 李七妹 一种窗帘用单拉绳驱动装置
CA2900078C (en) 2013-02-28 2021-07-06 Odl, Incorporated Retractable flexible-panel door
EP3013189B8 (en) * 2013-06-28 2018-06-27 Screenaway Pty Ltd Window or door with a roller screen
CN103507604B (zh) * 2013-10-24 2015-12-09 昆山誉球模塑有限公司 车辆天窗遮阳帘组件及车辆
DE202014004349U1 (de) * 2014-05-23 2015-08-26 M.A.C.'s Holding Gmbh Schutzrollo für eine Fenster- oder Türöffnung
CA2987009A1 (en) 2014-07-14 2016-01-21 Tachikawa Corporation Shielding apparatus
US9848583B2 (en) * 2015-07-02 2017-12-26 Ellis Junior Smith Retractable leash
US9593530B1 (en) * 2015-08-18 2017-03-14 Hunter Douglas Inc. Brake assembly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N205605050U (zh) * 2016-01-22 2016-09-28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的阻尼装置
CN205532187U (zh) * 2016-01-29 2016-08-31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升降控制结构
KR101674430B1 (ko) * 2016-03-22 2016-11-10 우일산업 주식회사 감속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문 권양기
KR101908189B1 (ko) * 2016-08-09 2018-10-16 우일산업 주식회사 감속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문 권양기
KR101717047B1 (ko) * 2016-12-26 2017-03-27 곽재석 롤 블라인드의 스프링 장력 사전 구속장치
US11428046B2 (en) * 2017-09-06 2022-08-30 Tok, Inc. Braking device for automatic winding type screen device
US11078996B2 (en) 2017-09-14 2021-08-03 Nidec Copal Corporation Driv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877691B1 (ko) * 2017-11-17 2018-07-11 최승영 접이식문 창틀의 내문편을 자동 접힘 및 펼침 유도가동부
IT201800000787A1 (it) * 2018-01-12 2019-07-12 Dieffepiu S R L Tenda con telo avvolgibile
US11643864B2 (en) 2018-01-23 2023-05-09 Pella Corporation Screen edge retention and screen rethreading features for a hidden screen assembly and a fenestratio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67A (en) * 1892-03-22 Friction-roller
US4466475A (en) * 1981-11-16 1984-08-21 Kabushiki Kaisha Nichibei Device for driving and stopping a roll blind
JPS58165188U (ja) * 1982-04-30 1983-11-02 ト−ソ−株式会社 ロ−ルブラインドの減速装置
US4662423A (en) * 1982-10-31 1987-05-05 Kabushiki Kaisha Nichibei Device for operating roll-screen
JPS59118982A (ja) * 1982-12-24 1984-07-09 メタコ企業株式会社 ロ−ルスクリ−ンの巻取り制動装置
IT208635Z2 (it) * 1986-12-17 1988-05-28 Mottura Spa Tenda a rullo con freno a masse centrifughe disposto all esterno del rullo e sopporto d estremita includente tale freno
JPH06212867A (ja) * 1992-11-30 1994-08-02 Toso Co Ltd コード操作可能なロールブラインド
DE4436237C1 (de) * 1994-10-11 1995-12-14 Gkn Viscodrive Gmbh Antriebsvorrichtung für vertikal bewegbare Tore
JPH10306667A (ja) * 1997-05-08 1998-11-17 Ykk Architect Prod Kk 網 戸
JPH10306668A (ja) 1997-05-08 1998-11-17 Hokuyuu:Kk スライド網戸用ばね調整摘み装置
JP3524738B2 (ja) * 1997-11-27 2004-05-10 株式会社ニチベイ ロールスクリーン
EP1405982B1 (en) 1997-12-12 2006-08-30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A winding mechanism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JP3320658B2 (ja) * 1998-07-10 2002-09-03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ロール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JP3457214B2 (ja) * 1999-05-27 2003-10-1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ロール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US6591890B1 (en) * 2001-07-19 2003-07-15 Clear View Products, Inc. Speed reducer for retractable screen systems
US6629555B2 (en) * 2001-10-25 2003-10-07 Odl, Incorporated Retractable screen do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860B1 (ko) * 2005-04-18 2007-03-30 박영호 방충망의 승하강 속도조절이 자유로운 방충망장치
KR100669485B1 (ko) * 2005-07-22 2007-01-16 곽명숙 롤블라인드
KR100909039B1 (ko) * 2009-03-23 2009-07-22 이명숙 롤 회전방식 방충망의 감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67472A1 (en) 2004-04-15
KR100635350B1 (ko) 2006-10-17
EP1550787B1 (en) 2011-07-13
WO2004031525A1 (ja) 2004-04-15
EP1550787A1 (en) 2005-07-06
EP1550787A4 (en) 2006-01-04
CA2467472C (en) 2011-04-26
US6938667B2 (en) 2005-09-06
US20040261958A1 (en) 200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350B1 (ko) 자동 권취식 스크린장치
US7487816B2 (en) Take up-type screen device
JP2008143515A (ja) 巻き取り式サンルーフシェード
JP2008037390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7056169B2 (ja) ロールシェード装置の製造方法及びロールシェード装置
US20200370367A1 (en) Clutch Module For A Hoist Device And The Hoist Device Using The Same
US4912806A (en) Door check
KR20050096848A (ko) 차량용 수납장치
JP2004124649A (ja) 自動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
JP3126248U (ja) 映写スクリーンのための減速並びにロックメカニズムと、このメカニズムを使用した手動で操作される映写スクリーン
JP3990317B2 (ja) 自動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
JP4994778B2 (ja) 日射遮蔽部材用減速装置
JP3274428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101394140B1 (ko) 카고 스크린 장치
JP2006153034A (ja) 回転ダンパ
JP2583478B2 (ja) クラッチ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4602826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の回転規制装置
KR20240041598A (ko)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KR102349226B1 (ko) 도어용 댐퍼장치
KR200313854Y1 (ko) 접이식 기구의 힌지
JPH1061702A (ja) 開閉用ダンパー
TW200419062A (en) An automatic wind-up screen device
JP2006144876A (ja) 開閉装置におけるヒンジダンパー
JP4810177B2 (ja) 間仕切り装置の自動閉鎖装置
JP6543561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