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226B1 - 도어용 댐퍼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댐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226B1
KR102349226B1 KR1020200075599A KR20200075599A KR102349226B1 KR 102349226 B1 KR102349226 B1 KR 102349226B1 KR 1020200075599 A KR1020200075599 A KR 1020200075599A KR 20200075599 A KR20200075599 A KR 20200075599A KR 102349226 B1 KR102349226 B1 KR 102349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rm
disposed
case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600A (ko
Inventor
이진호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미코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코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미코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20007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22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는, 프레임 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충격을 흡수하는 도어용 댐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 배치되며, 측면에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1암, 제2암 및 제3암을 포함하는 암; 상기 제1암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도어의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롤러; 상기 제2암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3암과 기어 결합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의 이동에 따라 실린더에 대해 압축, 신장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용 댐퍼장치{DAMPER APPARATUS OF DOOR)}
본 실시예는 도어용 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건물이나 사무실 등에는 공간의 구획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 개의 도어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는 주로 미닫이 방식과 여닫이 방식으로 구분되고, 그 상황과 구조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 설치하여, 실내의 구획된 공간에서 출입구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도어의 여닫이 방식은 도어틀과 도어를 경첩으로 체결하여, 도어틀에서 도어를 회동하게 되면 경첩이 절첩되어,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틀에서 경첩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도어는, 도어의 개방 시에 도어틀과 도어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도어의 폐쇄 시에는 도어가 회동하면서 틈새가 좁아지며 도어와 도어틀의 밀착되는 구조이다.
상기한 도어의 개방 시 발생하는 틈새에 특히 유아동 등이 손이나 발 등의 신체의 일부를 넣게 되고,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도어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유아동의 신체에 크고 작은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어의 틈새 및 공간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도어의 손끼임 방지 수단 및 완충 수단 등을 개발하고 출시하여 왔다.
이와 같은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에에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1961호의 발명의 명칭 '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발명은 기존 문틀에 설치된 도어 및 경첩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문틈에 손 끼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1743호의 발명의 명칭 ' 여닫이 도어용 안전 장치'는, 여닫이 도어와 문틀을 연결시키는 경첩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어 신체의 일부가 경첩에 부딪히거나 또는 경첩에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사용상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는, 기존 도어에 설치할 경우, 기존 도어와 손끼임 방지장치와의 호환성이 낮아, 그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도어 설치 후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였고, 도어에서 돌출된 차단스크린으로 인해
시각적으로 인테리어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여닫이식 문을 여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할 수 있고, 손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용 댐퍼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는, 프레임 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충격을 흡수하는 도어용 댐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 배치되며, 측면에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1암, 제2암 및 제3암을 포함하는 암; 상기 제1암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도어의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롤러; 상기 제2암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3암과 기어 결합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의 이동에 따라 실린더에 대해 압축, 신장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도어의 개방 시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제공되어 사용자의 도어 개방이 용이해지고, 도어의 폐쇄 시에는 댐퍼의 감쇄력에 의해 사용자의 손끼임과 같은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평면도.
도 5 내지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6 내지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평면도 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100)는, 프레임(20)과 도어(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도어(10)의 외측에 배치되어, 내측에 상기 도어(1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도어(10)의 설치 영역인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20)은 상단이 천정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서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프레임(20) 내측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용 댐퍼장치(100)는, 상기 도어(10)의 폐쇄 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부드럽게 닫히도록 함으로써 소음과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용 댐퍼장치(100)는, 케이스(101), 암(110), 링크(130), 탄성부재(140), 댐퍼(150), 롤러(118) 및 브라켓(1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는 상기 프레임(2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이스(101)는 상기 프레임(20)의 내측 중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는 상기 프레임(20)의 내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는 제1케이스(101a)와 제2케이스(101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케이스(101)는 단일의 유니 바디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의 측면에는 상기 암(11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도록 홀(10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상기 암(110), 상기 링크(130), 상기 탄성부재(140) 및 상기 댐퍼(15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는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이스(101) 내에는 상기 탄성부재(140)가 배치되는 제1공간부, 상기 댐퍼(150)가 배치되는 제2공간부 및 상기 암(110)이 배치되는 제3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는 각각 격벽(103)을 통해 타 영역과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01) 내 제1영역에는 복수의 격벽(103) 사이에 배치되는 제1공간부가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101) 내 제2영역에는 복수의 격벽(103) 사이에 배치되는 제2공간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는 상기 제2공간부 보다 상대적으로 도어(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암(110)은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는 구성으로서, 어느 일부가 상기 케이스(101) 내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홀(107)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0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암(110)은,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13)은 일단 또는 양단이 상기 케이스(101)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암(11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13)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결합되어, 상기 암(11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암(110)은 제1암(112), 제2암(114) 및 제3암(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암(112), 제2암(114) 및 제3암(116)은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암(116)은 상기 제1암(112) 또는 상기 제2암(114)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암(110)의 단면 형상은 대략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암(116)은 상기 제1암(112)과 상기 제2암(114)의 경계 영역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13)은 상기 제1암(112)과 상기 제2암(114)의 경계 영역 또는 상기 경계 영역과 인접한 상기 제3암(116)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암(112)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107)을 통해 상기 케이스(10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암(112)의 단부에는 상기 제1암(112)에 대하여 회전하는 롤러(11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롤러(118)는 상기 도어(10)의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후술할 브라켓(190)에 수용되거나, 상기 브라켓(19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제2암(114)은 상기 회전축(113)을 기준으로 상기 제1암(112)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암(114)은 상기 제1암(112)과 직선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암(114)은 상기 제1암(112)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암(114)의 단부는 상기 링크(13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암(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암(114)과 상기 링크(130)가 형성하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3암(116)은 상기 제1암(112)과 상기 제2암(114)의 경계 영역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암(116)은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암(116)의 단면 형상은 부채꼴일 수 있다. 상기 제3암(116)의 단부에는 제1기어(1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암(116)의 단부는 댐퍼(1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암(116)은 상기 댐퍼(150)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150)는 상기 케이스(101) 내 제2공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150)는 상기 암(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150)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150)는 유압 방식, 공압 방식, 스프링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댐퍼(150)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대해 신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152)와, 상기 로드(152)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152)와 함께 상기 실린더에 대해 신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상기 로드(152) 및 상기 기어부(154)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154)의 일측면에는 제2기어(15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156)는 상기 제1기어(117)와 마주하는 상기 기어부(154)의 외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156)는 상기 제1기어(117)에 치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암(110)의 회전 시, 상기 제3암(116)과 함께 상기 로드(152) 및 상기 기어부(154)는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의 내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도어(10)가 개방 시 상기 기어부(15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도피홈(10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에는, 상기 로드(152)가 상기 실린더에 대해 최대로 신장되어, 상기 기어부(154)의 단부가 상기 케이스(101)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101)의 내면에 상기 도피홈(106)을 형성하여, 상기 기어부(154)의 이동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상기 기어부(154)의 단부는 상기 도피홈(106)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의 내면에는 상기 기어부(15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08)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레일(108)은 상기 케이스(10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154)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케이스(101)의 내면 중 타 영역보다 함몰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154)의 측면에는 상기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기어부(154)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로드(152)는 상기 실린더에 대해 신장 또는 압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상기 암(11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부터 돌출된 상기 로드(152)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폐쇄 시, 상기 암(110)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부터 돌출된 상기 로드(152)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상기 댐퍼(150)가 배치되는 상기 제2공간부에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101)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완충부(158, 도 6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58)는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공간부 내에서 상기 로드(152)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댐퍼(150)의 진동을 탄력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댐퍼(150)는 상기 로드(152)의 압축 시 에너지를 흡수하는 압축식 댐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0)의 개방에 따라 상기 로드(152)의 신장 시 상기 로드(152)는 감쇄 없이 자유 신장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10)의 폐쇄에 따라 상기 로드(152)의 압축 시 감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케이스(101) 내 제1공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가압부(141)와, 스프링(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41)는 상기 링크(13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42)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101)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부(1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의 내면 및 상기 가압부(141)의 단부에는 상기 스프링(142)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암(110)의 회전 시, 상기 가압부(141)는 상기 스프링(142)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스프링(142)이 신장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링크(130)를 가압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상기 스프링(142)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가압부(141)는 상기 링크(130)를 가압하여 상기 암(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폐쇄 시 상기 암(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부(141)는 상기 스프링(142)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142)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42)의 탄성력에 따라 상기 가압부(141)의 이동 시,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암(110)을 회전시켜, 사용자의 외력 없이 상기 도어(10)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90)은 상기 도어(1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90)은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롤러(118)를 수용하거나, 수용된 롤러(118)를 이탈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브라켓(190)의 측면에는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롤러(118)가 인입 또는 인출되기 위한 개구(19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90)은 상기 케이스(101)와 동일 높이를 형성하도록 상기 도어(1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118)가 인, 출입되는 상기 개구(194)와 인접한 상기 도어(10)의 내면에는 가이드 레일(19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92)은 상기 브라켓(190)과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92)의 외면에는 상기 롤러(118)가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192)의 외면에 형성되는 홈 또는 돌출부일 수 있다.
상기 링크(130)는 일단이 상기 가압부(141)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암(114)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암(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130)와 상기 제2암(114)이 형성하는 각도와, 상기 링크(130)와 상기 가압부(141)가 형성하는 각도는 가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9는 도어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내지 13은 도어가 폐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최초 도어(1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롤러(118)가 상기 브라켓(19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142)이 제1길이로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로드(152)가 제1길이로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10)가 개방 시, 상기 롤러(118)는 도 4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90)의 내면 및 상기 도어(10)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라켓(190)에 수용된 상기 롤러(118)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암(110)이 회전될 수 있다. 도 4 내지 9에서는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상기 암(1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다.
상기 암(11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암(114)이 회전되고, 상기 제2암(114)과 힌지 결합된 상기 링크(130) 및 가압부(141) 또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기 스프링(142)은 상기 가압부(141)와 상기 링크(130)가 일직선이 될 때 최단길이를 가지도록 압축되었다가, 상기 암(110)의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부(141)와 상기 링크(130)의 일직선 상태가 해제 시(도 7), 상기 가압부(141)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최초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소정거리만큼 이동되었다가, 이후에는 상기 스프링(142)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외력 없이도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상기 제3암(116) 또한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3암(116)에 기어 결합된 상기 기어부(154)도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어부(154)의 이동은 상기 실린더로부터 돌출된 상기 로드(152)의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상기 로드(152)의 길이는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암(110)의 회전은, 상기 스프링(14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어부(154)의 단부가 상기 도피홈(106)의 바닥면에 접촉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최초 사용자 외력에 의해 상기 암(110)이 소정 각도 회전되고, 이후에는 상기 스프링(142)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암(110)이 회전되어 상기 도어(10)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와 상기 도어용 댐퍼장치(100)로부터 완전히 이탈시에는,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기어부(154)의 단부는 상기 도피홈(106)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암(110)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13을 참조하면, 개방된 도어(10)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롤러(118)는 상기 도어(10)의 내면에 최초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118)는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도어(10)가 폐쇄되는 동안 상기 브라켓(190)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폐쇄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암(1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암(110)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링크(130)를 통해 상기 스프링(142)은 압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부(141), 링크 (130), 회전축(113)이 대략 일직선이 되면, 상기 스프링(142)은 최대로 압축될 수 있다. 이후 지속적인 도어(10)를 폐쇄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141), 링크 (130), 회전축(113)이 일직선 상태를 벗어날 경우, 상기 롤러(118)는 도어(10)에 부착된 브라켓(190)을 통하여 사용자의 외력 없이도 스프링(142)의 탄성력으로, 도어(10)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3암(116)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부(154) 또한 도어 개방 방향에 역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실린더로부터 돌출된 상기 로드(152)는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댐퍼(150)의 에너지 흡수에 따라 상기 로드(152)의 압축에는 감쇄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암(110)의 회전력이 감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도어(10)가 폐쇄되는 힘이 감쇄되어, 상기 도어(10)가 최초 폐쇄되는 속도 보다 낮은 속도로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폐쇄되는 동작을 상기 도어(10)의 내면에 상기 롤러(118)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폐쇄되는 제1동작과, 상기 도어(10)의 내면에 상기 롤러(118)가 접촉된 상태에서 폐쇄되는 제2동작으로 구분할 때, 상기 제2동작에서는 상기 댐퍼(150)의 감쇄력이 제공되므로, 상기 도어(10)가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끼임과 같은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200)는, 프레임(20)과 도어(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도어(10)의 외측에 배치되어, 내측에 상기 도어(1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도어(10)의 설치 영역인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20)은 상단이 천정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서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프레임(20) 내측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용 댐퍼장치(200)는, 상기 도어(10)의 폐쇄 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부드럽게 닫히도록 함으로써 소음과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용 댐퍼장치(200)는, 케이스(201), 암(210), 링크(230), 탄성부재(240), 댐퍼(250), 롤러(218), 브라켓(2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1)는 상기 프레임(2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이스(201)는 상기 프레임(20)의 내측 중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1)는 상기 프레임(20)의 내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1)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케이스(201)는 단일의 유니 바디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1)의 측면에는 상기 암(21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1)의 내부에는 상기 암(210), 상기 링크(230), 상기 탄성부재(240) 및 상기 댐퍼(25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1)의 내부는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이스(201) 내에는 상기 탄성부재(240)가 배치되는 제1공간부, 상기 댐퍼(250)가 배치되는 제2공간부 및 상기 암(210)이 배치되는 제3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는 각각 격벽을 통해 타 영역과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01) 내 제1영역에는 복수의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제1공간부가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101) 내 제2영역에는 복수의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제2공간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는 상기 제2공간부 보다 상대적으로 도어(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암(210)은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는 구성으로서, 어느 일부가 상기 케이스(201) 내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케이스(201)에 측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20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암(210)은,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1)은 일단 또는 양단이 상기 케이스(201)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암(21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1)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결합되어, 상기 암(21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암(210)은 제1암(212), 제2암(214) 및 제3암(2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암(212), 제2암(214) 및 제3암(216)은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암(212), 상기 제2암(214) 및 상기 제3암(216)은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암(214)은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암(212)과 상기 제3암(2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암(212)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201)의 측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20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1)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암(212)의 단부에는 상기 제1암(212)에 대하여 회전하는 롤러(21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롤러(218)는 상기 도어(10)의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후술할 브라켓(290)에 수용되거나, 상기 브라켓(29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제2암(214)은 상기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상기 제1암(21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암(214)의 단부는 상기 링크(23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암(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암(214)과 상기 링크(230)가 형성하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3암(216)은 상기 회전축(211)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암(216)은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암(216)의 단면 형상은 부채꼴일 수 있다. 상기 제3암(216)의 단부에는 제1기어(2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암(216)의 단부는 댐퍼(2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암(216)은 상기 댐퍼(250)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250)는 상기 케이스(201) 내 제2공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250)는 상기 암(2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250)는 상기 탄성부재(2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250)는 유압 방식, 공압 방식, 스프링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댐퍼(250)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대해 신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252)와, 상기 로드(252)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252)와 함께 상기 케이스(20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상기 로드(252) 및 상기 기어부(254)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254)의 일측면에는 제2기어(25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255)는 상기 제1기어(217)와 마주하는 상기 기어부(254)의 외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255)는 상기 제1기어(217)에 치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암(210)의 회전 시, 상기 제3암(216)과 함께 상기 로드(252) 및 상기 기어부(254)는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1)의 내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도어(10)가 개방 시 상기 기어부(254)의 단부와 접촉되는 도피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1)의 내면에는 상기 기어부(25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케이스(20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254)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케이스(201)의 내면 중 타 영역보다 함몰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254)의 측면에는 상기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기어부(254)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로드(252)는 상기 실린더에 대해 신장 또는 압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상기 암(21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부터 돌출된 상기 로드(252)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폐쇄 시, 상기 암(210)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부터 돌출된 상기 로드(252) 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1) 내에서 상기 댐퍼(250) 중 상기 실린더의 배치 공간은 타 영역과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배치 공간은 구획부를 통해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획부의 내면과 상기 실린더의 단부 사이에는 완충 스프링(251)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252)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댐퍼(250)의 진동이 탄력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상기 댐퍼(250)는 상기 로드(252)의 신장 시 에너지를 흡수하는 신장식 댐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0)의 개방에 따라 상기 로드(252)의 압축 시 상기 로드(252)는 감쇄 없이 자유 압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10)의 폐쇄에 따라 상기 로드(252)의 신장 시 감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40)는 상기 케이스(201) 내 제1공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40)는 가압부(241)와, 스프링(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41)는 상기 링크(23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42)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201)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부(2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1)의 내면 및 상기 가압부(241)의 단부에는 상기 스프링(242)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암(210)의 회전 시, 상기 가압부(241)는 상기 스프링(242)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스프링(242)이 신장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링크(230)를 가압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상기 스프링(242)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가압부(241)는 상기 링크(230)를 가압하여 상기 암(2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폐쇄 시 상기 암(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부(241)는 상기 스프링(242)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242)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42)의 탄성력에 따라 상기 가압부(241)의 이동 시, 상기 탄성부재(240)는 상기 암(210)을 회전시켜, 사용자의 외력 없이 상기 도어(10)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90)은 상기 도어(1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90)은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롤러(218)를 수용하거나, 수용된 롤러(218)를 이탈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브라켓(290)의 측면에는 상기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롤러(218)가 인입 또는 인출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90)은 상기 케이스(201)와 동일 높이를 형성하도록 상기 도어(1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크(230)는 일단이 상기 가압부(241)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암(214)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암(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230)와 상기 제2암(214)이 형성하는 각도와, 상기 링크(230)와 상기 가압부(241)가 형성하는 각도는 가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댐퍼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18은 도어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 내지 22는 도어가 폐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최초 도어(1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218)가 상기 브라켓(29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242)이 제1길이로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로드(252)가 제1길이로 신장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10)가 개방 시, 상기 롤러(218)는 상기 브라켓(290)의 내면 및 상기 도어(10)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라켓(290)에 수용된 상기 롤러(218)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암(210)이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상기 암(2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암(21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암(214)이 회전되고, 상기 제2암(214)과 힌지 결합된 상기 링크(230) 및 가압부(241) 또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기 스프링(242)은 상기 가압부(241)와 상기 링크(230)가 일직선이 될 때 최단길이를 가지도록 압축되었다가, 상기 암(210)의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부(241)와 상기 링크(230)의 일직선 상태가 해제 시(도 17), 상기 가압부(241)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최초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소정거리만큼 이동되었다가, 이후에는 상기 스프링(242)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외력 없이도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상기 제3암(216) 또한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3암(216)에 기어 결합된 상기 기어부(254)도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어부(254)의 이동은 상기 실린더로부터 돌출된 상기 로드(252)의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상기 로드(252)의 길이는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암(210)의 회전은, 상기 로드(252)가 최단 길이로 압축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암(210)의 회전은, 도 15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부(254)의 우?P 끝단이 상기 기어부(254)와 실린더 사이의 격벽에 닿을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때, 상기 로드(252)의 길이는 최단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도어(10)의 개방 시, 최초 사용자 외력에 의해 상기 암(210) 이 소정 각도 회전되고, 이후에는 상기 스프링(242)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암(210)이 회전되어 상기 도어(10)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와 상기 도어용 댐퍼장치(200)로부터 완전히 이탈시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252)의 길이가 최단 길이로 압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22를 참조하면, 개방된 도어(10)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롤러(218)는 상기 도어(10)의 내면에 최초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218)는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도어(10)가 폐쇄되는 동안 상기 브라켓(290)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폐쇄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암(2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암(210)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링크(230)를 통해 상기 스프링(242)은 압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부(241), 링크 (230), 제2암(214)이 대략 일직선이 되면, 상기 스프링(242)는 최대로 압축될 수 있다. 이후 지속적인 도어(10)를 폐쇄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241), 링크 (230), 제2암(214)이 일직선 상태를 벗어날 경우, 상기 롤러(218)는 도어(10)에 부착된 브라켓(290)을 통하여 사용자의 외력 없이도 스프링(242)의 탄성력으로, 도어(10)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3암(216)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부(254) 또한 도어 개방 방향에 역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압축된 로드(252)는 신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댐퍼(250)의 에너지 흡수에 따라 상기 로드(252)의 신장에는 감쇄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암(210)의 회전력이 감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도어(10)가 폐쇄되는 힘이 감쇄되어, 상기 도어(10)가 최초 폐쇄되는 속도 보다 낮은 속도로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폐쇄되는 동작을 상기 도어(10)의 내면에 상기 롤러(218)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폐쇄되는 제1동작과, 상기 도어(10)의 내면에 상기 롤러(218)가 접촉된 상태에서 폐쇄되는 제2동작으로 구분할 때, 상기 제2동작에서는 상기 댐퍼(250)의 감쇄력이 제공되므로, 상기 도어(10)가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끼임과 같은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프레임 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충격을 흡수하는 도어용 댐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 배치되며, 측면에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1암, 제2암 및 제3암을 포함하는 암;
    상기 제1암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도어의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롤러;
    상기 제2암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3암과 기어 결합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의 이동에 따라 실린더에 대해 압축, 신장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 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암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 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암이 제1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도어용 댐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암이 회전 시, 상기 로드는 신장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암이 회전 시, 상기 로드는 압축되는 도어용 댐퍼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로드의 압축 시 에너지를 흡수하는 압축식 댐퍼인 도어용 댐퍼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암이 회전 시, 상기 로드는 압축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암이 회전 시, 상기 로드는 신장되는 도어용 댐퍼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로드의 신장 시 에너지를 흡수하는 신장식 댐퍼인 도어용 댐퍼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면에는 상기 도어의 개방에 따라 상기 롤러가 인, 출입되는 브라켓이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측면에는 개구가 형성되는 도어용 댐퍼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암에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도어용 댐퍼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실린더 사이에는 완충부가 배치되는 도어용 댐퍼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어부가 접촉되는 도피홈이 형성되는 도어용 댐퍼 장치.

KR1020200075599A 2020-06-22 2020-06-22 도어용 댐퍼장치 KR102349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599A KR102349226B1 (ko) 2020-06-22 2020-06-22 도어용 댐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599A KR102349226B1 (ko) 2020-06-22 2020-06-22 도어용 댐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600A KR20210157600A (ko) 2021-12-29
KR102349226B1 true KR102349226B1 (ko) 2022-01-10

Family

ID=7917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599A KR102349226B1 (ko) 2020-06-22 2020-06-22 도어용 댐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2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454A (ja) 2002-07-23 2004-02-19 Best:Kk 開き戸制動装置
KR101745545B1 (ko) 2016-10-11 2017-06-12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미닫이 개폐구조용 댐퍼조립체
KR102140551B1 (ko) 2020-01-03 2020-08-03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멀티 링크 도어 힌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5258A (ko) * 2015-11-11 2017-05-19 이갑순 도어 완충 장치
KR101870020B1 (ko) * 2016-03-18 2018-06-21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102013025B1 (ko) * 2017-04-05 2019-08-21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102013042B1 (ko) * 2017-12-22 2019-08-21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454A (ja) 2002-07-23 2004-02-19 Best:Kk 開き戸制動装置
KR101745545B1 (ko) 2016-10-11 2017-06-12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미닫이 개폐구조용 댐퍼조립체
KR102140551B1 (ko) 2020-01-03 2020-08-03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멀티 링크 도어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600A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73508B2 (en) Multi-joint hinge
EP1550787B1 (en) Automatic wind-up screen device
KR102230074B1 (ko) 여닫이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AU2003241805A1 (en) Take up-type screen device
KR101860274B1 (ko) 여닫이와 미닫이 기능을 갖는 폴딩 도어
KR102349226B1 (ko) 도어용 댐퍼장치
CN106536847B (zh) 用于翼,门,大门,上翻门,窗,气窗的防坠落安全系统
EP0911476A1 (en) Frame for a roller blind fitted with mechanisms capable of automatically closing the blind which protects a window or a french window
KR101169607B1 (ko) 안전문
KR102286197B1 (ko) 도어용 댐퍼장치
JP5660695B2 (ja) 気密式引戸装置
JP4907335B2 (ja) ダンパー装置
KR101994273B1 (ko) 손끼임 사고방지를 위한 완충기능 및 도어의 고정기능을 갖는 원터치형 도어용 스토퍼
KR102079314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101423933B1 (ko) 가구용 슬라이드 도어의 댐퍼 시스템
KR101710692B1 (ko)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KR10251953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KR101986716B1 (ko) 문 열림 완충장치
KR102404367B1 (ko) 여닫이 도어용 전면 손끼임 방지장치
KR20120070779A (ko)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JP4100831B2 (ja) 免震構造を有するビルディングの隙間覆い装置
KR20170099045A (ko) 걸림턱에 의하여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KR101529853B1 (ko)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KR20230130422A (ko) 슬라이딩 도어 조정 장치
AU2017360021A1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