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202B1 -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 Google Patents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202B1
KR101016202B1 KR1020100011645A KR20100011645A KR101016202B1 KR 101016202 B1 KR101016202 B1 KR 101016202B1 KR 1020100011645 A KR1020100011645 A KR 1020100011645A KR 20100011645 A KR20100011645 A KR 20100011645A KR 101016202 B1 KR101016202 B1 KR 101016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member
chassis
aluminum
tempered glass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신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창산업 filed Critical (주)신창산업
Priority to KR1020100011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with thin strips, e.g. defining a hollow space between the metal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 또는 대형 고층건물 등에 장착되는 투광 및 투시용 강화유리벽을 시공하기 위한 창호 샤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 내측의 샤시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형성부에 외부와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단열부재를 다층으로 형성하고 또한 내부 샤시프레임과 강화유리벽 사이에 외부측으로 열전달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실링부재가 구비된 단열부재와 알루미늄보강부재를 두어 단열성능을 극대화하여 냉난방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된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의 샤시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A Frame of the Tempered Glass Wall}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 또는 대형 고층건물 등에 장착되는 투광 및 투시용 강화유리벽을 시공하기 위한 창호 샤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 내측의 샤시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형성부에 외부와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단열부재를 다층으로 형성하고 또한 내부 샤시프레임과 강화유리벽 사이에 외부측으로 열전달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실링부재가 구비된 단열부재와 알루미늄보강부재를 두어 단열성능을 극대화하여 냉난방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된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의 샤시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기술이 발전되어 가면서 각종 건축물에 있어 특히 고층건물의 벽면은 미닫이창과 같은 구조가 점차 사라지면서 외부로부터 빛을 실내로 투광하거나 또는 외부로 투시할 수 있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강화 유리벽을 구비하여 창호를 설치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투시/투광용 강화 유리벽을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 시공하기 위해서는 강화유리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샤시 구조체를 건축물의 벽면에 장착하고 강화 유리를 상기 샤시 구조체에 삽설하는 방식으로 창호를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창호는 크게 재료에 따른 분류로 플라스틱, 알루미늄, 기타(스틸, 스테인레스 스틸 등)로 나뉘며, 플라스틱과 알루미늄이 대표적이다. 플라스틱은 열적 성능이 탁월한 반면 재료의 신축이 크고, 탄성 좋으며, 강도가 약하고, 화학적 내구성은 좋은 반면, 화재시 낮은 발화온도와 유독가스 배출등으로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현대 건축물이 초고층화, 밀집화 될수록 창호의 크기 역시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높은 강도와, 신축이 적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발화온도가 기존 PVC보다 높은 알루미늄이 탁월할 것이나, 열전도율이 높고, 대류에 의한 손실이 크다는 단점을 가진다. 대부분 창호성능을 떨어뜨리는 요인은 알루미늄의 후레임의 열손실이 크기때문, 창호성능은 유리와 후레임의 평균치로 평가되며, 현재 로이필름을 이용한 유리면보다 알루미늄을 이용한 후레임에서 열손실이 많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창호의 샤시구조체(50)는 일명 커튼월이라고도 불리는바, 이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축물 등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샤시부재(51)와, 건축물의 외부측에 구비되는 외측 샤시부재(52)와, 상기 내측 샤시부재(51)와 외측 샤시부재(52) 사이에 삽설되는 강화유리(53)와, 상기 내측 샤시부재(51)를 상기 외측 샤시부재(52)에 끼움연결할 수 있도록 돌출된 외부연결부재(54)와, 상기 외측 샤시부재(52)를 상기 내측 샤시부재(51)에 끼움연결할 수 있도록 돌출된 내부연결부재(55)와, 상기 내측 샤시부재(51)의 외부면에 부착 결합되어 실내에 미려함을 주는 동시에 열손실을 막아줄 수 있도록 된 단열마감부재(56)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상기 샤시구조체(50)는 상기 내측 샤시부재(51)에 상기 단열마감부재(56)를 부착 결합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시공 장착한 후에 상기 강화유리(53)를 상기 외부연결부재(54)의 양측에 끼우고 이어 상기 외측 샤시부재(52)의 내부연결부재(55)를 상기 외부연결부재(54) 사이에 삽설하면 강화유리가 상기 내측 샤시부재(51)와 외측 샤시부재(52) 사이에 견고하게 설치 시공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외부연결부재(54)의 양측 내벽에는 걸림기능을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내부연결부재(55)의 양측 외벽에는 삽설시에 상기 걸림턱에 걸려지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연결부재(54) 사이로 상기 내부연결부재(55)를 삽설하면 상기 걸림턱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져 록킹되면서 상기 내측 샤시부재(51)와 상기 외측 샤시부재(52)가 강화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샤시구조체(50)는 상기 내측 샤시부재(51)가 상호 대칭적으로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고 또 상기 마감부재(56)의 내면에도 상기 내측 샤시부재(51)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에 걸려져 록킹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바, 따라서 상기 내측 샤시부재(51)에 상기 마감부재(60)를 삽설하면서 상기 걸림턱에 상기 마감부재(56)의 걸림돌기를 록킹하게 됨으로써 상기 내측 샤시부재(51)에 상기 마감부재(60)가 견고하게 밀착되어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샤시 구조체(50)는 내측 샤시부재에 단열마감부재를 결합시킬 경우 상기 내측 샤시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형성부를 통해 외부로의 대류에 의한 열전도가 빠르게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실내의 냉난방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 알루미늄부재의 전도에 의한 빠른 열전달로 인하여 내측 샤시부재의 안과 밖이 서로 온도차가 심해 마감부재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변형이 일어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샤시부재와 상기 외측 샤시부재가 알루미늄 등과 같은 열전도가 높은 단일부재로 연결 고정되기 때문에 실내의 온도가 빠르게 외부로 전달(전도와 대류에 의함)되어 열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내부샤시프레임의 내부 공간형성부에 열전도를 효과적으로 차단 또는 줄여줄 수 있도록 다층의 공기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친환경소재인 골판지 등과 같은 단열부재를 구비하고, 또 내부샤시프레임과 외부단열부재 사이 또는 내부샤시프레임과 강화유리 사이에 실링부재를 갖으면서 단열효과 큰 PVC단열부재를 설치하여 실내온도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측으로부터 투광 및 외측으로의 투시를 확대하면서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벽을 고정 설치하는 건축물의 창호 샤시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창호 샤시구조체는 건축물의 실내측에 고정 구비되면서 중공(中空)의 내측샤시공간부가 형성 된 내부샤시프레임과, 상기 내부샤시프레임의 내측샤시공간부에 삽입 설치되면서 벽체를 이루는 강화유리벽을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내측단열부재와, 상기 내측단열부재에 삽입 설치되어 그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알루미늄보강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내부샤시프레임에는 상기 내측단열부재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단열부재는 상기 강화유리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실링부와 상기 끼움돌기가 삽설되는 끼움홈, 상기 알루미늄보강부재를 삽입 설치하는 돌출바아 및 상기 내측샤시공간부에 삽입 설치되어 열손실을 차단하는 중공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는 내부샤시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형성부에 열전도를 효과적으로 차단 또는 줄여줄 수 있도록 다층의 공기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친환경소재인 골판지 등과 같은 단열부재를 구비하고, 또 내부샤시프레임과 외부단열부재 사이 또는 내부샤시프레임과 강화유리 사이에 단열효과 큰 단열프레임인 PVC단열부재를 설치하여 실내온도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내부에 PVC단열부재를 구비하면서 그 사이에 알루미늄보강부재를 구비하여줌으로써 화재시 발생할수 있는 유독가스의 배출을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든 타입과 노출 타입을 하나의 자재로 만들어 자재의 손실을 막을수 있어 소요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가 적용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의 노출타입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의 개략적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의 노출타입에 대한 개략적 분리도와 사시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의 히든타입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의 개략적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의 히든타입에 대한 개략적 분리도와 사시상태도이고,
도 6은 종래의 창호 샤시구조체의 상태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실내측에 고정 구비되면서 중공(中空) 형상으로 된 내부샤시프레임(110)과,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에 삽입 설치되면서 벽체를 이루는 강화유리벽(120)을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내측단열부재(130)와, 상기 내측단열부재(130)에 삽입 설치되어 그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알루미늄보강부재(140)와, 상기 알루미늄보강부재(140)에 끼움 연결되어 상기 강화유리벽(120)의 외측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외측단열부재(150)와, 상기 외측단열부재(150)에 삽입 설치되어 지지력과 심미감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외부알루미늄캡(1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은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공형상으로 되어 그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내부샤시공간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단열부재(130)가 삽입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내측단열부재(130)는 외부로의 열손실을 막아줄 수 있도록 실링부재(131)가 구비되는 실링부(132)와 상기 알루미늄보강부재(140)가 삽입되어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바아(133)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에는 그 일단부측 내벽에 상하 2개의 끼움돌기(112)가 설치 구성되고, 상기 끼움돌기(112)를 경계로 상기 내부샤시공간부(111)가 구획 형성되면서 상기 내측단열부재(130)가 삽설되며, 상기 내측단열부재(130)는 그 일측면에 바둑판 모양과 같이 다수의 셀을 형성한 중공체가 형성 구비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실링부재(131)가 설치되어 상기 강화유리벽(120)을 지지하는 상기 실링부(132)가 상하로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132) 사이는 다수개의 공간층(134)이 형성되고 그 외측의 중간부에는 상기 돌출바아(133)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보강부재(140)는 상기 돌출바아(133)가 삽입 설치되도록 U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양끝단부는 상기 내측단열부재(130)의 측면에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플렌지부(141)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보강부재(140)의 U자 형상부에는 연결끼움돌기(142)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단열부재(150)와 끼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단열부재(150)는 외부와의 열전달을 줄여줄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간층(1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층(151)의 상하 양단에는 상기 강화유리벽(120)을 지지하면서 이를 기밀시킬 수 있는 실링부재(152)가 삽입 설치되는 외측실링부(15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단열부재(150)에는 상기 알루미늄보강부재(140)의 연결끼움돌기(142)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돌기삽설부(15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단열부재(130)는 도 2(b)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층(134)의 일측면에 단일(單一)의 중공체(137)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에 삽입 설치하고, 또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에는 그 중간부에 가로막(113)을 구비하여 단열공간층(114)를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단열부재(130)는 상기 실링부(132)에 인접하여 걸리돌기부(135)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에는 상기 걸리돌기부(135)를 삽설하는 걸림턱(115)과 걸림단(116)이 형성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리돌기부(135)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이때문에 상기 걸림턱(115)을 상기 걸리돌기부(135)를 따라 밀어 끼워주면 상기 걸림턱(115)이 일단에 끼워지면서 상기 걸림단(116)이 그 끝단에 걸려져 용이하게 끼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단열부재(130)에는 상기 끼움돌기(112)가 삽설되는 끼움홈(136)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단열부재(150)와 알루미늄캡(160)을 구비하여 이들을 건축물 외측으로 돌출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노출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단열부재(150)와 알루미늄캡(160)을 설치하지 않고 히든타입으로 설치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히든타입에서는 상기 알루미늄보강부재(140)의 상기 연결끼움돌기(142)가 구비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가로막(113)이 구비된 상기 단열공간층(114)에는 골판지(115) 등과 같은 단열부재를 삽입하여 대류로 인한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노출타입의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100)는 상기 외부단열부재(150)과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 사이에 연전도율이 상이한 PVC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내측단열부재(130)를 설치하고, 또 견고성이 강하나 열손실이 큰 알루미늄으로 된 상기 알루미늄보강부재(140)를 상기 외부단열부재(150)와 상기 내측단열부재(130) 사이에 설치하여, 건축물의 내부 열에너지가 외부로 전도되어 손실되는 비율을 낮추어주도록 함으로써 건물 내부의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노출타입이나 히든타입의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100)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의 구조와 상기 내부단열부재(130)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여러가지 실시예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도 2(a)와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내부샤시공간부(111)에 상기 단열부재(112)를 바둑판 형상과 같이 다수개의 셀(cell)이 형성되도록 하여 설치 구성할 수 있다.
또 도 2(b)와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내부샤시공간부(111)의 일측면에 가로막(113)을 구비하여 상기 단열공기층(114)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또 상기 단열공기층(114)에 상기 골판지(114) 등을 삽설하여 대류로 인한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c)와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단열부재(130)의 형상을 달리하여 상기 걸림돌기부(135)와 같은 삽설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샤시공간부(111)의 구성과 상기 내측단열부재(130)의 형상과 구성을 다양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건축물 내부의 전도/대류를 통한 열손실을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100)는 외측으로는 알루미늄부재를 사용하여 견고성과 심미감을 강화하면서 내측으로는 PVC부재 등과 같은 단열부재를 사용하되 외부를 알루미늄부재가 감싸주어 화재의 안전성을 높혀줌으로써 그 활용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창호 샤시구조체 110:내부샤시프레임 120:강화유리벽
130:내측단열부재 140:알루미늄보강부재 150:외측단열부재
160:외부알루미늄캡
111:내부샤시공간부 112:끼움돌기 113:가로막기 114:단열공간층
115:걸림턱 116:걸림단
131:실링부재 132:실링부 133:돌출바아 134:공간층 135:걸림돌기부
136:끼움홈
141:플렌지부 142:연결끼움돌기
151:공간층 152:실링부재 153:외측실링부 154:돌기삽입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건축물의 외측으로부터 투광 및 외측으로의 투시를 확대하면서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벽(120)을 고정 설치하는 건축물의 창호 샤시구조체(100)에 있어서,
    상기 창호 샤시구조체(100)는
    건축물의 실내측에 고정 구비되면서 중공(中空)의 내측샤시공간부(111)가 형성 된 내부샤시프레임(110)과,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의 내측샤시공간부(111)에 삽입 설치되면서 벽체를 이루는 강화유리벽(120)을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내측단열부재(130)와,
    상기 내측단열부재(130)에 삽입 설치되어 그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알루미늄보강부재(140)로 구성되되;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에는 상기 내측단열부재(13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112)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단열부재(130)는 상기 강화유리벽(1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131)가 구비되는 실링부(132)와 상기 끼움돌기(112)가 삽설되는 끼움홈(136)이 형성되며,
    상기 알루미늄보강부재(140)에는 상기 강화유리벽(120)의 외측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외측단열부재(150)와 상기 외측단열부재(150)에 탄력적으로 삽입 설치되는 외부알루미늄캡(160)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단열부재(130)와 상기 외측단열부재(150)는 PVC단열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와 상기 알루미늄보강부재(140)는 상기 내측단열부재(130)에 의해 서로 단절되는 구조로 되어 외부로의 열전달이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단열부재(130)는 상기 실링부(132)에 인접하여 걸리돌기부(135)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샤시프레임(110)에는 상기 걸리돌기부(135)를 삽설하는 걸림턱(115)과 걸림단(116)이 형성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7. 삭제
  8. 삭제
KR1020100011645A 2010-02-08 2010-02-08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KR10101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645A KR101016202B1 (ko) 2010-02-08 2010-02-08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645A KR101016202B1 (ko) 2010-02-08 2010-02-08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202B1 true KR101016202B1 (ko) 2011-02-24

Family

ID=4377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645A KR101016202B1 (ko) 2010-02-08 2010-02-08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202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760B1 (ko) 2013-04-29 2013-10-17 (주)영남유리산업 단열 및 방화문틀 프레임
KR101365699B1 (ko) 2013-06-07 2014-02-24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복합 창호 및 그의 비접착식 단열재 시공방법
KR20150052757A (ko) * 2014-05-26 2015-05-14 임식규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150052758A (ko) * 2014-05-26 2015-05-14 임식규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612412B1 (ko) 2015-06-30 2016-04-15 오석건설 주식회사 창호의 유리창 단열 마감장치
KR101623939B1 (ko) * 2013-07-09 2016-05-24 주식회사 효성금속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커튼월 창
KR101763632B1 (ko) * 2015-05-08 2017-08-03 주식회사 동현이앤아이 스텐레스 단열 프레임
KR101873925B1 (ko) * 2016-03-30 2018-07-03 주식회사 우강 금속제 단열창틀
KR101932658B1 (ko) * 2017-06-06 2018-12-26 정경예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90086064A (ko) * 2018-01-11 2019-07-22 (주)영남유리산업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이중프레임 구조를 갖는 커튼월
KR102094366B1 (ko) * 2019-03-04 2020-03-27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고단열/고강도 커튼 월 창
KR102094367B1 (ko) * 2019-03-04 2020-03-27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고단열/고강도 커튼 월 창
KR20220014216A (ko) * 2020-07-28 2022-02-04 (주)이앤에이에스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1923A1 (en) * 2004-12-28 2006-06-29 Jim Goss Providing a multimedia message with a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 in a mobile environment
KR100680864B1 (ko) * 2005-10-25 2007-02-09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커튼 월 창틀의 구조
KR100914167B1 (ko) * 2009-05-21 2009-08-28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창호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1923A1 (en) * 2004-12-28 2006-06-29 Jim Goss Providing a multimedia message with a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 in a mobile environment
KR100680864B1 (ko) * 2005-10-25 2007-02-09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커튼 월 창틀의 구조
KR100914167B1 (ko) * 2009-05-21 2009-08-28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창호구조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760B1 (ko) 2013-04-29 2013-10-17 (주)영남유리산업 단열 및 방화문틀 프레임
KR101365699B1 (ko) 2013-06-07 2014-02-24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복합 창호 및 그의 비접착식 단열재 시공방법
WO2014196750A1 (ko) * 2013-06-07 2014-12-11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복합 창호 및 그의 비접착식 단열재 시공방법
KR101623939B1 (ko) * 2013-07-09 2016-05-24 주식회사 효성금속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커튼월 창
KR20150052757A (ko) * 2014-05-26 2015-05-14 임식규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150052758A (ko) * 2014-05-26 2015-05-14 임식규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583453B1 (ko) 2014-05-26 2016-01-11 임식규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595219B1 (ko) 2014-05-26 2016-02-18 임식규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763632B1 (ko) * 2015-05-08 2017-08-03 주식회사 동현이앤아이 스텐레스 단열 프레임
KR101612412B1 (ko) 2015-06-30 2016-04-15 오석건설 주식회사 창호의 유리창 단열 마감장치
KR101873925B1 (ko) * 2016-03-30 2018-07-03 주식회사 우강 금속제 단열창틀
KR101932658B1 (ko) * 2017-06-06 2018-12-26 정경예 단열 창호 프레임
WO2019160267A1 (ko) * 2017-06-06 2019-08-22 정경예 단열 창호 프레임
CN111757967A (zh) * 2017-06-06 2020-10-09 株式会社迪纳摩科瑞斯 隔热门窗框架
CN111757967B (zh) * 2017-06-06 2021-11-09 株式会社迪纳摩科瑞斯 隔热门窗框架
KR20190086064A (ko) * 2018-01-11 2019-07-22 (주)영남유리산업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이중프레임 구조를 갖는 커튼월
KR102071319B1 (ko) * 2018-01-11 2020-01-31 (주)영남유리산업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이중프레임 구조를 갖는 커튼월
KR102094366B1 (ko) * 2019-03-04 2020-03-27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고단열/고강도 커튼 월 창
KR102094367B1 (ko) * 2019-03-04 2020-03-27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고단열/고강도 커튼 월 창
KR20220014216A (ko) * 2020-07-28 2022-02-04 (주)이앤에이에스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KR102497646B1 (ko) * 2020-07-28 2023-02-08 (주)이앤에이에스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202B1 (ko)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KR101063782B1 (ko) 꼭지바의 연결구조 변형을 통한 단열성능 및 설치공정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KR101077492B1 (ko) 단열성능과 조립성이 개선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100975604B1 (ko) 단열성능이 개선된 알루미늄 프로젝트 및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1308360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KR101387586B1 (ko) 구조적인 강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의 단열 샤시구조체
KR101617787B1 (ko) 커튼월
KR101243416B1 (ko) 단열성능 개선을 위한 알루미늄 창호
KR101630393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커튼월
KR101854143B1 (ko) 커튼월 유닛
UA77880C2 (en) Heat-insulation window
KR101531576B1 (ko) 지지력이 보강된 커튼월
KR102345489B1 (ko) 단열 커튼월
KR20190074751A (ko) 친환경 복합 커튼월
KR101616990B1 (ko) 열관류율이 향상된 단열 샤시구조체
KR101820052B1 (ko)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에어충진도어
KR101874578B1 (ko) 중공형 단열 커튼월
KR101511525B1 (ko) 도어
KR101014297B1 (ko) 창호
KR101969379B1 (ko) 커튼월 유닛
KR10227330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의 단열 구조
KR20220084768A (ko) 단열 커튼월
KR102169160B1 (ko) 단열 커튼월
KR101419659B1 (ko) 단열고정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