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216A -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 Google Patents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216A
KR20220014216A KR1020200094028A KR20200094028A KR20220014216A KR 20220014216 A KR20220014216 A KR 20220014216A KR 1020200094028 A KR1020200094028 A KR 1020200094028A KR 20200094028 A KR20200094028 A KR 20200094028A KR 20220014216 A KR20220014216 A KR 20220014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indow
insulation performance
thermal insulati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646B1 (ko
Inventor
변청석
Original Assignee
(주)이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주)이앤에이에스
Priority to KR102020009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6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는 건축물에 설치되고, 창; 및 상기 창이 내측에 고정되고, 내부에 스틸 재질로 마련되는 보강판 및 단열재가 설치된 창틀을 포함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창틀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Fireproof window with insul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단열 성능 및 방화 성능이 구비된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건축물의 내부에는 화재 범위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 구획이 설치된다. 이 방화 구획은 내화 구조로 해야 하지만,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계단 등의 출입문에 방화문으로 구획하고, 통로에 자동 방화 셔터와 덕트 관통 부분에 방화 댐퍼를 사용한다.
그런데, 주거 층이 3층 이상으로 시공된 아파트나 오피스텔 또는 빌라의 경우 계단이나 복도에는 의무적으로 방화 구획이 설치되고 있으나, 창호에는 별다른 방화 기능이 없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부주의 또는 전기적인 원인으로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불은 방화문으로 이루어진 현관이나 복도를 통해 번지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창문을 통해 윗집으로 번지게 된다. 그리고, 윗집에 재산상의 손실은 물론 자칫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금속계열 창호는 구조성능이 우수한 반면 단열성능이 취약하며, 플라스틱 창호는 단열성능은 우수하나 구조성능이 매우 취약하고 화재에 녹을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은 금속계열이긴 하나 녹는점이 약660도로, 방화시험 기준인 1000도 보다 낮아, 화재 발생시 녹을 수 있다. 현재 국내 법규상 건축 외장재는 방화성능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창호는 실제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축 외장재에서 제외되고 있어, 방화성능에 대한 법적 요구사항이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창호의 단열성능을 높이는 연구는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나, 창호의 방화성능에 대한 연구개발이 더디게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방화창호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몇 차례 법규화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미 법규화된 외벽창호의 단열성능을 만족하면서 방화성능까지 만족하는 창호가 없어, 몇몇의 창호 회사와 국토부의 반대로 무효화되었다.
기존 복층유리 고정방식은 실란트 글레이징을 통한 유리고정 방식과, 프레임(플라스틱 계열, Al 등)과 게스킷(고무)을 이용한 유리고정 방식이 있다. 그런데, 화재 발생 시 유독가스 발생과 고열로 인한 주요 부품이 녹아내려 유리가 파손됨으로써 화재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화재 확산을 막아 화재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단열 성능이 구비되고 건축물의 화재 확산을 막아 화재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로, 창; 및 상기 창이 내측에 고정되고, 내부에 스틸 재질로 마련되는 보강판 및 단열재가 설치된 창틀을 포함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창틀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은, 상기 건축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차열유리; 및 상기 차열유리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고 상기 건축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판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차열유리, 판유리 및 창틀 사이의 공간에는 아르곤 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유리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판유리 및 창틀 사이의 공간에는 아르곤 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는 상기 창의 단부에 접촉되고,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는 양측 단부에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볼트삽입홀이 각각 형성된 방화브릿지가 설치되며, 상기 보강판은 상기 건축물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방화브릿지에 연결되고,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단열재가 녹는 경우, 상기 보강판, 고정볼트 및 방화브릿지는 상기 창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물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방화브릿지에 연결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에 끼워져 상기 고정볼트를 덮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이 내부 일측면에 상기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방화브릿지에 연결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덮는 내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는 화재 발생시, 보강판을 통해 창틀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창이 파손됨으로써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축물의 화재 확산을 막아 화재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는 단열재를 통해 단열이 가능하고, 창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아르곤 가스를 통해 단열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의 A-A'에 대한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의 B-B'에 대한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의 보강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의 방화브릿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가 화재 에 의해 변화되었을 경우, A-A'에 대한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의 방화브릿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의 방화브릿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의 A-A'에 대한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가 화재 에 의해 변화되었을 경우, A-A'에 대한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10)는 건축물(2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10)는 창(100) 및 창틀(200)을 포함할 수 있다.
창(100)은 창틀(20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창(100)은 차열유리(110) 및 판유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열유리(110)는 건축물(20)의 내측(20I)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열유리(110)는 판유리(120)보다 두께가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판유리(120)는 차열유리(110)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고 건축물(20)의 외측(20T)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열유리(110), 판유리(120) 및 창틀(200) 사이의 공간(110s)에는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르곤 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판유리(120)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판유리(120) 및 창틀(200) 사이의 공간(120s)에는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르곤 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창틀(200)은 내측에 창(100)이 고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창(100)과 창틀(200) 사이에는 방화실리콘(L)이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창틀(200)은 몸체(210), 단열재(220), 방화브릿지(230), 어댑터(240), 캡(250), 내화부재(260), 커버(270), 연결블록(280), 보강판(29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바들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210)는 바들의 단부가 서로 이어져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창틀(200)의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의 단면이 연결블록(280)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열재(220)는 몸체(210)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단열재(220)는 폴리아미드 등의 재질로 마련되어 창틀(200)의 단열을 실시할 수 있다. 방화브릿지(230)는 단열재(2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방화브릿지(230)는 스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틸 재질은 녹는점이 약1500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화브릿지(230)는 양측 단부에 고정볼트(B)가 체결되는 볼트삽입홀(230h)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화브릿지(230)는 일측 단부의 볼트삽입홀(230h)에 체결되는 고정볼트(B)를 통해 몸체(210) 및 보강판(29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하여 단열재(220)가 녹는 경우, 보강판(290), 고정볼트(B) 및 방화브릿지(230)는 창(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어댑터(240)는 알루미늄 재질의 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240)는 방화브릿지(230)의 타측 단부의 볼트삽입홀(230h)에 체결되는 고정볼트(B)를 통해 방화브릿지(23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댑터(240)는 건축물(20)의 외측(20T)으로부터 고정볼트(B)를 통해 방화브릿지(2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240)의 양측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240)는 건축물(20)의 외측(20T)으로부터 단열재(220) 및 창(100)의 가장자리를 보호할 수 있다.
캡(250)은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되고, 어댑터(240)의 걸림턱에 걸려 어댑터(24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캡(250)은 고정볼트(B)를 덮어 고정볼트(B)가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화부재(260)는 열에 강한 내열 ABS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21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270)는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되고, 내화부재(26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틀(200)은 캡(250) 및 커버(270)를 통해 외관 및 내관을 알루미늄 재질로 마감 처리할 수 있다.
연결블록(280)은 몸체(210)의 내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블록(280)은 몸체(210)의 바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보강판(290)은 스틸 재질로 마련되고, 창틀(200)의 내부공간 중 단열재(220)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판(290)은 건축물(20)의 내측(20I)으로부터 고정볼트(B)를 통해 방화브릿지(2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단열재(220)와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되는 몸체(210), 어댑터(240), 캡(250), 커버(270)는 녹아 형상을 유지할 수 없는 반면에, 보강판(290)은 화재에 의해 녹지 않으므로 창틀(20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10)는 보강판(290), 방화브릿지(230) 및 고정볼트(B)를 통해 방화지구 건축물(20) 외장재 방화성능 기준(국토교통부령 제193호‘건축물(20)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인 갑종방화(차열 30분, 비차열 60분, 방화시험온도 1000도)를 만족하는 방화 창호(10)를 제공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7 내지 도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10)의 방화브릿지(230)는 중심부에 탄성스프링(S)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방화브릿지(230)는 탄성스프링(S)을 통해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다. 또한, 방화브릿지(230)의 외주면에는 회전방지턱(2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방지턱(231)은 단열재(220)에 걸려 방화브릿지(230)에 고정볼트(B)가 체결될 시, 방화브릿지(2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9를 참고하면, 방화브릿지(230)는 고정볼트(B)가 체결될 때, 탄성스프링(S)이 인장될 수 있다. 즉, 방화브릿지(230)는 탄성스프링(S)이 인장된 상태로 고정볼트(B)를 통해 몸체(210), 보강판(290) 및 어댑터(240)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240)와 캡(250) 사이에는 스틸 재질로 마련되는 고정판(3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판(300)은 고정볼트(B)를 통해 방화브릿지(2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단열재(220), 몸체(210), 어댑터(240)가 녹는 경우, 방화브릿지(230)는 탄성스프링(S)을 통해 압축되고, 방화브릿지(230)에 연결된 보강판(290) 및 고정판(300)은 창(10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창(100)은 보강판(290)과 고정판(300) 사이에 끼워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10)는 화재 발생시, 보강판(290)을 통해 창틀(20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창(100)이 파손됨으로써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축물(20)의 화재 확산을 막아 화재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10)는 단열재(220)를 통해 단열이 가능하고, 창(100)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아르곤 가스를 통해 단열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100 : 창 110 : 차열유리
120 : 판유리 200 : 창틀
210 : 몸체 220 : 단열재
230 : 방화브릿지 230h : 볼트삽입홀
240 : 어댑터 250 : 캡
260 : 내화부재 270 : 커버
280 : 연결블록 290 : 보강판
300 : 고정판 B : 고정볼트
S : 탄성스프링

Claims (6)

  1. 건축물에 설치되는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에 있어서,
    창; 및
    상기 창이 내측에 고정되고, 내부에 스틸 재질로 마련되는 보강판 및 단열재가 설치된 창틀을 포함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창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은,
    상기 건축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차열유리; 및
    상기 차열유리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고 상기 건축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판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차열유리, 판유리 및 창틀 사이의 공간에는 아르곤 가스가 충진되는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판유리 및 창틀 사이의 공간에는 아르곤 가스가 충진되는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창의 단부에 접촉되고,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는 양측 단부에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볼트삽입홀이 각각 형성된 방화브릿지가 설치되며,
    상기 보강판은 상기 건축물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방화브릿지에 연결되고,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단열재가 녹는 경우, 상기 보강판, 고정볼트 및 방화브릿지는 상기 창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방화브릿지에 연결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에 끼워져 상기 고정볼트를 덮는 캡을 포함하는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이 내부 일측면에 상기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방화브릿지에 연결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덮는 내화부재를 포함하는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KR1020200094028A 2020-07-28 2020-07-28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KR102497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028A KR102497646B1 (ko) 2020-07-28 2020-07-28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028A KR102497646B1 (ko) 2020-07-28 2020-07-28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216A true KR20220014216A (ko) 2022-02-04
KR102497646B1 KR102497646B1 (ko) 2023-02-08

Family

ID=8026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028A KR102497646B1 (ko) 2020-07-28 2020-07-28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274B1 (ko) 2022-03-24 2022-10-14 곽상용 내부 보강재를 구비한 알루미늄 방화 유리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9818A (ja) * 2004-12-15 2006-06-29 Sayyas Japan Kk 木材を使用した防火サッシ
KR101016202B1 (ko) * 2010-02-08 2011-02-24 (주)신창산업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JP2015224444A (ja) * 2014-05-27 2015-12-14 Ykk Ap株式会社 樹脂製建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9818A (ja) * 2004-12-15 2006-06-29 Sayyas Japan Kk 木材を使用した防火サッシ
KR101016202B1 (ko) * 2010-02-08 2011-02-24 (주)신창산업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JP2015224444A (ja) * 2014-05-27 2015-12-14 Ykk Ap株式会社 樹脂製建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274B1 (ko) 2022-03-24 2022-10-14 곽상용 내부 보강재를 구비한 알루미늄 방화 유리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646B1 (ko)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626B1 (ko) 단열 방화문
SK3612001A3 (en) Fire wall
WO2017095090A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US4706426A (en) Fire-rated flush mounted corner guard
RU2241814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дверь или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е окно
KR102345622B1 (ko) 방화 단열 창호
KR102368036B1 (ko) 커튼월 창 단열구조체
KR101800848B1 (ko) 보안시설용 개폐형 방폭 장치
KR20190027395A (ko) 방화문
KR20220014216A (ko)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US4601143A (en) Fire rated wall/door system
KR20170127142A (ko) 방화차열 및 단열 결로방지형 방화문
JP2016156265A (ja) 建具
KR20160025918A (ko) 차열 방화 유리벽 및 유리문
KR101101935B1 (ko)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190298A (ja) サッシ窓
KR102445829B1 (ko) 방화 및 단열 성능을 갖는 커튼월
JP2013127168A (ja) 建具
KR102237178B1 (ko) 방화문
JP7394569B2 (ja) 防火戸
CN207813423U (zh) 一种单开式具有骨架结构的透视防火门
KR101907914B1 (ko)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
US20040050005A1 (en) Reinforced fire retardant panel door
KR101100591B1 (ko) 선박용 방화창
KR102595315B1 (ko) 간편 조립 끼움식 구조의 투시창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