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914B1 -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 - Google Patents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914B1
KR101907914B1 KR1020180074415A KR20180074415A KR101907914B1 KR 101907914 B1 KR101907914 B1 KR 101907914B1 KR 1020180074415 A KR1020180074415 A KR 1020180074415A KR 20180074415 A KR20180074415 A KR 20180074415A KR 101907914 B1 KR101907914 B1 KR 101907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door
cable
refractory filler
nucl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현
김재환
박재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74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전의 방화구획에서 방화문을 통과하는 임시 케이블을 설치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때, 방화문을 닫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원전의 방화구획에 설치되는 방화문(100) 및 상기 방화문(100)의 하부에 구비된 임시 케이블 관통부(20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임시 케이블 관통부(200)는 상기 방화문(100)에 형성된 모듈 결합공(120), 상기 모듈 결합공(120)에 끼움결합되는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은 내화충진재(211)와 내화충진재(211)가 끼움결합되는 내화충진재 보관틀(212)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내화충진재(211)는 케이블 설치구(211c)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내화충진재 보관틀(212)은 90도 회전시켜도 상기 모듈 결합공(120)에 끼움결합 될 수 있도록 양 측면이 정사각형 형상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Nuclear Fire Door Structure with Temporary Cable Penetration Seals for Fire Partition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방화문 구조에 관한 발명으로, 특히 원전의 방화구획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작업을 하며 임시 케이블이 방화문을 통과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방화문을 닫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방화구획 내외부가 내화충진재로 격리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은 아파트, 사무실 및 다양한 플랜트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물에서 화재의 확대 및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문이다. 이러한 방화문은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가 발생한 구역과 격리하고, 열을 차단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도 1(a)는 등록특허공보 제10-1826623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 나타난 방화문 구조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화문 구조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차폐 및 차열에 주안점을 두고 만들어지므로, 방화문에 구멍을 형성한다든지 하는 경우는 없다.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어느 구조물보다 화재를 비롯한 모든 사고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대비를 해야 한다.
화재 대비와 관련하여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주요 건물은 화재로 인한 설비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수의 방화지역(fire area)으로 구획되어 있다. 방화지역은 일정시간 동안 화재를 차폐할 목적으로 다른 지역으로부터 내화방벽(벽, 기둥, 방화문 등)으로 격리한 건물의 일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방화지역은 방화구획되어 있는데, 방화구획은 내화구조로 된 바닥, 벽 및 방화문 등으로 구획하는 것을 말한다.
방화구획에서 출입을 위해 설치된 방화문은 특별한 일이 없는 한 항상 닫힘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하지만, 발전소 정비기간 중에는 다양한 정비, 검사 작업 등이 발생하며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임시 케이블이 설치되게 된다. 대부분의 임시 케이블은 작업 편이를 위해 방화문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화문 구조에서는 임시 케이블 때문에 방화문을 닫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방화문을 열어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열린 방화문 틈새로 열과 연기가 전파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따라 화재가 확산될 위험도 크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소에서는 방화지역에 설치된 방화문을 가급적 닫힘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만일 방화문을 열어두어야 하는 사유가 발생하면 이를 “발전소 방화문 관리 절치서”에 따라 상부에 보고하고 특별히 이를 관리하고 기록으로 유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하지만, 도1(a),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방화문 구조에서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임시 케이블을 설치하게 되면, 방화문을 닫을 수 없는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26623호(2018.02.07. 공고)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전의 방호구역에서 방화문을 통과하는 임시 케이블을 설치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때, 방화문을 닫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방화구획 내,외부가 내화충진재로 격리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는, 원전의 방화구획에 설치되는 방화문(100) 및 상기 방화문(100)의 하부에 구비된 임시 케이블 관통부(200)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임시 케이블 관통부(200)는 상기 방화문(100)에 형성된 모듈 결합공(120), 상기 모듈 결합공(120)에 끼움결합되는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 상기 모듈 결합공(120)을 외측과 내측에서 각각 차폐하도록 상기 방화문(100)에 결합되는 외부 덮개(220) 및 내부 덮개(23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은 내화충진재(211)와 상기 내화충진재(211)가 끼움결합되는 내화충진재 보관틀(212)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내화충진재(211)는 서로 접하며 개폐 가능한 제1, 2 내화충진재(211a, 211b) 및 상기 제1, 2 내화충진재(211a, 211b)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설치구(211c)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내화충진재 보관틀(212)은 직육면체 형상이며, 양 측면 사이에 내화충진재 삽입구(2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90도 회전하여도 상기 모듈 결합공(120)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듈 결합공(120)의 전방에는 끼움결합되는 상기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12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덮개(220) 및 내부 덮개(230)는 각각 상기 내화충진재 보관틀(212)의 전, 후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나타난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를 통해, 원전의 방호구역에서 작업을 위해 방화문(100)을 통과하는 임시 케이블(10)을 설치하더라도, 방화문을 닫은 상태로 임시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고, 임시 케이블을 제외하고는 내화충진재(211)에 의해 차폐가 되므로, 작업시에도 방화문을 개방함으로 해서 발생되는 화재방호 취약점을 최소화하여 방화구획 건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화문 개방으로 인한 각종 행정적인 번거로움, 규제기관 지적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전 방화문 구조에서는 임시 케이블 관통부(200)에 구비된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을 회전시켜 임시 케이블(1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방화문(100)에 임시 케이블(10)을 설치할 때, 다른 장비 또는 장치 없이 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전 방화문 구조에서,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이 내화충진재(211)와 내화충진재 보관틀(212)로 형성되어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임시 케이블(10)이 설치되지 않는 평상시에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이 없는 통상적인 방화문과 동일한 내화 성능을 갖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종래의 방화문 구조의 개략도
(a) 종래의 방화문 구조 (b) 전선이 설치되었을 때의 방화문 상태
도 2. 본 발명의 방화문 구조의 개락도
도 3. 본 발명의 방화문 구조의 분해도
도 4. 본 발명의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의 실시예
(a) 케이블 설치용 모듈의 분해도 (b) 내화 충진재의 구조
도 5. 제1 실시예의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이 설치된 방화문의 단면도
(a)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 (b) 케이블이 설치된 상태
도 6. 제2 실시예의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이 설치된 방화문의 단면도
(a)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 (b) 케이블이 설치된 상태
도 7. 본 발명의 방화문에 케이블이 설치된 구조의 개략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원전 방화문 구조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원전 방화문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전의 방화구획에 설치되는 방화문(10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화문(100)은 통상적인 방화문과 마찬가지로 방화지역 출입을 위한 손잡이(11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데, 상기 방화문(100)의 하부에 구비된 임시 케이블 관통부(200)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임시 케이블 관통부(200)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화문(100)에 형성된 모듈 결합공(120)과, 상기 모듈 결합공(120)에 끼움결합되는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과, 상기 모듈 결합공(120)을 외측과 내측에서 각각 차폐하도록 상기 방화문(100)에 결합되는 외부 덮개(220) 및 내부 덮개(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모듈 결합공(120)은 상기 방화문(100)의 내·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방화문(100)은 임시 케이블(10)이 설치되지 않을 때에는, 통상의 방화문과 마찬가지로 차폐 및 차열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모듈 결합공(120)의 모든 측면은 상기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과 서로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모듈 결합공(120)의 전방에는 도 5 도 6 단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톱퍼(12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톱퍼(121)는 방화문(100)의 내측인 후방에서 외측인 전방으로 상기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을 설치할 때,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도 3에서는 모듈 결합공(120)이 하나 형성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각 모듈 결합공(120)에는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이 끼움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상기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충진재(211)와 상기 내화충진재(211)가 끼움결합되는 내화충진재 보관틀(212)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 내화충진재(211)는 방화문(100)의 내화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내화 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는데, 통상 방화용 실리콘 고무 또는 압축성형 가공된 암면(rock wool) 등이 사용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내화 성능 조건을 충족하는 재질이면 충분할 것이다.
본 발명의 내화충진재(21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하며 개폐 가능한 제1, 2 내화충진재(211a, 211b) 및 상기 제1, 2 내화충진재(211a, 211b)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설치구(211c)를 포함하고 있다.
제1, 2 내화충진재(211a, 211b)는 도 4(b)에서와 같이 일측단부는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고, 서로 완전히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2 내화충진재(211a, 211b)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은 제1, 2 내화충진재(211a, 211b)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블 설치구(211c)에 설치하고자 하는 임시 케이블(10)이 보다 쉽게 설치하기 위해서이다.
도 4(b)에서는 3개의 케이블 설치구(211c)가 형성되어 있는데, 다른 수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케이블 설치구(211c)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4(b)에서는 3개의 케이블 설치구(211c)가 일 열로 형성되어 있는데,
다수 열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기 위해서는 제1, 2 내화충진재(211a, 211b)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새롭게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다수의 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내화충진재 보관틀(212)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이며, 양 측면 사이에는 상기 내화충진재(211)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내화충진재 삽입구(21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서는 이 때, 상기 내화충진재 삽입구(212a)와 내화충진재(211)의 외곽이 모두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화충진재(211)와 내화충진재 삽입구(212a)에 끼움결합되어 모든 면에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한편, 내화충진재 고정틀(212)과 내화충진재(211)는 그 높이를 동일하게 하여 서로 결합되었을 때,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화충진재 고정틀(212)에 상기 내화충진재(211)를 끼움결합시킬 때, 내화충진재(211)의 케이블 설치구(211c)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결합공(120)에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이 설치되어 있을 때, 내화충진재(211)에 형성된 케이블 설치구(211c)가 방화문(100)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방향이 아니고, 중간에 형성되어 있어 보다 높은 내화 성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내화충진재 고정틀(212)의 형상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내화충진재 고정틀(212)의 외곽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각형으로 형성된 양 측면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화충진재 고정틀(212)의 양 측면을 정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을 90도 회전시켜도 상기 내화충진재 고정틀(212)의 양 측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듈 결합공(12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을 90도 회전시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설치구(211c)가 방화문(100)의 내·외부로 연통하게 설치될 수 있어 임시 케이블(10)을 케이블 설치구(211c)를 통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화충진재 고정틀(212)은 양 측면이 정사각형이면 충분하고 그 크기에 제한은 없다. 도 5에는 모듈 결합공(120)에 설치되었을 때, 방화문(100)의 내부면과 평탄한 면이 되는 크기의 내화충진재 고정틀(212)이 형성되어 있고, 도 6에는 모듈 결합공(120)에 설치되었을 때, 방화문(100)의 내부면으로 돌출되는 크기의 내화충진재 고정틀(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물론 내화 충진재 고정틀(212)이 더 작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어떤 크기를 갖는 내화충진재 고정틀(212)이든 내화충진재 고정틀(212)의 크기에 따라 모듈 결합공(120)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으며, 내부 덮개(230)의 형상을 조절하는 것이 요구될 수는 있지만,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충진재 고정틀(212)은 90도 회전하여 설치할 수 있고, 임시 케이블(10)을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내화충진재 고정틀(212)의 재질은 내화충진재(21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고, 내화 성능이 높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녹는점이 높은 금속 또는 방화문(100)의 외부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임시 케이블(10)이 설치되지 않은 통상적인 방화문(100) 상태에서는, 상기 모듈 결합공(120)에 케이블 설치 모듈(210)이 설치되고, 상기 모듈 결합공(120)을 외측과 내측에서 각각 차폐하는 외부 덮개(220) 및 내부 덮개(230)는 상기 모듈 결합공(120)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나타난 외부 덮개(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결합공(120)을 차폐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연장된 외부 덮개 연장부(22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덮개(220)에는 외부 덮개(220)와 케이블 설치 모듈(210) 사이가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서로 완전히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부(221)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외부 덮개(220)에서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제1 외부 체결구(222)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덮개 연장부(224)에는 제2 외부 체결구(223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모듈 결합공(120) 주위에는 상기 제1, 2 외부 체결구(222, 223)에 대응되도록 제1, 2 체결부(122, 12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외부 덮개 연장부(224)에 형성된 제2 외부 체결구(2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케이블(10)을 설치하기 위하여 외부 덮개(220)를 상기 모듈 결합공(120)과 분리시킬 때, 외부 덮개(22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2 외부 체결구(223)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체결하여 방화문(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나타난 내부 덮개(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결합공(120)을 차폐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연장된 내부 덮개 연장부(23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덮개(230)에는 내부 덮개(230)와 케이블 설치 모듈(210) 사이가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서로 완전히 접촉될 수 있도록 오목부(231) 또는 돌출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내부 덮개(230)에서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제1 내부 체결구(232)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덮개 연장부(234)에는 제2 내부 체결구(23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모듈 결합공(120) 주위에는 상기 제1, 2 내부 체결구(232, 233)에 대응되도록 제3, 4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내부 덮개 연장부(234)에 형성된 제2 내부 체결구(233)는 상기 외부 덮개 연장부(224)에 형성된 제2 외부 체결구(22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외부·내부 덮개(220, 230)의 재질은 요구되는 내화 성능을 충족하는 어떤 재질이라도 가능하며, 외부면 및 내부면은 방화문(100)의 외부·내부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각 덮개(220, 230)의 내부면은 차폐 및 내화 성능을 갖는 실링재가 추가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방화문 구조에서 임시 케이블(10)을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외부·내부 덮개(220, 230)에 체결되어 있는 다수의 체결부재(미도시)를 제거하고, 상기 외부·내부 덮개(220, 230)를 회전시켜 다음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결합공(120)이 노출된 상태로 만든 제2 외부·내부 체결구(223, 233)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체결하여 외부·내부 덮개(220, 230)를 방화문(100)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모듈 결합공(120)으로부터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을 분리시킨 후, 분리된 상기 설치용 모듈(210)에서 내화충진재(211)와 내화충진재 보관틀(212)을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내화충진재(211)을 도 4(b)에서와 같이 제1, 2 내화충진재(211b, 211c)를 개방하여 케이블 설치구(211c)에 임시 케이블(10)을 설치하고 제1, 2내화충진재(211)를 서로 맞닿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임시 케이블(10)이 설치된 내화충진재(211)를 내화충진재 고정틀(212)에 끼움결합하여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을 완성한다.
마지막으로 임시 케이블(10)이 설치된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에서 임시 케이블(10)의 일단을 먼저 모듈 결합공(120)으로 통과시킨 다음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을 상기 모듈 결합공(120)에 끼움결합시켜 도 5(b),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시 케이블(10)이 설치된 닫힌 방화문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임시 케이블(10)과 내화충진재 사이 등과 같이 각 구성요소들이 연결되어 있는 부분에 필요에 따라 내화밀봉재(실리콘실런트, 퍼티 등)을 추가하여 방화문의 임시관통부가 보다 나은 내화성능을 갖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순서를 거꾸로 하면, 설치되어 있는 임시 케이블(10)을 방화문(100)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케이블 100 : 방화문
110 : 손잡이 120 : 모듈 결합공
121 : 스톱퍼 122 : 제1 체결부
123: 제2 체결부 200 : 임시 케이블 관통부
210 : 케이블 설치용 모듈 211 : 내화충진재
211a : 제1 내화충진재 212b : 제2 내화충진재
211c : 케이블 설치구 212 : 내화충진재 보관틀
212a : 내화충진재 삽입구 220 : 외부 덮개
221 : 돌출부 222: 제1 외부 체결구
223: 제2 외부 체결구 224 : 외부 덮개 연장부
230 : 내부 덮개 231 : 오목부
232: 제1 내부 체결구 233: 제2 내부 체결구
234 : 내부 덮개 연장부

Claims (3)

  1. 원전의 방화구획에 설치되는 방화문(100) 및 상기 방화문(100)의 하부에 구비된 임시 케이블 관통부(200)를 포함하는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임시 케이블 관통부(200)는 상기 방화문(100)에 형성된 모듈 결합공(120), 상기 모듈 결합공(120)에 끼움결합되는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 상기 모듈 결합공(120)을 외측과 내측에서 각각 차폐하도록 상기 방화문(100)에 결합되는 외부 덮개(220) 및 내부 덮개(23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은 내화충진재(211)와 상기 내화충진재(211)가 끼움결합되는 내화충진재 보관틀(212)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내화충진재(211)는 서로 접하며 개폐 가능한 제1, 2 내화충진재(211a, 211b) 및 상기 제1, 2 내화충진재(211a, 211b)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설치구(211c)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내화충진재 보관틀(212)은 직육면체 형상이며, 양 측면 사이에 내화충진재 삽입구(2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90도 회전하여도 상기 모듈 결합공(120)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결합공(120)의 전방에는 끼움결합되는 상기 케이블 설치용 모듈(21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12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덮개(220) 및 내부 덮개(230)는 각각 상기 내화충진재 보관틀(212)의 전, 후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
KR1020180074415A 2018-06-28 2018-06-28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 KR101907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415A KR101907914B1 (ko) 2018-06-28 2018-06-28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415A KR101907914B1 (ko) 2018-06-28 2018-06-28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914B1 true KR101907914B1 (ko) 2018-10-15

Family

ID=6386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415A KR101907914B1 (ko) 2018-06-28 2018-06-28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4149A (zh) * 2019-03-14 2019-06-07 宁波新力强门业有限公司 一种排箱式耐火门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100B1 (ko) 2006-04-26 2006-08-01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선 방호구조
KR100882778B1 (ko) 2008-07-22 2009-02-09 주식회사 동보 지하 전력구 방화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100B1 (ko) 2006-04-26 2006-08-01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선 방호구조
KR100882778B1 (ko) 2008-07-22 2009-02-09 주식회사 동보 지하 전력구 방화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4149A (zh) * 2019-03-14 2019-06-07 宁波新力强门业有限公司 一种排箱式耐火门体
CN109854149B (zh) * 2019-03-14 2024-01-30 宁波新力强门业有限公司 一种排箱式耐火门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30174B2 (en)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fire, water or (flue) gas and the like from propagating along cables
US20230021038A1 (en) Device for passing pipes or cables through an opening in a building
US200300291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odular shielded enclosure
US20220285923A1 (en) Railway vehicle and storage battery circuit breaker box thereof
US20100180509A1 (en) In-line access door
RU2297500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ый барьер для отверстий в стенах, содержащий различные рамки для входов кабелей
KR101585378B1 (ko)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
KR101907914B1 (ko) 원전 방화구획 건전성 유지를 위한 임시 케이블 관통부를 갖는 원전 방화문 구조
US6789363B1 (en) Security room for information technology facilities
EP3464775B1 (en) A louvre assembly
US10619766B2 (en) Line feedthrough for feeding lines through a component
KR101988845B1 (ko) 원전 방화벽 내화성능 확보를 위한 멀티 케이블 통과체(mct)와 연결 케이블을 갖는 방화문 구조
DE19902971C1 (de) Verteilergehäuse
JP2012081175A (ja) ケーブルダクトの防火区画処理構造
KR102497646B1 (ko) 단열 성능이 구비된 방화 창호
JP7394569B2 (ja) 防火戸
CN112302506A (zh) 一种具有高效隔音的内嵌式防火门
RU2310960C2 (ru) Закры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KR20160000197U (ko) 방화문 결합 구조물
KR102487318B1 (ko) 차단기용 화재 확산 방지 안전덮개
CN219717789U (zh) 一种防火型电缆桥架
KR20220001730U (ko) 탈부착 덮개를 구비한 개방형 방화 트레이
KR200403227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CN212562989U (zh) 一种安全通道用具有密封结构的安全门
KR102318532B1 (ko) 선택적 내향 실링을 이용한 벽체 관통구 케이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