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925B1 - 금속제 단열창틀 - Google Patents

금속제 단열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925B1
KR101873925B1 KR1020160038335A KR20160038335A KR101873925B1 KR 101873925 B1 KR101873925 B1 KR 101873925B1 KR 1020160038335 A KR1020160038335 A KR 1020160038335A KR 20160038335 A KR20160038335 A KR 20160038335A KR 101873925 B1 KR101873925 B1 KR 10187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heat insulating
heat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762A (ko
Inventor
허장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강
Priority to KR1020160038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9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06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4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15Frames made of meta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단열창틀은 내측 프레임 부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로 분할 구성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외장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를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지지부재를 단열구조로 연결하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단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금속제 단열창틀{Heat Insulating Metal Window Frame}
본 발명은 금속제 단열창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창틀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며, 단열창틀에 형성된 단열구조를 통해 실내와 실내 사이의 열전도를 차단시켜 향상된 단열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금속제 단열창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기 위해 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 것으로, 상기 창호의 구조는 크게 채광이 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의 상, 하부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창틀로 구성된다.
상기 창호들 중에서 스테인레스 창호를 비롯한 금속재의 창호는 일교차가 심한 계절인 경우, 열전도가 잘되는 금속재의 특성상 실내와 실외에 배치된 창틀 사이에서 열전도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실내와 실외에 배치된 창틀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전도 현상에 의해 창틀의 단열성이 저하되므로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471088호에서는 내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 본체의 개방된 상하 단부에 하부 및 상부로 각각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단열재로 형성되어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사이의 열전도 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사이에 단열재로 구성된 연결부재를 설치하면, 실내와 실외 사이의 열전도현상을 차단함으로써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근래의 건물에 설치되는 발코니용 창이나, 베란다 창 등을 살펴보면, 조망과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해 벽의 한 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등 그 창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추세로서, 점차 크기가 커져 가는 창문의 하중을 지탱하며,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각각 지지하기에는 폴리아미드로 형성된 연결부재의 특성상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의 장기간 사용시에도 창문의 하중에 의해 단열창틀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구조를 갖는 금속제 단열창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와 실외에 배치된 외장프레임 사이의 온도편차에 따른 열전도 현상을 방지하여 단열성을 더욱 향상시킨 금속제 단열창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측 프레임 부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로 분할 구성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외장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를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지지부재를 단열구조로 연결하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단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는, 각각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판과 상기 수직지지판의 길이 중간에 연결된 한 쌍의 수평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수직지지판은 외장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판은 상기 외장프레임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수평지지판들 사이에 상기 단열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에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의 열차단부재가 상기 외장 프레임의 내주면의 3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외장 프레임의 내주면에 단열층을 형성하고,
상기 내·외측 지지부재를 각각 구성하는 수직지지판은,
중심의 수직부분은 상기 외장 프레임의 내주면의 1면에 밀착되고, 상하의 양단부가 상기 외장프레임의 내·외측 프레임 부재의 상하부의 내주면에 면접하여 지지하도록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지지판의 상하 양단부에는 상기 열차단부재의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끼움턱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끼움턱에 상기 열차단부재의 단부가 끼움 설치되어,
상기 내·외측 지지부재의 수직지지판에 의해 상기 외장 프레임의 내·외측 프레임 부재가 각각 지지되는 한편, 상기 단열부재에 의해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열전달이 차단되고, 상기 내·외측 프레임 부재의 중공부에는 상기 내·외측 지지부재와 결합된 열차단부재들에 의해 각각 단열공간이 형성된 단열구조를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의 단부에 각각 한 쌍의 결합편이 형성되고, 이들 각 지지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편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마주하는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의 결합편 사이에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에 의해 성형된 단열부재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와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는 "ㅁ"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부재와 건물의 벽에 접하도록 이루어진 단열커버가 결합되어서,
상기 단열커버를 통해 건물의 벽과 보강재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건물의 벽과 상기 보강재 사이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열커버는 건물과 접하는 면의 일부가 함몰형성되어서, 상기 단열커버의 함몰부위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가스켓이 결합되어,
상기 단열커버가 상기 가스켓을 통해 건물의 벽과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제 단열창틀은 지지부재에 의해 외측프레임 부재와 내측 프레임 부재가 각각 지지되어 창문의 장기간 사용시에도 금속제 단열창틀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금속제 단열창틀은 단열부재에 의해 외측 프레임 부재와 내측 프레임 부재 사이의 열전도가 차단됨은 물론, 외측 프레임 부재와 내측 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된 열차단부재에 의해 외측 프레임 부재와 내측 프레임 부재의 중공부에 각각 단위 구획된 단열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금속제 단열창틀과 창문 사이가 보다 안정되게 차폐되어 향상된 단열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속제 단열창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도 1의 금속제 단열창틀의 조립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도 1의 금속제 단열창틀의 정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단열창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금속제 단열창틀의 정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1차 롤링공정을 통한 지지부재와 단열부재 사이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2차 롤링공정을 통한 외장프레임과 지지부재 사이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8은 열관류율 시험을 위한 시험체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자료이며,
도 9는 기밀성 시험을 위한 시험체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자료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금속제 단열창틀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속제 단열창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도 1의 금속제 단열창틀의 조립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도 1의 금속제 단열창틀의 정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단열창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금속제 단열창틀의 정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1차 롤링공정을 통한 지지부재와 단열부재 사이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2차 롤링공정을 통한 외장프레임과 지지부재 사이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단열창틀(1)은, 건축물의 벽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내설되어서, 건물 내부로의 외기를 차단하고 빛은 투과시키는 창문(W)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창문(W)을 지지함에 있어, 금속제 단열창틀(1)의 장기간 사용시에도 창문(W)의 하중에 의해 금속제 단열창틀(1)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단열창틀(1)은,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로 분할 구성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외장프레임(10);과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를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재(20A)와 외측 지지부재(20B)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지지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20A,20B)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지지부재(20A,20B)를 단열구조로 연결하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단열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외장프레임(10)은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강도가 높고, 외부요인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내식성이 강하며, 외관상 심미성이 좋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절곡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장프레임(10)은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로 분할형성되며, 이들 각 프레임 부재는 일부가 개구된 ㅁ자 형상을 갖는 내부 중공형으로 제작되어, 이들 프레임 부재(10A,10B)의 사이에 창문(W)이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외장프레임(10)을 이루는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에 각각 내측 지지부재(20A)와 외측 지지부재(20B)가 결합되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20A)와 외측 지지부재(20B)에 의해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가 각각 지지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0)를 구성하는 내측 지지부재(20A)와 외측 지지부재(20B)는 압출성형을 통해 자유로운 성형이 가능한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외장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판(20A-a,20B-a)과 상기 수직지지판의 길이 중간에 연결된 한 쌍의 수평지지판(20A-b,20A-b',20B-b,20B-b')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직지지판(20A-a,20B-a)은 외장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판(20A-b,20A-b',20B-b,20B-b')은 상기 외장프레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수평지지판들(20A-b,20A-b',20B-b,20B-b') 사이에 상기 단열부재(30)가 설치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지지판(20A-a,20B-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의 수직부분은 상기 외장 프레임의 내부면의 중심측 1면에 밀착되고, 상하의 양단부가 외장프레임(10)의 상하측 내주면에 면접하도록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후술하는 것과 같이 단열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열차단부재(11)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단부에 다시 열차단부재의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끼움턱(20A-f,20B-f)이 돌출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외장프레임(10)은 지지부재의 수직지지판(20A-a,20B-a)에 의해 상, 하부가 지지되므로, 상기 외장프레임(10)에 가해지는 창문의 하중 또는 외력이 분산되므로 상기 외장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판(20A-b,20A-b',20B-b,20B-b')의 단부에는 한 쌍의 결합편(20A-c,20A-c',20B-c,20B-c')이 형성된다.
즉, 내측 지지부재(20A)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편(20A-c,20A-c')과 외측 지지부재(20B)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편(20B-c,20B-c')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마주하는 내측 지지부재(20A)와 외측 지지부재(20B)의 결합편 사이에 단열부재(30)가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결합편(20A-c,20A-c',20B-c,20B-c')중에서 외측에 위치한 결합편(20A-c,20B-c)은, 직립되게 형성되어 내측 지지부재(20A)와 외측 지지부재(20B) 사이에 단열부재(30)가 결합될 위치를 표시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결합편(20A-c,20B-c) 사이에 단열부재(30)가 위치하면, 롤링공정(1차)을 통해 직립형성된 결합편(20A-c,20B-c)을 압착하여, 상기 한 쌍의 결합편(20A-c,20B-c) 사이에 단열부재(30)가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0)에 형성된 결합편(20A-c,20A-c',20B-c,20B-c')을 통해 내측 지지부재(20A)와 외측 지지부재(20B) 사이에 단열부재(30)가 결합되어서, 상기 단열부재(30)를 통해 실내와 실외에 배치된 외장프레임(10)의 중공부 사이의 열전도가 차단되므로,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30)는 상술한 것과 같이 폴리아미드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사출성형이나 압출성형에 의해 미리 대량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술한 것과 같은 간단한 결합구조에 의해 지지부재(20)의 수평지지판(20A-b,20A-b',20B-b,20B-b')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편(20A-c,20A-c',20B-c,20B-c')들 사이에 설치되므로, 간단한 작업에 의해 금속제 단열창호의 단열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외장프레임(10)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되는 관계로 판상의 스테인레스 스틸을 절곡하여 ㄷ자 형상이나 ㅁ자 형상과 같이 단순한 형상으로 제작된 후, 내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20)와 통상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되어 창틀을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외장프레임(10)과 지지부재(20)는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도시하고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진 단열창틀(1)에서,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지지부재(20)에 돌기(20A-e,20B-e)와 고정편(20A-d,20B-d)을 부가한다.
이때,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의 단부는 수평지지판(20A-b,20A-b',20B-b,20B-b')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 지지판(20A-b,20A-b',20B-b,20B-b') 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에 각각 내측 지지부재(20A)와 외측 지지부재(20B)가 결합되면,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의 단부가 지지부재의 수평지지판(20A-b,20A-b',20B-b,20B-b')에 형성된 돌기(20A-e,20B-e)의 상부에 얹혀지게 되는 한편, 수평지지판(20A-b,20A-b',20B-b,20B-b')의 일측에 직립하게 형성된 고정편(20A-d,20B-d)과 접하게 된다.
이후, 2차 롤링공정을 거치면, 상기 고정편(20A-d,20B-d)은 각각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의 상부에 압착고정하는 동시에 수평지지판(20A-b,20A-b',20B-b,20B-b')에 형성된 상기 돌기(20A-e,20B-e)에 의해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가 함께 굽힘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장프레임(10)은 2차 롤링공정을 통해 별도의 체결공정 없이 지지부재(20)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며, 고정편(20A-d,20B-d)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0)에 고정되므로 앞뒤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결합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장프레임(10)은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 사이에 단열부재(30)가 결합한다 할지라도,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가 크게 되면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 사이의 열의 전도가 활발히 이루어져 창호의 단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분할구성된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의 내주면에 각각 열차단부재(11)가 결합된다.
상기 열차단부재(11)는 열전도율이 낮은 폴리아미드 소재로 이루어져 사출 또는 압출성형을 통해 제작되는 성형품으로서,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의 내주면 형상과 대응하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외측 프레임 부재(10A, 10B)의 내주면의 3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이들 내·외측 프레임 부재의 내주면에 열전도율이 낮은 폴리아미드 소재로 이루어진 단열층이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수직지지판(20A-a,20B-a)의 상하 양단부에 끼움턱(20A-f,20B-f)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열차단부재(11)의 단부를 상기 끼움턱에 끼움 설치하면,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의 중공부에는 내주면에 결합된 열차단부재(11)에 의해 각각 단열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의 중공부 온도는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의 중공부에 형성된 단열공간에 의해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유사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열전도 현상이 차단되므로 단열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 사이에는 단열커버(40)가 형성된다.
상기 단열커버(40)는 "ㅁ"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부재(20)와 건물의 벽에 접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단열커버(40)는 열전도율이 낮은 폴리아미드나 폴리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열커버(40)의 폭은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10A)와 외측 프레임 부재(10B)의 이격거리와 같고, 높이는 지지부재(20)와 건물의 벽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단열커버(40)를 통해 건물의 벽과 금속제 단열창틀(1) 사이에는 단열공간이 형성되므로, 건물의 벽과 상기 금속제 단열창틀(1) 사이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커버(40)는 건물과 접하는 면의 일부가 함몰형성되어서, 상기 단열커버(40)의 함몰부위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가스켓(41)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스켓(41)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금속제 단열창틀(1)은 상기 가스켓(41)을 통해 벽의 개구부에 밀착함으로써, 벽과 금속제 단열창틀(1) 사이에 틈새를 차단함은 물론, 창문(W) 및 금속제 단열창틀(1)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완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단열창틀(1)은,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외장프레임(10)에 의해 1차로 화재가 차단되고,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0)에 의해 2차로 열이 차단되므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불에 의해 전소되지 않기 때문에 유해가스가 배출되지 않는다.
실험 1~3
상기 제 1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체의 크기는 높이와 폭이 각각 1500mm이고, 내부치수 및 통기면적은 각각 높이와 폭이 1,380mm이며, 통기면적이 1.9044m2인 창호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상기 시험체의 열관류율과 열과류 저항값을 구하기 위하여, 항온실 및 가열상자의 설정조건은 온도가 20±1%R.H.이며, 저온실 설정조건은 실내온도가 0℃이며, 기류속도는 1.2 m/s, 기류방향은 수평으로 1회에서 3회 실험한 후, 각각의 실험값을 표 1에 각각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30581750-pat00001
표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험예 1~3에서 상기 실험체의 실험값 중 열관류율은 각각 1.126, 1.127, 1.128으로 근소한 차이를 보이지만, 열관류 저항값은 0.89로 모두 동일한 값으로 나타났다.
한편, 압력조건에 따른 상기 시험체의 기밀성 값을 구하기 위하여, 실험체에 가해지는 압력차(Pa)를 각각 10, 30, 50, 100으로 설정하여 실험한 후, 각각의 실험값을 표 2에 각각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30581750-pat00002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압력차가 10~50Pa에서 상기 실험체의 통기량은 0.00으로 동일하나, 100Pa에서는 0.01로 상승하였다.
이러한 상기의 실험값을 그래프로 환산하면, 본 실험체의 기밀성 등급선은 1등급선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창호는 기밀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6030581750-pat00003
표 3은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에 따른 소비효율등급 부여기준을 나타낸 것으로, 각각의 등급은 열관류율값과 기밀성 값을 종합하여 부여된다.
따라서, 상기에 나타난 실험값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상기 실험체는 열관류율의 평균값이 1.127이고, 통기량이 0.00으로 기밀성 등급은 1등급으로서, 소비효율등급 부여기준에 따르면 2등급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단열창틀은, 외장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에 의해 외측 프레임부재와 내측 프레임 부재가 각각 지지되어 강도가 향상됨에 따라 외력이나 창문의 하중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단열부재에 의해 외측과 내측이 각각 구획되어 단위 구획된 단열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창틀과 창문 사이가 보다 안정되게 차폐되어 단열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금속제 단열창틀
W. 창문 10. 외장 프레임
10A. 내측 프레임 부재 10B. 외측 프레임 부재
11. 열차단부재
20. 지지부재
20A. 내측 지지부재 20B. 외측 지지부재
20A-a,20B-a. 수직지지판 20A-b, 20A-b', 20B-b, 20B-b'. 수평지지판
20A-c, 20A-c',20B-c, 20B-c'. 결합편
20A-d,20B-d. 고정편 20A-e, 20B-e. 돌기
20A-f,20B-f. 끼움턱
30. 단열부재
40. 단열커버 41. 가스켓
R1, R2.롤러

Claims (1)

  1. 내측 프레임 부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로 분할 구성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외장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를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지지부재; 및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지지부재를 단열구조로 연결하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단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는, 각각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판과 상기 수직지지판의 길이 중간에 연결된 한 쌍의 수평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수직지지판은 외장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판은 상기 외장프레임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수평지지판들 사이에 상기 단열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에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의 열차단부재가 상기 외장 프레임의 내주면의 3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외장 프레임의 내주면에 단열층을 형성하고,
    상기 내·외측 지지부재를 각각 구성하는 수직지지판은,
    중심의 수직부분은 상기 외장 프레임의 내주면의 1면에 밀착되고, 상하의 양단부가 상기 외장프레임의 내·외측 프레임 부재의 상하부의 내주면에 면접하여 지지하도록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지지판의 상하 양단부에는 상기 열차단부재의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끼움턱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끼움턱에 상기 열차단부재의 단부가 끼움 설치되어,
    상기 내·외측 지지부재의 수직지지판에 의해 상기 외장 프레임의 내·외측 프레임 부재가 각각 지지되는 한편, 상기 단열부재에 의해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열전달이 차단되고, 상기 내·외측 프레임 부재의 중공부에는 상기 내·외측 지지부재와 결합된 열차단부재들에 의해 각각 단열공간이 형성된 단열구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단열창틀.
KR1020160038335A 2016-03-30 2016-03-30 금속제 단열창틀 KR10187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335A KR101873925B1 (ko) 2016-03-30 2016-03-30 금속제 단열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335A KR101873925B1 (ko) 2016-03-30 2016-03-30 금속제 단열창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645A Division KR101609601B1 (ko) 2015-09-17 2015-09-17 금속제 단열창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762A KR20170033762A (ko) 2017-03-27
KR101873925B1 true KR101873925B1 (ko) 2018-07-03

Family

ID=5849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335A KR101873925B1 (ko) 2016-03-30 2016-03-30 금속제 단열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658A (ko) * 2019-01-11 2020-07-21 김점성 에너지 생성 및 절약과 결로방지가 가능한 조립식 섀시 커튼월 프레임 및 결로방지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338B1 (ko) * 2022-06-21 2023-03-17 주식회사 건우 복합 창호 프레임 및 그 체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202B1 (ko) * 2010-02-08 2011-02-24 (주)신창산업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KR101465396B1 (ko) * 2014-04-24 2014-11-25 장정일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101465508B1 (ko) 2014-09-25 2014-11-26 (주)하이퍼윈도우 단열 창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202B1 (ko) * 2010-02-08 2011-02-24 (주)신창산업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KR101465396B1 (ko) * 2014-04-24 2014-11-25 장정일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101465508B1 (ko) 2014-09-25 2014-11-26 (주)하이퍼윈도우 단열 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658A (ko) * 2019-01-11 2020-07-21 김점성 에너지 생성 및 절약과 결로방지가 가능한 조립식 섀시 커튼월 프레임 및 결로방지 창호
KR102185399B1 (ko) 2019-01-11 2020-12-01 김점성 에너지 생성 및 절약과 결로방지가 가능한 조립식 섀시 커튼월 프레임 및 결로방지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762A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678Y1 (ko) 방화문 기밀 구조
KR101609601B1 (ko) 금속제 단열창틀
KR101705626B1 (ko) 단열 방화문
KR100766199B1 (ko) 방화문의 결로방지 장치
US20180148926A1 (en) Thermally broken fram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569647B1 (ko) 창호 프레임용 단열부재
KR101470909B1 (ko) 기능성 단열 창호
KR101873925B1 (ko) 금속제 단열창틀
KR20200001031U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KR20110003998A (ko) 단열성능 개선을 위한 알루미늄 창호
US10968627B2 (en) Structure for blocking heat transfer through thermal bridge of building
KR101471912B1 (ko) 단열 창호프레임
JP2011196083A (ja) 遮熱扉
CN203655029U (zh) 一种防水隔热密封性能高的木铝复合内开窗
KR101581867B1 (ko)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창호 프레임
CN108049763A (zh) 一种铝合金防火密封窗
KR20170112501A (ko) 고층 건물용 슈퍼 단열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19172B1 (ko) 이중 단열 방화 유리문
KR20160071290A (ko) 미서기창의 호차측 단열구조
KR101571541B1 (ko)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117146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KR20180101067A (ko) 건물용 조립식 3중유리창호
KR101492067B1 (ko) 프레임 단열보강 연결구
JP2015178711A (ja) ドア
KR102493007B1 (ko) 슬라이딩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