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167B1 - 창호구조 - Google Patents

창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167B1
KR100914167B1 KR1020090044445A KR20090044445A KR100914167B1 KR 100914167 B1 KR100914167 B1 KR 100914167B1 KR 1020090044445 A KR1020090044445 A KR 1020090044445A KR 20090044445 A KR20090044445 A KR 20090044445A KR 100914167 B1 KR100914167 B1 KR 100914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rizontal frame
support
extend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Priority to KR1020090044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유리부재와; 상기 유리부재에 구비된 태양전지판과 연결되는 리드선과; 상기 유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각각 구비된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이루어지는 창호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지지부 전방에는 상부커버부와 전면커버부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커버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후방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리드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후면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방방향에 형성되는 전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지지부의 전방방향에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상부판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드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드선은 상기 상부커버부와 전면커버부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유리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리드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정결하게 정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의 강도 등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나아가 상기 태양전지판의 수리 및 보수와 상기 유리부재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 상부커버부, 전면커버부, 리드선

Description

창호구조{THE WONDOWS AND DOORS STRUCTURE}
본 발명은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유리부재와; 상기 유리부재에 구비된 태양전지판과 연결되는 리드선과; 상기 유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각각 구비된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이루어지는 창호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지지부 전방에는 상부커버부와 전면커버부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커버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후방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리드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후면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방방향에 형성되는 전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지지부의 전방방향에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상부판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드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드선은 상기 상부커버부와 전면커버부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에너지를 광전 변환하여 전력을 얻는 태양전지장치가 여러가지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옥상, 대지, 빌딩 및 주택 등에 설치되어 전력을 얻는 태양전지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또한, 창, 문 등의 투과성이 요구되는 곳에도 설치될 수 있도록 금속 전극 등을 일부 제거하고, 수광면측에 조사되는 빛 중 일정의 광량을 투과하는 태양전지판이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 태양전지판을 유리창에 구비하여 이용할 경우, 태양전지실이 구비된 유리창을 창틀에 고정하고, 창틀에 드릴링하여 관통공을 형성한 후 태양전지셀의 리드선을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인출시켜 전선 작업을 함으로써, 작업공정수가 많고 작업시간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리드선 등의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지저분하고, 또한 드릴링에 의해 형성된 상기 관통공에 의해 창틀의 강도 등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유리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리드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정결하게 정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의 강도 등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나아가 상기 태양전지판의 수리 및 보수와 상기 유리부재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창호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유리부재와; 상기 유리부재에 구비된 태양전지판과 연결되는 리드선과; 상기 유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각각 구비된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이루어지는 창호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지지부 전방에는 상부커버부와 전면커버부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커버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후방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리드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후면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방방향에 형성되는 전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지지부의 전방방향에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상부판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드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드선은 상기 상부커버부와 전면커버부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후방과 상부 전방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내측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후방 및 전방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판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후방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상부판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후방 단차부의 하단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걸림턱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 걸림턱내에 걸림고정되는 후방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전방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판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후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는 전방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단차부의 하단에는 상기 전방 걸림턱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 걸림턱내에 걸림고정되는 전방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후방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후방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전방 하부에는 전방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이 형성되 며, 상기 상부커버부의 상부판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후방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상부판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후방 단차부의 하단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걸림턱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 걸림턱내에 걸림고정되는 후방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전방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면판 하단 내측에는 상기 고정축이 끼움고정되는 후방이 개방된 상태의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부의 상부판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의 후방과 전방에는 하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후방 및 전방 연장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후방 및 전방 연장판에는 상기 상부판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의 후방 및 전방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후방에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후방 걸림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걸림홈에 걸림고정되는 후방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전방에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전방 걸림홈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 걸림홈에 걸림고정되는 전방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후방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후방방향으로 돌출되는 후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상부판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의 전방 하부에는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장판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연장판에는 상기 상부판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의 전방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후방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돌출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방 돌출부 상측 내에 걸림고정되는 후방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전방에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전방 걸림홈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 걸림홈에 걸리고정되는 전방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전면커버부의 전면판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지지부 전방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의 양측에는 후방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일측 및 타측 연장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연장판의 후방에는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일측 및 타측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커버부의 일측 및 타측판은 상기 전면판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지지부 전방 양측에 전방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판의 전방 내측에는 상기 일측 및 타측 걸림부가 걸림고정되는 일측 및 타측 돌출부가 상기 일측 및 타측 걸림부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후방 상측에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후방 상측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전방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유리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리드선이 상부커버부와 전면커버부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정결하게 정리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리드선이 통과하는 상기 관통공이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의 강도 등의 물성에 관여하지 않는 상기 상부커버부와 전면커버부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의 강도등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아울러 상기 유리부재가 상기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에서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판의 수리 및 보수와 상기 유리부재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부가 상부판, 후면판, 전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커버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에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부가 전면판, 일측 및 타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 에 상기 전면커버부가 상기 수직프레임에서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후방 상측에 형성되는 단차부로 인해 상기 리드선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상부커버부의 관통공을 지나 상기 전면커버부의 관통공을 통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창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부분을 확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창호구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판(11)이 구비된 유리부재(10)와; 상기 유리부재(10)에 구비된 태양전지판(11)과 연결되는 리드선(30)과; 상기 유리부재(10)를 착탈가 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51, 71)가 각각 구비된 수평 및 수직프레임(50, 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태양전지판(11)이 구비된 유리부재(10), 상기 태양전지판(11)과 연결되는 리드선(30)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압출성형되는 상기 수평프레임(5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후면판(511)과, 상기 후면판(511)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전면판(513)과, 상기 후면판(513)과 전면판(513)의 상측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부판(515)과, 상기 후면판(511)과 전면판(513)의 하측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하부판(517)과, 상기 후면판(511)의 후방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상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재(10)의 상하부면과 접하는 지지판(519)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509)의 상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재(10)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51)와;
상기 지지부(51)의 지지판(519) 후방에 중심부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판(509)의 상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재(10)의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판(531)과, 상기 고정판(53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판(531)에 걸림고정되는 고정커버(533)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509)의 상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재(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압출성형되는 상기 수직프레임70)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50)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크게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후면판(711)과, 상기 후면판(711)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전면판(713)과, 상기 후면판(711)과 전면판(713) 일측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일측판(715)과, 상기 후면판(711)과 전면판(713) 타측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타측판(717)과, 상기 후면판(711)의 후방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좌우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재(10)의 일측 및 타측면과 접하는 지지판(719)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719)의 좌우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재(10)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71)와;
상기 지지부(71)의 지지판(719) 후방에 중심부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판(719)의 좌우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재(10)의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판(731)과, 상기 고정판(73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판(731)에 걸림고정되는 고정커버(733)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719)의 좌우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재(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7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50) 및 수직프레임(70) 역시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 상부와 상기 수직프레임(70)의 지지부(71) 전방에는 상부커버부(510)와 전면커버부(710)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커버부(510)는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상부방향에 형성되는 상부판(512)과; 상기 상부판(512)의 후방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리드선(30)이 통과하는 관통공(520)이 형성되는 후면판(516)과; 상기 상부판(512)의 전방방향에 형성되는 전면판(518)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부(710)는 상기 수직프레임(70)의 지지부(71)의 전방방향에 형성되는 전면판(712)과; 상기 전면판(712)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510)의 상부판(512)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드선(30)이 통과하는 관통공(720, 740)이 각각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판(714, 716);으로 구성되며, 상기 리드선(30)은 상기 상부커버부(510)와 전면커버부(710)의 관통공(520, 720, 740)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상부 후방과 상부 전방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 상부 내측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후방 및 전방 걸림턱(55, 57)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510)의 상부판(512)은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상부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510)의 후면판(516)은 상기 상부판(512)의 후방 하부에 하부방향을 연장된 후 상기 상부판(512)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후방 단차부(514)의 하단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후면판(516)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걸림턱(55)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 걸림턱(55)내에 걸림고정되는 후방 걸림부(5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510)의 전면판(518)은 상기 상부판(512)의 전방 하부에 하부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면판(518)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판(512)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후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는 전방 단차부(540)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단차 부(540)의 하단에는 상기 전방 걸림턱(57)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 걸림턱(57)내에 걸림고정되는 전방 걸림부(54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창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E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 상부 후방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 상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후방 걸림턱(55)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 전방 하부에는 전방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59)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부(510)의 상부판(512)은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상부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510)의 후면판(516)은 상기 상부판(512)의 후방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상부판(512)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후방 단차부(514)의 하단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후면판(516)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상기 후방 걸림턱(55)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 걸림턱(55)내에 걸림고정되는 후방 걸림부(5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510)의 전면판(518)은 상기 상부판(512)의 전방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면판(518)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고정축(59)이 끼움고정되는 후방이 개방된 상태의 " C " 형상의 끼움부(5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59)은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전방 하부에 전방방 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축(591)과; 상기 축(591)의 전방에 구형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546)내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볼(59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창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F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G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다.
나아가,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부(510)의 상부판(512)은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상부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512)의 후방과 전방에는 하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후방 및 전방 연장판(560, 58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후방 및 전방 연장판(560, 580)에는 상기 상부판(512)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의 후방 및 전방 걸림홈(561, 58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510)의 후면판(516)은 상기 상부판(51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상부 후방에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후방 걸림홈(56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 걸림홈(561)에 걸림고정되는 후방 걸림부(52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510)의 전면판(518)은 상기 상부판(51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상부 전방에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전방 걸림홈(58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 걸림홈(581)에 걸림고정되는 전방 걸림부(542)가 형 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창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H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I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다.
아울러,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 상부 후방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이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 후방방향으로 돌출되는 후방 돌출부(56)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50)의 상부판(512)은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상부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512)의 전방 하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장판(582)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연장판(582)에는 상기 상부판(512)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의 전방 걸림홈(58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510)의 후면판(516)은 상기 상부판(512)의 후방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후면판(516)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돌출부(56)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방 돌출부(56)의 상측 내에 걸림고정되는 후방 걸림부(52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510)의 전면판(518)은 상기 상부판(51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 상부 전방에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전방 걸림홈(584)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 걸림홈(584)에 걸림고정되는 전방 걸림부(5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부(510)가 상기 상부판(512), 후면판(516) 및 전면판(518)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커버부(510)가 상기 수평프레임(50)에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5는 도 5의 D부분을 확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면커버부(710)의 전면판(712)은 상기 수직프레임(70)의 지지부(71) 전방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712)의 양측에는 후방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일측 및 타측 연장판(760, 78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연장판(760, 780)의 후방에는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일측 및 타측 걸림부(761, 781)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커버부(710)의 일측 및 타측판(714, 716)은 상기 전면판(712)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70)의 지지부(71)의 전방 양측에 전방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판(714, 716)의 전방 내측에는 상기 일측 및 타측 걸림부(761, 781)가 걸림고정되는 일측 및 타측 돌출부(770, 790)가 상기 일측 및 타측 걸림부(761, 781)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부(710)가 상기 전면판(712), 일측 및 타측판(714, 716)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전면커버부(710)가 상기 수직프레임(70)에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도 7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후방 상측에 단차부(54)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후방 상측은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전방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부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후면판(511) 상측이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전면판(513)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후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상부판(515)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됨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51)의 지지부(51) 후방 상측에 상기 단차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지지부(51)의 후방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단차부(54)로 인해 상기 리드선(30)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상부커버부(510)의 관통공(520)을 지나 상기 전면커버부(710)의 관통공(720, 740)을 통과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태양전지판(11)이 구비된 상기 유리부재(1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상기 리드선(30)이 상기 상부커버부(510)와 전면커버부(710)의 관통공(520, 720, 740)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정결하게 정리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리드선(30)이 통과하는 상기 관통공(520, 720, 740)이 상기 수평프레임(50) 및 수직프레임(70)의 강도 등의 물성에 관여하지 않는 상기 상부커버부(510)와 전면커버부(710)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수평프레임(50) 및 수직프레임(70)의 강도 등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아울러 상기 유리부재(10)가 상기 수평 프레임(50) 및 수직프레임(70)에서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판(11)의 수리 및 보수와 상기 유리부재(10)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창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부분을 확대한 확대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창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E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창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F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G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창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H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I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5의 D부분을 확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리부재, 11; 태양전지판,
30; 리드선, 50; 수평프레임,
51, 71; 지지부, 511, 711; 후면판,
513, 713; 전면판, 515; 상부판,
517; 하부판, 519, 719; 지지판,
53, 73; 고정부, 531, 731; 고정판,
533; 고정커버, 54; 단차부,
55; 후방걸림턱, 56; 후방돌출부,
57; 전방걸림턱, 59; 고정축,
70; 수직프레임, 714, 715; 일측판,
716, 717; 타측판, 733; 고정커버,
510; 상부커버부, 512; 상부판,
514; 후방단차부, 516; 후면판,
520, 720, 740; 관통공, 521, 522, 524; 후방걸림부,
518; 전면판, 540; 전방단차부
541, 542, 544; 전방걸림부, 546; 끼움부,
560; 후방연장판, 561; 후방걸림홈,
580, 582; 전방연장판, 581, 584; 전방걸림홈,
710; 전면커버부, 712; 전면판,
760; 일측연장판, 780; 타측연장판,
761; 일측걸림부, 781; 타측걸림부,
714; 일측판, 770; 일측 돌출부,
790; 타측 돌출부.

Claims (7)

  1.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유리부재와; 상기 유리부재에 구비된 태양전지판과 연결되는 리드선과; 상기 유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각각 구비된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이루어지는 창호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지지부 전방에는 상부커버부와 전면커버부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커버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후방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리드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후면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방방향에 형성되는 전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지지부의 전방방향에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상부판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드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드선은 상기 상부커버부와 전면커버부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후방과 상부 전방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내측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후방 및 전방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판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후방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상부판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후방 단차부의 하단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걸림턱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 걸림턱내에 걸림고정되는 후방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전방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판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후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는 전방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단차부의 하단에는 상기 전방 걸림턱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 걸림턱내에 걸림고정되는 전방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후방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후방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전방 하부에는 전방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부의 상부판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수평으 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후방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상부판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후방 단차부의 하단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걸림턱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 걸림턱내에 걸림고정되는 후방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전방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면판 하단 내측에는 상기 고정축이 끼움고정되는 후방이 개방된 상태의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부의 상부판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의 후방과 전방에는 하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후방 및 전방 연장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후방 및 전방 연장판에는 상기 상부판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의 후방 및 전방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후방에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후방 걸림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걸림홈에 걸림고정되는 후방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프 레임의 지지부 상부 전방에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전방 걸림홈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 걸림홈에 걸림고정되는 전방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후방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후방방향으로 돌출되는 후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상부판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의 전방 하부에는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장판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연장판에는 상기 상부판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의 전방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후방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돌출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방 돌출부 상측 내에 걸림고정되는 후방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의 전면판은 상기 상부판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 상부 전방에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전방 걸림홈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 걸림홈에 걸리고정되는 전방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부의 전면판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지지부 전방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의 양측에는 후방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일측 및 타측 연장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연장판의 후방에는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일측 및 타측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커버부의 일측 및 타측판은 상기 전면판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지지부 전방 양측에 전방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판의 전방 내측에는 상기 일측 및 타측 걸림부가 걸림고정되는 일측 및 타측 돌출부가 상기 일측 및 타측 걸림부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후방 상측에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후방 상측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지지부의 전방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구조.
KR1020090044445A 2009-05-21 2009-05-21 창호구조 KR100914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45A KR100914167B1 (ko) 2009-05-21 2009-05-21 창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45A KR100914167B1 (ko) 2009-05-21 2009-05-21 창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167B1 true KR100914167B1 (ko) 2009-08-28

Family

ID=4121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445A KR100914167B1 (ko) 2009-05-21 2009-05-21 창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1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202B1 (ko) * 2010-02-08 2011-02-24 (주)신창산업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KR101206467B1 (ko) 2012-01-26 2012-11-29 주식회사 에너솔라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의 지지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
WO2014034976A1 (ko) * 2012-08-30 2014-03-06 주식회사 이건창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KR101414825B1 (ko) 2012-08-08 2014-07-03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창호의 프레임
KR20210067225A (ko) * 2019-11-29 2021-06-08 박충영 유골함 안치단 조립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840Y1 (ko) 2006-02-15 2006-05-08 우성공영 주식회사 창호 스틸 커튼 월의 스틸 기저부
KR100853014B1 (ko) 2007-05-17 2008-08-19 이혜경 스틸 커튼월의 수직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840Y1 (ko) 2006-02-15 2006-05-08 우성공영 주식회사 창호 스틸 커튼 월의 스틸 기저부
KR100853014B1 (ko) 2007-05-17 2008-08-19 이혜경 스틸 커튼월의 수직프레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202B1 (ko) * 2010-02-08 2011-02-24 (주)신창산업 단열성능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KR101206467B1 (ko) 2012-01-26 2012-11-29 주식회사 에너솔라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의 지지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
KR101414825B1 (ko) 2012-08-08 2014-07-03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창호의 프레임
WO2014034976A1 (ko) * 2012-08-30 2014-03-06 주식회사 이건창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KR20210067225A (ko) * 2019-11-29 2021-06-08 박충영 유골함 안치단 조립구조
KR102359953B1 (ko) * 2019-11-29 2022-02-09 박충영 유골함 안치단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167B1 (ko) 창호구조
KR101364497B1 (ko)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KR101123686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태양전지창호
KR20200062670A (ko) 태양광 블라인드 전기 커넥터 연결구조
CN208220333U (zh) 一种在普通电杆上安装光伏板的连接装置
CN205565301U (zh) 一种高压电容器柜框架结构
JP2019065541A (ja) 太陽電池ブラインド
CN215804093U (zh) 光伏一体化幕墙下悬外开开启窗
CN102953628B (zh) 一种方便安装的窗体安装方式及其结构
JP5894211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の設置構造
CN103883227B (zh) 玻璃固定装置
CN205509329U (zh) 一种节能开关柜
CN211853644U (zh) 一种led洗墙灯
CN208009727U (zh) 一种幕墙骨架
KR101809520B1 (ko) 배선처리가 용이한 창틀프레임
KR100932774B1 (ko) 건물 외장재 내부 설치형 경관조명등 부착장치
KR101326798B1 (ko) 태양광 발전장치
CN208651991U (zh) 一种新型固定支座
KR101819888B1 (ko) 창문과 창틀의 기밀결합구조
JP2016180213A (ja) 太陽光発電装置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方法
CN218934170U (zh) 一种实现带窗台的落地窗框架
KR20160041583A (ko) 패널 고정 장치
CN215111865U (zh) 一种基于互联网的家用监控装置
CN218450356U (zh) 一种导轨式以太网交换机
CN103825543A (zh) 一种太阳能电池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