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34976A1 -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 Google Patents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34976A1
WO2014034976A1 PCT/KR2012/006942 KR2012006942W WO2014034976A1 WO 2014034976 A1 WO2014034976 A1 WO 2014034976A1 KR 2012006942 W KR2012006942 W KR 2012006942W WO 2014034976 A1 WO2014034976 A1 WO 20140349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ye
solar cell
sensitized solar
cell modu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9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계용
신남호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건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to PCT/KR2012/00694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34976A1/ko
Publication of WO20140349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349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3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using elongate rigid mounting elements extending substantially along the supporting surface, e.g. for covering buildings with solar heat collectors
    • F24S25/33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using elongate rigid mounting elements extending substantially along the supporting surface, e.g. for covering buildings with solar heat collectors forming substantially planar assemblies, e.g. of coplanar or stacked profiles
    • F24S25/35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using elongate rigid mounting elements extending substantially along the supporting surface, e.g. for covering buildings with solar heat collectors forming substantially planar assemblies, e.g. of coplanar or stacked profiles by means of profiles with a cross-section defining separate supporting portions for adjacent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3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using elongate rigid mounting elements extending substantially along the supporting surface, e.g. for covering buildings with solar heat collectors
    • F24S25/33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using elongate rigid mounting elements extending substantially along the supporting surface, e.g. for covering buildings with solar heat collectors forming substantially planar assemblies, e.g. of coplanar or stacked profiles
    • F24S25/37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using elongate rigid mounting elements extending substantially along the supporting surface, e.g. for covering buildings with solar heat collectors forming substantially planar assemblies, e.g. of coplanar or stacked profiles forming coplanar grids comprising longitudinal and transversa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5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coupling adjacent support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profiles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20Peripheral frames fo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59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rganic dye as the active light absorbing material, e.g. adsorbed on an electrode or dissolved in solu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provided with a dye-sensitized solar cell frame and a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ore particularly, not only can firmly maintain a state where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is disposed inside a pair of glass.
  • the current generated from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can be stably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frame and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that can prevent the sag of the entire plurality of dyes from being lowered on the solar cell module are provided in the window. It is about.
  • Dye-sensitized solar cells have the potential to replace conventional amorphous silicon solar cells because their manufacturing costs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ventional silicon-based solar cells. Unlike silicon solar cells, dye-sensitized solar cells absorb visible light It is a photoelectrochemical solar cell whose main constituent material is a dye molecule capable of generating a hole pair and a transition metal oxide that transfers generated electrons.
  • the unit cell structure of a general dye-sensitized solar cell is based on a conductive transparent electrode made of an upper and lower transparent substrate (generally glass)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respectively.
  • a conductive transparent electrode made of an upper and lower transparent substrate (generally glass)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respectively.
  • 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 the catalyst thin film electrode mainly Pt
  • a dye-sensitized solar cell is an electrolyte that supplies electrons to an oxidized dye between a working electrode substrate coated with a dye-producing TiO 2 material that receives electrons and a catalytic electrode substrate that supplies electrons. It is configured based on.
  • the increase of the cell area increases the electron moving distance in the substrate having a large resistance value, resulting in a decrease in efficiency due to the long-distance movement of the electron, and the grid method reduces the efficiency decrease.
  • the efficiency of power generation is maximized by optimizing the working electrode substrate and the catalytic electrode substrate respectively by introducing these current collecting grid electrodes. Introduction of the current collecting grid electrode is simple and the process is easy for large area application.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ye-sensitized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 a dye-sensitized solar cell manufactured by using a series module of a large-area jet-series type is disclosed.
  •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has a sandwich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ubstrate 2 and the second substrate 4 are bonded to each other as two plate-shaped transparent electrodes, and is discretiz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2 as one transparen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8, which is a second electrode 222 made of platinum or the like, on the second substrate 4, which is another transparent electrode, provided with a conductive first electrode 6 made of titanium, or the like.
  • the outside of the metal grid 10 is wrapped with the sealing member 14 to prevent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18, and the entire dye-sensitized solar cell
  • the wall surface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which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constituting the module is closed with the sealing member 14 to prevent the electrolyte 18 from leaking to the outside.
  • the metal grid 10 is connected so as to extend from one side wall of the cell to the other side wall facing the cell, that is, the electrolyte (18) filled in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is moved to another dye-sensitized solar cell It is configured not to.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having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connection frame capable of solidly maintaining a state where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is disposed inside a pair of glass and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will b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connection frame provided with a stable structure capable of stably transferring the current generated from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to the outside, and a window provided with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It is.
  • the object includes a pair of glasse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disposed inside the pair of glass; And a connection fram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pai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with each other and to prevent sagging from occurring at a connection portion. Is achieved by a window provided with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providing a wiring space such that wiring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ai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neighboring each other are arranged.
  • connection frame may include: a support plate supporting bottom surfaces of respective ends of a pai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air of protruding plates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wiring space is provided therebetween.
  • the cover plat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late coupled to the protruding plate to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wiring space.
  • a protruding end of the protruding plate may be provided, and the cover plate may be coupled to the protruding step.
  • connection frame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bending plates that ar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ends of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to cover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from above. have.
  • Each of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wir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pass, and the wires are arranged in a guided state along the wiring space and connected to the junction box.
  • An end portion of the pair of the sealing members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may have a shape through which the inside thereof is inserted, and a part of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bracket insertable into the wiring space.
  •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reducing material may be formed the same.
  • the connecting bracket may include a connecting rod configured to penetrate the end of the reducing member to be inserted therein; And an insertion rod penetrating through the connecting ro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rod and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to be inserted into the wiring space.
  • the connecting bracket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 connection frame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a pair of adjacent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of the window provided with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to each other and to prevent sagging from occurring at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achieved by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connection frame that provides a wiring space such that wiring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air of neighboring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respectively.
  • connection frame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e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each end of the pai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air of protruding plates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wiring space is provided therebetween.
  • the cover plat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late coupled to the protruding plate to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wiring space.
  • a protruding end of the protruding plate may be provided, and the cover plate may be coupled to the protruding step.
  • It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bending plates connected to each of the ends of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cover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from above.
  • a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a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connection frame and the window provided with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 connection frame to connect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djacent to each other inside the pair of glas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is disposed.
  •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the sealing material, and the connecting frame can be modularized into another module through the connecting bracket, the installation between the pair of glas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ye-sensitized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ndow provided with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some components of a window provided with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 FIG. 5 is a view showing a wiring path in a window provided with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ndow provided with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ndow provided with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oupling relationship of some components of the window provided with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ing path in a window provided with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window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indow) provided with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ubstantially configure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the like. In addition to maintaining, it is provided to effectively transmit the generated current to the outside (junction box).
  • a window includes a pair of glasses 1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ai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200 disposed inside a pair of glass 100 and a pai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2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 a connection frame 300 to prevent the deflection from occurring in the connection portion.
  • the glasses 100 are arranged in pair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ne for example locat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building and the other on the indoor side.
  •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is provided in plural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n the pair of glass 100.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provided inside the glass 100 is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size (area) of the pair of glass 100.
  •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is similar to that mentioned in the prior art,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glass 100, a plurality of sealing material 400 disposed along the edg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It further includes.
  • one end of the unit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is referred to as a first end
  • the other end facing one end is referred to as a second end
  • both ends connecting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referred to.
  • the sealing material 400 is disposed on the second to fourth end side of the unit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respectively. That is, except for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ai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djacent to each other is provided on the remaining side end.
  • the sealing member 400 is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glass (100).
  • the heights of the connecting frame 300 and the sealing member 400 are the same.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frame 300 and the sealing member 400 ar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glass 100, the heights of the two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frame 300 and the sealing member ( The upper surface of 4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lass 100, respectively. Therefore,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can be more stably disposed inside the pair of glass 100.
  • Reference numeral 500 denotes a frame covering the second end side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 connection frame 300 connects a pai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20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each other so that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see below)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at the connection site.
  • an arrangement path of the wiring 600 for transferring current generated from two solar cell modules to an external (junction box) is provided.
  • connection frame 300 is supported from each other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10, the support plate 310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each end of the pai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adjacent to each other
  • a pair of dyes are projec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pair of protrusion plates 320 and the pair of protrusion plates 320 provided therebetween, and a pair of dyes. It includes a pair of bending plate 330 to cover one end of each of the sensitive solar cell module 200 from above.
  • the “wiring space” refers to a space in which the wires 6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200 adjacent to each other are accommodated, and the wiring 600 is a junction box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side.
  • the connection frame 30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or more insulation with respect to the wiring 600 through which current flows.
  • one side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bottom in Fig. 2) can be fixed to the frame and the support plate 310 of the reference numeral 500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 the support plate 3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air of protrusion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10
  • the plate 320 protrudes. That is,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3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se spaces serve as wiring spaces.
  • the bending plate 330 is bent in the outer (left and right)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protruding ends of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320. That is, b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upport plate 310, the protruding plate 320 and the bending plate 330,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frame 300,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in these grooves One end of each can be inserted.
  • the bending plate 330 may cover the one end portion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to some extent from the upper side to prevent the end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 the cover plate 340 is further coupled to the protruding plate 320 and the bending plate 330 to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wiring space 321. .
  • the cover plate 340 prevents the wiring 600 from being exposed by preventing the wiring 600 in the wiring space 321 from being exposed to allow stable current flow to the junction box side.
  • the protruding end of the protruding plate 320 is provided with a step 322, the cover plate 340 is coupled to the step 322.
  • the cover plate 340 may be attached to the stepped portion 322 in a fixed state, and may be coupled through, for example, a forced press, a bonding agent, or a screw mounting method.
  •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3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ending plate 330 preferably form the same plane.
  • through-holes 323 are provided in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320 to pass through wir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respectively. do. Therefore, the wiring 600 connected to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23 and enters the wiring space 321 and is disposed in a guided state along the wiring space 321. The wiring 600 is connected to a junction box not shown separately.
  •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and 4, the shape of the inside penetrated so that the ends of the pair of the sealing material 400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the sealing material 400 can be inserted, respectively. I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bracket 700 which is partly inserted into the wiring space 321 side.
  • the sealing material 40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bracket 700,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is a sealing material disposed in the third end and fourth end side direction.
  • connection bracket 700 as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the connection frame 300 and the sealing member 400 can be integrated into one another module as a whole, as a module, the sealing material 400
  • the connecting rod 710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710, and the insertion rod 720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d 710 to be inserted into the wiring space 321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rod 710.
  • both the connecting rod 710 and the insertion rod 720 has a shape through which the inside penetrates, and the inside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 the connection bracket 700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or more electrical insulation like the connection frame 300.
  • the insertion rod 720 is forcibly press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protruding plate 320 can be fixed, otherwise it can also be fixed through a separate bonding agent or screw mounting method.
  • the operator may quickly and easily arrange a modular configuration inside the glass 100.
  • the wiring 600 disposed along the wiring space 321 should be drawn to the outside via the connection bracket 700 for connection to the junction box.
  • the connection rod 710 is provided with a wire drawing hole 711 so that the wiring 600 can be drawn outward.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ndow provided with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frame 300 is formed in a state where the bending plate 330 is omitted. That is, the protruding ends of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320 are in contact with the glass 100.
  • one side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00 (bottom in Fig. 2) can be fixed to the frame and the support plate 310 of the reference numeral 500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유리; 상기 한 쌍의 유리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및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서로 연결함과 더불어 연결부위에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프레임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이 배치되도록 배선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프레임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구비된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유리 내측에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배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생성되는 전류를 안정적으로 외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전체 복수의 염료감을 태양전지 모듈의 하측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프레임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구비된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1991년도 스위스 국립 로잔 고등기술원(EPFL)의 마이클 그라첼(Michael Gratzel) 연구팀에 의해 염료감응 나노입자 산화티타늄 태양전지가 개발된 이후 이 분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계 태양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기존의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리콘 태양전지와 달리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전자-홀 쌍을 생성할 수 있는 염료분자와, 생성된 전자를 전달하는 전이금속 산화물을 주 구성 재료로 하는 광전기화학적 태양전지이다.
일반적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위 셀 구조는 상, 하부 투명한 기판(일반적으로 유리)과 그 투명기판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로 이루어진 전도성 투명전극을 기본으로 하여, 제1전극(작용극)에 해당하는 일 측의 전도성 투명전극위에는 그 표면에 염료가 흡착된 전이금속 산화물 다공질 층이 형성되고, 제2전극(촉매극)에 해당하는 타 측 전도성 투명전극 위에는 촉매박막전극(주로 Pt)이 형성되며, 상기 전이금속산화물, 예를 들면 TiO2, 다공질 전극과 촉매박막전극 사이에는 전해질이 충진된 구조를 가진다. 즉,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빛을 받아 전자를 발생시키는 염료가 부착된 작용극(TiO2) 재료가 코팅된 작용극 기판과 전자를 공급하는 촉매극 기판 사이에 산화된 염료에 전자를 공급하여 주는 전해질을 기본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대면적에서도 효율의 감소가 없는 모듈을 실현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은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그리드를 통하여 전자를 수송시키는 방식이 있다.
즉, 대면적 서브 모듈의 경우, 셀 면적의 증대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저항값이 큰 기판 내에서의 전자 이동거리가 늘어나 전자의 장거리 이동에 따른 효율 감소가 발생하는데, 그리드 방식은 이러한 효율저하를 줄이기 위하여 셀 내부에 집전 그리드를 배치하여 전자의 기판 내에서의 이동거리를 줄여 저항을 줄이고, 효율 감소를 막는 것으로, 이들 집전 그리드 전극 도입을 통하여 작용극 기판과 촉매극 기판을 각각 최적화하여 발전효율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집전 그리드 전극 도입은 그 공정이 단순하여 대면적화 적용에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면도다.
도 1을 참조하면, 대면적 제트-시리즈(Z-series) 형태의 직렬 모듈로 제작되어, 사용된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개시된다.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은 두 개의 판상 투명전극으로서 제 1 기판(2) 및 제 2 기판(4)이 서로 접합된 샌드위치 구조를 갖고, 하나의 투명전극인 제 1 기판(2)의 이면에 이산화티타늄 등으로 구성된 전도성 제 1 전극(6)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투명전극인 제 2 기판(4)에 백금 등으로 구성된 제2 전극(222)인 제 2 전극(8)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극(6) 및 제 2 전극(8)이 각각 구비된 제 1 기판(2) 및 제 2 기판(4) 사이의 공간에 전해질(18)이 충진된 형태를 하나의 단위 셀(cell)로 하여 다수의 셀을 금속 그리드(10)로 서로 연결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금속 그리드(10)는 통상적으로 전해질(18)에 취약하므로 상기 금속 그리드(10)의 외부를 밀봉부재(14)로 감싸 전해질(18)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체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중 외측에 위치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벽면을 밀봉부재(14)로 마감시켜 전해질(18)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사이에 구비되는 금속 그리드(10)와 이웃하게 기판(2, 4) 표면에 코팅된 전도성 필름(22)에 에칭부를 구비시켜 염료감응 태양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가 다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로 병렬로 흐르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금속 그리드(10)는 상기 셀의 일 측 벽면으로부터 이에 대향되는 타 측 벽면까지 연장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셀, 즉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충진된 전해질(18)이 다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하나의 디바이스로써 구현될 뿐, 다른 장치와 결합되는 형태로는 제공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건물 벽면이나, 창문 등에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결합시키는 경우, 태양전지의 기계적 내구성과 물리적 견고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생산되는 전류를 외부로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유리 내측에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배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생성되는 전류를 안정적으로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안정적인 구조가 마련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 복수의 염료감을 태양전지 모듈의 하측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프레임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구비된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유리; 상기 한 쌍의 유리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및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서로 연결함과 더불어 연결부위에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프레임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이 배치되도록 배선공간을 제공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각각의 일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며, 그 사이에 상기 배선공간이 마련되는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공간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돌출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플레이트의 돌출 단부에는 단턱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단턱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각각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한 쌍의 절곡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에는 각각,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이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배선은 상기 배선공간을 따라 안내된 상태로 배치되다가 정션박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유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가장자리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감봉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봉재 중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감봉재의 단부가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관통된 형상을 가지며, 일부가 상기 배선공간 측으로 삽입 가능한 연결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 및 상기 감봉재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래킷은, 상기 감봉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관통되게 이루어지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내부가 관통되며, 상기 연결봉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선공간 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봉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봉에는 상기 배선이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배선인출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래킷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의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서로 연결함과 더불어 연결부위에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 프레임으로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 배치되도록 배선공간을 제공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각각의 일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며, 그 사이에 상기 배선공간이 마련되는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공간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돌출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플레이트의 돌출 단부에는 단턱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단턱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각각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한 쌍의 절곡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에는,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이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한 쌍의 유리 내측에 서로 이웃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연결하도록 연결 프레임을 마련함으로써,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배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연결 프레임 내측에 배선공간을 마련하고 배선공간의 상측 개구를 커버플레이트로 커버함으로써, 배선의 손상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생성되는 전류를 안정적으로 외부의 정션박스 측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연결브래킷을 통해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감봉재, 연결 프레임을 또 다른 모듈로 모듈화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유리 사이에 설치하는 작업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면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의 일부 구성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에서 배선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의 일부 구성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에서 배선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이하, 윈도우)는, 실질적으로 건물 등의 외벽을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안정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생성되는 전류를 외부(정션박스)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유리(100); 한 쌍의 유리(100)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 및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을 서로 연결함과 더불어 연결부위에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리(100)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며, 어느 하나는 예를 들어 건물의 실외측에 위치하며 다른 하나는 실내측에 위치한다.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은 한 쌍의 유리(100) 내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복수로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한 쌍의 유리(100)의 크기(면적)에 대응하여 유리(100) 내측에 마련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개수가 정해진다. 이러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에 대한 세부 구성은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유사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유리(100) 사이에 마련되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가장자리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감봉재(4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위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일단부를 제1 단부라 하고, 일단부와 마주보는 타단부를 제2 단부라 하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양측 단부를 각각 제3 및 제4 단부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감봉재(400)는 단위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제2 내지 제4 단부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연결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측단부에 마련된다. 여기서, 감봉재(400)는 한 쌍의 유리(1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300) 및 감봉재(400)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유리(100) 사이에 연결 프레임(300) 및 감봉재(400)가 마련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구성의 높이가 동일하므로, 연결 프레임(300)의 상면 및 감봉재(400)의 상면은 각각 유리(100) 내면에 접촉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유리(100) 내측에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을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500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제2 단부측을 커버하는 프레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300)은,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을 서로 연결하여 연결부위에서 하측 방향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일단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일 예로 두개의 태양전지 모듈에서 발생한 전류를 외부(정션박스)로 전달하는 배선(600)의 배치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프레임(300)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각각의 일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310), 지지플레이트(310)의 일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며 그 사이에 배선공간(321)이 마련되는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320), 및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320)의 단부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결되어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각각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한 쌍의 절곡플레이트(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선공간'이라 함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600)이 수용되는 공간의 의미하며, 배선(600)은 정션박스(미도시) 측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프레임(300)는 전류가 흐르는 배선(600)에 대해 일정 이상의 절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일측면(도 2상 저면)은 도면부호 500의 프레임과 지지플레이트(310)에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플레이트(310)는 일정 폭을 가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며, 지지플레이트(310)의 일면(상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320)가 돌출 형성된다. 즉,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320)는 서로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이러한 이격 공간이 곧 배선공간으로 작용하게 된다.
절곡플레이트(330)는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320)의 돌출 단부에서 각각 서로 반대되는 외측(좌우) 방향으로 절곡된다. 즉, 지지플레이트(310), 돌출플레이트(320) 및 절곡플레이트(330)의 연결구조에 의해, 연결 프레임(300)의 양측에는 홈 구조가 형성되며, 이러한 홈에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 가능하다. 이때, 절곡플레이트(330)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일단부위를 상측에서 어느 정도 덮어서 외부 충격에 의해 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공간(321)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돌출플레이트(320) 및 절곡플레이트(330)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3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커버플레이트(340)는 배선공간(321) 내의 배선(600)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배선(6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션박스 측으로의 안정적인 전류 흐름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돌출플레이트(320)의 돌출 단부에는 단턱(322)이 마련되며, 커버플레이트(340)는 단턱(322)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커버플레이트(340)는 단턱(322)에 안치된 상태로 부착 가능하며, 예를 들어 강제 압입, 본딩제 또는 스크루 마운팅 방식을 통해 결합 가능하다. 여기서, 커버플레이트(340)가 단턱(3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플레이트(340)의 상면과 절곡플레이트(330)의 상면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320)에는 각각,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이 관통하도록 관통홀(323)이 마련된다. 따라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과 연결된 배선(600)은 관통홀(323)을 관통하여 배선공간(321) 측으로 진입된 후 배선공간(321)을 따라 안내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배선(600)은 별도로 도시하지 않은 정션박스로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감봉재(400) 중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감봉재(400)의 단부가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관통된 형상을 가지며, 일부가 배선공간(321) 측으로 삽입 가능한 연결브래킷(700)을 더 포함한다. 덧붙이자면, 여기서 연결브래킷(700)과 결합되는 감봉재(400)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은 제3 단부 및 제4 단부 측 방향에 배치되는 감봉재이다.
이러한 연결브래킷(700)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 연결 프레임(300) 및 감봉재(400)를 서로 일체화하여 전체를 하나의 또 다른 모듈로 모듈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감봉재(40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관통되게 이루어지는 연결봉(710), 연결봉(7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내부가 관통되며 연결봉(7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선공간(321) 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봉(720)을 포함한다. 즉, 연결봉(710) 및 삽입봉(720) 모두 내부가 관통된 형상을 가지며, 서로 간에 내부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브래킷(700)은 연결 프레임(300)과 마찬가지로 일정 이상의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삽입봉(720)은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320)의 사이 공간으로 강제 압입되어 고정 가능하며, 이와 달리 별도의 본딩제 또는 스크루 마운팅 방식을 통해서도 고정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브래킷(700)을 통해 전체적으로 모듈화가 되면 작업자가 유리(100) 내측에 모듈화된 구성을 배치하는 작업이 신속하면서도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배선공간(321)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배선(600)은 정션박스와의 연결을 위해 연결브래킷(700)을 경유하여 외부로 인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봉(710)에는 배선(600)이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배선인출홀(711)이 마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에서, 연결 프레임(300)은 절곡플레이트(330)가 생략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320)의 돌출 단부가 유리(100)에 접촉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의 일측면(도 2상 저면)은 도면부호 500의 프레임과 지지플레이트(310)에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 가능하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18)

  1.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유리;
    상기 한 쌍의 유리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및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서로 연결함과 더불어 연결부위에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프레임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이 배치되도록 배선공간을 제공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각각의 일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며, 그 사이에 상기 배선공간이 마련되는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공간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돌출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플레이트의 돌출 단부에는 단턱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단턱에 결합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각각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한 쌍의 절곡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에는 각각,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이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배선은 상기 배선공간을 따라 안내된 상태로 배치되다가 정션박스에 연결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가장자리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감봉재를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봉재 중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감봉재의 단부가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관통된 형상을 가지며, 일부가 상기 배선공간 측으로 삽입 가능한 연결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 및 상기 감봉재의 높이는 동일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은,
    상기 감봉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관통되게 이루어지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내부가 관통되며, 상기 연결봉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선공간 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봉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봉에는 상기 배선이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배선인출홀이 마련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13.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의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서로 연결함과 더불어 연결부위에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 프레임으로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 배치되도록 배선공간을 제공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각각의 일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며, 그 사이에 상기 배선공간이 마련되는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공간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돌출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플레이트의 돌출 단부에는 단턱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단턱에 결합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각각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한 쌍의 절곡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플레이트에는,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이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마련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PCT/KR2012/006942 2012-08-30 2012-08-30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WO201403497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6942 WO2014034976A1 (ko) 2012-08-30 2012-08-30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6942 WO2014034976A1 (ko) 2012-08-30 2012-08-30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4976A1 true WO2014034976A1 (ko) 2014-03-06

Family

ID=5018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942 WO2014034976A1 (ko) 2012-08-30 2012-08-30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03497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6609A (zh) * 2015-04-15 2015-07-15 宁波大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装置
CN104776625A (zh) * 2015-04-15 2015-07-15 宁波大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板安装框架
CN104796068A (zh) * 2015-04-15 2015-07-22 宁波大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板安装模块
AT518340A1 (de) * 2016-02-26 2017-09-15 Sfl Tech Gmbh Glasmodul, Gebäude mit zumindest einem Glasmodu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lasmodu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673A (ko) * 2004-12-15 2006-06-20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유리창형 태양전지를 이용한 건물 외장형 태양광 시스템
KR100914167B1 (ko) * 2009-05-21 2009-08-28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창호구조
KR20100028327A (ko) * 2008-09-04 2010-03-12 주식회사 이건창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프레임
KR20120012689A (ko) * 2010-08-03 2012-02-1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창문용 액정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673A (ko) * 2004-12-15 2006-06-20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유리창형 태양전지를 이용한 건물 외장형 태양광 시스템
KR20100028327A (ko) * 2008-09-04 2010-03-12 주식회사 이건창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프레임
KR100914167B1 (ko) * 2009-05-21 2009-08-28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창호구조
KR20120012689A (ko) * 2010-08-03 2012-02-1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창문용 액정 패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6609A (zh) * 2015-04-15 2015-07-15 宁波大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装置
CN104776625A (zh) * 2015-04-15 2015-07-15 宁波大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板安装框架
CN104796068A (zh) * 2015-04-15 2015-07-22 宁波大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板安装模块
CN104776625B (zh) * 2015-04-15 2016-09-21 宁波大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板安装框架
WO2016165408A1 (zh) * 2015-04-15 2016-10-20 宁波大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板安装框架
WO2016165410A1 (zh) * 2015-04-15 2016-10-20 宁波大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装置
CN104776609B (zh) * 2015-04-15 2017-01-18 宁波大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装置
AT518340A1 (de) * 2016-02-26 2017-09-15 Sfl Tech Gmbh Glasmodul, Gebäude mit zumindest einem Glasmodu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lasmoduls
AT518340B1 (de) * 2016-02-26 2020-04-15 Sfl Tech Gmbh Glasmodul, Gebäude mit zumindest einem Glasmodu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lasmodu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87281A2 (ko) 태양광 블라인드 창호
WO2011078630A2 (ko) 태양광 발전장치
WO2014034976A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WO2013133634A1 (en) Solar cell module
WO2011040784A2 (ko) 태양광 발전장치
WO2015041437A1 (ko) 태양전지 모듈
KR101883757B1 (ko) 양면 수광형 태양 전지 모듈
JP5931923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210009039A (ko) 태양광 모듈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WO2013162302A1 (en) Photovoltaic apparatus
WO2013077674A1 (en)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12148103A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와 전기변색 창이 포함된 스마트 윈도우
WO2020004847A1 (ko) 태양 전지 모듈
WO2013133589A1 (en) Solar cell apparatus
KR101316232B1 (ko) 시스템 창호
WO2015041463A1 (ko) 태양전지 모듈
KR20140030496A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윈도우
WO2015053565A1 (ko) 태양전지 모듈
WO2013151388A1 (en) Solar cell module
WO2012165705A1 (ko)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WO2013077673A1 (en) Solar cell apparatus
JP7290665B2 (ja) 室内構造
WO2012050298A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접속장치
WO2020013509A1 (en) Solar power generator and solar power generating blind
WO2021085754A1 (ko) 태양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837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837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