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833B1 - 창호용 탄성 풍지판 - Google Patents

창호용 탄성 풍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833B1
KR101549833B1 KR1020150046982A KR20150046982A KR101549833B1 KR 101549833 B1 KR101549833 B1 KR 101549833B1 KR 1020150046982 A KR1020150046982 A KR 1020150046982A KR 20150046982 A KR20150046982 A KR 20150046982A KR 101549833 B1 KR101549833 B1 KR 10154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n
case
window
elastic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Priority to KR1020150046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탄성 풍지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미서기식 창호를 닫았을 때 창틀의 레일 사이 공간부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차단하여 기밀과 단열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가압되는 외력에 의해 탄성력이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하여 창짝의 열림시에는 하강 상태를 유지하여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닫힘시에는 상승되어 레일과 레일 사이 공간부 전체를 밀폐 시킬 수 있는 탄성 풍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창틀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11)와, 고정케이스(11)에 수납되어 승하강하는 승강케이스(12)와, 상기 승강케이스(12)의 승강 또는 하강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승강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13)로 이루어진 탄성승강부(1)와; 상기 탄성승강부(1)의 상부에 결합된 기밀재 지지프레임(2)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승강케이스(12)가 승강된 상태에서 창짝 하부면과 면접촉하는 기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호용 탄성 풍지판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용 탄성 풍지판{Elastic windbreak device for window}
본 발명은 창호용 탄성 풍지판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미서기 창호의 창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승하강하여 창틀의 레일과 레일 사이 공간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차단하여 기밀과 단열 효과를 할 수 있도록 탄성풍지판에 관한 것이다.
창호란 창과 문을 말하는 것으로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켜 바람을 막으면서 채광이 실내로 들게 하거나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구조는 기본적으로 프레임을 이루는 창틀(또는 문틀)과 그 내부에 장착되는 창짝(또는 문짝)으로 구성된다.
창호는 여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식 또는 미서기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별된다. 또한 하나의 창틀(또는 문틀)에 설치되는 창짝(또는 문짝)의 숫자에 따라 단창, 이중창, 삼중창으로 구별되기도 하고, 또한 단창에 끼워지는 유리는 개수에 따라 단판 유리, 2개의 단판 유리를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거나 공간층을 형성하여 단열 및 방음 성능을 높인 복층유리, 3개의 단판 유리를 각각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거나 공간층을 형성하여 단열 및 방음 성능을 높인 3중(또는 3복층) 유리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분류가 존재한다.
또한 창틀(문틀)과 창짝(문짝)을 구성하는 재질은 종래에는 목재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알루미늄과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이하'합성수지'라 칭함) 재질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은 목재와 같은 부패, 변형이나 철과 같은 산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통 베란다 등에 시공된다. 다만 알루미늄은 높은 열전도성 때문에 단열효과가 떨어지고, 열 변형에 의해 장기간 사용시 조립부위에 유격이 발생되어 방음 및 단열효과가 떨어진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합성수지는 단열효과가 알루미늄에 비해 뛰어나서 대부분의 경우 거실과 베란다의 경계 부위에 시공되고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과 합성수지 재질의 창호 시공 부위는 상기 설명처럼 꼭 알루미늄은 베란다에 합성수지는 베란다와 거실의 경계에 항시 시공된다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한편, 2012년 7월 1일 부터 창호에도 가전제품과 자동차 등에 시행해오던 에너지효율등급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이는 건축물 에너지의 약 40%가 창호를 통해 세어 나가고 있는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창호에도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라벨이 붙여지게 되었다.
이러한 창호 에너지 효율 등급제에 따라 제조된 창호는 에너지소비효율에 따라 1 ~ 5등급까지 등급을 구분, 라벨을 붙여 표시함으로써 소비자가 에너지 절약형 창호를 쉽게 구분하여 제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등급을 표시하지 않거나 최저 효율 기준 미달 제품은 제조 및 판매를 금지하게 되었다.
창호 에너지 효율 등급제에 따른 소비효율 측정방법은 열관류율과 기밀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열관류율은 KS F 2278(물리적시험) 또는 ISO 15099(시뮬레이션)에 의해 측정되고, 기밀성은 KS F 2292(물리적시험)에 의해 측정되게 된다.
라벨에 표시되는 소비효율등급부여지표 중 R은 열관류율(W/(㎡·K)이다. 이하 표 1 는 열관류율과 기밀성에 의한 등급이다.
[표 1]
Figure 112015032566877-pat00001
(소비효율등급부여기준)
상기에서 살펴본바와 같은 창호 에너지 효율 등급제 때문에 최근 창호 회사들은 고효율의 열관류율과 기밀성을 가진 창호 등급을 받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중이다.
특히 창틀에 형성된 하부 및 상부 레일을 통한 기밀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서기 창호의 구조상 에서 창틀과 창짝이 접촉하는 부위 중 측면 부위들은 다중으로 기밀력을 제공하기가 쉬운 구조지만 상기한 레일 부위는 롤러가 슬라이딩 부위이기 때문에 롤러의 상부에 위치한 창짝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의 많은 구간이 뜬 구조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창짝 프레임의 측 단면 구조를 다단 구조화 하거나 기밀재를 삽입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도 14는 종래 수평 풍지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창호의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종래 미서기식 창호의 여밈대 부위 및 여밈대가스켓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미서기방식 창호는 창틀에 형성된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통한 기밀을 막기 위해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 창짝(600)과 창짝(600)이 교차된 여밈대(700) 부분 즉, 창틀(50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레일(800)과 레일(800) 사이의 틈새 공간 중, 창짝(600)과 창짝(600)이 겹치는 부분에 수평 풍지판(400)을 설치하여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또한 창짝과 창짝사이의 틈새 공간에는 여밈대 가스켓(900)을 설치하여 창짝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수직하게 연장되어 공기의 흐름을 막도록 구성된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풍지판(400)은 도시된 한 실시에에 따른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여밈대의 하부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부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고, 복수개의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401)가 하나의 열당 복수개가 설치되고, 또다시 이러한 열이 수평방향(레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되어 구성된다. 또한 이웃하는 이웃하는 열과는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가 서로 엇갈리게 설치된다. 이때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의 형상은 큰것과 작은 것이 엇갈려 설치되기 때문에 유입된 공기가 복잡한 유로를 따라 흐르다가 소멸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구조 때문에 벌레의 이동 또한 차단되게 됨으로써 기밀력과 단열력을 증대시키고, 벌레와 같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풍지구조는 실제 바람의 이동 방지 성능을 측정해 보면 생각과 달리 밀폐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여전히 수평 풍지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량이 많아 창호의 기밀성능과 단열성능을 저하시키는 주 원인 중 하나로 남아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이와 같이 종래의 풍지판이 제 역할을 못하는 이유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복수개의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의 설치 구조 상 이웃하는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 간에 틈새가 존재하여 미서기식 창호를 닫았을때 원천적으로 공기 유입 또는 여름철 벌레의 침입을 차단할 수 없다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고,
또한 종래의 수평형 풍지판 창틀에 설치되어 상부쪽 또는 하부쪽 창짝과 접촉하고 있는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의 접촉 면적이 작아 풍압에 따라 접촉 부위가 움직이면서 틈새가 발생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플렉시블한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가 사용 기간이 늘어나면서 경화되어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해 밀착력이 떨어져 비접촉 상태가 발생하여 미서기식 창호를 닫았을 때 공기가 유입되거나 여름철 벌레가 침입할 수 있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고,
또한 상기한 수평형 풍지판은 고정형 구조의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로 구성되어 창틀과 창짝간의 간격이 동일하지 않은 창호일 경우 그에 맞는 별도의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를 구비한 전용 풍지판을 생산하지 않는다면 기밀작용을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종래 풍지 구조는 고정형 구조로 이루어져 여밈대 부분만 막는 구조여서 창틀에 형성된 레일과 레일 사이 공간부 전체를 막지 못해 그 효과가 부분적이라는 구조적 한계를 가진다.
또한 이와 같은 고정형 구조는 기밀력과 단열력을 높이기 위해 창짝면과의 접촉력을 높이기 위해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의 길이를 길게 하면 창짝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접촉력이 커져 마찰력으로 인한 슬라이딩 기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레일부, 즉 창짝 하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체를 이용한 풍지판 기술들이 많은 형태로 연구되어 존재하고 있는데 대부분 창짝면과의 접촉부분을 지속적으로 가압하는 형태로 설계되어 창세트 KS 기준 중 개폐력 50N(newton)으로는 창짝의 개폐가 원할하지 못하여 실생활에 적용이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136763(2013.12.13.)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23740(2006.08.04)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0-1999-011959(1999.03.25)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11839(2006.03.1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서기식 창호를 닫았을 때 창틀의 레일 사이 공간부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하강된 상태에서는 창짝면과 이격되어 미닫을시 접촉 마찰력이 발생치 않도록 하고, 상승된 상태에서는 지속적인 탄성력이 제공되면서 창짝면과 면접촉토록 함으로써 레일과 레일 사이 공간부 전체를 밀폐시킬 수 있는 탄성 풍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창틀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와, 고정케이스에 수납되어 승하강하는 승강케이스와, 상기 승강케이스의 승강 또는 하강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승강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로 이루어진 탄성승강부와;
상기 탄성승강부의 상부에 결합된 기밀재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승강케이스가 승강된 상태에서 창짝 하부면과 면접촉하는 기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탄성 풍지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기밀재 지지프레임 및 기밀재는 적어도 창틀에 형성된 레일 길이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승강부는 기밀재 지지프레임 당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지지토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고정케이스는, 승강케이스가 수납되는 수납부와; 수납부 양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창틀과 결합 고정되는 창틀고정부로 구성되되,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설치된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과;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에 각각 일측단이 축결합된 제 1 가이드링크 및 제 2 가이드링크와; 양측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탄성제공부의 잠금핀이 삽입되는 외부 잠금홈부과 외부 열림홈부로 이루어진 외부 키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부 키홈은 상부 외부 잠금홈부과 하부의 외부 열림홈부가 일정 각도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1 가이드링크 및 제 2 가이드링크는 각각 일측단에 상기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이 축결합되는 단공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승강케이스의 제 3 고정핀 및 제 4 고정핀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용 장공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탄성제공부의 제 1 토션스프링 및 제 2 토션스프링 일측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가이드용 장공은 장축의 길이에 의해 승강케이스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승강케이스는, 고정케이스의 수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 양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프레임과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부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는, 내부 중앙부쪽에 설치되어 고정케이스의 수납부에 설치된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과 일측이 축결합된 제 1 가이드링크 및 제 2 가이드링크의 타측에 형성된 가이드용 장공에 삽입되는 제 3 고정핀 및 제 4 고정핀과; 양측면 양단에는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수납부의 양단에 고정된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이 가이드되도록 형성된 제 1 고정핀 가이드홈 및 제 2 고정핀 가이드홈과; 양측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내부 잠금홈부와 내부 열림홈부로 이루어진 내부 키홈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내부 키홈은 상부 내부 잠금홈부과 하부의 내부 열림홈부가 일정 각도로 라운드지게 절곡되게 형성되되, 내부 열림홈부는 하부가 점차 넓어지면서 끝단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일측에는 탄성제공부의 잠금핀과 접촉하는 직선으로 경사가공된 경사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탄성제공부는 고정케이스의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에 각각 감기게 설치되어 일측단은 고정케이스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에 축결합된 제 1 가이드링크 및 제 2 가이드링크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스프링지지부에 각각 지지되는 제 1 토션스프링 및 제 2 토션스프링과;
상기 고정케이스의 제 1 고정핀 또는 제 2 고정핀 중 어느 하나에 일측단이 걸리고 타측단은 잠금핀에 걸린 인장스프링과;
상기 고정케이스에 형성된 외부 키홈 및 승강케이스에 형성된 내부 키홈간에 관통 설치되어 인장스프링의 인장력을 제공하는 잠금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풍지판은 가압되는 외력에 의해 탄성력이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 상태를 유지토록 구성함으로써 일정시간 이상 좌, 우 미서기 창짝을 닫을시에는 선택적으로 레일과 레일 사이 공간부에 설치된 탄성풍지판을 상승시켜 공간부의 양측면은 돌출된 레일에 의해 밀폐되어 차단되고, 창짝면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 전체에 대해서는 탄성풍지판이 면접촉한 상태로 지속적인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기밀력이 유지 된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의 탄성 풍지판은 미서기 창짝을 주로 이용하는 시간에는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부 하부쪽으로 하강시켜 창짝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탄성 풍지판과 미서기 창짝면과의 마찰에 의한 부하가 일어나지 않아 원활한 슬라이딩 작용이 제공된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풍지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풍지판의 탄성승강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풍지판의 탄성승강부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고정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의 내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풍지판의 탄성승강부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풍지판의 탄성승강부가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풍지판의 탄성승강부가 상승을 위한 외력이 작용할 때의 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풍지판의 탄성승강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풍지판의 탄성승강부 저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고정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의 내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에 설치되어 상승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 따른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에 설치되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 따른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14는 종래 수평 풍지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창호의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종래 미서기식 창호의 여밈대 부위 및 여밈대가스켓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풍지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풍지판의 탄성승강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풍지판의 탄성승강부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고정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의 내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풍지판의 탄성승강부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풍지판의 탄성승강부가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풍지판의 탄성승강부가 상승을 위한 외력이 작용할때의 상태를 보인 단면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탄성풍지판이 하강된 상태라는 것은 고정케이스를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탄성승강부를 구성하는 승강케이스의 탄성력이 제어되어 고정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로 하부 또는 상부쪽 창짝으로부터 이격되어 창틀과 가까운 쪽에 위치한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상승된 상태라는 것은 외력이 해제되어 상승 케이스가 탄성력에 의해 수납된 고정케이스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하부 또는 상부쪽 창짝에 면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의 하부 창틀에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위치의 상하 방향을 설명한다. 따라서 상부 창틀에 설치될 경우는 이하에서 설명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이해하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틀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11)와, 고정케이스(11)에 수납되어 승하강하는 승강케이스(12)와, 상기 승강케이스(12)의 승강 또는 하강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승강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13)로 이루어진 탄성승강부(1)와; 상기 탄성승강부(1)의 상부에 결합된 기밀재 지지프레임(2)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승강케이스(12)가 승강된 상태에서 창짝 하부면과 면접촉하는 기밀재(3);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승강부(1)는 하나 이상이 길이재인 기밀재 지지프레임(2)에 하부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길이재로 형성된 기밀재 지지프레임(2)에 균일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종다.
상기 기밀재 지지프레임(2)은 적어도 창틀에 형성된 레일 길이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부 기밀재(3)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폭은 기밀재 보다 좁아도 상관은 없다.
기밀재 지지프레임(2)의 재질은 위해 금속 또는 경질재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재 지지프레임(2)은 상부 기밀재(3)와는 접착재를 도포하여 일체화시키고, 하부에 위치한 탄성승강부(1)와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결합시키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예시한 기밀재(3) 또는 탄성승강부(1)와의 결합 방법은 하나의 바람직한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이러한 결합 방법만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으로도 기밀재(3)를 부착하여 고정시키거나 탈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상기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크로테이프를 상면에 부착하여 기밀재(3)를 탈부착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기밀재 지지프레임(2)에 측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기밀재(3)를 측방향으로 끼워 밀어넣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양한 볼트 너트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기밀재(3)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기밀재 지지프레임(2)의 측단면 구조는 단면은 단순한 평 사각단면 구조로 구성하거나 복수개의 요철 구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면을 포함한 다양한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평 사각단면 구조로 구성하면 상부 기밀재(3)와의 접착 면적이 넓어지고 창짝과의 접착면이 고르게 가압될 수 있으며, 다양한 요철구조를 가지면 요철을 구성하는 홈 구조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탄성승강부(1)와 체결되는 볼트 구조가 결합될 수 있어 기밀재(3) 쪽에 돌출구조가 형성되지 않아 균일한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기밀재(3)는 길이재로 적어도 창틀에 형성된 레일 길이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는데, 창짝면과의 접촉시 완충력을 제공하면서 기밀력을 제공하기 위해 합성수재지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재질적 특성에 의한 완충력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탄성력을 창짝면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면서 균일한 기밀력을 제공하도록 탄성제공부(13)와 결합된 기밀재 지지프레임(2)의 상부에 부착하여 탄성제공부(13)의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구성한다.
상기 기밀재(3)의 바람직한 재질로는 EPDM과 같은 내구성을 가진 고분자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공성이 좋고 단가도 저렴하면서 보온력이 좋은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예시된 재질 외에도 탄성력을 가지면서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이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승강부(1)를 설명한다.
탄성승강부(1)를 구성하는 상기 고정케이스(11)는 크게 승강케이스(12)가 수납되는 수납부(110)와; 수납부(110) 양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로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양측 표면에 각각 형성된 홀을 통해 창틀과 결합 고정되는 창틀고정부(111)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부(110) 내부에는 양측단 방향에 각각 제 1 고정핀(112) 및 제 2 고정핀(113)이 고정 설치된다. 고정방법은 예를 들어 제 1 고정핀(112)이 설치될 일측단의 마주보는 수납부(110)면에 관통홀을 뚫어 2개의 홀간을 제 1 고정핀(112)이 관통하여 지지토록 한 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시켜 고정시키면 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 2 고정핀(113)도 타측단에 용접하여 고정설치하면 된다.
상기 제 1 고정핀(112)과 제 2 고정핀(113)의 일 지점에는 둘레를 따라 링크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고정핀(112) 또는 제 2 고정핀(113)에 형성된 링크홈(114)에는 각각 제 1 가이드링크(115) 및 제 2 가이드링크(116)가 결합된다. 특히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은 제 1 가이드링크(115) 및 제 2 가이드링크(116)의 일측 단공과 축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링크홈(114)에는 보조적으로 축결합되어 장치된 제 1 가이드링크(115) 및 제 2 가이드링크(116)의 유격을 단속하고 빠짐을 방지하는 간격 유지링(117)이 설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링크(115) 및 제 2 가이드링크(116)는 일측단쪽에는 상기 제 1 고정핀(112)과 제 2 고정핀(113)과 축결합되는 단공(1151, 1161)이 형성되고, 타측단쪽에는 상기 승강케이스(12)의 제 3 고정핀 및 제 4 고정핀이 축결합되는 가이드용 장공(1152, 1162)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승강케이스(12)의 상승을 위한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탄성제공부(13)의 제 1 토션스프링(131) 및 제 2 토션스프링(132) 일측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1153, 1163)가 형성되어 제 1 토션스프링(131) 및 제 2 토션스프링(132)의 빠짐을 방지하면서 탄성력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가이드용 장공(1152, 1162)의 내부 장축 길이에 해당되는 길이가 상기 승강케이스(12)의 승강 높이를 단속하는 길이가 된다. 즉, 제 1 가이드링크(115) 및 제 2 가이드링크(116)의 일측단에서 먼 가이드장공 부분에 승강케이스(12)의 제 3 고정핀 또는 제 4 고정핀이 위치할때가 승강케이스(12)의 최대 상승 높이가 되고, 제 1 가이드링크(115) 및 제 2 가이드링크(116)의 일측단에서 가까운 가이드용 장공(1152, 1162) 부분에 승강케이스(12)의 제 3 고정핑 또는 제 4 고정핀이 위치할 때가 승강케이스(12)의 최대 하강 높이가 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110)의 양측면 중앙부 표면 즉,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이 설치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양측면상에는 잠금핀(134)이 삽입되는 외부 잠금홈부(1181)와 외부 열림홈부(1182)로 이루어진 외부 키홈(118)이 형성된다. 외부 키홈(118)은 곡률을 가지면서 일정 각도로 라운드지게 절곡되고 개방부가 없는 폐곡부로 구성되는데 상부가 외부 잠금홈부(1181)이고 하부가 외부 열림홈부(1182)를 이룬다.
상기 승강케이스(12)는 크게 고정케이스(11)의 수납부(110)에 삽입되는 삽입부(120)와; 삽입부(120) 양측으로 돌출되어 양측에 형성된 홀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 삽입되어 지지프레임과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부(121)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120) 내부에는 중앙부쪽에 각각 제 3 고정핀(122) 및 제 4 고정핀(123)이 고정 설치된다. 고정방법은 예를 들어 제 3 고정핀(122)이 설치될 일측단의 마주보는 삽입부(120)면에 관통홀을 뚫어 2개의 홀간을 제 3 고정핀(122)이 관통하여 지지토록 한 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시켜 고정시키면 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 4 고정핀(123)도 일정 간격 이격된 중앙부의 양측면에 용접하여 고정설치하면 된다.
상기 제 3 고정핀(122)과 제 4 고정핀(123)의 일 지점에는 둘레를 따라 링크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고정핀(122) 또는 제 4 고정핀(123)에 형성된 링크홈(124)에는 각각 제 1 가이드링크(115) 및 제 2 가이드링크(116)의 가이드용 장공(1152, 1162)과 축결합되어 가이드용 장공(1152, 1162)상에서 이동되면서 가이드되도록 구성된다. 링크홈(124)에는 보조적으로 축결합되어 장치된 제 1 가이드링크(115) 및 제 2 가이드링크(116)의 유격을 단속하고 빠짐을 방지하는 간격 유지링(125)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삽입부(120)의 양측면 양단에는 하부가 개방된 제 1 고정핀 가이드홈(126) 및 제 2 고정핀 가이드홈(127)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110)의 양단에 고정된 제 1 고정핀(112) 및 제 2 고정핀(113)이 각각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삽입부(120)의 양측면 중앙부에는 내부 잠금홈부(1281)와 내부 열림홈부(1282)로 이루어진 내부 키홈(128)이 구성된다. 다만 내부 키홈(128)의 내부 잠금홈부(1281) 하부에 위치한 내부 열림홈부(1282) 형상이 외부 키홈(118)의 외부 열림홈부(1182)와 폐곡부처럼 닫힌 구성이 아니고, 하부면이 점차 넓어지고 끝단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면서 일측에는 잠금핀(134)과 접촉하는 직선으로 경사가공된 경사가이드부(1283)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가이드부(1283)는 상승된 상태의 승강케이스(12)에 연직방향으로 수축력인 외력이 가해져 하강시, 일 지점부터는 외부 키홈(118)의 외부 잠금홈부(1181)에 위치하고 있던 잠금핀(134)과 접촉되면서 잠금핀(134)을 경사방향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경사방향은 인장스프링과 먼쪽으로 경사 가공되어 있다. 이처럼 잠금핀(134)이 경사가이드부(1283)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하면 인장스프링에 팽창력을 제공하여 인장스프링의 피치가 늘어나게 된다.
상기 탄성제공부(13)는 크게 상기 고정케이스(11)의 제 1 고정핀(112) 및 제 2 고정핀(113)에 각각 감기게 설치되어 일측단은 고정케이스(11)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제 1 가이드링크(115) 및 제 2 가이드링크(116)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스프링지지부(1153, 1163)에 각각 지지되는 제 1 토션스프링(131) 및 제 2 토션스프링(132)과;
상기 고정케이스(11)의 제 1 고정핀(112) 또는 제 2 고정핀(113) 중 어느 하나에 일측단이 걸리고 타측단은 잠금핀(134)에 걸린 인장스프링(133)과;
상기 고정케이스(11)에 형성된 외부 키홈(118) 및 승강케이스(12)에 형성된 내부 키홈(112)간에 관통 설치되어 인장스프링(133)의 인장력을 제공하는 잠금핀(1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토션스프링(131) 및 제 2 토션스프링(132)은 승강케이스(12)를 상승시켰을 경우 지속적인 탄성력을 창짝면에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장스프링(133)은 승강케이스(12)가 하강시 인장스프링(133)의 인장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는 제 1 토션스프링(131) 및 제 2 토션스프링(132)에 의한 상승력을 억제하여 승강케이스가 승강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이 승강케이스(12)의 하강 상태를 유지하는 또 다른 구성요소는 상기 고정케이스(11)에 형성된 외부 키홈(118) 및 승강케이스(12)에 형성된 내부 키홈(112)의 독특한 홈 형상에 기인한다.
즉, 외부 키홈(118)을 구성하는 상부의 외부 잠금홈부(1181)와 하부의 외부 열림홈부(1182)가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이루어진 형상 그리고 내부 키홈(128)을 구성하는 상부이 내부 잠금홈부(1281)와 하부의 내부 열림홈부(1282)가 라운드지게 절곡되고 하부에는 개방됨과 동시에 잠금핀(134)과 접촉하는 직선으로 경사가공된 경사가이드부(1283)로 이루어진 형상에 의해 제공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풍지판의 탄성승강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풍지판의 탄성승강부 저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고정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의 내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탄성풍지판과 동일하다. 다만 전술한 하부 창틀에 설치되는 탄성풍지판과 달리 롤러가 설치되지 않는 상부 창틀에 설치되는 타입으로 상기한 탄성풍지판을 구성하는 고정케이스(11) 및 승강케이스(12)와 비교시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편이다.
이와 같이 크기가 달리 구성된 이유는 보통 미서기 창짝을 창틀에 장착시 상부 창짝을 들어올려 경사지게 창틀에 끼운 후 수직하게 하부쪽으로 내려 창짝의 하부를 하부 창틀에 맞추기 때문에 상부 쪽 공간이 더 크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기타 상세 구성은 전술한 탄성풍지판의 구성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이하 상기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탄성풍지판이 창틀에 장치되어 작동하는 예를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에 설치되어 상승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 따른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에 설치되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 따른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미서기 창호의 기본 형태는 일반적인 미서기 창호로 외부 틀을 이루는 4각 형태의 창틀(500)이 구비되고, 이 창틀(500)의 내측에는 유리(601)를 감싸고 있는 좌, 우 창짝(600)이 설치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다. 창짝(600)의 좌우 슬라이딩은 창짝(600)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602)가 상기 창틀(500)의 레일(501) 상부에 얹혀 외력이 일측 방향으로 가해지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창틀과 창짝의 재질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금속재라 함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재를 말하나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금속 또는 합금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합성수지재라함은 바람직하게는 PVC를 말하나 단열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합성수지재여도 상관없다.
한편, 상기 도면에서 예시된 형태와 달리 본 발명의 탄성풍지판은 단창 또는 가로바에 의해 상하 입면분할되는 창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풍지판이 설치되는 레일과 레일이 구비된 창틀 구조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예시된 도면으로 설명해도 충분하다.
또한 하기에서는 주로 측단면도를 기준으로 하부 창틀(500)과 창짝(600)에서 설치된 탄성풍지판 위주로 설명하나 상부 창틀과 창짝에 설치된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탄성 풍지판도 동일한 작용을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탄성풍지판은 평상시 창틀의 레일과 레일 사이 공간부에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사용하는 이유는 상승된 상태일 경우 접촉에 따른 마찰 부하 때문에 창짝의 좌우 슬라이딩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후 취침시 또는 외출시 또는 기타 이유로 더 이상 좌우 창짝을 슬라이딩 시킬 일이 없을 경우 좌우 창짝을 양방향으로 각각 밀어 좌우 창틀에 접촉시키는데,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하부 창틀 또는 상부 창틀 길이의 1/2은 좌측 창짝이 위치하게 되고, 나머지 1/2은 우측 창짝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탄성풍지판이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창틀의 레일과 레일 사이 공간부를 통한 측방향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창짝의 하부에서는 롤러 설치로 인해 창틀로부터 창짝이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레일과 접하지 않은 창짝과 레일 사이 공간부를 통해 실외방향에서 공기가 직접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탄성풍지판을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으로 상부를 누르게 되면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부에 하강되어 있던 탄성풍지판이 상승하여 창짝면과 밀착되고, 측면은 양측 레일에 의해 기밀되기 때문에 완전한 기밀력이 제공되고, 이와 같이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게 되면 단열력이 증진되게 된다.
창틀에 돌출 형성된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부에 하강된 상태로 구비된 탄성 풍지판을 상승시키기 위해 먼저 레일과 레일 사이 공간부를 따라 길게 설치된 기밀재(3)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연직방향으로 눌러 가압한다. 가압하는 힘은 인장스프링(133)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외부 잠금홈부(1181) 및 내부 잠금홈부(1281)에 위치한 잠금핀(134)을 당기고 있는 힘보다 큰 힘으로 눌러야 한다.
또한 이때 좀더 원활한 가압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기밀재(3) 하부 즉, 기밀재 지지프레임(2)에 결합된 탄성승강부(1)가 위치한 쪽을 가압하는 것이 외력의 전달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물론 기밀재 지지프레임(2)이 기밀재(3)와 같이 레일과 레일 사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특별히 문제가 있지는 않다.
다만 2개의 창짝을 좌우로 닫을시 실내에서 접근할 수 있는 기밀재(3)는 1/2만 접근할 수 있으니 되도록 중앙부쪽에서 가압하는 것이 양측으로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기밀재(3)를 통해 가해진 연직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받는 탄성승강부(1)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승강부(1) 작동은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승강케이스(12)를 잡아 당겨 고정시키려고 하는 인장스프링(133)의 힘 보다 클 경우 고정케이스(11)의 수납부(110)에 형성된 외부 키홈(118)의 외부 잠금홈부(1181)에서 외부 열림홈부(1182)로 잠금핀(134)이 이동하고, 이때 외력이 해제되면 제 1 토션스프링(131) 및 제 2 토션스프링(132)에 의해 승강케이스(12)가 상승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키홈(118)은 곡률을 가지면서 일정 각도로 라운드지게 절곡되고 개방부가 없는 폐곡부로 구성되는데 상부가 외부 잠금홈부(1181)이고 하부가 외부 열림홈부(1182)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설치된 인장스프링(133)은 항시 외부 잠금홈부(1181)쪽으로 잠금핀(134)을 당기게 되는데 수직방향 외력이 작용하면 하부의 외부 열림홈부(1182)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인장 스프링이 늘어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외력이 해제되면 잠금핀(134)은 언제든지 하부의 외부 열림홈부(1182)에서 외부 잠금홈부(1181)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외부 잠금홈부(1181)에 잠금핀(134)이 위치하는 경우는 승강케이스(12)가 상승한 경우나 하강한 경우 모두 다 해당된다. 즉, 외부 잠금홈부(1181)에 잠금핀(134)이 위치하는 경우는 어떠한 상태가 종결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11)에서 외부 키홈(118) 이동에 따른 작동이 이루어질 경우 승강케이스(12)에 형성된 내부 키홈(128)에서도 동시에 잠금핀(134)이 이동하게 된다. 내부 키홈(12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키홈(118)의 형상처럼 라운드지게 절곡 구성되어 상부가 내부 잠금홈부(1281)이고 하부가 내부 열림홈부(1282)로 이루어지는데, 내부 잠금홈부(1281) 하부에 위치한 내부 열림홈부(1282) 형상이 외부 키홈(118)의 외부 열림홈부(1182)와 폐곡부처럼 닫힌 구성이 아니고, 하부면이 점차 넓어지면서 끝단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일측에는 잠금핀(134)과 접촉하는 직선면으로 경사가공된 경사가이드부(1283)가 형성되는 점이 다르다.
한편, 고정케이스(11)와 승강케이스(12)의 상승시 내부에 위치한 탄성제공부(13)는 최초 하강한 상태일 경우는 승강케이스(12)가 수납된 상태이므로 고정케이스(11)의 수납부(110)에 설치된 제 1 고정핀(112) 또는 제 2 고정핀(113) 그리고 승강케이스(12)의 삽입부(120)에 설치된 제 3 고정핀(122) 및 제 4 고정핀(123)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되어 서로간을 연결하는 제 1 가이드링크(115) 및 제 2 가이드링크(116)가 거의 나란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고정핀(112) 또는 제 2 고정핀(113)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잠금핀(134)과 연결된 인장스프링(133)이 인장력을 잠금핀(134)에 제공하여 외부 잠금홈부(1181)와 내부 잠금홈부(1281)에 위치 시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후 연직하게 가압되던 외력이 해제되면 오로지 탄성제공부(13)의 제 1 토션스프링(131) 및 제 2 토션스프링(132)이 제 1 가이드링크(115) 및 제 2 가이드링크(116)의 측면에 형성된 스프링지지부(1153, 1163)를 밀어 올려 승강케이스(12)가 상승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승 상태가 되면 상기 승강케이스(12)의 삽입부(120)에 설치된 제 3 고정핀(122) 및 제 4 고정핀(123)에 연결된 제 1 가이드링크(115) 및 제 2 가이드링크(116)가 상부쪽으로 회전하면서 고정케이스(11)의 수납부(110)에 설치된 제 1 고정핀(112) 또는 제 2 고정핀(113)과 멀어지면서 경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제 1 토션스프링(131) 및 제 2 토션스프링(132)의 팽창력이 더 이상 승강케이스(12)를 상승시키지 못하는 이유는 제 1 가이드링크 및 제 2 가이드링크에 형성된 가이드용 장공(1152, 1162)의 길이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제 1 토션스프링(131) 및 제 2 토션스프링(132)은 승강케이스(12)가 상승되었을 때에도 충분한 탄성력이 남아 있기 때문에 승강케이스(12)와 접한 창짝을 탄성력을 가지면서 충분히 지속적인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경사가이드부(1283)는 상승된 상태의 승강케이스(12)에 연직방향으로 수축력인 외력이 가해져 하강시, 일 지점부터는 외부 키홈(118)의 외부 잠금홈부(1181)에 위치하고 있던 잠금핀(134)과 접촉되면서 잠금핀(134)을 경사방향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경사방향은 인장스프링(133)과 먼쪽으로 경사 가공되어 있다. 이처럼 잠금핀(134)이 경사가이드부(1283)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하면 인장스프링(133)에 팽창력을 제공하여 인장스프링(133)의 피치가 늘어나게 되고, 이후 경사가이드부(1283)의 끝단 전환점(또는 변곡점)인 하부로부터 중앙부쪽으로 진행된 지점을 지나치게 되면 인장스프링(133)을 늘리는 지지력을 제공하던 경사가이드부(1283)의 지지력이 없어져 인장스프링(133)이 수축되면서 반대방향에 곡률로 형성된 내부 잠금홈부(1281) 및 외부 잠금홈부(1181)의 공간부쪽으로 잠금핀(134)을 당겨 삽입시켜 하강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승강케이스(12)가 하강된 상태는 인장스프링(133)의 인장력을 이기는 외력이 승강케이스(12)에 가해지지 않는 한 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승강케이스(12)와 고정케이스(11)의 저면 끝단부는 단차가 형성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고정케이스(11)의 저면 끝단까지 승강케이스(12)의 저면 끝단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를 가진다. 그 이유는 고정케이스(11)와 승강케이스(12)의 저면이 단차 없이 근접하게 되면 상기 하강 유지 상태가 아닌 열림 상태가 되어 외력이 해제되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승강케이스(12)가 상승되는 원리는 승강케이스(12)와 고정케이스(11)의 단차가 없이 거의 나란해진 상태까지 외력이 작용하여 승강케이스(12)가 하강시 잠금핀(134)의 위치가 경사가이드부(1283)의 전환점(또는 변곡점)의 위치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외력이 해제되면 인장스프링(133)이 잠금핀(134)을 아무리 당기더라도 이미 내부열림홈부의 개방공간에 진입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와 같은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상기 하강상태시 내부 잠금홈부(1281) 및 외부 잠금홈부(1181)에 삽입된 잠금핀(134)이 외부 열림홈부(1182) 및 내부 열림홈부(1282)쪽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외부 잠금홈부(1181)와 내부 잠금홈부(1281)가 겹쳐진 상태이면 인장스프링(133)에 의해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하강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렇지 않고 외력의 힘이 인장스프링(133)의 힘보다 더 크게 작용하여 외부 열림홈부(1182) 및 내부 열림홈부(1282) 위치에 있게 되면 내부 잠금홈부(1281) 및 외부 잠금홈부(1181)에서 다시 밀려나오면서 경사가이드부(1283)와 이격된 상태의 내부 및 외부 열림홈부(1182)에 위치하게 되어 외력이 해제되면 제 1 토션스프링(131) 및 제 2 토션스프링(132)의 힘에 의해 승강케이스(12)가 상부로 밀려 상승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탄성승강부 (2) : 기밀재 지지프레임
(3) : 기밀재 (11) : 고정케이스
(12) : 승강케이스 (13) : 탄성제공부
(110) : 수납부 (111) : 창틀고정부
(112) : 제 1 고정핀 (113) : 제 2 고정핀
(114) : 링크홈 (115) : 제 1 가이드링크
(116) : 제 2 가이드링크 (117) : 간격유지링
(118) : 외부 키홈 (120) : 삽입부
(121) : 프레임고정부 (122) : 제 3 고정핀
(123) : 제 4 고정핀 (124) : 링크홈
(125) : 간격 유지링 (126) : 제 1 고정핀 가이드홈
(127) : 제 2 고정핀 가이드홈 (128) : 내부 키홈
(131) : 제 1 토션스프링 (132) : 제 2 토션스프링
(133) : 인장스프링 (134) : 잠금핀
(500) : 창틀 (501) : 레일
(601) : 유리 (600) : 창짝
(602) : 롤러 (1151, 1161) : 단공
(1152, 1162) : 가이드용 장공 (1153, 1163) : 스프링지지부
(1181) : 외부 잠금홈부 (1182) : 외부 열림홈부
(1281) : 내부 잠금홈부 (1282) : 내부 열림홈부
(1283) : 경사가이드부

Claims (9)

  1. 창틀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와, 고정케이스에 수납되어 승하강하는 승강케이스와, 상기 승강케이스의 승강 또는 하강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승강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로 이루어진 탄성승강부와;
    상기 탄성승강부의 상부에 결합된 기밀재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승강케이스가 승강된 상태에서 창짝 하부면과 면접촉하는 기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케이스는, 고정케이스의 수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 양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프레임과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내부 중앙부쪽에 설치되어 고정케이스의 수납부에 설치된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과 일측이 축결합되는 제 1 가이드링크 및 제 2 가이드링크의 타측에 형성된 가이드용 장공에 삽입되어 이 장공의 내부 장축 상을 이동하는 제 3 고정핀 및 제 4 고정핀과; 양측면 양단에는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수납부의 양단에 고정된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이 가이드되도록 형성된 제 1 고정핀 가이드홈 및 제 2 고정핀 가이드홈과; 양측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내부 잠금홈부와 내부 열림홈부로 이루어진 내부 키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탄성 풍지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재 지지프레임 및 기밀재는 적어도 창틀에 형성된 레일 길이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승강부는 기밀재 지지프레임 당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지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탄성 풍지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스는, 승강케이스가 수납되는 수납부와; 수납부 양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창틀과 결합 고정되는 창틀고정부로 구성되되,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설치된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과; 상기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에 각각 일측단이 축결합되어 상기 승강케이스에 결합된 제 3 고정핀 및 제 4 고정핀의 승강 높이를 단속하는 제 1 가이드링크 및 제 2 가이드링크와; 양측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핀 또는 제 2 고정핀 중 어느 하나에 일측단이 걸리는 인장스프링의 타측단이 걸리는 탄성제공부의 잠금핀이 삽입되는 외부 잠금홈부과 외부 열림홈부로 이루어진 외부 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탄성 풍지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부 키홈은 상부 외부 잠금홈부과 하부의 외부 열림홈부가 일정 각도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탄성 풍지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링크 및 제 2 가이드링크는 각각 일측단에 상기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이 축결합되는 단공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승강케이스의 제 3 고정핀 및 제 4 고정핀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용 장공이 형성되어 이 가이드용 장공의 내부 장축 길이로 상기 승강케이스의 승강 높이를 단속하도록 하고, 측면에는 승강케이스를 상승시켰을 경우 지속적인 탄성력을 창짝면에 인가하는 탄성제공부의 제 1 토션스프링 및 제 2 토션스프링 일측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탄성 풍지판.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 있어서,
    상기 내부 키홈은 상부 내부 잠금홈부과 하부의 내부 열림홈부가 일정 각도로 라운드지게 절곡되게 형성되되, 내부 열림홈부는 하부가 점차 넓어지면서 끝단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일측에는 탄성제공부의 잠금핀과 접촉하는 직선으로 경사가공된 경사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탄성 풍지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제공부는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에 각각 감기게 설치되어 일측단은 고정케이스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제 1 고정핀 및 제 2 고정핀에 축결합되어 상기 승강케이스에 결합된 제 3 고정핀 및 제 4 고정핀의 승강 높이를 단속하는 제 1 가이드링크 및 제 2 가이드링크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스프링지지부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승강케이스를 상승시켰을 경우 지속적인 탄성력을 창짝면에 인가하는 제 1 토션스프링 및 제 2 토션스프링과;
    상기 고정케이스의 제 1 고정핀 또는 제 2 고정핀 중 어느 하나에 일측단이 걸리고 타측단은 잠금핀에 걸리게 형성되어 승강케이스가 하강시 제 1 토션스프링 및 제 2 토션스프링에 의한 상승력을 억제하여 승강케이스가 승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고정케이스에 형성된 외부 키홈 및 승강케이스에 형성된 내부 키홈간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인장스프링의 인장력을 제공하는 잠금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탄성 풍지판.



KR1020150046982A 2015-04-02 2015-04-02 창호용 탄성 풍지판 KR10154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82A KR101549833B1 (ko) 2015-04-02 2015-04-02 창호용 탄성 풍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82A KR101549833B1 (ko) 2015-04-02 2015-04-02 창호용 탄성 풍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833B1 true KR101549833B1 (ko) 2015-09-03

Family

ID=5424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982A KR101549833B1 (ko) 2015-04-02 2015-04-02 창호용 탄성 풍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484B1 (ko) * 2022-02-28 2023-03-22 (주)씨넷 자동 개폐 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484B1 (ko) * 2022-02-28 2023-03-22 (주)씨넷 자동 개폐 창호
WO2023163442A1 (ko) * 2022-02-28 2023-08-31 (주)씨넷 자동 개폐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582B1 (ko) 풍지판을 구비한 학교용 미서기 창
KR101549830B1 (ko)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KR101581294B1 (ko) 수평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KR101281428B1 (ko) 시스템 창호
KR101559318B1 (ko)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101760719B1 (ko) 탄성 풍지 구조와 다중 단열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US20080282627A1 (en) Construction product having a frame with multi-functional thermal break
PL231795B1 (pl) Okno dachowe, zwłaszcza dla dachów płaskich
CN1839241B (zh) 遮蔽装置及卷帘遮蔽装置组件
KR101621462B1 (ko) 크리센트를 이용한 기밀수단을 갖는 미서기창
KR101468686B1 (ko)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학교용 미서기 창
CN105089211A (zh) 天窗
KR101526177B1 (ko)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KR102259031B1 (ko) 기밀 방화 자동문의 밀폐구조
KR101549833B1 (ko) 창호용 탄성 풍지판
KR101468678B1 (ko)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창호
KR101499460B1 (ko) 창호용 측면 풍지판
KR102043814B1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KR20090082966A (ko) 미닫이 창호
KR101705288B1 (ko)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50987B1 (ko) 방풍용 간편 체결구
KR1008280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
KR101351053B1 (ko) 창호용 고무가스켓 가이드구조
KR20150038763A (ko) 이중창 구조로 이루어진 오르내리창
KR101553518B1 (ko) 창호용 방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