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830B1 -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 Google Patents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830B1
KR101549830B1 KR1020150083878A KR20150083878A KR101549830B1 KR 101549830 B1 KR101549830 B1 KR 101549830B1 KR 1020150083878 A KR1020150083878 A KR 1020150083878A KR 20150083878 A KR20150083878 A KR 20150083878A KR 101549830 B1 KR101549830 B1 KR 10154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guide
window
elastic
asc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Priority to KR102015008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미서기식 창호를 닫았을 때 창틀의 레일 사이 공간부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기밀재의 높낮이를 조절할 있게 구성된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승하강 블록과 축결합되는 가이드지주를 포함하는 지주지지체와; 상기 지주지지체에 결합되어 내통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에 설치되어 승하강블록과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내통과; 탄성스프링이 지지되는 상부의 스프링지지턱과, 상기 가이드지주가 축결합되는 내측의 지주가이드홈과, 걸림작용을 하는 가이드핀을 안내하도록 일측면상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승하강블록과; 상기 승하강블록에 신장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과; 일측단이 지주지지체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승하강블록의 홈부에 삽입되어 이동하거나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가이드핀과; 상기 내통의 상부와 결합된 기밀재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과 결합된 기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Height adjustable elastic windbreak device for window}
본 발명은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미서기 창호의 창틀에 설치되어 외력을 가하면 선택적으로 승하강이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신장되면 창짝의 하면 또는 상면과 지속적으로 면접촉되어 창틀의 레일과 레일 사이 공간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차단하여 기밀과 단열 효과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에 관한 것이다.
창호란 창과 문을 말하는 것으로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켜 바람을 막으면서 채광이 실내로 들게 하거나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구조는 기본적으로 프레임을 이루는 창틀(또는 문틀)과 그 내부에 장착되는 창짝(또는 문짝)으로 구성된다.
창호는 여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식 또는 미서기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별된다. 또한 하나의 창틀(또는 문틀)에 설치되는 창짝(또는 문짝)의 숫자에 따라 단창, 이중창, 삼중창으로 구별되기도 하고, 또한 단창에 끼워지는 유리는 개수에 따라 단판 유리, 2개의 단판 유리를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거나 공간층을 형성하여 단열 및 방음 성능을 높인 복층유리, 3개의 단판 유리를 각각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거나 공간층을 형성하여 단열 및 방음 성능을 높인 3중(또는 3복층) 유리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분류가 존재한다.
또한 창틀(문틀)과 창짝(문짝)을 구성하는 재질은 종래에는 목재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알루미늄과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이하'합성수지'라 칭함) 재질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은 목재와 같은 부패, 변형이나 철과 같은 산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통 베란다 등에 시공된다. 다만 알루미늄은 높은 열전도성 때문에 단열효과가 떨어지고, 열 변형에 의해 장기간 사용시 조립부위에 유격이 발생되어 방음 및 단열효과가 떨어진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합성수지는 단열효과가 알루미늄에 비해 뛰어나서 대부분의 경우 거실과 베란다의 경계 부위에 시공되고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과 합성수지 재질의 창호 시공 부위는 상기 설명처럼 꼭 알루미늄은 베란다에 합성수지는 베란다와 거실의 경계에 항시 시공된다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한편, 2012년 7월 1일 부터 창호에도 가전제품과 자동차 등에 시행해오던 에너지효율등급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이는 건축물 에너지의 약 40%가 창호를 통해 세어 나가고 있는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창호에도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라벨이 붙여지게 되었다.
이러한 창호 에너지 효율 등급제에 따라 제조된 창호는 에너지소비효율에 따라 1 ~ 5등급까지 등급을 구분, 라벨을 붙여 표시함으로써 소비자가 에너지 절약형 창호를 쉽게 구분하여 제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등급을 표시하지 않거나 최저 효율 기준 미달 제품은 제조 및 판매를 금지하게 되었다.
창호 에너지 효율 등급제에 따른 소비효율 측정방법은 열관류율과 기밀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열관류율은 KS F 2278(물리적시험) 또는 ISO 15099(시뮬레이션)에 의해 측정되고, 기밀성은 KS F 2292(물리적시험)에 의해 측정되게 된다.
라벨에 표시되는 소비효율등급부여지표 중 R은 열관류율(W/(㎡·K)이다. 이하 표 1 는 열관류율과 기밀성에 의한 등급이다.
[표 1]
Figure 112015057176893-pat00001
(소비효율등급부여기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창호 에너지 효율 등급제 때문에 최근 창호 회사들은 고효율의 열관류율과 기밀성을 가진 창호 등급을 받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중이다.
특히 창틀에 형성된 하부 및 상부 레일을 통한 기밀력을 증진시키가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서기 창호의 구조상 에서 창틀과 창짝이 접촉하는 부위 중 측면 부위들은 다중으로 기밀력을 제공하기가 쉬운 구조지만 상기한 레일 부위는 롤러가 슬라이딩 부위이기 때문에 롤러의 상부에 위치한 창짝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의 많은 구간이 뜬 구조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창짝 프레임의 측 단면 구조를 다단 구조화 하거나 기밀재를 삽입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도 15는 종래 수평 풍지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창호의 측단면도이고, 도 16은 종래 미서기식 창호의 여밈대 부위 및 여밈대가스켓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미서기방식 창호는 창틀에 형성된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통한 기밀을 막기 위해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 창짝(600)과 창짝(600)이 교차된 여밈대(700) 부분 즉, 창틀(50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레일(800)과 레일(800) 사이의 틈새 공간 중, 창짝(600)과 창짝(600)이 겹치는 부분에 수평 풍지판(400)을 설치하여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또한 창짝과 창짝사이의 틈새 공간에는 여밈대 가스켓(900)을 설치하여 창짝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수직하게 연장되어 공기의 흐름을 막도록 구성된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풍지판(400)은 도시된 한 실시에에 따른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여밈대의 하부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부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고, 복수개의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401)가 하나의 열당 복수개가 설치되고, 또다시 이러한 열이 수평방향(레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되어 구성된다. 또한 이웃하는 이웃하는 열과는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가 서로 엇갈리게 설치된다. 이때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의 형상은 큰것과 작은 것이 엇갈려 설치되기 때문에 유입된 공기가 복잡한 유로를 따라 흐르다가 소멸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구조 때문에 벌레의 이동 또한 차단되게 됨으로써 기밀력과 단열력을 증대시키고, 벌레와 같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풍지구조는 실제 바람의 이동 방지 성능을 측정해 보면 생각과 달리 밀폐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여전히 수평 풍지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량이 많아 창호의 기밀성능과 단열성능을 저하시키는 주 원인 중 하나로 남아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이와 같이 종래의 풍지판이 제 역할을 못하는 이유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복수개의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의 설치 구조 상 이웃하는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 간에 틈새가 존재하여 미서기식 창호를 닫았을때 원천적으로 공기 유입 또는 여름철 벌레의 침입을 차단할 수 없다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고,
또한 종래의 수평형 풍지판 창틀에 설치되어 상부쪽 또는 하부쪽 창짝과 접촉하고 있는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의 접촉 면적이 작아 풍압에 따라 접촉 부위가 움직이면서 틈새가 발생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플렉시블한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가 사용 기간이 늘어나면서 경화되어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해 밀착력이 떨어져 비접촉 상태가 발생하여 미서기식 창호를 닫았을 때 공기가 유입되거나 여름철 벌레가 침입할 수 있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고,
또한 상기한 수평형 풍지판은 고정형 구조의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로 구성되어 창틀과 창짝간의 간격이 동일하지 않은 창호일 경우 그에 맞는 별도의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를 구비한 전용 풍지판을 생산하지 않는다면 기밀작용을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종래 풍지 구조는 고정형 구조로 이루어져 여밈대 부분만 막는 구조여서 창틀에 형성된 레일과 레일 사이 공간부 전체를 막지 못해 그 효과가 부분적이라는 구조적 한계를 가진다.
또한 이와 같은 고정형 구조는 기밀력과 단열력을 높이기 위해 창짝면과의 접촉력을 높이기 위해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의 길이를 길게 하면 창짝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접촉력이 커져 마찰력으로 인한 슬라이딩 기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레일부, 즉 창짝 하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체를 이용한 풍지판 기술들이 많은 형태로 연구되어 존재하고 있는데 대부분 창짝면과의 접촉부분을 지속적으로 항시 가압하는 형태로 설계되어 창세트 KS 기준 중 개폐력 50N(newton)으로는 창짝의 개폐가 원할하지 못하여 실생활에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136763(2013.12.13.)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23740(2006.08.04)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0-1999-011959(1999.03.25)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133055(2014.11.1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서기식 창호를 닫았을 때 창틀의 레일 사이 공간부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기밀재의 높낮이를 조절할 있게 구성된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승하강 블록과 축결합되는 가이드지주를 포함하는 지주지지체와; 상기 지주지지체에 결합되어 내통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에 설치되어 승하강블록과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내통과; 탄성스프링이 지지되는 상부의 스프링지지턱과, 상기 가이드지주가 축결합되는 내측의 지주가이드홈과, 걸림작용을 하는 가이드핀을 안내하도록 일측면상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승하강블록과; 상기 승하강블록에 신장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과; 일측단이 지주지지체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승하강블록의 홈부에 삽입되어 이동하거나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가이드핀과; 상기 내통의 상부와 결합된 기밀재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과 결합된 기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기밀재 지지프레임 또는 기밀재는 적어도 창틀에 형성된 레일 길이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재의 폭은 창짝이 슬라이딩되는 창틀의 레일과 레일 사이 폭 만큼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기밀재 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내통은 일정간격으로 복수가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지주지지체는 양측으로 창틀과 고정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이 형성된 플랜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지주의 상면부에는 기밀재 지지프레임과 내통을 결합하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부가 형성되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지주지지체는 가이드지주 둘레에 일정높이로 돌출된 외통지지부가 형성되되, 외통지지부는 둘레를 따라 외통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외통걸림홈과 내통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수납되는 가이드 돌기 수납홈이 서로 엇갈리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외통지지부의 내측에는 각 외통 걸림홈 위치에 외통의 걸림돌기가 삽입되고 탄성스프링이 지지되는 복수개의 거치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거치블록은 하측면 바깥쪽이 단차지게 가공되어 외통의 걸림돌기 하부쪽 절곡부위가 삽입되는 외통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탄성스프링 거치홈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거치블록 중 어느 하나에는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핀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통은 상하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내경면에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내통의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구성되고, 하단에는 끝단부가 내경방향으로 절곡된 하나 이상의 외통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지주지지체의 외통걸림홈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내통은 상부가 막히고 하부는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부면에는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내통 가이드 돌기가 돌출되어 외통 내경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거나, 지주지지체의 가이드돌기 수납홈에 수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홈부는 승하강블록의 하강시 가이드핀을 안내하는 수축 경로홈과; 승하강블록의 승강시 가이드핀을 안내하는 신장 경로홈과; 승하강블록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축 경로홈과 신장 경로홈 사이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걸림홈과; 승하강블록이 승강된 상태에서 가이드핀이 위치하는 확장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축 경로홈과 신장 경로홈이 만나는 하부지점은 신장경로홈의 단차가 상대적으로 높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축 경로홈과 오목형상의 걸림홈이 만나는 상부지점은 수축 경로홈의 단차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걸림홈은 하부쪽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오목형상의 걸림홈 상부에는 하부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경로설정돌부가 형성되되, 하부 끝단부의 중심이 수축경로홈 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확장홈은 수축 경로홈과 신장 경로홈이 만나는 하부지점에서 하부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양측단이 확장되게 경사 가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은 창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창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은 가압되는 외력에 따라 탄성력이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 상태를 유지토록 구성함으로써 일정시간 이상 좌, 우 미서기 창짝을 닫을시에는 선택적으로 레일과 레일 사이 공간부에 설치된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신장시켜 창짝면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 전체에 대해서는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이 면접촉한 상태로 지속적인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기밀력이 유지 된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의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은 미서기 창짝을 주로 이용하는 시간에는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부 하부쪽으로 하강시켜 창짝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과 미서기 창짝면과의 마찰에 의한 부하가 일어나지 않아 원활한 슬라이딩 작용이 제공된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구성하는 지주지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구성하는 외통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구성하는 내통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구성하는 승하강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구성하는 승하강블록의 홈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의 작동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의 작동을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에 설치된 상승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에 설치되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15는 종래 수평 풍지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창호의 측단면도이고,
도 16은 종래 미서기식 창호의 여밈대 부위 및 여밈대가스켓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구성하는 지주지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구성하는 외통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구성하는 내통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구성하는 승하강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구성하는 승하강블록의 홈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이 하강된 상태라는 것은 창틀면에 고정된 지주지지체에 고정된 외통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수축되어 외통 내부에 수납되어 기밀재(8)가 창짝면과 이격된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상승된 상태라는 것은 외력에 의해 탄성 스프링의 신장력이 단속된 상태가 풀려 탄성스프링에 의해 신장된 내통이 수납된 외통으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하부 또는 상부쪽 창짝에 면접촉하게 지속적으로 신장력(탄성력)을 제공하여 기밀이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의 하부 창틀에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위치의 상하 방향을 설명한다. 따라서 상부 창틀에 설치될 경우는 이하에서 설명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이해하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면은 창틀면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타측면에는 승하강 블록과 축결합되는 가이드지주(11)가 형성된 지주지지체(1)와; 상기 지주지지체(1)에 결합되어 내통(3)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외통(2)과; 상기 외통(2)의 내측에 축방향으로 결합되고, 승하강블록(4)과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내통(3)과; 탄성스프링(5)의 신장력을 제공받는 스프링지지턱(41)이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가이드지주(11)가 축결합되는 지주가이드홈(42)이 형성되며, 일측면상에는 걸림작용을 하는 가이드핀(6)을 안내하는 홈부(43)가 형성된 승하강블록(4)과; 상기 외통(2) 내측의 지주지지체(1)에 설치되어 승하강블록(4)에 신장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5)과; 일측단이 상기 지주지지체(1)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승하강블록(4)에 형성된 홈부(43)에 삽입되게 절곡 형성되어 외력과 탄성스프링(5) 간의 힘 크기 차이에 따라 홈부(43)의 경로를 이동하거나 걸림 상태를 유지토록 구성된 가이드핀(6)과; 상기 내통(3)의 상부와 결합된 기밀재 지지프레임(7)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내통(3)이 신장시 창짝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면접촉하는 기밀재(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미서기 창호를 구성하는 창틀의 레일과 레일 사이 공간 즉, 실외쪽 공간에 설치된 창짝과 실내쪽 공간에 설치된 창짝이 슬라이딩되는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부 쪽에 복수개로 배열된 지주지지체(1)가 고정된다. 이 지주지지체(1)는 창틀의 상부쪽과 하부쪽에 각각 복수개로 배열되어 고정 설치된다.
지주지지체(1)는 양측으로 볼트홀(12)이 형성된 플랜지(13)가 길이방향 즉, 레일방향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볼트홀(12)을 통해 볼트가 창틀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일측면이 창틀면과 면접하여 안정적인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지주지지체(1)의 타측면 중앙부쪽에는 한 실시예에 따라 4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지주(11)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지주(11)는 승하강 블록과 축결합되어 승하강 블록의 승하강시 안정적인 가이드 역할을 해주게 된다. 이 가이드지주(11)의 상면부에는 볼트삽입부(14)가 형성되어 지지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해 내통(3)을 관통한 볼트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지주지지체(1)는 가이드지주(11) 둘레 타측면상에 일정높이를 가지는 원통형 외통지지부(15)가 형성되어 외통(2)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원통형 구조를 가진 외통지지부(15)의 내측공간은 바깥 공간보다 좀더 깊게 파인 형상을 가져 이하 설명될 다른 구성요소들이 형성될 공간을 확보하게 구성한다. 또한 수축된 내통(3)의 상승을 위해 외력을 가해 더욱 수축시킬 때의 여유공간을 확보하는 차원에서도 필요하다.
또한 지주지지체(1)는 외통(2)과의 결합을 위해 외통지지부(15)의 둘레 일지점과 그 외경 인접 부위를 수직방향으로 가공하여 천공된 복수개의 외통걸림홈(16)이 형성되어 외통(2) 하단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걸림홈(433)에 삽입된 외통(2)의 걸림돌기의 내경방향으로 절곡된 부위는 외통지지부(15) 내측에 외통걸림홈(16) 위치에 대응하게 형성된 거치블록(18)의 하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외통결합홈(181)에 탄성적으로 걸려 결합되게 된다. 즉, 걸림돌기는 외통걸림홈(16)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삽입될 때 내경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부위 때문에 약간 외경쪽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진 채로 삽입하게 되는데, 거치블록(18)의 하부에 형성된 단차진 외통결합홈(181)을 만나게 되면 탄성적으로 절곡부위가 진입하여 안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착되면 걸림돌기가 수직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오게 되면서 지주지지체(1)에 외통(2)이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거치블록(18)은 하측면 바깥쪽이 단차지게 가공되어 외통(2)의 걸림돌기 하부쪽 절곡부위가 삽입되는 외통결합홈(18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탄성스프링 거치홈(182)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5)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게 형성된다.
상기 거치블록(18)은 걸림홈(433)의 개수에 대응하게 형성되는데 바람직한 본 발명의 한실시예에서는 4개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숫자가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복수개의 거치블록(18) 중 어느 하나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 또는 관통되어 형성된 가이드핀 고정홈(183)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가이드핀(6)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때 가이드핀은 가이드핀 고정홈 상에서 회전할수 있게 삽입된 상태이므로 홈부의 경로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통지지부(15)는 내경방향으로 복수개의 내통(3)의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돌기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 수납홈(17)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이 가이드 돌기 수납홈(17)은 후술되는 내통(3)의 하단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되고 내통(3)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돌기가 하강되어 수납될 때 위치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역할과 상승을 위해 추가 수축시 여유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 수납홈(17)은 구조적 안전성을 위해 상기 외통 결함홈과 45ㅀ각도로 엇갈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통(2)은 상하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데, 내경면에는 한 개 또는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가이드홈(21)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내측에 삽입되는 내통(3)의 하단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하여 내통(3)이 승하강시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홈(21)은 하부쪽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상부쪽은 막힌 구조로 형성되어 내통(3)의 하부에 형성된 내통(3)의 가이드돌기는 외통(2)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을 따라 상승시 가이드홈(21)의 막힌 구조에 접촉하게 되면 최대 상승 위치에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홈(21)의 구조 때문에 외통(2)으로부터 내통(3)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한 실시예로 4개의 가이드홈(21)이 구비된다. 또한 외통(2)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외통 걸림돌기(22)가 형성된다. 이 외통 걸림돌기(22)는 상기 지주지지체(1)의 외통걸림홈(16)에 걸려 탄성적으로 끼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해 외통 걸림돌기(22)의 끝단부는 내경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게 가공된다. 외통 걸림돌기(22)는 한실시예에 따라 도면에서는 4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숫자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통(3)은 상부가 막히고, 하부는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부면에는 볼트 체결홀(31)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과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 내통(3)은 상기 외통(2)의 내측에 삽입되어 탄성 스프링의 신장력을 제공받는 승하강블록(4)의 승하강에 따라 연동되어 움직이게 구성된다. 또한 외통(2)의 하단부에는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내통 가이드 돌기(32)가 수직방향 및 외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승하강시 상기 외통(2)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홈(21)을 따라 가이드되게 된다. 또한 내통(3)이 하강된 상태에서 승강을 위해 추가적인 외력을 받아 최대로 수축될 경우 상기 내통 가이드 돌기(32)는 지주지지체(1)의 가이드돌기 수납홈에 수납되게 된다.
또한 내통(3)은 기밀재 지지프레임(7)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가 배열되어 균일한 탄성스프링(5)의 신장력을 기밀재 지지프레임(7)에 전달하여 기밀재(8)가 창짝면과 접촉시 균일한 기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블록(4)은 지주지지체(1)의 타측면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된 상기 가이드지지주가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지주가이드홈(42)에 삽입되어 승하강시 안정적인 승하강이 가이드되게 된다. 지주가이드홈(42)은 유격을 줄이기 위해 가이드지주(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형상은 4각홈 구조를 가지게 형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형상뿐만 아니라 가이드가 될 수 있는 구조이면 가이드 지주의 형상이 다각형 기둥 또는 여러 타원형, 원형단면을 가지면 거기에 대응하는 홈 구조를 가지면 충분하다.
승하강 블록의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스프링지지턱(41)이 형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원판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스프링(5)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와 같은 형상뿐만 아니라 탄성스프링(5)의 신장력을 받거나 외력에 의한 수축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떤 구조나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승하강블록(4)의 일측면, 즉, 상기 가이드핀(6)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이드핀 고정홈(183)이 형성된 거치블록(18)이 위치한 면과 동일방면의 면상에는 홈부(43)가 형성되어 가이드핀(6)의 이동을 안내하거나 걸리도록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홈부(43)는 승하강블록(4)의 하강시 가이드핀(6)을 안내하는 수축 경로홈(431)과 승하강블록(4)의 승강시 가이드핀(6)을 안내하는 신장 경로홈(432)과 승하강블록(4)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축 경로홈(431)과 신장 경로홈(432) 사이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걸림홈(433)과 승하강블록(4)이 승강된 상태에서 가이드핀(6)이 위치하는 확장홈(434)으로 구성된다. 가이드핀은 보통 확장홈의 상부쪽 또는 수축경로홈과 신장경로홈이 만나는 하부지점에 위치하게 형성하는데, 필요에 따라 외통의 수직방향 길이를 크게 형성한 것을 사용하면 그 위치가 하부쪽 확장홈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축 경로홈(431)과 신장 경로홈(432)이 만나는 하부지점은 신장경로홈의 단차가 상대적으로 높게 홈이 형성되어 승하강블록(4)이 수축될 경우 수축 경로홈(43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6)이 경로를 이탈하여 신장경로홈쪽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수축 경로홈(431)과 오목형상의 걸림홈(433)이 만나는 상부지점은 수축 경로홈(431)의 단차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또한 걸림홈(433)이 하부쪽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게 형성되어 오목형상 걸림홈(433)에 진입한 가이드핀(6)이 수축 경로홈(431)으로 되돌아갈 수 없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신장 경로홈(432)과 오목형상의 걸림홈(433)이 만나는 상부지점은 걸림홈(433)의 단차가 높아서 외력이 재차 가해져 승하강블록(4)이 수축된 후 신장을 시작할 경우 가이드핀(6)은 신장경로홈만을 따라 이동하게 구성된다. 특히 오목형상의 걸림홈(433)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한 오목형상 걸림홈(433)의 형상에 대응하게 따라 하부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경로설정돌출부(434)의 끝단부 중심이 수축경로홈 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승하강블록(4)이 수축후 신장되면 가이드핀(6)은 항상 신장경로 홈만을 따라 경로가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확장홈(434)은 상기 수축 경로홈(431)과 신장 경로홈(432)이 만나는 하부지점에서 하부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양측단이 확장되게 경사 가공되어 승하강블록(4)이 수축시 가이드핀(6)이 어느 일측면의 단차와 만나더라도 상기 수축 경로홈(431)과 신장 경로홈(432)에 다다르게 된다.
상기 탄성스프링(5)은 코일스프링으로 승하강블록(4)의 둘레에 설치되고, 하부는 지주지지체(1)의 거치블록(18)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이 탄성스프링(5)의 신장력보다 외력이 강하면 승하강블록(4)이 수축되고, 재차 가해진 외력이 탄성스프링(5)의 신장력보다 작거나 해제되면 승하강블록(4)이 신장상태에 이르게 된다.
상기 가이드핀(6)은 상부와 하부의 양측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데, 일측단이 항시 일 지점의 거치블록(18)에 형성된 가이드핀 고정홈(183)에 삽입된 형태를 가지고, 타측단은 상기 승하강 블록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블록(4)에 일면에 형성된 홈부(43)의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 가이드핀(6)이 걸림홈(433)에 삽입되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수축된 탄성스프링(5)의 신장력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핀(6)은 홈부(43)의 형상 때문에 항시 일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승강 또는 하강 작동이 원터치 작동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기밀재 지지프레임(7)은 적어도 창틀에 형성된 레일 길이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부 기밀재(8)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폭은 기밀재(8) 보다 좁아도 상관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쪽에 볼트 머리가 감춰질 수 있는 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를 통해 볼트가 하부에 위치한 내통(3)의 상면에 형성된 볼트 체결홈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홈이 형성된 길이재인 지지프레임은 그 상면에 설치되는 기밀재(8)에 볼트 머리에 의한 돌출부위를 형성하지 않아 평판한 기밀재(8) 표면을 제공하게 되어 기밀유지에 바람직하다.
기밀재 지지프레임(7)의 재질은 위해 금속 또는 경질재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재 지지프레임(7)은 상부 기밀재(8)와는 접착재를 도포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
한편, 기밀재(8)를 기밀재지지프레임과 결합시키는 방법은 상기한 결합 방법만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기밀재(8)를 부착하여 고정시키거나 탈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크로테이프를 상면에 부착하여 기밀재(8)를 탈부착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기밀재 지지프레임(7)에 측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기밀재(8)를 측방향으로 끼워 밀어넣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양한 볼트 너트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기밀재(8)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기밀재 지지프레임(7)의 측단면 구조는 단면은 단순한 평 사각단면 구조로 구성하거나 복수개의 요철 구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면을 포함한 다양한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평 사각단면 구조로 구성하면 상부 기밀재(8)와의 접착 면적이 넓어지고 창짝과의 접착면이 고르게 가압될 수 있으며, 다양한 요철구조를 가지면 요철을 구성하는 홈 구조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내통(3)과 체결되는 볼트 구조가 결합될 수 있어 기밀재(8) 쪽에 돌출구조가 형성되지 않아 균일한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기밀재(8)는 길이재로 적어도 창틀에 형성된 레일 길이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고, 폭은 레일과 레일사이에 접촉하여 기밀력을 제공하게 구성하여 측면은 레일과 레일이 벽 역할을 하고 창짝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접하는 부분은 기밀재(8)가 면접촉하여 기밀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길이 방향의 양측단은 수직하게 형성된 창틀 프레임이 막게 됨으로써 레일과 레일 사이 공간부를 통해 실외쪽에서 넘어오는 공기를 차단시킬수 있어서 완전한 기밀력 및 단열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기밀재(8)는 창짝면과의 접촉시 완충력을 제공하면서 기밀력을 제공하기 위해 합성수재지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재질적 특성에 의한 완충력 뿐만 아니라 상승된 상태에서는 지속적인 탄성스프링(5)의 신장력을 창짝면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면서 균일한 기밀력을 제공하도록 기밀재 지지프레임(7)의 상부에 부착하여 지속적인 신장력을 제공받도록 구성한다.
상기 기밀재(8)의 바람직한 재질로는 EPDM과 같은 내구성을 가진 고분자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공성이 좋고 단가도 저렴하면서 보온력이 좋은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예시된 재질 외에도 탄성력을 가지면서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이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은 전술한 도 1 내지 7에 개시된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전술한 하부 창틀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과 달리 롤러가 설치되지 않는 상부 창틀에 설치되는 타입으로 상대적으로 모든 구성요소의 수직방향 길이가 큰 편이다.
이와 같이 크기가 달리 구성된 이유는 보통 미서기 창짝을 창틀에 장착시 상부 창짝을 들어올려 경사지게 창틀에 끼운 후 수직하게 하부쪽으로 내려 창짝의 하부를 하부 창틀에 맞추기 때문에 상부 쪽 공간이 더 크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기타 상세 구성은 전술한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의 구성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의 작동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의 작동을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에 설치된 상승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에 설치되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이 미서기 창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미서기 창호의 기본 형태는 일반적인 미서기 창호로 외부 틀을 이루는 4각 형태의 창틀(500)이 구비되고, 이 창틀(500)의 내측에는 유리(601)를 감싸고 있는 좌, 우 창짝(600)이 설치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다. 창짝(600)의 좌우 슬라이딩은 창짝(600)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602)가 상기 창틀(500)의 레일(800) 상부에 얹혀 외력이 일측 방향으로 가해지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창틀과 창짝의 재질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금속재라 함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재를 말하나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금속 또는 합금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합성수지재라함은 바람직하게는 PVC를 말하나 단열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합성수지재여도 상관없다.
한편, 상기 도면에서 예시된 형태와 달리 본 발명의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은 단창 또는 가로바에 의해 상하 입면분할되는 창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풍지판이 설치되는 레일과 레일이 구비된 창틀 구조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예시된 도면으로 설명해도 충분하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주로 측단면도를 기준으로 하부 창틀(500)과 창짝(600)에서 설치된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 위주로 설명하나 상부 창틀과 창짝에 설치된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도 동일한 작용을 함은 물론이다.
상기 도면과 같은 작동 상태는 전술한 도 1 내지 9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을 거주자 또는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밀재(8)를 눌러 원터치 방식으로 기밀재(8)를 눌러 하부에 위치한 탄성스프링(5)을 지지하고 있는 승하강블록(4)에 외력을 전달토록 함으로써 홈부(43)의 경로에 위치한 가이드핀(6)이 수축 경로홈(431), 신장 경로홈(432), 걸림홈(433), 확장홈(434) 중의 어느 일지점에 위치하면서 승하강 블록의 승하강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기밀재(8)의 위치를 상승된 위치 또는 하강된 위치를 유지하게 제어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11에 따라서 설명한다. 설명시 미도시된 도면부호의 설명은 이전 도면의 부호를 참조한다.
도 10 및 11의 왼쪽 도면은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의 수축된 상태로 보이는 것으로 기밀재(8)가 창짝면과 이격된 도 13과 같은 상태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미서기 창의 창짝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자유로운 작동을 하게 된다. 물론 이경우는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기흐름을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형 풍지판이 막을 수가 없기 때문에 외기의 공기흐름은 레일과 레일을 타고 유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의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의 작동 구조를 보면 탄성스프링(5)이 승하강블록(4)의 스프링지지턱(41)에 의해 압축되어 수축된 상태를 보이고, 가이드핀(6)은 홈부(43)의 걸림홈(433) 위치에 있게 된다. 가이드핀(6)이 걸림홈(433)에 위치하는 한 외력이 있지 않는 한 가이드 핀이 수축 경로홈(431)이나 신장경로홈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없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축경로홈의 단차가 걸림홈(433)보다 높기 때문에 역행할 수 없는 구조이고,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져 수축되지 않는 한 걸림홈(433) 위치에 있는 가이드핀(6)쪽으로 경로설정돌출부(434)가 다다를 수 없기에 가이드 핀은 신장경로홈으로 위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때 내통(3)의 하부에 형성된 내통(3)의 가이드돌기는 외통(2)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을 지나 지주지지체(1)의 가이드 돌기 수납홈(17)에 위치하여 수납되게 된다.
도 11의 가운데 도면은 수축된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의 상태를 신장시키기 위해 원터치 작동하는 단계로 외력에 의해 탄성스프링(5)이 추가적으로 수축되어 가이드핀(6)이 걸림홈(433)에서 빠져 나온 위치에 있게 된다. 즉 경로설정돌출부(434) 근처에 위치하면서 신장 경로홈(432)상에 들어서는 단계에 해당한다.
이 상태에서의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의 작동 구조를 보면 탄성스프링(5)이 승하강블록(4)의 스프링지지턱(41)에 의해 추가적으로 압축되어 최대로 수축된 상태를 보이고, 가이드핀(6)은 홈부(43)의 걸림홈(433) 위치를 벗어나 경로설정돌출부(434)에 다다른 위치를 보이게 된다. 가이드핀(6)이 경로설정돌출부(434)에 위치한 후 외력이 해제되면 가이드 핀은 단차진 걸림홈(433)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신장경로홈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돌기 수납홈(17)에는 추가적으로 가이드 돌기가 하강된 상태이다
도 10 및 11의 오른쪽 도면은 높이 조절형 탄성풍지판이 신장된 상태로 기밀재(8)가 도 12와 같이 창짝면과 면접촉한 상태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미서기 창의 창짝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데 있어서 부하가 많이 걸리기 때문에 자유로운 작동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기흐름을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형 풍지판이 완벽하게 차단하기 때문에 외기의 공기흐름은 레일과 레일을 타고 유입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의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의 작동 구조를 보면 탄성스프링(5)이 승하강블록(4)의 스프링지지턱(41)을 상부방향으로 팽창시켜 신장된 상태를 보이고, 가이드핀(6)은 홈부(43)의 신장경로 홈을 빠져나와 확장홈(434)의 상부 위치 또는 수축경로홈과 신장경로홈이 만나는 하부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내통(3)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는 외통(2)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승간된 후 외통(2)의 최상부쪽에 다다르게 된다. 다만 외통(2)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이 상부쪽으로 개방되지 않고 막혀 있기 때문에 가이드돌기는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고 외통에 걸리기 때문에 내통(3)이 외통(2)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지주지지체 (2) : 외통
(3) : 내통 (4) : 승하강블록
(5) : 탄성스프링 (6) : 가이드핀
(7) : 기밀재 지지프레임 (8) : 기밀재
(11) : 가이드지주 (12) : 볼트홀
(13) : 플랜지 (14) : 볼트삽입부
(15) : 외통지지부 (16) : 외통걸림홈
(17) : 가이드 돌기 수납홈 (18) : 거치블록
(21) : 가이드홈 (22) : 외통 걸림돌기
(31) : 볼트 체결홀 (32) : 내통 가이드 돌기
(41) : 스프링지지턱 (42) : 지주가이드홈
(43) : 홈부 (181) : 외통결합홈
(182) : 탄성스프링 거치홈 (183) : 가이드핀 고정홈
(431) : 수축 경로홈 (432) : 신장 경로홈
(433) : 걸림홈 (434) : 확장홈
(434) : 경로설정돌출부 (500) : 창틀
(601) : 유리 (600) : 창짝
(602) : 롤러 (800) : 레일

Claims (15)

  1. 승하강 블록과 축결합되는 가이드지주를 포함하는 지주지지체와; 상기 지주지지체에 결합되어 내통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에 설치되어 승하강블록과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내통과; 탄성스프링이 지지되는 상부의 스프링지지턱과, 상기 가이드지주가 축결합되는 내측의 지주가이드홈과, 걸림작용을 하는 가이드핀을 안내하도록 일측면상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승하강블록과; 상기 승하강블록에 신장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과; 일측단이 지주지지체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승하강블록의 홈부에 삽입되어 이동하거나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가이드핀과; 상기 내통의 상부와 결합된 기밀재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과 결합된 기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재 지지프레임 또는 기밀재는 적어도 창틀에 형성된 레일 길이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재의 폭은 창짝이 슬라이딩되는 창틀의 레일과 레일 사이 폭 만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재 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내통은 일정간격으로 복수가 배열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지지체는 양측으로 창틀과 고정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이 형성된 플랜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지주의 상면부에는 기밀재 지지프레임과 내통을 결합하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부가 형성되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5.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지주지지체는 가이드지주 둘레에 일정높이로 돌출된 외통지지부가 형성되되, 외통지지부는 둘레를 따라 외통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외통걸림홈과 내통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수납되는 가이드 돌기 수납홈이 서로 엇갈리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외통지지부의 내측에는 각 외통 걸림홈 위치에 외통의 걸림돌기가 삽입되고 탄성스프링이 지지되는 복수개의 거치블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치블록은 하측면 바깥쪽이 단차지게 가공되어 외통의 걸림돌기 하부쪽 절곡부위가 삽입되는 외통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탄성스프링 거치홈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치블록 중 어느 하나에는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핀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상하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내경면에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내통의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구성되고, 하단에는 끝단부가 내경방향으로 절곡된 하나 이상의 외통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지주지지체의 외통걸림홈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상부가 막히고 하부는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부면에는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내통 가이드 돌기가 돌출되어 외통 내경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거나, 지주지지체의 가이드돌기 수납홈에 수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승하강블록의 하강시 가이드핀을 안내하는 수축 경로홈과; 승하강블록의 승강시 가이드핀을 안내하는 신장 경로홈과; 승하강블록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축 경로홈과 신장 경로홈 사이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걸림홈과; 승하강블록이 승강된 상태에서 가이드핀이 위치하는 확장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축 경로홈과 신장 경로홈이 만나는 하부지점은 신장경로홈의 단차가 상대적으로 높게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축 경로홈과 오목형상의 걸림홈이 만나는 상부지점은 수축 경로홈의 단차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걸림홈은 하부쪽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상의 걸림홈 상부에는 하부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경로설정돌부가 형성되되, 하부 끝단부의 중심이 수축경로홈 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확장홈은 수축 경로홈과 신장 경로홈이 만나는 하부지점에서 하부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양측단이 확장되게 경사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은 창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창틀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KR1020150083878A 2015-06-15 2015-06-15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KR10154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878A KR101549830B1 (ko) 2015-06-15 2015-06-15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878A KR101549830B1 (ko) 2015-06-15 2015-06-15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830B1 true KR101549830B1 (ko) 2015-09-03

Family

ID=54247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878A KR101549830B1 (ko) 2015-06-15 2015-06-15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830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88B1 (ko) 2016-03-21 2017-02-09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1874820B1 (ko) * 2017-11-10 2018-08-03 주식회사 에스아이디허브 공공데이터 활용 인공지능 환기시스템
WO2019078496A1 (ko) * 2017-10-20 2019-04-25 주식회사 에스아이디허브 지능형 맞바람 환기시스템
CN112392350A (zh) * 2019-08-14 2021-02-23 四川鑫丰茂门窗制造有限公司 一种抗风性好的阳光房用窗体
KR102446234B1 (ko) 2022-06-30 2022-09-22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69838B1 (ko) 2022-06-30 2022-11-23 (주)윈도우코리아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70951B1 (ko) 2022-06-30 2022-11-28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72261B1 (ko) 2022-06-30 2022-11-30 주식회사 유진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1598B1 (ko) 2022-06-30 2022-12-27 (주)윈도우코리아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1816B1 (ko) 2022-06-30 2022-12-27 주식회사 유진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8585B1 (ko) 2022-06-30 2023-01-13 (주)윈도우코리아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8290B1 (ko) 2022-06-30 2023-01-13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9779B1 (ko) 2022-06-30 2023-01-18 주식회사 유진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20230062188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102669230B1 (ko) 2023-11-23 2024-05-24 안산건업 주식회사 창호의 추락방지 안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177B1 (ko) 2015-03-26 2015-06-05 주식회사 알프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177B1 (ko) 2015-03-26 2015-06-05 주식회사 알프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88B1 (ko) 2016-03-21 2017-02-09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WO2019078496A1 (ko) * 2017-10-20 2019-04-25 주식회사 에스아이디허브 지능형 맞바람 환기시스템
KR101874820B1 (ko) * 2017-11-10 2018-08-03 주식회사 에스아이디허브 공공데이터 활용 인공지능 환기시스템
CN112392350A (zh) * 2019-08-14 2021-02-23 四川鑫丰茂门窗制造有限公司 一种抗风性好的阳光房用窗体
KR20230062188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102470951B1 (ko) 2022-06-30 2022-11-28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69838B1 (ko) 2022-06-30 2022-11-23 (주)윈도우코리아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72261B1 (ko) 2022-06-30 2022-11-30 주식회사 유진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1598B1 (ko) 2022-06-30 2022-12-27 (주)윈도우코리아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1816B1 (ko) 2022-06-30 2022-12-27 주식회사 유진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8585B1 (ko) 2022-06-30 2023-01-13 (주)윈도우코리아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8290B1 (ko) 2022-06-30 2023-01-13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9779B1 (ko) 2022-06-30 2023-01-18 주식회사 유진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46234B1 (ko) 2022-06-30 2022-09-22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669230B1 (ko) 2023-11-23 2024-05-24 안산건업 주식회사 창호의 추락방지 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830B1 (ko)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KR101556582B1 (ko) 풍지판을 구비한 학교용 미서기 창
KR910005066B1 (ko) 허니콤 블라인드 및 그 조립방법
KR101581294B1 (ko) 수평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EP2746514B1 (en) Multifunctional integrated window assembly
US6618998B1 (en) Door with variable length screen
KR101760719B1 (ko) 탄성 풍지 구조와 다중 단열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KR101559318B1 (ko)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101342062B1 (ko) 기밀성 슬라이딩 창호
KR101621462B1 (ko) 크리센트를 이용한 기밀수단을 갖는 미서기창
KR101363100B1 (ko) 방충망이탈방지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창호
JP6154697B2 (ja) 窓の防火構造
KR101526177B1 (ko)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102094368B1 (ko) 멀티 테크 단열복합창
JP6647927B2 (ja) 建具
KR101549833B1 (ko) 창호용 탄성 풍지판
JP5097509B2 (ja) 折畳戸のロック装置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101597518B1 (ko) 안전창의 상하 승강식 풍지판 장치
KR20130108841A (ko) 상부 창틀프레임의 밀착구조
KR102172592B1 (ko) 중연창의 중간바 배수구조
KR101507989B1 (ko) 복합 단열 및 기밀 구조를 가진 슬림형 창호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