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177B1 -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 Google Patents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177B1
KR101526177B1 KR1020150042442A KR20150042442A KR101526177B1 KR 101526177 B1 KR101526177 B1 KR 101526177B1 KR 1020150042442 A KR1020150042442 A KR 1020150042442A KR 20150042442 A KR20150042442 A KR 20150042442A KR 101526177 B1 KR101526177 B1 KR 101526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uide
unit
height
asc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프
Priority to KR1020150042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미닫이식 창호의 여밈대 상부 또는 하부 창틀에 설치되어 창짝면의 높이에 따라 대응하여 승하강하는 탄성접촉부와 측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는 착탈식 바람막이를 이용하여 여밈대의 창틀과 창짝이 형성하는 공간부를 밀폐시켜 실외 및 실내간의 측방향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기밀력과 단열성능을 증대시킨 승하강 측면 풍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중앙에 형성된 수납부와, 수납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어 창틀에 체결되는 고정지지부와, 수납부의 일측면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전ㅇ후진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수납부에 수납되어 높이조절수단의 전후진시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경사가이드부와, 경사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본체와, 승하강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탄성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 상부쪽에 끼워져 이웃하는 창짝간의 하부면(또는 상부면)과 밀착되어 수직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는 탄성접촉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결합되어 수평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는 바람막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변밀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Adjustable windbreak device for window }
본 발명은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슬라이딩 방식 창호의 여밈대에서 발생하는 실외 및 실내간의 측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여 기밀과 단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여밈대 부분의 창틀과 창짝이 이루는 공간부에 설치되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기밀과 단열력을 증대시키는 미닫이식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에 관한 것이다.
창호란 창과 문을 말하는 것으로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켜 바람을 막으면서 채광이 실내로 들게 하거나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구조는 기본적으로 프레임을 이루는 창틀(또는 문틀)과 그 내부에 장착되는 창짝(또는 문짝)으로 구성된다.
주거 및 업무용 건물이 고급화되면서 이에 따라 창호 시스템도 다양한 방식으로 기밀, 단열 및 방음 효과가 개선되고 있는 실정이다.
창호의 구별방법을 살펴보면 여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별된다. 또한 하나의 창틀(또는 문틀)에 설치되는 창짝(또는 문짝)의 숫자에 따라 단창, 이중창, 삼중창으로 구별되기도 하고, 또한 단창에 끼워지는 유리는 개수에 따라 단판 유리, 2개의 단판 유리를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거나 공간층을 형성하여 단열 및 방음 성능을 높인 복층유리, 3개의 단판 유리를 각각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거나 공간층을 형성하여 단열 및 방음 성능을 높인 3중(또는 3복층) 유리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분류가 존재한다.
또한 창틀(문틀)과 창짝(문짝)을 구성하는 재질은 종래에는 목재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알루미늄과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이하'합성수지'라 칭함) 재질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은 목재와 같은 부패, 변형이나 철과 같은 산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통 베란다 등에 시공된다. 다만 알루미늄은 높은 열전도성 때문에 단열효과가 떨어지고, 열 변형에 의해 장기간 사용시 조립부위에 유격이 발생되어 방음 및 단열효과가 떨어진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합성수지는 단열효과가 알루미늄에 비해 뛰어나서 대부분의 경우 거실과 베란다의 경계 부위에 시공되고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과 합성수지 재질의 창호 시공 부위는 상기 설명처럼 꼭 알루미늄은 베란다에 합성수지는 베란다와 거실의 경계에 항시 시공된다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한편, 2012년 7월 1일 부터 창호에도 가전제품과 자동차 등에 시행해오던 에너지효율등급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이는 건축물 에너지의 약 40%가 창호를 통해 세어 나가고 있는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창호에도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라벨이 붙여지게 되었다.
이러한 창호 에너지 효율 등급제에 따라 제조된 창호는 에너지소비효율에 따라 1 ~ 5등급까지 등급을 구분, 라벨을 붙여 표시함으로써 소비자가 에너지 절약형 창호를 쉽게 구분하여 제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등급을 표시하지 않거나 최저 효율 기준 미달 제품은 제조 및 판매를 금지하게 되었다.
창호 에너지 효율 등급제에 따른 소비효율 측정방법은 열관류율과 기밀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열관류율은 KS F 2278(물리적시험) 또는 ISO 15099(시뮬레이션)에 의해 측정되고, 기밀성은 KS F 2292(물리적시험)에 의해 측정되게 된다.
라벨에 표시되는 소비효율등급부여지표 중 R은 열관류율(W/(㎡·K)이다. 이하 표 1 는 열관류율과 기밀성에 의한 등급이다.
[표 1]
Figure 112015029753129-pat00001
(소비효율등급부여기준)
상기한 창호 에너지 효율 등급제에서 높은 등급을 받기 위해 최근 창호 회사들은 고효율의 열관류율과 기밀성을 가진 창호 등급을 받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중이다.
이러한 연구중에서 미닫이 창호의 여밈대 부위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도 그중 하나이다. 여밈대란 창틀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레일과 레일 사이의 틈새 공간 중 창짝과 창짝이 닫혔을 때 서로 겹쳐지는 부분으로 통상 흔히 보는 1: 1로 분할되어 여닫이 되는 창호의 경우 중간부분을 말한다.
특히 여밈대는 창짝과 창짝이 겹쳐진 상태에서 창틀과의 공간부를 통한 측방향의 실외 및 실내간의 공기흐름이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이와 같은 기밀을 위해서 수평방향으로 풍지판을 삽입 설치하여 기밀력을 증대시키는 노력을 해왔다.
도 9는 종래 수평 풍지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창호의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종래 미닫이식 창호의 여밈대 부위 및 여밈대가스켓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슬라이딩 방식 창호 구조를 보면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 창짝(600)과 창짝(600)이 교차된 여밈대(700) 부분 즉, 창틀(50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레일(800)과 레일(800) 사이의 틈새 공간 중, 창짝(600)과 창짝(600)이 겹치는 부분에는 수평 풍지판(400)이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막도록 설치된다. 또한 창짝과 창짝사이의 틈새 공간에는 여밈대 가스켓(900)이 설치되어 창짝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수직하게 연장되어 공기의 흐름을 막도록 구성된다.
상기 풍지판(400)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복수개의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401)가 하나의 열당 복수개가 설치되고, 또다시 이러한 열이 복수개로 구성된다. 이웃하는 열과는 날개가 서로 엇갈리게 설치된다. 또한 날개의 형상은 큰것과 작은 것이 엇갈려 설치되기 때문에 유입된 공기가 복잡한 유로를 따라 흐르다가 소멸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구조 때문에 벌레의 이동 또한 차단되게 됨으로써 기밀력과 단열력을 증대시키고, 벌레와 같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에도 불구하고 실제 바람의 이동 방지 성능을 측정해 보면 생각과 달리 밀폐력이 충분하지 못해 여전히 수평 풍지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량이 많아 창호의 기밀성능과 단열성능을 저하시키는 주 원인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풍지판이 제 역할을 못하는 이유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 위해 설치된 복수개의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의 설치 구조 상 이웃하는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 간에 틈새가 존재하여 미닫이식 창호를 닫았을때 원천적으로 공기 유입 또는 여름철 벌레의 침입을 차단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평형 풍지판 창틀에 설치되어 상부쪽 또는 하부쪽 창짝과 접촉하고 있는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의 접촉 면적이 작아 풍압에 따라 접촉 부위가 움직이면서 틈새가 발생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플렉시블한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가 사용 기간이 늘어나면서 경화되어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해 밀착력이 떨어져 비접촉 상태가 발생하여 미닫이식 창호를 닫았을 때 공기가 유입되거나 여름철 벌레가 침입할 수 있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수평형 풍지판은 고정형 구조의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로 구성되어 창틀과 창짝간의 간격이 동일하지 않은 창호일 경우 그에 맞는 별도의 바람 이동 방지용 날개를 구비한 전용 풍지판을 생산하지 않는다면 기밀작용을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미닫이 방식 창호의 여밈대에서 측방향으로 발생하는 실외 및 실내 공기간의 흐름을 차단하여 기밀력을 증대시키면서도 다양한 공간구조를 가지는 여밈대의 창틀과 창짝간의 높이에 대응하여 기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범용 풍지판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136763(2013.12.13.)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23740(2006.08.04)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0-1999-011959(1999.03.25)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11839(2006.03.1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닫이식 창호의 여밈대 상부 또는 하부 창틀에 설치되어 창짝면의 높이에 따라 대응하여 승하강하여 수직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는 탄성접촉부와 수평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는 착탈식 바람막이를 이용하여 여밈대의 창틀과 창짝이 형성하는 공간부를 밀폐시켜 실외 및 실내간의 공기 흐름과 벌레의 이동을 차단하여 기밀력과 단열성능을 증대시킨 승하강 측면 풍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중앙에 형성된 수납부와, 수납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어 창틀에 체결되는 고정지지부와, 수납부의 일측면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전ㅇ후진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수납부에 수납되어 높이조절수단의 전후진시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경사가이드부와, 경사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본체와, 승하강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탄성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 상부쪽에 끼워져 이웃하는 창짝간의 하부면(또는 상부면)과 밀착되어 수직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는 탄성접촉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결합되어 수평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는 바람막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변밀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납부는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가변밀폐부의 수직방향 승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수직 장공부가 형성되어 경사가이드부의 가이드핀이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설치되고, 수납부의 전면에는 홀과 너트로 이루어진 너트부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된 높이조절수단이 전후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끝단부는 경사부로 가공되어 전후진시 접촉된 경사가이드부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토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승하강본체는 전후방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는 경사가이드부의 가이드핀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부는 지지부의 가이드홈이 결합되도록 가이드턱이 전방 및 후방쪽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는 하부에 승하강본체의 가이드턱이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가이드홈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탄성접촉부의 걸림부가 착탈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전면 및 후면에는 바람막이가 끼움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탄성접촉부는 좌우 창짝면과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탄성력 및 단열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고,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바람막이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승하강본체의 높이 변화에 따른 수평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된 체결홈과 끼움결합되고, 요철부가 형성된 하부는 절곡되어 창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은 여닫이 방식 창호를 닫았을때 여밈대를 통한 실내와 실내 간의 수직 및 수평 방향 공기흐름 및 벌레의 이동을 차단하여 기밀력과 단열력 그리고 벌레 침입 방지력을 증대시켰다는 장점과,
또한 창틀에 장착되는 창짝의 형상에 따라 변화되는 여밈대 부위의 창틀과 창짝 상면 또는 하면간의 높이에 따라 전용 풍지판을 구비하지 않고 탄성접촉부를 자유롭게 승하강시켜 면접촉토록 함으로써 기밀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승하강 풍지판을 구성하는 탄성접촉부를 승하강시켜 창짝의 상면 또는 하면과 접촉하여 수빅방향 기밀력을 제공시 발생하는 수평방향쪽 개구는 착탈식 바람막이를 이용하여 기밀시킴으로써 여밈대 공간부 전체가 밀폐되어 측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풍지판이 설치된 창호의 여밈대부위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풍지판 설치후 상승하여 창짝과 밀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풍지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풍지판을 보인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승하강 풍지판의 작동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승하강 풍지판의 작동후 상태를 보인 정면도,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바람막이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풍지판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9는 종래 수평 풍지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창호의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종래 미닫이식 창호의 여밈대 부위 및 여밈대가스켓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풍지판이 설치된 창호의 여밈대부위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풍지판 설치후 상승하여 창짝과 밀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풍지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풍지판을 보인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승하강 풍지판의 작동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승하강 풍지판의 작동후 상태를 보인 정면도,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바람막이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풍지판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풍지판은 처음 창틀(500)에 설치되어 고정되었을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기밀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후 창짝(600)이 창틀(500)에 시공되면 여밈대 부위의 창틀에 설치된 승강식 풍지판의 높이를 장착된 창짝(600)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까지 접촉하도록 높이를 조절하여 밀착시켜 도 2와 같은 상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승하강 풍지판은 여닫이 방식 창호의 여밈대(700)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 및 벌레 등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데, 그 설치 위치는 창호를 닫았을 때 창짝(600)과 창짝(600)이 겹치는 여밈대(700)의 창틀(500)에 설치되고, 설치 갯수는 창짝(600)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1개씩 설치되면 충분하다. 구체적인 설치위치는 여밈대(700)를 구성하는 창짝(600)과 창짝(600) 사이에 위치한 창틀(5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설치되어 고정된다.
한편, 도 1, 2의 도시에서는 여밈대(700)를 구성하는 창짝(600)과 창짝(600)간에 수직 방향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이부분에 도 10에 도시된 여밈대 가스켓(900)이 설치되어 공기의 유입을 막게 된다.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상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여밈대 가스켓(900)을 미도시한 것으로, 이하 설명에서는 이러한 부분의 기밀이 유지된 상태라는 가정하에서 여밈대(700)의 나머지 공간부에 대한 기밀력 제공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는 편의상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주로 창틀(500)의 하부에 설치된 승하강 풍지판 위주로 설명한다. 하지만 상부쪽도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되어 작동됨은 물론이다.
또한 하부쪽을 기준으로 설명시 상승한다는 개념은 하부 창틀(500)을 기준으로 창짝(600)면쪽으로 신장하는 것을 편의상 표현한 것으로 상승, 승강은 신장에 해당하는 말이고, 하강은 수축된다는 개념이다. 즉, 미설명되는 창틀(500)의 상부쪽에 설치된 승하강 풍지판은 상부 창틀(500)에 설치 고정되어 작동시 하부에 위치한 창짝(600) 상부면쪽으로 신장되는 작동이 이하 설명되는 승강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중앙에 수납부(11)가 형성되고, 수납부의 적어도 전방 또는 후방 즉, 창틀(500)의 레일(800)방향을 따라 수납부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전후방에 고정지지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일측면에는 높이조절수단(13)이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전후진 하도록 구성된 고정부(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수납부에는 전후진 하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경사가이드부(21)와, 경사가이드부의 승하강시 연동되는 승하강본체(22)와. 승하강본체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탄성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23)와, 지지부(23)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이웃하는 창짝(600)간의 하부면(또는 상부면)과 밀착되어 수직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는 탄성 접촉부(24)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 및 후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탄성접촉부가 상승시 여밈대(700)의 측방향으로 유입되는 수평방향 공기의 흐름을 차단토록 설치되는 바람막이(25)가 구비되어 여밈대(700)의 공간부를 막아 밀폐시키는 가변밀폐부(2);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의 수납부(11)는 사각필통 구조처럼 상부면만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납된 가변밀폐부(2)가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이 수납부(12)의 양측면에는 가변밀폐부(2)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 상한 높이와 하한 높이를 제한하고, 이동방향이 직선운동이 되도록 가이드하는 수직 장공부(111)가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다. 이 수직 장공부에는 경사가이드부의 양측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핀이 관통 결합되어 경사가이드부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수직장공부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핀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핀의 양측단이 수직장공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12)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의 홀(121)이 형성되어 볼트나 피스가 홀을 관통하여 창틀(500) 프레임에 체결되어 승하강 풍지판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전면에는 홀과 너트로 이루어진 너트부(112)가 형성되어 높이조절수단(13)이 결합하여 전후진 하도록 체결된다. 이 높이조절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구성되어 회전시 나사결합된 너트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높이조절수단의 끝단부는 단차를 가지는 경사부(131)로 가공되어 이와 접하는 가변밀폐부의 경사가이드부와 접촉하여 밀어 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따라서 가변 밀폐부의 상승 및 하강 단차는 높이조절수단의 전후진에 따라 접촉되는 높이조절수단의 경사부(131) 단차만큼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상기 가변밀폐부(2)의 경사가이드부(21)는 상기 고정부의 수납부에 체결되어 전후진 하는 높이조절수단과 경사각을 가지고 접촉하도록 하부가 높이조절수단에 근접되고, 상부가 높이조절수단과 먼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 경사각을 가지는 높이조절수단이 전진하여 접촉하면서 상부로 밀려 승강하고, 후진하면 하부로 하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경사가이드부는 양측단으로 가이드핀(211)이 돌출형성되어 승하강본체(22)와 축결합하여 승하강시 연동하고, 양끝단은 상기 고정부의 수직 장공부(11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길게하거나 스톱퍼와 같은 부재 또는 형상으로 가공되어 빠이지 않도록 가공된다.
상기 승하강본체(22)는 전후방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는 경사가이드부의 가이드핀(211)이 관통되는 홀(221)이 형성되고, 상부는 지지부(23)의 가이드홈과 끼움 결합되도록 가이드턱(222)이 전방 및 후방쪽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로 전체적인 측단면 구조가 "T"자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3)는 하부에 승하강본체의 가이드턱(222)이 측방향으로 끼워져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턱 형상에 대응하는 측단면 구조를 가지는 가이드홈(231)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부의 탄성접촉부의 걸림부가 착탈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232)이 형성되며, 전면 및 후면에는 바람막이가 도브테일(dovetail) 방식 등으로 끼움결합되는 체결홈(233)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접촉부(24)는 좌우 창짝(600)면 전체면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내부가 분할된 중공부(241)가 형성되어 탄성력 및 단열력을 증대시키는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242)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걸림홈(23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탄성접촉부가 기후변화 또는 시간이 지나면서 낡게 될 경우 쉽게 빼내어 교체할 수 있어서 기밀력이 유지되게 된다. 또한 이 탄성접촉부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내구성과 내후성이 좋은 EPDM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탄성접촉부 재질이 EPDM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과 내구성만 좋으면 다양한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바람막이(25)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승하강본체가 상승되어 탄성접촉부가 창짝(600)의 하부면(또는 상부면)과 밀착되게 높이조절이 완료되면 창짝(600)의 하부공간 즉 레일(800)과 레일(800)사이 공간부를 통한 수평방향 공기흐름 및 벌레의 침입을 최종적으로 막기 위해 지지부(23)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된 체결홈(233)과 도브테일(dovetail) 방식 등으로 끼움결합되는 체결돌기(251)가 형성된다. 또한 바람막이는 승하강본체의 상승높이에 따라 대응하여 항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승하강본체의 최대 상승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하부 일부분이 절곡된 상태로 창틀(500)과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창틀(500)면과 접촉하고 있는 바람막이 표면에는 요철부(252)가 형성되어 수평방향 공기유입을 다단 차단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승하강 풍지판의 설치 및 작용을 도 1, 2 및 도 8의 (a)에서 (C)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창호를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창틀(500)을 시공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풍지판을 창짝(600)을 닫았을 때 창짝(600)과 창짝(600)이 겹치는 여밈대(700) 부분에 해당하는 창틀(5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승하강 풍지판을 구성하는 고정부(1)의 고정지지부(12)를 밀착시킨후 볼트 또는 피스를 홀(121)을 통해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가변밀폐부(2)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후 좌우 창짝(600)을 좌우 창틀(500)에 결합시킨다. 좌우 창짝(600)이 결합되면 일측 창짝(600)을 열어 2개의 창짝(600)면이 정렬되도록 한다. 창짝(600)면이 일측으로 정렬되면, 너트부와 결합된 높이조절수단(13)을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내부 공간쪽으로 전진시킨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수단이 전진하게 되면 높이조절수단의 끝단부에 형성된 경사부(131)가 수납부 내부에 위치한 가변밀폐부(2)의 경사가이드부(21)를 밀어 올리게 된다. 경사가이드부가 상승하면 고정부의 수직장공부(111)에 끼워진 가이드핀(211)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면서 가이드핀과 결합된 승하강본체(22)를 상승시켜 승하강본체 상부의 지지부와 체결된 탄성접촉부(24)를 좌우 창짝(600)의 하부면(또는 상부면)과 밀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여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 너무 많이 상승시키면 창짝(600)의 좌우 슬라이딩시 부하가 생기게 되므로 적당한 가압력을 제공하여 슬라이딩에 방해되지 않으면서 밀폐력이 충분 할정도로 상승시킨다.
상기와 같이 승하강본체 상승에 따라 탄성접촉부가 탄성적으로 밀착되게 되면, 상부공간을 통한 측방향의 공기흐름 또는 레일(800)과 레일(800)을 타고 넘어오는 공기흐름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승하강본체 상승에 따라 승하강본체와 수납부 및 지지부 하부를 통해 측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 및 벌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막이(25)의 체결돌기(251)을 지지부(22)의 길이방향쪽(레일방향)의 전면 및 후면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체결홈(252)에 끼워 공간부를 차단하여 기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승하강 풍지판이 설치되면 좌우창짝(600)이 닫힌상태에서는 실외의 공기와 실내공기간의 흐름이 차단되고, 벌레의 이동이 차단되어 기밀력과 단열력이 증진되고, 해충으로부터의 피해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고정부 (2) : 가변밀폐부
(11) : 수납부 (12) : 고정지지부
(13) : 높이조절수단 (21) : 경사가이드부
(22) : 승하강본체 (23) : 지지부
(24) : 탄성접촉부 (25) : 바람막이
(111) : 수직장공부 (112) : 너트부
(121) : 홀 (131) : 경사부
(211) : 가이드핀 (221) : 홀
(222) : 가이드턱 (231) : 가이드홈
(232) : 걸림홈 (233) : 체결홈
(241) : 중공부 (242) : 걸림돌기
(251) : 체결돌기 (252) : 요철부
(500) : 창틀 (600) : 창짝
(800) : 레일

Claims (7)

  1. 중앙에 형성된 수납부와, 수납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어 창틀에 체결되는 고정지지부와, 수납부의 일측면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전ㅇ후진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수납부에 수납되어 높이조절수단의 전후진시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경사가이드부와, 경사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본체와, 승하강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탄성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 상부쪽에 끼워져 이웃하는 창짝간의 하부면(또는 상부면)과 밀착되어 수직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는 탄성접촉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결합되어 수평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는 바람막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변밀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가변밀폐부의 수직방향 승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수직 장공부가 형성되어 경사가이드부의 가이드핀이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설치되고, 수납부의 전면에는 홀과 너트로 이루어진 너트부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된 높이조절수단이 전후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끝단부는 경사부로 가공되어 전후진시 접촉된 경사가이드부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본체는 전후방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는 경사가이드부의 가이드핀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부는 지지부의 가이드홈이 결합되도록 가이드턱이 전방 및 후방쪽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부에 승하강본체의 가이드턱이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가이드홈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탄성접촉부의 걸림부가 착탈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전면 및 후면에는 바람막이가 끼움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부는 좌우 창짝면과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탄성력 및 단열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고,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승하강본체의 높이 변화에 따른 수평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된 체결홈과 끼움결합되고, 요철부가 형성된 하부는 절곡되어 창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KR1020150042442A 2015-03-26 2015-03-26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KR101526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42A KR101526177B1 (ko) 2015-03-26 2015-03-26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42A KR101526177B1 (ko) 2015-03-26 2015-03-26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177B1 true KR101526177B1 (ko) 2015-06-05

Family

ID=5350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442A KR101526177B1 (ko) 2015-03-26 2015-03-26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1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830B1 (ko) 2015-06-15 2015-09-03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KR20190038131A (ko) * 2017-09-29 2019-04-08 신석열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KR102135115B1 (ko) * 2019-11-19 2020-07-17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창짝 이탈 방지 고기밀 창호
KR20210020986A (ko) 2021-02-18 2021-02-24 (주)엘지하우시스 여밈대의 기밀성능이 향상된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3055A (ko) * 2013-05-09 2014-11-19 윤명필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KR20150006589A (ko) * 2013-07-09 2015-01-19 한승관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JP2015031150A (ja) * 2013-08-02 2015-02-16 チャ キョンイクCHA,Kyung Ik 窓扉用防風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窓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3055A (ko) * 2013-05-09 2014-11-19 윤명필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KR20150006589A (ko) * 2013-07-09 2015-01-19 한승관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JP2015031150A (ja) * 2013-08-02 2015-02-16 チャ キョンイクCHA,Kyung Ik 窓扉用防風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窓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830B1 (ko) 2015-06-15 2015-09-03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KR20190038131A (ko) * 2017-09-29 2019-04-08 신석열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KR101987845B1 (ko) 2017-09-29 2019-06-11 신석열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KR102135115B1 (ko) * 2019-11-19 2020-07-17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창짝 이탈 방지 고기밀 창호
KR20210020986A (ko) 2021-02-18 2021-02-24 (주)엘지하우시스 여밈대의 기밀성능이 향상된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318B1 (ko)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101526177B1 (ko)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KR101760719B1 (ko) 탄성 풍지 구조와 다중 단열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KR101549830B1 (ko) 창호용 높이 조절형 탄성 풍지판
KR101556582B1 (ko) 풍지판을 구비한 학교용 미서기 창
KR101342062B1 (ko) 기밀성 슬라이딩 창호
CN101899937B (zh) 一种铝合金提升推拉节能门系统
KR101427053B1 (ko) 창호용 방풍 방음체
KR101621462B1 (ko) 크리센트를 이용한 기밀수단을 갖는 미서기창
KR101468686B1 (ko)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학교용 미서기 창
CN201155269Y (zh) 一种自带隐形纱窗的高密封性推拉窗
KR102242701B1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KR101468682B1 (ko) 협소한 시공 구조 여건에서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입면 분할 창호
KR101468678B1 (ko)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창호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CN207538677U (zh) 一种具有防坠功能的推拉窗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CN207538685U (zh) 一种门窗通用型框料
JP4495131B2 (ja) サッシ窓
KR20190071306A (ko) 창호 시스템
KR101597518B1 (ko) 안전창의 상하 승강식 풍지판 장치
KR20230062188A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101549833B1 (ko) 창호용 탄성 풍지판
KR200473839Y1 (ko) 창틀용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