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131A -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 Google Patents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131A
KR20190038131A KR1020170128200A KR20170128200A KR20190038131A KR 20190038131 A KR20190038131 A KR 20190038131A KR 1020170128200 A KR1020170128200 A KR 1020170128200A KR 20170128200 A KR20170128200 A KR 20170128200A KR 20190038131 A KR20190038131 A KR 20190038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topper
windshield
rail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845B1 (ko
Inventor
신석열
Original Assignee
신석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열 filed Critical 신석열
Priority to KR1020170128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8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8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틀의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외측 창문과 창틀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줌과 아울러 실내측 창문을 완전히 개방했을 때 잠금장치(크리센트라고도 함)가 창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WINDSHIELD STOPPER FOR WINDOW}
본 발명은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틀의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외측 창문과 창틀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줌과 아울러 실내측 창문을 완전히 개방했을 때 잠금장치(크리센트라고도 함)가 창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창호는 창틀 내부의 레일에 적어도 한 쌍의 창문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창문이 중첩되는 여밈대 부위에는 창문의 개폐를 제한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창문 중 실내측 창문의 여밈대부에 잠금장치가 설치되고, 이 잠금장치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실외측 창짝의 여밈대부에는 브라켓이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창호는 실내측 창문의 개방 시 일측에 구비된 잠금장치가 창틀프레임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그 충격에 의해 잠금장치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실내측 창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레일의 일측 단부에는 잠금장치가 창틀프레임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창호용 스토퍼가 설치된다.
국내 특허 공개 2017-0099474호 공보에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가 개시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는 창틀프레임의 레일 상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개방되는 창문이 창틀프레임의 내주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해주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에 있어서, 결합홈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결합홈 내에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레일 상에 끼움 결합 시 레일 외주면에 가압되는 복수 개의 고정편이 구비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간단하게 레일에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창틀과 창문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어 겨울철에는 이 틈새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경우 실내의 난방효율을 저감시키게 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측 창문의 완전 개방 시 잠금장치가 창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창틀과 창문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줄 수 있는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는 틀과 실내 창문의 좌측단부 사이의 상, 하부 레일 중 하나 이상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로서: 하부에는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 홈부가 형성되고, 정면 상부에는 상기 실내 창문의 완전 개방 시 잠금장치가 창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리미트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 홈부 좌측에는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 본체; 상기 스토퍼 본체의 수납홈에 삽입 및 분리되며 후방부에는 밀리도록 스프링력이 작용하며 분리시 실외측 창문과 창틀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삽입되며, 상부 일측에는 록킹홈이 형성되는 밀착부; 및 상기 스토퍼 본체의 레일 홈부 좌측에 형성된 상, 하 이동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록킹홈에 삽입 및 분리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후방부에는 상기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부는 스티렌, 부타디엔, 니트릴 및 부틸고무중 어느 하나를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모헤어, 캐시미어, 낙타모, 알파카 및 토끼털중 어느 하나를 재질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에 의하면, 하부에는 레일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 홈부가 형성되고, 정면 상부에는 실내 창문의 완전 개방 시 잠금장치가 창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리미트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레일 홈부 좌측에는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 본체; 스토퍼 본체의 수납홈에 삽입 및 분리되며 후방부에는 밀리도록 스프링력이 작용하며 분리시 실외측 창문과 창틀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삽입되며, 상부 일측에는 록킹홈이 형성되는 밀착부; 및 스토퍼 본체의 레일 홈부 좌측에 형성된 상, 하 이동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록킹홈에 삽입 및 분리되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실내측 창문의 완전 개방 시 잠금장치가 창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창틀과 창문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에 의하면, 밀착부의 후방부에는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 즉 록킹부를 위로 이동시켜주면 밀착부가 분리되면서 스프링부의 스프링력에 의해 전진하여 창틀과 창문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는 구조를 채택하였으므로, 종래에 스토퍼 본체에 있는 조절나사를 통해 밀착부의 전진과 후진을 조절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 없으며, 스프링부에 의해 밀착부의 전, 후진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밀착부가 창틀과 창문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자동으로 막아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밀착부가 스토퍼 본체의 수납홈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밀착부가 스토퍼 본체의 수납홈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가 창틀의 하부레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가 창틀의 상, 하부 레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밀착부가 스토퍼 본체의 수납홈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밀착부가 스토퍼 본체의 수납홈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가 창틀의 하부레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가 창틀의 상, 하부 레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과 실내 창문(W1)의 좌측단부 사이의 상, 하부 레일(R1, R2) 중 하나 이상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도 2는 하부 레일(R1)에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가 설치된 도면이며, 도 3은 상, 하부 레일(R2, R1)에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가 설치된 도면이다]. 여기서, 상, 하부 레일(R2, R1)에 설치되는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는 동일한 구조를 이루며, 스토퍼 본체(100), 밀착부(200) 및 록킹부(30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가 하부 레일(R1)에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스토퍼 본체(100)는 하부에는 창틀과 실내 창문(W1)의 좌측단부 사이의 하부 레일(R1)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 홈부(E)가 형성되고, 정면 상부에는 실내 창문(W1)의 완전 개방 시 잠금장치(H)가 창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리미트부(110)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레일 홈부(E) 좌측에는 밀착부(200)를 수납하도록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수납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일 홈부(E)는 정면에서 볼 때 가운데 부분이 위로 올라가 있으며, 좌측이 우측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있어 하부 레일(R1)이 삽입될 때 좌측이 우측에 비해 좀 더 깊게 삽입되게 된다. 또한, 스토퍼 본체(100)의 수납홈(120)의 상부에는 록킹부(300)가 삽입되어 상, 하 이동할 수 있게 상, 하 이동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리미트부(110)는 스티렌, 부타디엔, 니트릴 및 부틸고무와 같은 합성 고무를 재질로 하므로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하다.
밀착부(200)는 스토퍼 본체(100)의 수납홈(120)에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밀착부(200)의 후방부에는 밀착부(200)를 미는 스프링력을 작용하는 스프링부(220)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밀착부(200)는 수납홈(120)으로부터 분리될 때 실외측 창문(W2)과 창틀 사이에 형성된 틈새(G)에 삽입된다. 밀착부(200)의 상부 일측에는 록킹부(300)가 삽입될 수 있는 록킹홈(210)이 형성된다. 밀착부(200)는 모헤어, 캐시미어, 낙타모, 알파카 및 토끼털을 재질로 하였으나, 충격을 흡수하며 슬라이딩 가능한 재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스프링부(220)는 판스프링을 사용했으나 코일 스프링 등 다른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록킹부(300)는 스토퍼 본체(100)의 레일 홈부(E) 좌측에 형성된 상, 하 이동홈(3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밀착부(200)의 록킹홈(210)에 삽입 및 분리됨으로써 밀착부(200)의 수납홈(120)에 대한 삽입 및 분리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 하 이동홈(320)과 록킹홈(210)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있으므로 록킹부(300)가 상, 하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를 창틀의 상, 하부 레일(R2, R1)에 설치한다.
이어서, 록킹부(300)를 위로 이동시키게 되면 밀착부(200)가 록킹부(300)로부터 분리되면서 스프링부(S)의 스프링력에 의해 창틀과 실외 창문(W2)에 형성된 틈새(G)를 막아주게 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바람이 차단된다. 여기서 밀착부(200)는 스프링부(S)에 의해 밀리는 구조이므로 틈새(G)에 자동으로 밀착되게 되어, 종래의 바람막이 스토퍼와 같이 조절나사의 조작에 의해 밀착부의 전, 후진을 조작하는 복잡한 과정은 불필요하다.
이후, 실내측 창문(W1)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완전 개방하면 잠금장치(H)도 이동하게 되고 창틀의 내주면에 접촉하기 전에 리미트부(110)가 창틀에 먼저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잠금장치(H)의 창틀 접촉에 의해 파손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에 의하면, 하부에는 레일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 홈부가 형성되고, 정면 상부에는 실내 창문의 완전 개방 시 잠금장치가 창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리미트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레일 홈부 좌측에는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 본체; 스토퍼 본체의 수납홈에 삽입 및 분리되며 후방부에는 밀리도록 스프링력이 작용하며 분리시 실외측 창문과 창틀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삽입되며, 상부 일측에는 록킹홈이 형성되는 밀착부; 및 스토퍼 본체의 레일 홈부 좌측에 형성된 상, 하 이동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록킹홈에 삽입 및 분리되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실내측 창문의 완전 개방 시 잠금장치가 창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창틀과 창문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에 의하면, 밀착부의 후방부에는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 즉 록킹부를 위로 이동시켜주면 밀착부가 분리되면서 스프링부의 스프링력에 의해 전진하여 창틀과 창문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는 구조를 채택하였으므로, 종래에 스토퍼 본체에 있는 조절나사를 통해 밀착부의 전진과 후진을 조절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 없으며, 스프링부에 의해 밀착부의 전, 후진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밀착부가 창틀과 창문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자동으로 막아줄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스토퍼 본체
110: 리미트부
120: 수납홈
200: 밀착부
210: 록킹홈
300: 록킹부
320: 상, 하 이동홈
E: 레일 홈부
S: 스프링부
G: 틈새
R1: 하부 레일
R2: 상부 레일
W1: 실내 창문
W2: 실외 창문

Claims (5)

  1. 창틀과 실내 창문의 좌측단부 사이의 상, 하부 레일(R1, R2) 중 하나 이상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로서:
    하부에는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 홈부(E)가 형성되고, 정면 상부에는 상기 실내 창문의 완전 개방 시 잠금장치가 창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리미트부(110)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 홈부 좌측에는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수납홈(120)이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 본체(100);
    상기 스토퍼 본체(100)의 수납홈(120)에 삽입 및 분리되며 후방부에는 밀리도록 스프링력이 작용하며 분리시 실외측 창문과 창틀 사이에 형성된 틈새(G)에 삽입되며, 상부 일측에는 록킹홈(210)이 형성되는 밀착부(200); 및
    상기 스토퍼 본체(100)의 레일 홈부(E) 좌측에 형성된 상, 하 이동홈(320)에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록킹홈(210)에 삽입 및 분리되는 록킹부(300)를 포함하는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200)의 후방부에는 상기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S)가 장착되어 있는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220)는 판스프링인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부는 스티렌, 부타디엔, 니트릴 및 부틸고무중 어느 하나를 재질로 하는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모헤어, 캐시미어, 낙타모, 알파카 및 토끼털중 어느 하나를 재질로 하는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KR1020170128200A 2017-09-29 2017-09-29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KR101987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200A KR101987845B1 (ko) 2017-09-29 2017-09-29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200A KR101987845B1 (ko) 2017-09-29 2017-09-29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131A true KR20190038131A (ko) 2019-04-08
KR101987845B1 KR101987845B1 (ko) 2019-06-11

Family

ID=6616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200A KR101987845B1 (ko) 2017-09-29 2017-09-29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8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490B1 (ko) 2019-08-29 2021-05-04 황병천 창문 스토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399Y1 (ko) * 1993-12-30 1997-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서기 창호용 스톱퍼
KR101499460B1 (ko) * 2014-04-02 2015-03-06 주식회사 알프 창호용 측면 풍지판
KR101526177B1 (ko) * 2015-03-26 2015-06-05 주식회사 알프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KR101682827B1 (ko) * 2015-09-07 2016-12-12 김성욱 미닫이문 스토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399Y1 (ko) * 1993-12-30 1997-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서기 창호용 스톱퍼
KR101499460B1 (ko) * 2014-04-02 2015-03-06 주식회사 알프 창호용 측면 풍지판
KR101526177B1 (ko) * 2015-03-26 2015-06-05 주식회사 알프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KR101682827B1 (ko) * 2015-09-07 2016-12-12 김성욱 미닫이문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845B1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618B2 (en) Door for vehicle having a door glass with projecting portions
US9254733B2 (en) Automotive glass channel and method
US2933784A (en) Weather seal structure
KR101987845B1 (ko)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US9073415B2 (en) Sunshade device
KR101310495B1 (ko) 창호용 호차
KR100802705B1 (ko) 차량의 도어 아웃터 벨트 웨더스트립 장착구조
KR101989857B1 (ko)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프 및 레일 수직 끼움 구조와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KR101496233B1 (ko) 창호용 호차
KR20130091433A (ko) 자석부재가 구비된 창호
KR200487614Y1 (ko) 방풍모의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문틀용 방풍구
KR20170032562A (ko) 도어커튼의 세이드바 구조
KR20190068783A (ko) 기밀커버
KR20090058251A (ko) 차량용 오버슬램범퍼
KR20140133158A (ko) 착탈식 단열보강부재를 구비한 창호
US11959329B2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elastic gasket attached and installed as sealing member to glass-supporting insulation bracket in sliding window having two-side supporting frame window chassis
KR101846862B1 (ko) 차량용 도어 글라스 찬넬
KR200432758Y1 (ko) 개폐용 샤시 프레임의 완충구조
KR102085776B1 (ko) 창호의 레일 설치용 기밀부재
KR102249760B1 (ko) 차량의 도어 웨더스트립
KR20170034462A (ko) 측면끼움식 탄력성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문틀
WO2015084283A1 (en) A glass channel
KR200158553Y1 (ko) 테일게이트의 댐핑 유동방지장치
JP6134150B2 (ja) 引戸装置
KR20140075335A (ko)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