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399Y1 - 미서기 창호용 스톱퍼 - Google Patents

미서기 창호용 스톱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399Y1
KR970003399Y1 KR2019930030879U KR930030879U KR970003399Y1 KR 970003399 Y1 KR970003399 Y1 KR 970003399Y1 KR 2019930030879 U KR2019930030879 U KR 2019930030879U KR 930030879 U KR930030879 U KR 930030879U KR 970003399 Y1 KR970003399 Y1 KR 9700033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window
rail
cree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195U (ko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19930030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399Y1/ko
Publication of KR950019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1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3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미서기 창호용 스톱퍼
제1도는 일반적인 미서기 창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일반적인 미서기 창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미서기 창호의 창틀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스톱퍼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제7도는 다른 실시예의 설치 상태사시도.
본 고안은 창문의 개폐동작시 창문과 창틀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창문이 창틀의 일정거리에서 멈출수 있게 함으로써 창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스톱퍼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톱퍼에 배수홀을 형성하여 창틀내에 담수되는 빗물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창호 구조를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3도에서와 같이 길이재인 창틀(20) 상면 양측에 측벽(201)(203)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측벽(201)(203)중앙에 중간벽(202)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벽(202)과 각 측벽(201)(203)의 사이에 한쌍의 창문(10) 롤러(102)가 슬라이딩 되는 레일(30)을 삽입설치하되 상기 레일(30)은 상면에 원호형돌출부(301)구비하고, 양측단은 창틀의 길이보다 짧게 절단 삽입시켜 레일(30)의 양측단에 배수유공간(300)을 갖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창문(10)일측에는 창문을 잠글수 있는 크리센터(110)가 설치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창호구조는 창문(10)의 개폐동작시 창문(10) 하부 찬짝(101)에 설치된 롤러(102)가 창틀(20)의 벽(201)(202)(203)내에 삽입된 레일(30)을 따라 개폐 동작되며 창문(10) 측벽(101a)이 창틀(20)의 측벽(20a)에 부딪치어 동작을 멈추게 되기 때문에 창문의 측벽(101a)에 설치된 크리센터(110)가 창틀(20) 측벽(20a)에 강하게 부딪치게 되어 창틀(20) 및 크리센터(110)의 잦은 파손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우천시 상기 중간벽(202)과 측벽(201)(203) 내의 레일(30)상에 담수된 빗물은 레일(30)의 양측단에 형성된 배수여유공간(300)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빗물은 중간벽(202)과 일측벽 즉 건물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벽(203)에 형성된 배수공(20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게 되나 상기 배수여유공간(300)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이름에 따라 배수여유공간(300)내로 먼지 또는 기타 이물질등이 침투 적층되어 배수여유공간이 막히게 되고, 이에 의해 레일상의 담수된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벽과 벽지등을 회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 창문에 설치되고, 크리센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배수여유공간내로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하여 우천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서기 창호의 스톱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창문의 개폐동작시 창문의 측벽이 접촉되는 스톱퍼의 양측면 하단에 배수여유공간 내로의 이물질침투를 방지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면에 레일상의 빗물을 배수여유공간내로 유입시키는 배수롤을 형성한 것에 있다.
이화 본 고안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스톱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의 측벽(101a)이 접촉되며, 창틀(20) 측벽(20a)과 일정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톱퍼(40)와 상기 스톱퍼(40)의 전면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공(404)을 구비하며, 상기 스톱퍼(40)의 하부면에 레일(30)의 돌출부(301)가 삽입되는 홈부(401)와 상기 스톱퍼(40)의 양측면 하부 각각에 상기 레일(30)의 양측단에 형성된 배수여유공간(300)을 덮는 커버(402)와 상기 각가 커버(402)의 하부면에 레일상의 빗물을 상기 배수여유공간(300)내로 배출시키는 배수로(403)이 형성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창틀(20)의 중간벽(202)과 양특벽(201)(203)의 사이에 설치된 각각의 레일(30) 양측단의 배수여유공간(300)상에 스톱퍼(40) 양측하단에 형성된 커버(402)가 위치되게 하고, 상기 스톱퍼(40) 하단의 홈부(401)내로는 레일(30)의 중심에 형성된 돌출부(301)가 삽입되도록 설치한다.
이어 스톱퍼(40)의 후방면이 창틀(20)의 측벽(20a)내측에 밀착되게 삽입시킨 다음 스톱퍼(40) 전면에 형성된 체결공(404)내로 체결부재를 삽입시켜 스톱퍼(40)를 창틀측벽(20a)에 고정설치한다.
이때, 상기 스톱퍼(40)의 양측 하단의 커버(402)는 배수여유공간(300)의 상부를 막아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게 되고, 스톱퍼(40) 하부의 홈부(401)는 레일(30)의 돌출부(301)를 감싸도록 설치 되는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은 창문(10)의 개폐이동시 창문의 측벽(101) 하단이 스톱퍼(40)의 선단에 먼저 접촉되어 이동 동작을 멈추게 되어 크리센터(110)가 창틀(20) 측벽(20a)과 접촉되지 않아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우천시에는 레일(30)상면에 담수된 빗물이 스톱퍼(40)의 커버(402) 하부에 형성된 배수홀(403)을 통해 배수여유공간(300)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빗물은 중간벽(202)과 외측벽(203)에 형성된 배수공(20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톱퍼(40)일측의 커버(402)에 크리센서(110)가 설치된 창문(101a)을 멈추게 하는 크리센터 스톱퍼(50)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크리센터 스톱퍼(50)의 전면(501)이 상기 스톱퍼(40)의 전면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전면(501)에는 레일(30)의 돌출부(301)가 삽입되는 배수홀(502)을 구비하며, 이의 일측에는 창틀(20)의 중간벽(202)에 삽입되는 결합홈(50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503)측의 측벽은 개방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커버(402)와 접합되는 크리센터 스톱퍼(50) 상면에 측면 창틀(20a)의 중간벽(202a)이 삽입되는 결합홈(504)이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도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레일(30)이 삽입설치된 중간벽(202)과 각측벽(201)(203)의 사이로 스톱퍼(40)와 크리센터 스톱퍼(50)를 삽입설치한다.
이때 상기 크리센터 스톱퍼(50)는 창틀(20)의 내측 즉 크리센터(101)가 설치된 창짝(101)이 삽입되는 중간벽(202)과 측벽(201) 사이에 설치하며 크리센터 스톱퍼(50)의 전면(501)에 형성된 배수홀(502)내로는 레일(30)의 돌출부(301)가 삽입되고, 결합홈(503)내로는 중간벽(202)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크리센터 스톱퍼(50)의 일측면은 개방되어 중간벽(202)에 형성된 배수공(204)에 간섭되지 않게되며 레일(30) 양측단의 배수여유공간(300)을 덮는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504)내로는 측면 창틀(20a)의 주간벽(202a)이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로써 결합설치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톱퍼(40)와 일체로 형성된 크리센터 스톱퍼(50)는 상기 스톱퍼(40)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크리센터(110)가 돌출 형성된 창짝(101a)을 창틀 측벽(20a)로부터 보다 먼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며 우천시 레일(30)상에 담수된 빗물은 크리센터(50) 전면에 형성된 배수홀(502)이 상기 레일의 돌출부(301) 보다 크게 형성되으로써, 배수홀(502)로 유입되어 배수여유공간(300)과 중간벽(202)에 형성된 배수공(204) 및 외측벽(203)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스톱퍼에 의하면, 창문의 개폐동작시 창문 측벽과 창틀 측벽과의 심한 충돌에 의한 크리센터 및 창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수공간내로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며 배수홀을 통해 레일상에 담수되는 빗물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빗물의 실내 침투에 의한 벽체 및 벽지의 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창문 측벽과 창틀 측벽과의 사이를 이격 유지시키는 스톱퍼(40)와 상기 스톱퍼(40)의 하부면에 레일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401)와 상기 스톱퍼(40)의 양측면 하부 각각에 배수여유공간을 덥는 커버(402)와 상기 각각의 커버(402) 하면에 레일상에 담수된 빗물을 배수여유공간내로 배출시키는 배수롤(40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용 스톱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40) 일측의 커버(402)에 크리센터(110)가 설치된 창문(101a)을 멈추게 하는 크리센터 스톱퍼(50)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크리센터 스톱퍼(50)의 전면(501)이 상기 스톱퍼(40)의 전면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전면(501)에는 레일(30)의 돌출부(301)가 삽입되는 배수홀(502)을 구비하며, 이의 일측에는 창틀(20)의 중간벽(202)에 삽입되는 결합홈(50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503)측의 측벽은 개방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커버(402)와 접하는 크리센터 스톱퍼(50) 상면에 측면 창틀(20a)의 중간벽(202a)이 삽입되는 결합홈(504)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용 스톱퍼.
KR2019930030879U 1993-12-30 1993-12-30 미서기 창호용 스톱퍼 KR9700033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879U KR970003399Y1 (ko) 1993-12-30 1993-12-30 미서기 창호용 스톱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879U KR970003399Y1 (ko) 1993-12-30 1993-12-30 미서기 창호용 스톱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195U KR950019195U (ko) 1995-07-24
KR970003399Y1 true KR970003399Y1 (ko) 1997-04-16

Family

ID=1937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879U KR970003399Y1 (ko) 1993-12-30 1993-12-30 미서기 창호용 스톱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3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131A (ko) * 2017-09-29 2019-04-08 신석열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131A (ko) * 2017-09-29 2019-04-08 신석열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195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7279A (en) Self draining door threshold
US6789359B2 (en) Weeped end plug for sill assembly
US3503169A (en) Self-draining window sill
US5018307A (en) Self-draining threshold for an out-swinging door
US9562387B2 (en) Door bottom system for an entryway system
US5341600A (en) Sliding door sill construction
KR920010267B1 (ko) 창 틀
US4125141A (en) Self draining frame structure
US6588154B1 (en) Swing in security and escape window
JPH04254684A (ja) 扉体の下部封鎖枠
KR970003399Y1 (ko) 미서기 창호용 스톱퍼
GB2121465A (en) Door sill
US3091008A (en) Weep hole construction for windows and the like
EP1647660B1 (en) Patio door structure
JP3664637B2 (ja) サッシュ構造
JP4600157B2 (ja) サッシの排水具
GB2461519A (en) Check arm with flow restrictor
JPH05214880A (ja) 引戸の下枠部構造
KR20190062810A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가스켓 조립구조
KR200209404Y1 (ko) 건축물의 창틀 및 창문틀 구조
JP2534625Y2 (ja) 引違い窓における排水装置
JPS5829270Y2 (ja) アルミニウムサツシの引戸の召合せ框下方部の風止片
JP2825737B2 (ja) 親子扉の枠体
GB2049770A (en) Sills
KR200279160Y1 (ko) 창호골재의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