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160Y1 - 창호골재의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창호골재의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160Y1
KR200279160Y1 KR2020020007278U KR20020007278U KR200279160Y1 KR 200279160 Y1 KR200279160 Y1 KR 200279160Y1 KR 2020020007278 U KR2020020007278 U KR 2020020007278U KR 20020007278 U KR20020007278 U KR 20020007278U KR 200279160 Y1 KR200279160 Y1 KR 200279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ggregate
water
guide
drainag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기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기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기린산업
Priority to KR2020020007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1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160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골재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 또는 결로수 등이 상부로 부터 창호골재에 흘러내리더라도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구조를 구비함으로서 물이 상부면에 고여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인해 실내측으로 물이 누수되지 않게 됨으로서 주거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창호골재는, 건축물의 실내를 실외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크기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통상의 창호골재에 있어서: 상기 창호골재(1)는 상부면에 고여진 물을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2,2')과, 상기 안내공(2,2')을 통해 내부로 안내되어진 물을 실외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출공(3,3')이 각각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골재의 배수구조{DRAING STRUCTURE OF WINDOW FRAME}
본 고안은 창호골재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패널 상부로 부터 창호골재 내부로 유입되어진 유입수나 실내외 간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한 결로수(結露水)가 고이지 않고 효과적으로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패널과 결합되어지는 창호골재의 경우 패널과의 결합시 내부로 우수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측에 우수 침입방지용 턱을 만들어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패널 상부에서 내부로 침입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고여 창문을 통한 누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외 온도 차이가 현격한 겨울철에는 실내쪽 유리에 결로수가 생겨 유리를 타고 흘러 내려와 창호골재의 내부로 침입하게 됨으로서 누수가 되고, 누수된 물이 실내로 흘러 내려오게 됨으로서 거주자가 이를 수시로 닦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상부로 부터 흘러내려 고여진 물을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구조를 창호골재에 구비함으로서 실내측으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거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고정식 창호골재의 하틀 절단 사시도.
도 2는 상기 창호골재가 벽체패널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창호골재의 벽체패널에 설치된 상태의 상틀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 슬라이딩식 창호골재가 벽체패널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호골재 2, 2': 안내공
3, 3': 배출공 4, 4': 안내판
5 : 물끊기돌기
상기 목적은, 건축물의 실내를 실외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크기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통상의 창호골재에 있어서: 상기 창호골재는 상부면에 고여진 물을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을 통해 내부로 안내되어진 물을 실외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출공이 각각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의 배수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창호골재의 하틀구조 및 설치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이러한 고정식 창호골재 상틀의 설치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식 창호골재 하틀의 설치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창문이 고정되어지게 되는 고정식 창호골재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창호골재(1)의 하틀은 도 1의 사시도 및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상이고 상틀은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상으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지게 되는데, 각각의 상부면(a,b)에는 다수의 안내공(2,2')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외측면에는 다수의 배출공(3,3')이 역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서 창호골재(1)의 상부에 고여진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창호골재(1)의 내부공간에는 경사면을 이루는 안내판(4,4')이 일체로 구비되어져 있음으로 인해 상기 배출공(3,3') 측으로 물의 흐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창호의 강도 보강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으며, 미설명 부호 5는 배출되어진 물이 창틀을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끊기돌기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골재(1)에 창짝(7)과 함께 창문유리(6)가 고정되어진 상태에서 상,하부 벽체패널(8,8')과 결합되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창호골재 하틀의 경우 실내외 간의 온도차로 인해 생성되어진 결로수 등이 창문유리(6)를 따라 흘러내려지더라도 상부면(a)에서 안내공(2)을 통해 창호골재(1)의 내부로 유입되어진 후 측면 배출공(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짐으로서 결로수가 고임으로 인한 누수가 방지되어지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어져 있는 창호골재(1) 상틀의 경우 역시 벽체패널(8')을 통해 창호골재(1)의 상부면(b)으로 우수가 유입되어지더라도 안내공(2')을 통해 골재내부로 유입되어진 후 안내판(4')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공(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창문(16)과 창짝(17)의 하부에 이동로울러(19)가 장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창문의 개폐가 가능한 창호골재(10)의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체결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에도 역시 골재의 상부면으로 유입된 우수 또는 결로수가 안내공(12)과 안내판(14)을 따라 배출공(13)으로 배출되어짐으로서 실내측으로의 누수가 방지되어지며, 배출되어진 물은 물끊기 돌기(15)를 따라 낙하되어짐으로서 벽체패널(18)을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창호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은, 우수 또는 결로수 등이 상부로 부터 창호골재에 흘러내리더라도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구조를 구비함으로서 물이 상부면에 고여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인해 실내측으로 물이 누수되지 않게 됨으로서 주거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게된다.

Claims (2)

  1. 건축물의 실내를 실외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크기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통상의 창호골재에 있어서:
    상기 창호골재(1)는 상부면에 고여진 물을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2,2')과, 상기 안내공(2,2')을 통해 내부로 안내되어진 물을 실외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출공(3,3')이 각각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의 배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호골재(1)의 내부에는 안내공(2,2')을 통해 유입된 물이 배출공(3,3') 측으로 원활하게 흘러나갈 수 있도록 안내함과 함꼐 전체적인 강도보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내판(4,4')이 소정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며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의 배수구조.
KR2020020007278U 2002-03-12 2002-03-12 창호골재의 배수구조 KR200279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78U KR200279160Y1 (ko) 2002-03-12 2002-03-12 창호골재의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78U KR200279160Y1 (ko) 2002-03-12 2002-03-12 창호골재의 배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160Y1 true KR200279160Y1 (ko) 2002-06-22

Family

ID=7311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278U KR200279160Y1 (ko) 2002-03-12 2002-03-12 창호골재의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1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513B1 (ko) * 2007-01-16 2008-10-20 (주) 대동종합건설 누수방지를 위한 창호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513B1 (ko) * 2007-01-16 2008-10-20 (주) 대동종합건설 누수방지를 위한 창호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33789B2 (en) Self-draining threshold for an out-swinging door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EP1214493A4 (en) SLIDING DOOR AND WINDOW SYSTEM FOR FILLING A RAIL
CN209384853U (zh) 一种严密的推拉窗
JP2007170142A (ja) サッシ窓
KR200279160Y1 (ko) 창호골재의 배수구조
KR200350062Y1 (ko) 창틀의 배수장치
KR102120158B1 (ko)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을 차단할 수 있는 창틀프레임의 방풍 및 배수구조
JP4686376B2 (ja) 建具
KR100710403B1 (ko) 플랫 새시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CN202202701U (zh) 一种设置排水孔的下窗扇型材
KR100493897B1 (ko) 무레일형 창호장치
KR200417841Y1 (ko) 창문용 빗물 차단장치
JP4172785B2 (ja) サッシ下枠の排水構造
CN221096287U (zh) 一种推拉窗结构
AU771413B2 (en) Window assembly
JPH0116876Y2 (ko)
KR102655569B1 (ko) 기밀성과 방풍기능 향상 및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창틀하부프레임 구조
KR20040103290A (ko) 방음 및 빗물 침투 방지창
CN216714265U (zh) 一种带有下沉式排水沟槽的外平开门
KR200309088Y1 (ko) 창문의 기밀 구조
CN215520573U (zh) 一种推拉门窗
JPH10169330A (ja) 引違い窓の下枠水密装置
KR200309086Y1 (ko) 창틀용 배수구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