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062Y1 - 창틀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창틀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062Y1
KR200350062Y1 KR20-2003-0027209U KR20030027209U KR200350062Y1 KR 200350062 Y1 KR200350062 Y1 KR 200350062Y1 KR 20030027209 U KR20030027209 U KR 20030027209U KR 200350062 Y1 KR200350062 Y1 KR 200350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drainage
discharge pipe
window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이
Original Assignee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7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0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창틀의 배수장치는 창틀의 외부창짝, 내부창짝, 방충망레일에 일직선상으로 배수구가 형성되며, 일직선상의 배수구를 통해 배수구에 대응하는 단면을 구비한 배출관이 끼워져, 창틀 내측의 물이 배출관을 통해 방충망레일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틀의 배수장치 {Drainage of window frame}
본 고안은 창틀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직선상에 형성된 창틀의 배수구에 배출관을 끼워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며, 도어와 커버를 형성하여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창틀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창틀의 배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창틀(10)의 구조를 살펴보면, 내측 창짝이놓여져 이동되는 내측 창짝 레일(11)과 외측 창짝이 놓여져 이동되는 외측 창짝 레일(12)이 설치되고, 외측 창짝 레일(12)의 외측으로 방충망을 설치하기 위한 방충망 레일(13)이 설치된다.
창틀(10)은 외부에 노출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에 의한 결로수 발생 또는 빗물의 유입 등으로 인하여 창틀(10)에 물이 고일 수 있으며, 이러한 물을 배출하기 위해 내측 창짝 레일(11)과 외측 창짝 레일(12) 및 방충망 레일(13)에 배수구(14, 15, 16)를 형성한다.
창틀(10)에 고인 물은 내측 및 외측 창짝 레일(11, 12)에 형성된 배수구(14, 15)를 따라 유동하여 방충망 레일(13)에 형성된 배수구(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배수구(14, 15, 16)는 창틀(10)의 각 레일(11, 12, 14)들의 하부에 개공하여 배수되도록 한 것으로, 강우시 창틀(10)의 내측으로 유입된 빗물에 의해 배수능력이 저하되고, 강우량이 감소하여 창틀 외측과의 수두차가 발생하여야 배수가 되는 구조이다.
특히, 강풍을 동반한 폭우 발생시 강우량의 급증으로 인하여 창의 수밀성이 저하되며, 풍압에 의해 배수구(14, 15, 16)를 통해 빗물이 역류하여 실내로 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창틀(10)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배수구(16)에 특수한 담수용기를 설치하는 방법은 별도의 담수용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배수공으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을 형성하는 방법과 배수구(14, 15, 16)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는 방법은 배수구(14, 15, 16)의 개공 과정을 다수 회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들은 배수구(14, 15, 16)를 통한 빗물의 역류현상은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일직선상에 형성된 창틀의 배수구에 끼워져 창틀에 유입되는 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하며, 물이 배출되는 부위에 도어와 커버를 형성하여 빗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창틀의 배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창틀의 배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의 배수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의 배수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의 배수장치가 적용된 창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의 배수장치가 적용된 창틀의 배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창틀의 외부창짝, 내부창짝, 방충망레일에 일직선상으로 배수구가 형성되며, 일직선상의 배수구를 통해 배수구에 대응하는 단면을 구비한 배출관이 끼워져, 창틀 내측의 물이 배출관을 통해 방충망레일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배수장치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배출관의 소정부위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배출관을 창틀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배출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배출관과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 수문유닛을 더 포함할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수문유닛에 도어가 설치된 부위의 상단에 형성되어 도어를 통해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의 배수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의 배수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의 배수장치가 적용되는 창틀은 외부 창짝 레일과 내부 창짝 레일 및 방충망 레일의 배수구가 일직선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단일공정으로 배수구의 개공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배수장치(100)는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110)과, 배출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문유닛(120)과, 수문유닛(1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커버(130)로 이루어진다.
배출관(110)은 창틀의 배수구에 대응하는 단면을 구비하고, 일직선상에 형성된 다수의 창틀 배수구에 끼워지는 일정길이의 관 형상이며, 창틀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배출관(110)의 소정부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12)가 배출관(11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 창짝 레일 또는 내부 창짝 레일 또는 방충망 레일에 걸려 고정돌기(112)에 의해 배출관(110)이 창틀에 고정된다.
수문유닛(120)은 배출관(110)의 일단에 형성되어 배출관(110)을 따라 유동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으로, 배출구(122)와 도어(124) 및 커버(130)가 형성된다.
배출구(122)는 수문유닛(120)의 일정부위에 배출관(1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배출관(110)을 따라 유동된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도어(124)는 배출관(110)을 통해 유동되는 물에 의해 배출구(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배출구(122)와 대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수압에 의해 도어(124)가 열리면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외부의 바람에 의해 도어(124)가 닫히면 외부의 바람이 차단된다.
커버(130)는 일단이 수문유닛(120)의 도어(124)가 설치된 부위의 상측에 장착되어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도어(124)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호 형상의 커버(130)를 보였으나, ㄱ자 형상 등으로 변형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의 배수장치가 적용된 창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의 배수장치가 적용된 창틀의 배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창틀(200)은 내부 창짝(310)이 놓여지는 내부 창짝 레일(210), 외부 창짝(320)이 놓여지는 외부 창짝 레일(220), 방충망틀(330)이 놓여지는 방충망 레일(230)을 포함한다.
내부 창짝 레일(210), 외부 창짝 레일(220), 방충망 레일(230)에는 일직선상으로 배수구(212, 222, 232)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배수장치(100)가 일직선상에 형성된 배수구(212, 222, 232)에 끼워져 각 레일(210, 220, 230)들과 수직방향을 이루며, 배출관(110)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12)가 방충망 레일(230)에 걸려 배수장치(100)를 창틀(200)에 고정시킨다.
도 4를 참조하여, 배수장치(100)의 배출관(110)은 도면상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창짝 레일(210), 외부 창짝 레일(220), 방충망 레일(230)에 형성된 배수구(212, 222, 232) 모두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창짝 레일(220)과 방충망 레일(230)에 형성된 배수구(222, 232)에만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배수장치(100)에 의해 창틀(200)에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수 등이 창틀(200)에 고이면, 물이 내부 창짝 레일(210)의 배수구(212)의 배출관(110)으로 입수되고, 배출관(110)을 통해 유동되어 수문유닛(120)의 배출구(122)로 배출된다.
배출관(110)과 배출구(122)를 통해 유동되는 물에 의해 도어(124)가 열려 물이 배출된다.
바람이 불 경우에는 풍압에 의해 도어(124)가 닫혀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나, 풍압에 의해 도어(124)가 흔들려 소음이 발생될 수 있고, 도어(124)가 흔들려 발생된 공간을 통해 바람이 유입될 수 있으며, 커버(130)가 이를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하거나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경이나 변형은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 서술되는 실용신안등록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의 배수장치는 기존의 창틀 배수구에 터널식 배수장치를 삽입하여 배수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창틀에 유입된 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창틀의 각 레일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일직선상에 형성하므로, 단일공정으로 다수의 배수구 개공이 가능하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창틀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에 의해 배수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도어와 도어 외측에 장착된 커버에 의해 외부의 바람을 차단시켜 풍압에 의한 빗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강풍이 동반되는 태풍과 집중호우 등으로 인하여 강우량이 급증하였을 경우에 창틀 자체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빗물이 역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창틀의 외부창짝, 내부창짝, 방충망레일에 일직선상으로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일직선상의 배수구를 통해 상기 배수구에 대응하는 단면을 구비한 배출관이 끼워져, 상기 창틀 내측의 물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방충망레일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소정부위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을 상기 창틀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배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 수문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배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유닛에 도어가 설치된 부위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를 통해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배수장치.
KR20-2003-0027209U 2003-08-25 2003-08-25 창틀의 배수장치 KR200350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209U KR200350062Y1 (ko) 2003-08-25 2003-08-25 창틀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209U KR200350062Y1 (ko) 2003-08-25 2003-08-25 창틀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062Y1 true KR200350062Y1 (ko) 2004-05-14

Family

ID=4934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209U KR200350062Y1 (ko) 2003-08-25 2003-08-25 창틀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06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358B1 (ko) * 2009-04-30 2010-01-19 이봉학 창호용 기능성 배출관
KR200465247Y1 (ko) 2010-06-30 2013-02-07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배수장치
KR101379739B1 (ko) * 2012-06-07 2014-03-31 백종원 창틀용 우수 배수 장치
KR101552545B1 (ko) * 2014-02-18 2015-09-14 백종원 건물 외벽 얼룩방지 방충망
CN109322591A (zh) * 2018-11-20 2019-02-12 湖南省金为新材料科技有限公司 防水内开窗
KR20190001732U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틀의 수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틀프레임
KR102670541B1 (ko) * 2021-10-20 2024-05-29 주식회사 윈체 배수부재가 설치된 창틀샤시프레임용 공틀 및 배수부재가 설치된 창틀샤시프레임용 공틀 설치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358B1 (ko) * 2009-04-30 2010-01-19 이봉학 창호용 기능성 배출관
KR200465247Y1 (ko) 2010-06-30 2013-02-07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배수장치
KR101379739B1 (ko) * 2012-06-07 2014-03-31 백종원 창틀용 우수 배수 장치
KR101552545B1 (ko) * 2014-02-18 2015-09-14 백종원 건물 외벽 얼룩방지 방충망
KR20190001732U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틀의 수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틀프레임
KR200490465Y1 (ko) * 2017-12-28 2019-11-18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틀의 수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틀프레임
CN109322591A (zh) * 2018-11-20 2019-02-12 湖南省金为新材料科技有限公司 防水内开窗
KR102670541B1 (ko) * 2021-10-20 2024-05-29 주식회사 윈체 배수부재가 설치된 창틀샤시프레임용 공틀 및 배수부재가 설치된 창틀샤시프레임용 공틀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0062Y1 (ko) 창틀의 배수장치
JP2007170142A (ja) サッシ窓
KR100849515B1 (ko) 창틀 장착용 배출관
KR20100000530U (ko) 창틀용 배출구 커버
KR200263706Y1 (ko) 높이 차이가 없는 창문틀의 배수구조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JP3286267B2 (ja) 排水溝用自洗装置
KR0138691Y1 (ko) 창문틀의 배수장치
KR200340252Y1 (ko) 창틀 외부커버
KR200262733Y1 (ko)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KR200309086Y1 (ko) 창틀용 배수구 커버
JPH0116876Y2 (ko)
JPH0116877Y2 (ko)
KR200279160Y1 (ko) 창호골재의 배수구조
KR100919284B1 (ko) 창틀배수장치를 이용한 창틀시공방법
JP3928453B2 (ja) サッシ窓の嵌殺し障子の排水装置
CN212689870U (zh) 一种具有隐藏式排水阀的门窗型材及其排水阀结构
KR20190105316A (ko)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JP3420755B2 (ja) 屋外用下枠フラットサッシ引違い戸の排水装置
JPS597998Y2 (ja) 引違い窓の排水装置
KR200183379Y1 (ko) 배수공의 위치를 상하로 한 미세기 창 또는 문
KR200242415Y1 (ko) 방충망 레일 설치 구조
JP3640062B2 (ja) サッシ下枠、側溝及び躯体の梁の配置構造
KR200303598Y1 (ko) 하수용 악취차단구
KR200294948Y1 (ko) 선홈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