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316A -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316A
KR20190105316A KR1020180025715A KR20180025715A KR20190105316A KR 20190105316 A KR20190105316 A KR 20190105316A KR 1020180025715 A KR1020180025715 A KR 1020180025715A KR 20180025715 A KR20180025715 A KR 20180025715A KR 20190105316 A KR20190105316 A KR 20190105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
windshield
gate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동석
Original Assignee
함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동석 filed Critical 함동석
Priority to KR1020180025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5316A/ko
Publication of KR2019010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31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틀의 배수구멍 각각의 실외측 면에 부착되어 자중을 통해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물이 고이는 경우에는 물의 수압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어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단열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창틀의 하부 프레임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 구조틀, 게이트 구조틀의 게이트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열리는 바람막이 도어, 바람막이 도어를 게이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바람막이 도어 하단이 전후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 및 게이트 구조틀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양면 접착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Window frame drainage hole windshield}
본 발명은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틀의 배수구멍 각각의 실외측 면에 부착되어 자중을 통해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물이 고이는 경우에는 물의 수압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어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외의 바람이 배수구멍을 통해 실내로 역류하거나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에는 창문을 닫는다고 하더라도 창틀을 구성하는 하부프레임 상의 레일홈에 빗물 등이 고이게 된다. 이처럼 창틀에 빗물이 고이게 되면 빗물은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레일을 타고 넘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창틀에 빗물이 고이게 되는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이나 곤충들의 서식지가 되는 등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창틀의 실외측 하부프레임에 배수구멍을 천공하여 창틀에 고이는 물이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배수구멍은 상시 개방되어 있어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이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의 역류가 이루어지면 창틀의 단열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창틀의 배수구멍이 상시 개방되어 있게 되면 강풍을 동반한 빗물이 배수구멍을 통해 들이치는 문제가 있어 창틀에 고이는 빗물이 실내로 넘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창틀의 배수구멍이 상시 개방되어 있게 되면 배수구멍을 통해 해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손쉽게 침투하여 방충성이나 기밀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창틀이 가지는 배수구멍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창틀의 레일홈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면서 기밀성을 향상시킨 특허등록 제1055326호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등의 기술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창틀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과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를 완전히는 해결하지는 못했다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이물질 등의 실내 유입 차단을 위해 특허등록 제1238218호 "기밀성이 우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최외측에 위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멍에 공기유입차단판을 삽입 장착하여 창틀에 고인 빗물이나 청소시 사용한 물을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배출시킬 때는 공기유입차단판을 개방하고, 그외에는 폐쇄시켜서 실내측으로 빗물이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은 공기유입차단판이 배수구멍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작동이 스스로 될 수 없어서 사람이 일일이 개폐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이 개폐시켜 주지 않으면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5191호(2017.05.19.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09438호(2016.01.26.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1686호(2015.06.25.자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7358호(2010.01.19.자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549호(2010.10.27.자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창틀의 배수구멍 각각의 실외측 면에 부착되어 자중을 통해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물이 고이는 경우에는 물의 수압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어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단열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창틀의 배수구멍 각각의 실외측 면에 부착되어 자중을 통해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물이 고이는 경우에는 물의 수압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어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유입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창틀의 배수구멍 각각의 실외측 면에 부착되어 자중을 통해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물이 고이는 경우에는 물의 수압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어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풍을 동반한 빗물이 배수구멍을 통해 유입되어 실내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창틀의 배수구멍 각각의 실외측 면에 부착되어 자중을 통해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물이 고이는 경우에는 물의 수압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어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방충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는 창틀의 하부 프레임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 구조틀; 게이트 구조틀의 게이트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열리는 바람막이 도어; 바람막이 도어를 게이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바람막이 도어 하단이 전후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 및 게이트 구조틀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양면 접착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케이트 구조틀은 수평하게 형성된 일정 길이의 상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의 양측 하단 각각에 상하 동일한 길이로 직립 형성된 지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이 이루는 하부가 개구된 게이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게이트와 바람막이 도어는 창틀의 배수구멍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보다 양호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바람막이 도어는 동일 두께의 판 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 바람막이 도어는 측단면 형상이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높이와 밑변이 이루는 직각의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창틀의 배수구멍 각각의 실외측 면에 부착되어 자중을 통해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물이 고이는 경우에는 물의 수압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어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단열이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자중을 통해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는 구조를 통해 외기의 유입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강풍을 동반한 빗물이 배수구멍을 통해 유입되어 실내로 넘치는 것의 방지 및 해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방충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설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방풍 기능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배수 기능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배수 및 방풍시 기능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도 6 의 방풍 기능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8 은 도 6 의 배수 기능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도 6 의 배수 및 방풍시 기능을 보인 단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설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방풍 기능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배수 기능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배수 및 방풍시 기능을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앞서의 목적에서와 같이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각각의 배수구멍(20) 실외측으로 부착되어 자중을 통해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되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물의 수압에 의해 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배수는 물론, 배수구멍(20)을 통한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각각의 배수구멍(20) 실외측으로 부착됨으로써 자중을 통해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여 배수구멍(20)을 통한 해충의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나 강풍을 동반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빗물이 실내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의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116)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 구조틀(110), 게이트 구조틀(110)의 게이트(116)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배수구멍(20)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열리는 바람막이 도어(120), 바람막이 도어(120)를 게이트(116)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바람막이 도어(120) 하단이 전후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130) 및 게이트 구조틀(110)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양면 접착제(14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게이트 구조틀(110)의 배면에 접착된 양면 접착제(140)를 통해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진다. 이때,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의 게이트(116)와 바람막이 도어(120)는 배수구멍(20)에 비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바람막이 도어(120)는 배수구멍(20) 전체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양면 접착제(140)를 통해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된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창틀 하부 프레임(10) 상에 고이는 경우 물의 수압에 의해 실외측 방향으로 바람막이 도어(120) 하단부가 열려 물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수압이 원인이 사라지면 바람막이 도어(120)의 자중에 의해 하단이 실내측으로 회전되어 배수구멍(20)을 폐쇄하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양면 접착제(140)를 통해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된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바람막이 도어(120)의 자중에 의해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강풍을 동반한 빗물이나 해충 또는 먼지와 같이 이물질 등이 외부로부터 배수구멍(20)으로 유입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게이트 구조틀(110)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가 개구된 게이트(116) 상에 힌지축(130)을 통해 바람막이 도어(120)의 하단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를 하부 프레임(10) 상에 형성된 각각의 배수구멍(20) 실외측 방향에 부착 설치하게 되면 바람막이 도어(120)의 하단부 자중에 의해 바람막이 도어(120)의 배면은 배수구멍(20) 주위의 프레임 면에 접촉되어 배수구멍(20)을 폐쇄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게이트 구조틀(110)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가 개구된 게이트(116) 상에 힌지축(130)을 통해 바람막이 도어(120)의 하단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레일(12) 사이에 물이 고이는 경우 수압의 발생으로 인하여 바람막이 도어(120)의 하단이 수압에 의해 실외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배수구멍(20)이 열려 물의 월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게이트 구조틀(110)은 도어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게이트 구조틀(110)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116)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로 구성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게이트 구조틀(110)의 보다 상세한 구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형성된 일정 길이의 상부 프레임(112), 상부 프레임(112)의 양측 하단 각각에 상하 동일한 길이로 직립 형성된 지지 프레임(114) 및 상부 프레임(112)과 지지 프레임(114)이 이루는 하부가 개구된 게이트(11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게이트 구조틀(110)의 게이트(116)는 대체적으로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게이트(116)의 크기는 배수구멍(20)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게이트(116) 상에 설치되는 바람막이 도어(120) 또한 배수구멍(20)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배구수멍(20)을 완전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구멍(20)을 완전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게이트(116)와 바람막이 도어(120)의 크기가 배수구멍(20)에 비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프레임(112)과 지지 프레임(114)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구조틀(110) 은 당연하게도 배수구멍(20)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바람막이 도어(120)는 개폐를 통해 배수구멍(20)을 통해 실외측으로 물의 원활한 배수와 배수구멍(20)의 폐쇄를 통해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바람막이 도어(120)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구조틀(110)의 게이트(116)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배수구멍(20)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열리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바람막이 도어(120)는 동일 두께의 판 상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바람막이 도어(120)의 상단부 양측은 후술하는 힌지축(130)을 통해 게이트 구조틀(110)의 게이트(116) 상단부 양측에 지지되기 때문에 바람막이 도어(120)의 하단부에는 자중을 통해 원위치로 회전하려는 성질이 있게 된다. 따라서, 바람막이 도어(120)를 밀어 배수구멍(20)이 열리도록 하는 힘이 없는 상황에서 바람막이 도어(120)는 자중에 의해 배수구멍(20)의 실외측 프레임 면으로 밀착되어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게 된다.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막이 도어(120)는 자중에 의해 배수구멍(20)의 실외측 프레임 면으로 밀착되어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는 상태에서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되는 레일(12) 사이의 공간에 물이 고여 수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압에 의해 바람막이 도어(120)의 하부가 실외측 방향으로 밀려 배수구멍(20)이 열림으로써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수압에 의해 바람막이 도어(120)의 하부가 실외측 방향으로 밀려 배수구멍(20)이 열림으로써 물의 배수가 이루어져 바람막이 도어(120)를 미는 수압이 사라지면 바람막이 도어(120)는 하단부의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하여 배수구멍(20)의 실외측 프레임 면으로 밀착됨으로써 배수구멍(20)을 다시 폐쇄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힌지축(130)은 바람막이 도어(120)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힌지축(130)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막이 도어(120)를 게이트(116)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바람막이 도어(120) 하단이 전후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축(130)은 게이트(116) 상단부 양측으로 가로지르는 구조로 설치되어 게이트(116) 내에 바람막이 도어(120)의 상단부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힌지축(130)을 중심으로 바람막이 도어(120)는 하단부측에 자중이 발생하여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양면 접착제(140)는 게이트 구조틀(110)을 배수구멍(20)의 실외측 전면에 부착시켜 바람막이 도어(120)를 통해 배수구멍(20)의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양면 접착제(140)는 도 1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구조틀(110)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 구조틀(110)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된 양면 접착제(140)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를 배수구멍(20)의 실외측 전면에 설치시 양면 접착제(140)의 보호를 위한 이형지를 제거한 상태에서 배수구멍(20)의 실외측 전면에 부착하여 게이트 구조틀(110)이 창틀을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1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116)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 구조틀(110), 바람막이 도어(120), 힌지축(130) 및 양면 접착제(14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바람막이 도어(120)의 자중을 통해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되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고이는 물의 수압에 의해 열릴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도 6 의 방풍 기능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8 은 도 6 의 배수 기능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도 6 의 배수 및 방풍시 기능을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200) 역시 도 1 내지 도 5 의 실시 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216)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 구조틀(210), 게이트 구조틀(210)의 게이트(216)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배수구멍(20)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열리는 바람막이 도어(220), 바람막이 도어(220)를 게이트(216)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바람막이 도어(220) 하단이 전후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230) 및 게이트 구조틀(210)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양면 접착제(24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6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200)에서 바람막이 도어(220)의 구성은 측단면 형상이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높이와 밑변이 이루는 직각의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막이 도어(220)의 구성을 측단면 형상이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높이와 밑변이 이루는 직각의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된 구조로 성형한 이유는 바람막이 도어(220)의 하단 무게를 더 중량으로 함으로써 바람막이 도어(220)의 하단에 하중이 집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막이 도어(220)의 하단 무게를 더 중량으로 하여 바람막이 도어(220)의 하단에 하중이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바람막이 도어(220)을 실외측 방향으로 미는 수압이 사라지는 경우 보다 원활하게 바람막이 도어(220)의 원위치로 회전도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측단면 형상이 직각삼각형의 형태인 바람막이 도어(220)의 높이와 밑변이 이루는 직각의 모서리를 라운드 처리한 이유는 창틀의 하부 프레임 상부면과 레일(12)이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 바람막이 도어(220)의 원위치시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져 배수구멍(20)의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 200)는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고이는 물의 원활한 배수는 물론, 배수구멍(20)을 통한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단열 효과의 향상과 외기로 인한 소음을 차단하여 방음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 200)는 자중을 통해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여 배수구멍(20)을 통한 해충의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나 강풍을 동반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 하부 프레임
12. 레일
100, 200.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110, 210. 게이트 구조틀
120, 220. 바람막이 도어
130, 230. 힌지축
140, 240. 양면 접착제

Claims (5)

  1. 창틀의 하부 프레임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 구조틀;
    상기 게이트 구조틀의 게이트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되 상기 창틀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열리는 바람막이 도어;
    상기 바람막이 도어를 상기 게이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바람막이 도어 하단이 전후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 및
    상기 게이트 구조틀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양면 접착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트 구조틀은 수평하게 형성된 일정 길이의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 하단 각각에 상하 동일한 길이로 직립 형성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이 이루는 하부가 개구된 게이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와 바람막이 도어는 상기 창틀의 배수구멍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 도어는 동일 두께의 판 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 도어는 측단면 형상이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높이와 밑변이 이루는 직각의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KR1020180025715A 2018-03-05 2018-03-05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Ceased KR20190105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15A KR20190105316A (ko) 2018-03-05 2018-03-05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15A KR20190105316A (ko) 2018-03-05 2018-03-05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316A true KR20190105316A (ko) 2019-09-17

Family

ID=6807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715A Ceased KR20190105316A (ko) 2018-03-05 2018-03-05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53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538B1 (ko) 2020-06-01 2020-09-03 함동석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358B1 (ko) 2009-04-30 2010-01-19 이봉학 창호용 기능성 배출관
KR20100010549U (ko) 2009-04-17 2010-10-27 민경국 샤시 레일용 배수구망
KR101531686B1 (ko) 2014-02-20 2015-06-25 박은애 창틀 물구멍용 차단장치
KR20160009438A (ko) 2014-07-16 2016-01-26 박은애 창틀 물구멍용 차단장치
KR20170055191A (ko) 2015-11-11 2017-05-19 김순석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549U (ko) 2009-04-17 2010-10-27 민경국 샤시 레일용 배수구망
KR100937358B1 (ko) 2009-04-30 2010-01-19 이봉학 창호용 기능성 배출관
KR101531686B1 (ko) 2014-02-20 2015-06-25 박은애 창틀 물구멍용 차단장치
KR20160009438A (ko) 2014-07-16 2016-01-26 박은애 창틀 물구멍용 차단장치
KR20170055191A (ko) 2015-11-11 2017-05-19 김순석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538B1 (ko) 2020-06-01 2020-09-03 함동석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4283B1 (en) Water resistant window frame
KR101575007B1 (ko)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0937358B1 (ko) 창호용 기능성 배출관
JP5231596B2 (ja) 住宅用防雨パネル
JP2003511590A (ja) 無レール型の窓及び戸装置
KR20190105316A (ko)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KR102120158B1 (ko)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을 차단할 수 있는 창틀프레임의 방풍 및 배수구조
KR20210104328A (ko) 계단식 구조의 하부프레임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킨 창틀의 배수구조
KR200350062Y1 (ko) 창틀의 배수장치
JP2004169476A (ja) 開口部装置
KR200418951Y1 (ko) 슬라이드 창호의 창틀 프레임 구조
KR102151538B1 (ko)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KR102132265B1 (ko) 배수와 스토퍼 기능을 갖는 사출물을 사용하여 기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EP1516991A2 (en) Doorsill structure for in-swinging type door
KR20170055191A (ko)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JP5475549B2 (ja) 通気水切
JP2002038852A (ja) 複層網戸
JP3583111B2 (ja) 換気棟構造
JP2006274537A (ja) 浴室ドア
CN211397330U (zh) 一种具有引水泄水功能的门窗框
JP3420755B2 (ja) 屋外用下枠フラットサッシ引違い戸の排水装置
KR100493897B1 (ko) 무레일형 창호장치
CN212689870U (zh) 一种具有隐藏式排水阀的门窗型材及其排水阀结构
JP2005290688A (ja) 雨の降り込まない網戸用通風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8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003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2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9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