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530U - 창틀용 배출구 커버 - Google Patents

창틀용 배출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530U
KR20100000530U KR2020080009083U KR20080009083U KR20100000530U KR 20100000530 U KR20100000530 U KR 20100000530U KR 2020080009083 U KR2020080009083 U KR 2020080009083U KR 20080009083 U KR20080009083 U KR 20080009083U KR 20100000530 U KR20100000530 U KR 201000005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opening
outlet
closing plat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근
Original Assignee
김명근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근,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김명근
Priority to KR2020080009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530U/ko
Publication of KR201000005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5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의 내부에 모여진 응축수나 빗물의 수위에 의해 개폐판이 자연스럽게 상승되어 응축수와 빗물의 배출이 용이함과 아울러 자체 하중에 의해 개폐판이 닫혀져 유충(벌레 등) 및 소음, 차가운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최소화할 수 있는 창틀용 배출구 커버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창틀, 개폐, 커버, 배출구

Description

창틀용 배출구 커버{Drain cover for window frame}
본 고안은 창틀용 배출구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커버의 구조를 개선하여 창틀의 내부에 고여진 응축수나 빗물의 배출을 유도함과 아울러 유충(벌레 등) 및 소음, 차가운 공기 등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창틀용 배출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창틀에는 다수의 창문 레일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방출망 레일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창문 레일에는 창문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방충망 레일에는 방충망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창틀의 창문레일과 방충망레일에는 빗물이나 실내외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해 적소에 배출구가 관통된다. 이렇게 배출구가 설치되다보니, 이 배출구를 통해 차가운 바람이나 공기의 유입되어 실내온도가 저하되어 난방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틀의 내부에 모여진 응축수나 빗물의 수위에 의해 개폐판이 자연스럽게 상승되어 응축수와 빗물의 배출이 용이함과 아울러 자체 하중에 의해 개폐판이 닫혀져 유충 및 소음, 차가운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창틀용 배출구 커버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창틀용 배출구 커버는 창틀의 배출구 배면에 걸려지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이 창틀의 내부에 연통되게 배출공이 형성되며, 이 배출공의 내부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걸러주는 복수의 지지편이 구비되고, 이 배출공의 상부 양측면에 힌지결합홈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힌지결합홈에 회동가능하게 양측에 힌지축이 구비되고, 지그재그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개폐판과; 이 경사부의 후면에는 개폐판의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복수의 밀착유도편 및 이 밀착유도편 사이에 형성되며, 물 배출시 개폐판의 열림을 유도하는 물가이드홈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창틀용 배출구 커버는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개폐판이 구비되어 창틀내에 모여진 응축수나 빗물의 압력에 의해 개폐판이 자연스럽게 열려져 응축수나 빗물의 배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사용이 끝난 후에는 개폐판이 자중에 의해 닫혀져 차가운 외부공기나 소음, 유충 등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아래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배출구 커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배출구 커버의 설치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배출구 커버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창틀용 배출구 커버는 창틀(10)의 바깥면에 관통된 배출구(11)에 설치되는 몸체(20)와, 이 몸체(2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0)에는 상하부에 일부가 절개된 절취공(25)이 형성되고, 이 절취공(25)을 경계로 걸림편(21)이 형성되고, 이 창틀(10)의 내부에 연통되게 배출공(22)이 형성되며, 이 배출공(22)의 내부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복수의 지지편(23)이 구비되고, 이 배출공(22)의 상부 양측면에 힌지결합홈(24)이 형성되고, 이 배출공(22)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지지홈(2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취공(25)을 경계로 걸림편(21)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1)의 내주면 에 걸림편(21)이 눌려지면서 삽입되어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분리시 상기 걸림편(21)을 누르면서 전방으로 밀면 간단하게 분리작업이 간편한 것이다.
상기 지지편(23)은 부피가 큰 이물질 등이 걸려져 상기 배출공(2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홈(27)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지지홈(27)에 의해 상기 경사부(32)의 하단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개폐판(30)은 힌지결합홈(24)에 회동가능하게 양측 힌지축(31)이 형성되고, 지그재그로 경사진 경사부(32)가 형성되며, 이 경사부(32)의 후방에 배출공(22)의 닫힌 상태를 유도하는 밀착유도편(33)이 형성되고, 이 밀착유도편(33) 사이에 형성된 물가이드홈(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부(32)는 지그재그로 구비되어 상측 경사면(37)과 하측 경사면(38)이 달리 형성되는데, 상기 하측 경사면(37)은 상측 경사면(38)보다 경사각도를 적게 하여 물의 흐름에 자연스럽게 개폐판(30)이 열리도록 유도한다.
상기 밀착유도편(33)은 평상시 자중에 의해 개폐판(30)의 하강을 유도함과 아울러 외부에서 유입되는 차가운 공기나 소음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공(22)에 일정량의 물이 유입되면 먼저 물가이드홈(35)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개폐판(30)의 열림동작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창틀용 배출구 커버는 먼저 몸체(20)의 힌지결합홈(24)에 개폐판(30)의 힌지축(31)을 결합하고, 상기 배출구(11)의 내측에 몸체(20)의 후면을 밀어넣으면 상기 배출구(11)의 내주면에 상기 몸체(20)의 걸림 편(21)이 걸려지게 설치된다. 이어서 창틀(10)의 하부에 응축수나 빗물이 모여지면, 이 응축수나 빗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판(30)의 힌지축(31)이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개폐판(30)이 열려져 응축수나 빗물이 상기 몸체(20)의 배출공(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물가이드홈(35)에 의해 응축수나 빗물의 압력이 약해도 개폐판(30)이 자연스럽게 열려지게 되어 응축수나 빗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어, 창틀(10)내의 응축수나 빗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자체 하중 또는 밀착유도편(33)에 의해 상기 개폐판(30)이 하강되어져 상기 배출공(22)을 막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고안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배출구 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배출구 커버의 설치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배출구 커버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창틀 11: 배출구
20: 몸체 21: 걸림편
30: 개폐판

Claims (2)

  1. 창틀(10)의 배출구(11) 배면에 걸려지는 걸림편(21)이 형성되고, 이 창틀(10)의 내부에 연통되게 배출공(22)이 형성되며, 이 배출공(22)의 내부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걸러주는 복수의 지지편(23)이 구비되고, 이 배출공(22)의 상부 양측면에 힌지결합홈(24)으로 이루어진 몸체(20)와;
    상기 힌지결합홈(24)에 회동가능하게 양측에 힌지축(31)이 구비되고, 지그재그로 경사진 경사부(32)가 형성된 개폐판(30)과;
    이 경사부(32)의 후면에는 개폐판(30)의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복수의 밀착유도편(33) 및 이 밀착유도편(33) 사이에 형성되며, 물 배출시 개폐판(30)의 열림을 유도하는 물가이드홈(3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배출구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22)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홈(27)이 더 포함되며, 이 지지홈(27)에 의해 상기 경사부(32)의 하단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배출구 커버.
KR2020080009083U 2008-07-08 2008-07-08 창틀용 배출구 커버 KR201000005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083U KR20100000530U (ko) 2008-07-08 2008-07-08 창틀용 배출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083U KR20100000530U (ko) 2008-07-08 2008-07-08 창틀용 배출구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530U true KR20100000530U (ko) 2010-01-18

Family

ID=44194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083U KR20100000530U (ko) 2008-07-08 2008-07-08 창틀용 배출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530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218B1 (ko) * 2012-05-24 2013-03-04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기밀성이 우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장치
KR20160018065A (ko) * 2014-08-08 2016-02-17 조재연 창문용 배수구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KR20190000058U (ko) * 2017-06-27 2019-01-07 주식회사 에코프린스 피브이시 창문샤시의 통풍구조
WO2020262784A1 (ko) * 2019-06-25 2020-12-30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창틀 프레임의 배수공에 설치되는 방충캡
KR102500300B1 (ko) 2022-10-12 2023-02-16 주식회사 제스트 창틀프레임의 배수공용 방충캡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218B1 (ko) * 2012-05-24 2013-03-04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기밀성이 우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장치
KR20160018065A (ko) * 2014-08-08 2016-02-17 조재연 창문용 배수구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KR20190000058U (ko) * 2017-06-27 2019-01-07 주식회사 에코프린스 피브이시 창문샤시의 통풍구조
WO2020262784A1 (ko) * 2019-06-25 2020-12-30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창틀 프레임의 배수공에 설치되는 방충캡
KR20210000502A (ko) * 2019-06-25 2021-01-05 (주)엘지하우시스 창틀 프레임의 배수공에 설치되는 방충캡
KR102500300B1 (ko) 2022-10-12 2023-02-16 주식회사 제스트 창틀프레임의 배수공용 방충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9550C (en) Drain
KR20100000530U (ko) 창틀용 배출구 커버
JP5740298B2 (ja) 建具
JP4730906B2 (ja) 通気路付き開口枠
KR100937358B1 (ko) 창호용 기능성 배출관
KR20120118774A (ko) 자연 순환식 환기창
JP2007170142A (ja) サッシ窓
KR100849515B1 (ko) 창틀 장착용 배출관
CN102606036A (zh) 多功能推拉门窗
TWI507595B (zh) 鋁門窗
JP2006274537A (ja) 浴室ドア
KR200350062Y1 (ko) 창틀의 배수장치
JP2010236823A (ja) 換気フード
CN212689870U (zh) 一种具有隐藏式排水阀的门窗型材及其排水阀结构
JP3420755B2 (ja) 屋外用下枠フラットサッシ引違い戸の排水装置
KR200263706Y1 (ko) 높이 차이가 없는 창문틀의 배수구조
KR0138691Y1 (ko) 창문틀의 배수장치
CN215761365U (zh) 一种隐藏排水式平开窗型材
JP6968555B2 (ja) 建具
KR102088646B1 (ko) 창틀 물구멍 차단장치
JP3928453B2 (ja) サッシ窓の嵌殺し障子の排水装置
KR200312099Y1 (ko) 하이샤시용 창문틀 배수구
KR200314540Y1 (ko) 공기청정 및 통풍제어용 샤시 창호구조
KR200309086Y1 (ko) 창틀용 배수구 커버
KR100602181B1 (ko) 건물 외벽의 폼타이구멍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