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733Y1 -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 Google Patents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733Y1
KR200262733Y1 KR2020010030368U KR20010030368U KR200262733Y1 KR 200262733 Y1 KR200262733 Y1 KR 200262733Y1 KR 2020010030368 U KR2020010030368 U KR 2020010030368U KR 20010030368 U KR20010030368 U KR 20010030368U KR 200262733 Y1 KR200262733 Y1 KR 200262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uoyancy
spur gear
fasten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보
김대하
황해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10030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7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73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뚝에 설치된 콘크리트 하수박스의 입구에 수위의 높낮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부력봉과 수문을 설치하여 시공하게 된다. 특히 갑작스런 폭우 발생 시 강물이 하수박스로 역류되어 주택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작이 필요치 않아 사용이 편리하고, 시공 후에도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콘크리트 하수박스(1)전방 양끝 단에는 내측에 베어링(18)이 삽입된 전방연결홈(12)과 후방연결홈(14)이 형성된 'ㅂ'자형 고정틀(10)을 체결앵커볼트(3)에 의해 고정하고, 상기 전방연결홈(12)에는 수문연결고리틀(21)의 일측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홈(23)을 상기 전방연결홈(12)와 일체가 되도록 삽입하고, 중앙부에 수문작동스퍼기어(13)가 체결된 연결봉(17)을 삽입홈(23)과 전방연결홈(12)을 관통하여 체결하며, 상기 삽입홈(23)의 다른 일측에는 내측에 지수막이 고무가스켓(27)이 부착된 수문(25)을 체결한다.
또한 상기 'ㅂ'자형 고정틀(10)에 형성된 후방연결홈(14)에는 중앙에 부력봉 작동스퍼기어(15)가 체결된 'ㄷ'자형 연결대(31)를 체결하며, 상기 'ㄷ'자형 연결대(31) 끝단에 부력봉(33)을 체결하고, 상기 수문작동스퍼기어(13)와 부력봉작동스퍼기어(15)의 상부에 덮개(40)를 앵커볼트(3)에 의해 체결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CONCRETED BOX ATOMATIC DOOR PREVENTING A FLOWING BACKWARD USING A BUOYANCY BAR}
본 고안은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둑에 설치된 콘크리트 하수박스의 입구에 수위의 높낮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부력봉과 수문을 설치하여 시공하게 된다.
특히 갑작스런 폭우 발생 시 강물이 하수박스로 역류되어 주택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작이 필요치 않아 사용이 편리하고, 시공 후에도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낮은 지형의 하천주위에는 빗물펌프배수장을 설치하여 장마와 같은 집중호우시 하천의 역류로 주택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설은 그 효과는 크나 항상 관리자가 상주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또한 요즘과 같은 일부지역에 집중되는 호우 시에는 단시간에 수위가 증가하여 미처 대처하지 못하는 사이에 주택이 범람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강뚝에 설치된 콘크리트 하수박스의 입구에 수위의 높낮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부력봉과 수문을 설치하여 시공하게 된다. 특히 갑작스런 폭우 발생 시 강물이 하수박스로 역류되어 주택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작이 필요치 않아 사용이 편리하고, 시공 후에도 유지 및 관리가 간편한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크리트 하수박스 전방 끝단에 수문을 설치하고, 상기 수문과 동시에 작동을 이루도록 부력봉을 설치하여 하천 수위가 상승하면 부력봉이 상승하여 수문이 닫히고, 수위가 낮아지면 부력봉이 하강하여 자동적으로 수문이 열리는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이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콘크리트 하수박스 3 : 체결앵커볼트
10 : 'ㅂ'자형 고정틀 12 : 전방연결홈
14 : 후방연결홈 13: 수문작동 스퍼기어
15 : 부력봉작동 스퍼기어 17 : 연결봉
18 : 베어링 21 : 수문연결고리틀
23 : 삽입홈 25 : 수문
27 : 지수막이 고무가스켓 31 : 'ㄷ'자형 연결대
33 : 부력봉 40: 덮개
이하, 본 고안인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하수박스(1)전방 양끝 단에는 내측에 베어링(18)이 삽입된 전방연결홈(12)과 후방연결홈(14)이 형성된 'ㅂ'자형 고정틀(10)을 체결앵커볼트(3)에 의해 고정한다.
상기 'ㅂ'자형 고정틀(10)에 형성된 전방연결홈(12)에는 수문연결고리틀(21)의 일측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홈(23)을 상기 전방연결홈(12)와 일체가 되도록 삽입하고, 중앙부에 수문작동스퍼기어(13)가 체결된 연결봉(17)을 삽입홈(23)과 전방연결홈(12)을 관통하여 체결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23)의 다른 일측에는 내측에 지수막이 고무가스켓(27)이 부착된 수문(25)을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ㅂ'자형 고정틀(10)에 형성된 후방연결홈(14)에는 중앙에 부력봉 작동스퍼기어(15)가 삽입된 'ㄷ'자형 연결대(31)를 체결하며, 상기 부력봉 작동스퍼기어(15)와 수문작동 스퍼기어(13)가 접지하여 수위에 따라 수문()의 개·폐를 자동으로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ㄷ'자형 연결대(31) 끝단에 부력봉(33)을 체결하고, 상기 수문작동스퍼기어(13)와 부력봉작동스퍼기어(15)의 상부에 덮개(40)를 앵커볼트(3)에 의해 체결하여 갑작스런 폭우 발생 시 강물이 하수박스로 역류되어 주택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작이 필요치 않아 사용이 편리하고, 시공 후에도 유지 및 관리가 간편한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에 관한 것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이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위가 상승하면 부력봉(33)이 동시에 상승하고, 상기 부력봉(33)이 체결된 'ㄷ'자형 연결대(31)의 상승과 동시에 부력봉 작동스퍼기어(15)가 회전하며, 상기 부력봉 작동 스퍼기어(15)가 회전하면 연접하여 있는 수문작동 스퍼기어(13)가 동시에 역회전하여 수문(25)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또한 하천 수위가 하강하면 다음과 같은 부력봉 작동 스퍼기어(15)와 수문작동 스퍼기어(13)가 역으로 회전하여 부력봉(33)이 하강하면 수문(25)은 자동으로열리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강뚝에 설치된 콘크리트 하수박스의 입구에 수위의 높낮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부력봉과 수문을 설치하여 갑작스런 폭우 발생 시 강물이 하수박스로 역류되어 주택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작이 필요치 않아 사용이 편리하고, 시공 후에도 별도의 유지 및 관리가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콘크리트 하수박스(1)전방 양끝 단에는 내측에 베어링(18)이 삽입된 전방연결홈(12)과 후방연결홈(14)이 형성된 'ㅂ'자형 고정틀(10)을 체결앵커볼트(3)에 의해 고정하고, 상기 전방연결홈(12)에는 수문연결고리틀(21)의 일측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홈(23)을 상기 전방연결홈(12)와 일체가 되도록 삽입하고, 중앙부에 수문작동스퍼기어(13)가 체결된 연결봉(17)을 삽입홈(23)과 전방연결홈(12)을 관통하여 체결하며, 상기 삽입홈(23)의 다른 일측에는 내측에 지수막이 고무가스켓(27)이 부착된 수문(25)을 체결하고, 또한 상기 'ㅂ'자형 고정틀(10)에 형성된 후방연결홈(14)에는 중앙에 부력봉 작동스퍼기어(15)가 체결된 'ㄷ'자형 연결대(31)를 체결하며, 상기 'ㄷ'자형 연결대(31) 끝단에 부력봉(33)을 체결하고, 상기 수문작동스퍼기어(13)와 부력봉작동스퍼기어(15)의 상부에 덮개(40)를 앵커볼트(3)에 의해 체결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자동수문.
KR2020010030368U 2001-10-05 2001-10-05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KR200262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68U KR200262733Y1 (ko) 2001-10-05 2001-10-05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68U KR200262733Y1 (ko) 2001-10-05 2001-10-05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733Y1 true KR200262733Y1 (ko) 2002-03-18

Family

ID=7310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368U KR200262733Y1 (ko) 2001-10-05 2001-10-05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73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197A (ko) * 2001-09-25 2003-03-31 류주환 침수지역의 역류수 방지장치
KR20030054842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수위조절용 자동수문장치
KR100673981B1 (ko) 2006-10-17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수위조절이 가능한 하천의 수중보
KR101355949B1 (ko) * 2013-12-10 2014-01-28 김상국 플랩게이트
KR102035183B1 (ko) 2018-05-02 2019-11-08 (유)신진공업 자동 수문의 퇴적 방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197A (ko) * 2001-09-25 2003-03-31 류주환 침수지역의 역류수 방지장치
KR20030054842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수위조절용 자동수문장치
KR100673981B1 (ko) 2006-10-17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수위조절이 가능한 하천의 수중보
KR101355949B1 (ko) * 2013-12-10 2014-01-28 김상국 플랩게이트
KR102035183B1 (ko) 2018-05-02 2019-11-08 (유)신진공업 자동 수문의 퇴적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335B1 (ko) 부표식 자동 수문
KR100614939B1 (ko) 도로의 맨홀 역류방지시설구조
KR200262733Y1 (ko)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KR200420165Y1 (ko) 하수도용 우수토구 자동 개폐 장치
KR100715233B1 (ko) 펌프 일체형 수문
KR100781790B1 (ko)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KR100676369B1 (ko) 건축단지용 맨홀의 역류방지시설
KR200395621Y1 (ko) 가변유량 자동 수문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0375550B1 (ko) 관로 및 수로용 자동개폐수문
KR100654402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KR20080037749A (ko) 후랩밸브가 부착된 배수문
KR200218278Y1 (ko) 배수관의 배출구 자동개폐장치
JP3717454B2 (ja) 浮上式水防装置の排水構造
KR101060991B1 (ko) 우수 범람 방지를 위한 배수로
KR200420164Y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비
KR200406939Y1 (ko) 도로 측구 배수박스 보강구조
KR100762411B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수문
KR200371612Y1 (ko) 지수막 가스켓을 이용한 이탈방지 및 역류방지용 하천수문
KR100576386B1 (ko) 펌프식 수문
KR200420163Y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비
KR101987145B1 (ko) 배수용 집수조
KR200422006Y1 (ko)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KR102344238B1 (ko) 비점오염배수관을 우수관으로 전용할 수 있는 일체형 배수구조물
KR20200061887A (ko) 우수맨홀용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