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335B1 - 부표식 자동 수문 - Google Patents

부표식 자동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335B1
KR100835335B1 KR1020070093820A KR20070093820A KR100835335B1 KR 100835335 B1 KR100835335 B1 KR 100835335B1 KR 1020070093820 A KR1020070093820 A KR 1020070093820A KR 20070093820 A KR20070093820 A KR 20070093820A KR 100835335 B1 KR100835335 B1 KR 100835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oy
gate
disk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김종규
원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인
Priority to KR102007009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표식 자동수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천 또는 해수의 수위에 따라 개폐되는 자동수문으로서, 우수관로의 출구측에 고정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아지게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프레임 내의 부압을 상쇄시키고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에어벤트;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행거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행거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부표를 갖는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은 평상시 계곡 수 또는 우수 등을 하천 또는 바다로 원활히 배출시키고, 홍수 또는 만조 시 하천 또는 해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하천 또는 해수가 우수관로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자동수문, 부표, 각도조절부재, 높낮이 조절부재, 안내부재

Description

부표식 자동 수문{Automatic floodgate with floating}
본 발명은 자동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수관로의 종단부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계곡 수 또는 우수 등을 하천 또는 바다로 배출시키고, 우천 시 하천 수위와 만조 시 해수 수위가 높아 침수우려가 되는 시점이 되면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하여 관로 내부로 역류하는 하천 수 또는 해수를 차단하는 부표식 자동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곡 수나 우수 등을 하천이나 바다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우수관로의 종단부에는 수문이 설치된다.
이 때 수문은 평상시 우수관로를 따라 흐르는 우수나 계곡 수를 하천 또는 바다로 배출시키는 역할과 우천 시 하천 수위나 만조 시 해수의 수위가 높아져 침수우려가 되는 시점이 되면 우수관으로 역류하는 하천 수 또는 해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우수관로의 종단부에 설치되는 수문은 우수관로를 통해 흐르는 우 수 등이 수위에 따라 수문에 가하는 압력과 수문외부의 하천 또는 해수의 수위에 따라 수문에 가하는 압력의 차이를 이용한 자동수문(문비)이 사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자동수문(문비)은 배출구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배수가 원활하지 않았고,이물질 등이 수문 주위에 적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천 수 또는 해수의 역류 시에는 수문이 닫혀 지지만, 하천 및 해수의 수위에 따라 수문에 가하는 압력이 동일해지면 내, 외수가 왕래하여 역류 방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 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프레임을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아지게 형성하여 우수 등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며, 게이트의 자중에 의하여 항시 개방되는 부표식 자동수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천 또는 해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으로 상승하여 하천 또는 해수가 우수관로를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부표식 자동수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아지게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프레임 내의 부압을 상쇄시키고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에어벤트;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행거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행거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부표를 갖는 게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은 상기 게이트에 대응되는 프레임의 표면에 수밀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의 게이트는, 상기 행거 프레임에 링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외면에, 높낮이 조절부재 및 안내부재에 의해 상하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부표; 및 상기 디스크의 내면에, 상기 디스크와 프레임 사이의 수밀을 위해 설치되는 수밀패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의 게이트는, 상기 디스크의 내면에 고정 설치된 제 2 부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외면에 설치 고정된 브라켓; 상기 제 1 부표의 직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파이프; 및 상기 브라켓의 관통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와 나선결합되며, 한 종단부는 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되고, 다른 종단부는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와 나선결합된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양 측부에 상하로 형성되며, 종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가이드 편; 및 상기 제 1 부표의 양 측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편의 공간내에 수용되는 연장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은 상기 게이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재는 프레임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방향의 슬롯이 형성된 브라켓; 디스크 측면에 고정 설치된 지지편; 제 1 종단부는 상기 슬롯내에 위치하며, 제 2 종단부는 지지편에 지지되어 이는 연결로드; 및 상기 제 1 종단부에 고정된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의 회전시 상기 연결로드의 제 1 종단부가 브라켓의 슬롯내에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재는, 행거 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나선결합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대응되며, 디스크의 암 일단부에 고정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 선단과 상기 플레이트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은, 벽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행거 프레임; 및 상기 벽체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행거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부표를 갖는 게이트;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은 평상시 계곡 수 또는 우수 등을 하천 또는 바다로 원활히 배출시키고, 우천 시나 만조 시 하천 또는 해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차단수문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부표식 차단수문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 은 도 1 의 부 표식 차단수문의 차단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100)은 우수관로의 출구측에 고정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아지게 형성된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프레임 내의 부압을 상쇄시키고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에어벤트(120);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행거 프레임(130); 및 상기 프레임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행거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부표를 갖는 게이트(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각 구성간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수관로의 출구 측에, 내부로 우수 또는 계곡수 등이 하천 또는 바다로 배출되고,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아지게 형성된 프레임(110)이 벽체(1000)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은 설치 조건에 따라 벽체(1000)에 부착되는 형상이 사각 형태 또는 원형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볼트 등으로 벽체에 용이하게 결합 고정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길이를 짧게 형성함으로써 하천 또는 바다로 우수 또는 계곡수 등을 배출하는 배수구의 단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평상시 게이트(150)가 자중에 의해 항시 개방됨으로서 원활하게 우수 등을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100)은 상기 프레임(110)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프레임 내의 부압을 상쇄시키고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에어벤트(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벤트(120)는 게이트(150)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프레임(110)을 막는 경우에 프레임 내의 부압을 상쇄시키고 가스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추후 하천 또는 해수의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원활하게 게이트(150)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는 행거 프레임(130)이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행거 프레임(130)의 수 및 간격 등은 게이트의 크기, 중량 및 설치되는 장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150)은 상기 게이트(150)에 대응되는 프레임의 표면에 수밀패킹(11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밀패킹(115)은 게이트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 프레임을 밀폐하는 경우에 프레임 및 게이트의 수밀성을 높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150)는 디스크(140) 양 측에 다수의 암(140a)을 고정하여 링크를 매개로 상기 행거프레임(1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게이트는 상기 디스크(140)의 외면에, 높낮이 조절부재 및 안내부재에 의해 상하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부표(1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크의 내면에는 상기 디스크와 프레임 사이의 수밀을 위해 수밀패킹(14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게이트는 상기 디스크(140)의 내면에 고정 설치된 제 2 부표(16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부표 및 제 2 부표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에 대응되는 프레임(110)의 표면에 수밀패킹(115)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수밀패킹은 돌기부(115a)가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크(140)의 내면에 결합된 수밀패킹(145)은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는 홈부(145a)가 형성되어 하천 및 해수의 수위가 높아져 게이트가 상승하여 프레임을 차단하는 경우에 게이트 및 프레임의 수밀성을 높인다.
또한 상기 수밀패킹(115, 145)은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해수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은 높낮이 조절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상세도로서, 도 1 에 도시된 부표식 자동수문의 게이트 전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외면에 설치 고정된 브라켓(170); 제 1 부표(160)의 직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파이프(160a); 및 상기 브라켓의 관통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와 나선결합되며, 한 종단부(180a)는 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되고, 다른 종단부(180b)는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와 나선결합된 스크류(18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에서는 디스크의 중앙부에 높낮이 조절부재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디스크의 자중 및 설치조건을 고려하여 양 측에 높낮이 조절부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9 는 안내부재를 나타내는 상세도로서, 도 8 의 선 A-A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표(16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양 측부에 상하로 형성되며, 종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가이드 편(140b); 및 상기 제 1 부표(160)의 양 측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편의 공간내에 수용되는 연장편(160b);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부표(160)의 높낮이 조절시 제 1 부표의 연장편(160b)이 가이드 편(140b)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스크류의 종단부(180a)를 회전시키면, 높낮이 조절부재 및 안내부재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제 1 부표(16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1 부표(160)의 높낮이가 조절된 후에 하천 또는 해수의 수위에 따라 제 1 부표의 높낮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정된 제 1 부표의 높이를 보강 지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편(140b)의 상하방향으로 슬롯(142)을 형성하고, 제 1 부표의 연장편(160b)에 다수의 관통공(162)를 형성하여 상기 슬롯(142) 및 관통공(162)을 볼트조임(144) 등으로 고정하여 제 1 부표(160)의 높이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은 높낮이 조절부재 및 안내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설치조건 및 디스크의 자중을 고려하여 제 1 부표의 높낮이를 제어함으로써 부표식 자동수문의 개폐를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부표(160)의 크기는 설치조건 및 디스크의 자중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디스크의 내면에 고정 설치된 제 2 부표(162)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 1 부표와 상호 보완작용을 하여 부표식 자동수문의 개폐를 원활하게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100)은 상기 게이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천 또는 해수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게이트는 제 1 부표(160)가 형성된 쪽으로 무게중심이 치우치게 되고, 그 결과 프레임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에는 게이트가 프레임 쪽으로 상승하도록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 에는 각도조절부재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재는 프레임(110) 측면에 고정설치되며, 상하방향의 슬롯이 형성된 브라켓(113); 디스크(140) 측면에 고정 설치된 지지편(146); 제 1 종단부는 상기 슬롯 내에 위치하며, 제 2 종단부는 지지편(146)에 지지되어 있는 연결로드(190); 및 상기 제 1 종단부에 고정된 걸림편(19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걸림편(192) 및 제 1 종단부는 나선 결합되어, 브라켓(113) 및 지지편(146)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레임 및 게이트는 일반적으로 하천 또는 바다로 우수를 배출하는 경우에 연결로드(190)에 결합된 걸림편(192)의 위치에 따른 간격만큼만 벌어져 있게 되고, 하천 또는 해수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는 경우에 원활하게 프레임 쪽으로 게이트가 상승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100)의 구체적인 작용을 살펴보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우수 또는 계곡 수 등을 배출하는 경우 프레임의 배출구가 하천 또는 해수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는 자중에 의하여 개방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프레임은 배출구의 단면적을 넓어져 프레임 및 게이트의 간격을 통해 우수 등이 원활하게 배출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기 시 하천 또는 만조 시 해수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제 1 부표 및 제 2 부표의 부력에 의하여 게이트가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이때 각도조절부재에 의하여 게이트는 프레임 쪽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프레임 측으로 원활히 상승하여 프레임 쪽으로 역류하는 하천수 또는 해수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 후 하천 또는 해수의 수위가 다시 낮아지는 경우에 게이트는 에어벤트에 의하여 프레임 내의 부압이 상쇄되고, 자중에 의하여 다시 개방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는 도 4 의 부표식 자동수문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 은 도 4의 부표식 자동수문의 차단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200)은 앞서 설명한 부표식 자동수문(100)과 달리 제 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재는, 행거 프레임(230)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브라켓(235); 및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나선 결합되는 스크류(290); 및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대응되며, 디스크(240)의 암 일단부에 고정된 플레이트(2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크류(29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 선단(290a)과 플레이트(280)가 접촉 지지되며 간격이 조절된다.
즉, 상기 스크류의 선단(290a)과 플레이트(280)가 접촉 지지되므로, 하천 또 는 해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게이트는 스크류 선단(290a)에 의해 지지되는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게이트가 원활하게 프레임 측으로 상승하여 프레임(210)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 밖의 프레임(210); 에어벤트(220); 행거프레임(230)과 게이트(250)의 연결관계; 제 1 부표(260)의 높낮이 조절부재; 및 안내부재;의 결합관계 및 작용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앞서 설명한 부표식 자동수문(100)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는 생략되었으나, 디스크(240)의 내면에 고정 설치된 제 2 부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300)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300)은 프레임이 고정되던 벽체의 형상이,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경우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설치되던 프레임은 별도로 벽체에 고정되지 않으며, 벽체(3000) 상측에 다수의 행거 프레임(330);을 설치하고, 상기 벽체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행거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부표를 갖는 게이트(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은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을 뿐, 앞서 설명 한 높낮이 조절부재, 안내부재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350)는 디스크(340) 양 측에 다수의 암(340a)을 고정하여 링크를 매개로 상기 행거프레임(3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게이트는 상기 디스크(340)의 외면에, 높낮이 조절부재 및 안내부재에 의해 상하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부표(3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재는, 행거 프레임(330)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브라켓(335); 및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나선결합되는 스크류(390); 및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대응되며, 디스크의 암 일단부에 고정된 플레이트(3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크류(39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 선단(부호 미도시)과 플레이트(380)가 접촉 지지되며 간격이 조절된다.
또한, 디스크의 내면에 벽체와의 수밀을 위해 설치되는 수밀패킹(34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면에는 생략하였으나, 디스크의 외면에 설치된 제 1 부표(360) 뿐만 아니라, 디스크의 내면에 고정설치된 제 2 부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부표식 자동수문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 은 도 1 의 부표식 자동수문의 차단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의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부표식 자동수문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 은 도 4 의 부표식 자동수문의 차단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자동수문의 측면도.
도 8 은 높낮이 조절부재에 대한 정면도.
도 9 는 안내부재에 대한 상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부표식 자동수문
110, 210: 프레임
120, 220: 에어벤트
130, 230, 330: 행거프레임
140, 240, 340: 디스크
150, 250, 350: 게이트
160, 260, 360: 제 1 부표
162: 제 2 부표
1000, 2000, 3000: 벽체

Claims (10)

  1. 하천 또는 해수의 수위에 따라 개폐되는 자동수문으로서,
    우수관로의 출구측에 고정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아지게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프레임 내의 부압을 상쇄시키고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에어벤트;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행거 프레임; 및 상기 행거 프레임에 링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외면에 높낮이 조절부재 및 안내부재에 의해 상하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부표를 구비하는 게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외면에 설치 고정된 브라켓, 상기 제 1 부표의 직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파이프 및 상기 브라켓의 관통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와 나선결합되며, 한 종단부는 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되고, 다른 종단부는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와 나선결합된 스크류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양 측부에 상하로 형성되며, 종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가이드 편 및 상기 제 1 부표의 양 측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편의 공간내에 수용되는 연장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자동수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에 대응되는 프레임의 표면에 수밀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자동수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디스크의 내면에, 상기 디스크와 프레임 사이의 수밀을 위해 설치되는 수밀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자동수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내면에 고정 설치된 제 2 부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자동수문.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자동수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프레임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방향의 슬롯이 형성된 브라켓;
    디스크 측면에 고정 설치된 지지편;
    제 1 종단부는 상기 슬롯내에 위치하며, 제 2 종단부는 지지편에 지지되어 이는 연결로드; 및
    상기 제 1 종단부에 고정된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의 회전시 상기 연결로드의 제 1 종단부가 브라켓의 슬롯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자동수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행거 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나선결합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대응되며, 디스크의 암 일단부에 고정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 선단과 상기 플레이트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자동수문.
  10. 삭제
KR1020070093820A 2007-09-14 2007-09-14 부표식 자동 수문 KR100835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820A KR100835335B1 (ko) 2007-09-14 2007-09-14 부표식 자동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820A KR100835335B1 (ko) 2007-09-14 2007-09-14 부표식 자동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335B1 true KR100835335B1 (ko) 2008-06-04

Family

ID=3977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820A KR100835335B1 (ko) 2007-09-14 2007-09-14 부표식 자동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335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685B1 (ko) 2009-08-18 2009-12-09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하수배출형 부표식 자동수문장치
KR101028841B1 (ko) * 2010-12-17 2011-04-12 주식회사 동호 홍수조절지 부력식 수문
CN102691279A (zh) * 2012-06-08 2012-09-26 安力斯(天津)环保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阵列管式堰门
JP2013068015A (ja) * 2011-09-22 2013-04-18 Chubu Bika Kigyo Kk フラップゲート
KR101284196B1 (ko) * 2011-09-14 2013-07-09 기인서 보의 상류 측 수중에 위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어류의 이동이 연중 가능한 어도
KR101368886B1 (ko) 2013-04-08 2014-03-03 주식회사 삼안 관로용 유압식 가동수문
KR101370040B1 (ko) * 2013-05-27 2014-03-04 서보형 복식 문비
KR101488685B1 (ko) * 2014-06-30 2015-02-02 김성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KR101530824B1 (ko) * 2014-07-14 2015-06-22 김성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KR101534199B1 (ko) * 2014-12-17 2015-07-06 주식회사 동인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
WO2016010315A1 (ko) * 2014-07-14 2016-01-21 김성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KR20180057428A (ko) * 2016-11-22 2018-05-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류방지용 덮개 및 이를 구비한 역류방지장치
KR102072198B1 (ko) * 2019-05-27 2020-01-31 주식회사 동인 무동력 다기능 게이트
CN114855718A (zh) * 2022-05-06 2022-08-05 长沙金虹水工科技有限公司 一种解决闸门共振的结构
CN116767709A (zh) * 2023-08-25 2023-09-19 新乡华锐锂电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磷酸铁锂电池电解液连接保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493Y1 (ko) * 2002-12-26 2003-04-18 제일산업개발(주) 부력식 역지밸브
KR200420165Y1 (ko) * 2006-04-17 2006-06-28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수도용 우수토구 자동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493Y1 (ko) * 2002-12-26 2003-04-18 제일산업개발(주) 부력식 역지밸브
KR200420165Y1 (ko) * 2006-04-17 2006-06-28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수도용 우수토구 자동 개폐 장치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685B1 (ko) 2009-08-18 2009-12-09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하수배출형 부표식 자동수문장치
KR101028841B1 (ko) * 2010-12-17 2011-04-12 주식회사 동호 홍수조절지 부력식 수문
KR101284196B1 (ko) * 2011-09-14 2013-07-09 기인서 보의 상류 측 수중에 위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어류의 이동이 연중 가능한 어도
JP2013068015A (ja) * 2011-09-22 2013-04-18 Chubu Bika Kigyo Kk フラップゲート
CN102691279A (zh) * 2012-06-08 2012-09-26 安力斯(天津)环保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阵列管式堰门
CN102691279B (zh) * 2012-06-08 2014-06-25 安力斯(天津)环保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阵列管式堰门
KR101368886B1 (ko) 2013-04-08 2014-03-03 주식회사 삼안 관로용 유압식 가동수문
KR101370040B1 (ko) * 2013-05-27 2014-03-04 서보형 복식 문비
KR101488685B1 (ko) * 2014-06-30 2015-02-02 김성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US10151098B2 (en) 2014-07-14 2018-12-11 Korea Machinery Ind. Inc. Powerless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WO2016010316A1 (ko) * 2014-07-14 2016-01-21 김성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WO2016010315A1 (ko) * 2014-07-14 2016-01-21 김성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JP2017524082A (ja) * 2014-07-14 2017-08-24 コリア マシーナリー インダスト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動力逆流防止装置
KR101530824B1 (ko) * 2014-07-14 2015-06-22 김성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KR101534199B1 (ko) * 2014-12-17 2015-07-06 주식회사 동인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
KR20180057428A (ko) * 2016-11-22 2018-05-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류방지용 덮개 및 이를 구비한 역류방지장치
KR101953344B1 (ko) * 2016-11-22 2019-02-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류방지용 덮개 및 이를 구비한 역류방지장치
KR102072198B1 (ko) * 2019-05-27 2020-01-31 주식회사 동인 무동력 다기능 게이트
CN114855718A (zh) * 2022-05-06 2022-08-05 长沙金虹水工科技有限公司 一种解决闸门共振的结构
CN114855718B (zh) * 2022-05-06 2023-09-22 长沙金虹水工科技有限公司 一种解决闸门共振的结构
CN116767709A (zh) * 2023-08-25 2023-09-19 新乡华锐锂电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磷酸铁锂电池电解液连接保护装置
CN116767709B (zh) * 2023-08-25 2023-11-17 新乡华锐锂电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磷酸铁锂电池电解液连接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335B1 (ko) 부표식 자동 수문
JP5661796B2 (ja) 無動力逆流防止装置
KR100614939B1 (ko) 도로의 맨홀 역류방지시설구조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64349A (ko) 파형강판 보호형 고무댐
KR200420165Y1 (ko) 하수도용 우수토구 자동 개폐 장치
KR100930685B1 (ko) 하수배출형 부표식 자동수문장치
KR200246774Y1 (ko) 수문 개폐장치
KR20050109422A (ko) 펌프 일체형 수문
FI86004B (fi) Bakvattenstopp foer sjaelvfallsledningar.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101253650B1 (ko) 무게 추를 이용한 자동수문장치
KR200218278Y1 (ko) 배수관의 배출구 자동개폐장치
KR100812252B1 (ko) 무전원형 수문 개폐식 맨홀
KR100778151B1 (ko) 부력식 어도
KR200262733Y1 (ko)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KR100637608B1 (ko) 신도시 하수관의 역류방지장치
KR101238984B1 (ko) 다기능형 자동 수문
KR100453798B1 (ko) 수문의 토사적층 방지장치
JP2009100683A (ja) 水田貯水装置
KR200449044Y1 (ko) 수문장치
KR20030054842A (ko) 수위조절용 자동수문장치
KR101986731B1 (ko) 하수관거의 해수 역류방지장치
JPS6016611A (ja) 制水用樋門における扉の全自動開閉装置
KR102141311B1 (ko) 하수관거용 가림판의 개폐력 조정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