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685B1 -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685B1
KR101488685B1 KR20140088542A KR20140088542A KR101488685B1 KR 101488685 B1 KR101488685 B1 KR 101488685B1 KR 20140088542 A KR20140088542 A KR 20140088542A KR 20140088542 A KR20140088542 A KR 20140088542A KR 101488685 B1 KR101488685 B1 KR 101488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opening
discharge port
closing door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김종선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685B1/ko
Priority to PCT/KR2015/0072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103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하수관이나 농수로의 수문 등에 설치하여 하수의 역류를 무동력으로 방지할 수 있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배치되고, 후방에 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배치되는 관통홀을 갖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배출구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부를 포함하고, 바디부의 유입구는, 유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하는 바디부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되고, 바디부의 배출구는, 바디부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되며, 바디부의 유입구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들을 갖는 체결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POWERLESS APPARATUS FOR PROTECTING REVERSION OF SEWAGE}
본 발명은 무동력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이나 농수로의 수문 등에 설치하여 하수의 역류를 무동력으로 방지할 수 있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시설, 농경시설, 공공시설 및 산업시설 등의 각종 배수구로 배출되는 하수는, 기초 하수관에서 집수정, 하수 관거 또는 하수 주관, 간선 하수관에 모아져 하천 및 바다로 직접 배출되거나 또는 하수종말처리장이나 오수처리시설 등의 하수처리시설에 차집되어 하천이나 바다 등의 공공수면으로 배출처리되고 있다.
이러한 하수처리시설에 설치되는 기초 하수관이나 하수 주관 및 간선 하수관의 규격은, 해당 시설이나 장소에서 예상되는 정상적인 하수 배출량을 충분히 처리할 수 있는 적정 규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수 배출시에, 기초 하수관이나 하수 주관 및 간선 하수관은, 자유 수면을 갖는 개수로 형태로 하수를 정상 배출 처리하지만, 일부 지역에 일시적인 폭우나 집중 호우가 발생하여 유입수가 단위시간당 하수관 처리용량보다 많아질 때, 자유 수면이 없이 만수 상태로 하수를 배출하는 관수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해당 하수관으로 미처 배출되지 못한 유입수는, 도로나 지표면으로 범람하게 되고, 동시에 하수관로의 배출 수압이 높아지면서, 지대가 낮은 지역의 기초 하수관측으로 역류하면서, 하수 배출처인 주택이나 공공시설 및 산업시설의 배수구 및 집수정으로 역류하여 침수 피해를 유발하고, 도로나 정화조 및 제반시설들도 침수 피해를 입게 된다.
또한, 어느 한 지역에서의 폭우나 집중 호우에 의하여, 간선 하수관이 관수로 상태가 되거나 하천의 수위가 단시간 동안 높아지는 경우, 장마에 의하여, 장시간 동안, 하천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바다의 해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등에도, 낮은 지대의 하수관거나 간선 하수관측으로 또는 관개수로의 농수로 측으로 하수 및 하천수 또는 해수가 역류하여 침수 피해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하수나 하천수 또는 해수 역류에 의한 침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하수 역류 방지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하수 역류 방지 장치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8-0078974 (하수역류방지장치)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역류 방지 장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서만 개폐기가 개방되므로, 하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의 양이 적을 경우, 개폐기가 개방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하수가 하수관으로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개폐기가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원할한 하수 배출이 어렵고, 연결관의 관로를 완전개방형으로 형성할 수 없어 부피가 크거나 길이가 긴 이물질의 배출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개폐기가 관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개폐기의 가장자리와 연결관의 내벽 사이의 틈새로 모래, 찌꺼기, 협잡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면, 개폐기 작동에 대한 방해요소로 작용하여, 개폐기가 개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직하게 절단된 유입구와 소정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된 배출구를 갖는 바디부에, 개폐 도어부가 힌지 결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하수 배출이 수월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의 유입구의 테두리에, 다수의 체결공들을 갖는 체결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후방에 하우징을 체결하고, 전방에 이물질 차단망을 체결함으로써,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 도어부의 측면에 측면 차단막과 길이 조절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배치함으로써, 개폐 도어부의 개폐 동작을 수월하게 함과 동시에 개폐 도어부와 바디부 사이에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고장의 원인을 차단할 수 있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는, 전방에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배치되고, 후방에 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배치되는 관통홀을 갖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배출구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부를 포함하고, 바디부의 유입구는, 유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하는 바디부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되고, 바디부의 배출구는, 바디부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되며, 바디부의 유입구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들을 갖는 체결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의 배출구는, 바디부의 중심축에 대해, 약 20도 - 80도로 비스듬히 절단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의 외부 측면에는, 개폐 도어부가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개폐 도어부의 일측이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와 개폐 도어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하우징은, 바디부와 개폐 도어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의 일측 끝단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들을 갖는 체결 부재가 배치되고, 하우징의 체결 부재는, 바디부의 유입구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체결 부재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의 유입구를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 차단망의 일측 끝단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들을 갖는 체결 부재가 배치되고, 이물질 차단망의 체결 부재는, 바디부의 유입구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체결 부재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도어부는,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 부재와, 부력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부력 부재의 부력에 의해,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하고,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 도어부의 하중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개방하여, 바디부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바디부의 배출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는, 부력 부재의 상부에 접촉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과, 가이드판의 측면으로부터 부력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개폐 도어부는,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체로 이루어지고, 부력체는, 부력체의 측면으로부터 바디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개폐 도어부는,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 부재와, 부력 부재의 측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바디부의 측면에 타측이 연결되어, 부력 부재가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부력 부재가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개폐 도어부는,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 부재와, 부력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부력 부재의 부력에 의해,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하고,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 도어부의 하중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개방하여, 바디부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바디부의 배출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의 측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바디부의 측면에 타측이 연결되어, 가이드부가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가이드부가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는, 부력 부재의 상부에 접촉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과, 가이드판의 측면으로부터 부력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을 포함하고, 길이 조절 부재는, 가이드부의 측면 차단막을 커버하여,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수직하게 절단된 유입구와 소정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된 배출구를 갖는 바디부에, 개폐 도어부가 힌지 결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하수 배출이 수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의 유입구의 테두리에, 다수의 체결공들을 갖는 체결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후방에 하우징을 체결하고, 전방에 이물질 차단망을 체결함으로써,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 도어부의 측면에 측면 차단막과 길이 조절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배치함으로써, 개폐 도어부의 개폐 동작을 수월하게 함과 동시에 개폐 도어부와 바디부 사이에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고장의 원인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의 분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개폐 도어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개폐 도어부의 하부면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측면도이며, 도 1c는 전면도이고, 도 1d는 후면도이며, 도 1e는 상면도이고, 도 1f는 하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는, 크게 바디부(10)와 개폐 도어부(20)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0)는, 전방에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2)가 배치되고, 후방에 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4)가 배치되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바디부(10)의 유입구(12)는, 유입구(12)에서 배출구(14)를 향하는 바디부(10)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되고, 바디부(10)의 배출구(14)는, 바디부(10)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부(10)의 배출구(14)는, 바디부(10)의 중심축에 대해, 약 20도 - 80도로 비스듬히 절단되는 절단 각도 θ1을 가질 수 있다.
그 이유는,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바디부(10)의 배출구(14)의 테두리에는, 완충 부재(16)가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할 때, 개폐 도어부(20)와 바디부(10)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역류되는 하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밀폐시키기 위함이다.
이어, 바디부(10)의 외부 측면에는,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개폐 도어부(10)의 일측이 안착되는 안착 홈(18)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바디부(10)의 안착 홈(18)에는,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개폐 도어부(10)의 가이드부 중, 측면 차단막이나 길이 조절 부재 등이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바디부(10)의 유입구(12)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32)들을 갖는 체결 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0)에 체결 부재(30)를 형성하는 이유는, 외부를 감싸는 하우징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망 등을 더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 등과 같은 설치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하우징은, 바디부(10)와 개폐 도어부(20)를 둘러쌀 수 있는데, 하우징은, 바디부(10)와 개폐 도어부(20)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의 관통홀의 직경은, 바디부의 관통홀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일측 끝단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들을 갖는 체결 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데, 하우징의 체결 부재는, 바디부(10)의 유입구(12)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체결 부재(3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차단망은, 바디부(10)의 유입구(12)를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 차단망의 일측 끝단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들을 갖는 체결 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물질 차단망의 체결 부재는, 바디부(10)의 유입구(12)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체결 부재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10)의 배출구(14)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도어부(20)는, 다양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10)의 배출구(14)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 부재와, 부력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부력 부재의 부력에 의해,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하고,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개폐 도어부(20)의 하중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개방하여, 바디부(10)의 유입구(12)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바디부(10)의 배출구(14)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력 부재는, 부력을 발생하는 부력체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부력 부재 내부에 부력을 유지하는 고무 재질의 튜브(28)가 배치될 수도 있다.
부력 부재 내부에 튜브(28)가 배치되는 경우, 부력 부재의 외면이 파손되어도 부력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부력 부재의 파손으로 인한 개폐 도어부(20)의 부력 기능 상실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는, 부력 부재의 상부에 접촉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과, 가이드판의 측면으로부터 부력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면 차단막은, 가이드부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할 때, 바디부(10)의 외부 측면에 형성되는 안착 홈(18)에 안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측면 차단막과 가이드판은, 부력 부재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경우로서, 측면 차단막과 가이드판은, 부력 부재와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일예로, 개폐 도어부(20) 전체는, 바디부(10)의 배출구(14)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체로만 이루어질 수 있는데, 부력체는, 부력체의 측면으로부터 바디부(10)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10)의 배출구(14)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 부재와, 부력 부재의 측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바디부(10)의 측면에 타측이 연결되어, 부력 부재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부력 부재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조절 부재는, 탄성체 및 주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10)의 배출구(14)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 부재와, 부력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부력 부재의 부력에 의해,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하고,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개폐 도어부(20)의 하중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개방하여, 바디부(10)의 유입구(12)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바디부(10)의 배출구(14)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의 측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바디부(10)의 측면에 타측이 연결되어, 가이드부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가이드부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는, 부력 부재의 상부에 접촉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과, 가이드판의 측면으로부터 부력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을 포함하고, 길이 조절 부재는, 가이드부의 측면 차단막을 커버하여,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도어부(20)의 하부면은,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개방할 때, 바디부(10)의 외측면을 지나는 연장선과 다른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개폐 도어부(20)의 하부면은,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개방할 때, 바디부(10)의 외측면을 지나는 연장선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직하게 절단된 유입구(12)와 소정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된 배출구(14)를 갖는 바디부(10)에, 개폐 도어부(20)가 힌지 결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하수 배출이 수월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디부(10), 개폐 도어부(20), 하우징(40) 및 이물질 차단망(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40) 및 이물질 차단망(50)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이어, 바디부(10)는, 배출구(14)의 테두리에, 완충 부재(16)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0)의 외부 측면에는,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개폐 도어부(10)의 일측이 안착되는 안착 홈(18)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바디부(10)의 안착 홈(18)에는,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개폐 도어부(10)의 가이드부(24) 중, 측면 차단막(24a)이 안착될 수 있다.
다음, 바디부(10)의 유입구(12)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32)들을 갖는 체결 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은, 바디부(10)와 개폐 도어부(20)를 둘러쌀 수 있는데, 하우징(40)은, 바디부(10)와 개폐 도어부(20)가 삽입되는 관통홀(4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40)의 관통홀(42)의 직경 D1은, 바디부(10)의 관통홀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의 일측 끝단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46)들을 갖는 체결 부재(44)가 배치될 수 있는데, 하우징의 체결 부재(44)는, 바디부(10)의 유입구(12)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체결 부재(3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차단망(50)은, 바디부(10)의 유입구(12)를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 차단망(50)의 일측 끝단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54)들을 갖는 체결 부재(52)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물질 차단망(50)의 체결 부재(52)는, 바디부(10)의 유입구(12)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체결 부재(30)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10)의 배출구(14)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 부재(22)와, 부력 부재(22)의 상부에 배치되어, 부력 부재(22)의 부력에 의해,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하고,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개폐 도어부(20)의 하중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개방하여, 바디부(10)의 유입구(12)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바디부(10)의 배출구(14)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력 부재(22)는, 부력을 발생하는 부력체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부력 부재(22) 내부에 부력을 유지하는 고무 재질의 튜브(28)가 배치될 수도 있다.
부력 부재(22) 내부에 튜브(28)가 배치되는 경우, 부력 부재(22)의 외면이 파손되어도 부력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부력 부재(22)의 파손으로 인한 개폐 도어부(20)의 부력 기능 상실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24)는, 부력 부재(22)의 상부에 접촉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24a)과, 가이드판(24a)의 측면으로부터 부력 부재(2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2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면 차단막(24b)은, 가이드부(24)가 바디부(10)의 배출구(14)를 폐쇄할 때, 바디부(10)의 외부 측면에 형성되는 안착 홈(18)에 안착될 수 있다.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서로 동일한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모두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서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서로 다른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은, 부력 부재(22)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이드부(24)의 가이드판(24a)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모두 부력 부재(22)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가이드판(24a)은, 부력 부재(22)와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디부(10)의 유입구(12)의 테두리에, 다수의 체결공(32)들을 갖는 체결 부재(30)를 배치함으로써, 후방에 하우징(40)을 체결하고, 전방에 이물질 차단망(50)을 체결함으로써,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개폐 도어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의 배출구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개폐 도어부(20)는, 부력 부재와 가이드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도어부(20) 전체는,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체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부력체는, 부력체의 측면으로부터 바디부(10)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20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도어부(20)는,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 대신에 길이 조절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길이 조절 부재는, 가이드부(24)가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가이드부(24)가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탄성체 및 주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4와 같이, 개폐 도어부(20)는,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과 길이 조절 부재(26)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즉,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 부재(22)와, 부력 부재(22)의 상부에 배치되어, 부력 부재(22)의 부력에 의해,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하고,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 도어부(20)의 하중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개방하여, 바디부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바디부의 배출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와, 가이드부(24)의 측면에 일측(26a)이 연결되고, 바디부의 측면에 타측(26b)이 연결되어, 가이드부(24)가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가이드부(24)가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길이 조절 부재(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24)는, 부력 부재(22)의 상부에 접촉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판(24a)과, 가이드판(24a)의 측면으로부터 부력 부재(2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24b)을 포함하고, 길이 조절 부재(26)는, 가이드부(24)의 측면 차단막(24b)을 커버하여,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 조절 부재(26)는, 탄성체 및 주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폐 도어부(20)의 측면에 측면 차단막(24b)과 길이 조절 부재(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배치함으로써, 개폐 도어부(20)의 개폐 동작을 수월하게 함과 동시에 개폐 도어부(20)와 바디부(10) 사이에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고장의 원인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개폐 도어부의 하부면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는, 전방에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배치되고, 후방에 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배치되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는데, 바디부(10)의 유입구는, 유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하는 바디부(10)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되고, 바디부(10)의 배출구는, 바디부(10)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도어부(20)는, 바디부(10)의 배출구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바디부(10)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a와 같이, 개폐 도어부(20)의 하부면(20a)은,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바디부(10)의 외측면(10a)을 지나는 연장선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개폐 도어부(20)의 하부면(20a)을 지나는 제 2 연장선은, 바디부(10)의 외측면(10a)을 지나는 제 1 연장선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5b와 도 5c와 같이, 개폐 도어부(20)의 하부면(20a)은,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바디부(10)의 외측면(10a)을 지나는 연장선과 다른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개폐 도어부(20)의 하부면(20a)을 지나는 제 2 연장선은, 바디부(10)의 외측면(10a)을 지나는 제 1 연장선과 다른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b와 같이, 개폐 도어부(20)의 하부면(20a)은,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바디부(10)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 도어부(20)의 하부면(20a)을 지나는 제 2 연장선과 바디부(10)의 외측면(10a)을 지나는 제 1 연장선은, 일정 거리의 제 1 간격 d11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c와 같이, 개폐 도어부(20)의 하부면(20a)은, 개폐 도어부(20)가 바디부(10)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바디부(10)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 도어부(20)의 하부면(20a)을 지나는 제 2 연장선과 바디부(10)의 외측면(10a)을 지나는 제 1 연장선은, 일정 거리의 제 2 간격 d12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 도어부(20)의 배치를 다양하게 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설치 장소 및 환경에 따라, 설치의 유연성을 주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설치 장소 및 환경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개폐 도어부(20)와 바디부(10)의 배치 구조를 변형함으로써, 제한 없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바디부 12: 유입구
14: 배출구 18: 안착 홈
20: 개폐 도어부 22: 부력 부재
24: 가이드부 26: 길이 조절 부재
30: 체결부 40: 하우징
50: 이물질 차단망

Claims (10)

  1. 전방에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배치되고, 후방에 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배치되는 관통홀을 갖는 바디부; 그리고,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의 유입구는, 상기 유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하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되고,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에 대해 20도~80도의 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되며,
    상기 바디부의 유입구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들을 갖는 체결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의 외부 측면에는, 상기 개폐 도어부가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상기 개폐 도어부의 일측이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의 테두리에는, 완충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개폐 도어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디부와 상기 개폐 도어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끝단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체결공들을 갖는 체결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체결 부재는, 상기 바디부의 유입구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체결 부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유입구를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부는,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 부재와,
    상기 부력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력 부재의 부력에 의해,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를 상기 개폐 도어부의 하중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바디부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부는,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력체는, 상기 부력체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바디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측면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부는,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역류되는 하수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 부재와,
    상기 부력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력 부재의 부력에 의해,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역류되는 하수가 제거되면,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를 상기 개폐 도어부의 하중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바디부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를 폐쇄할 때, 길이가 줄어들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길이가 늘어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KR20140088542A 2014-06-30 2014-07-14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KR101488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7237 WO2016010315A1 (ko) 2014-07-14 2015-07-13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1179 2014-06-30
KR1020140081179 2014-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685B1 true KR101488685B1 (ko) 2015-02-02

Family

ID=5259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8542A KR101488685B1 (ko) 2014-06-30 2014-07-14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6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160B1 (ko) 2005-05-06 2005-11-02 주식회사 가림환경기술 부표식 자동 차단밸브
KR100827566B1 (ko) 2007-05-03 2008-05-07 김종선 하수관로 역류 방지장치
KR100835335B1 (ko) * 2007-09-14 2008-06-04 주식회사 동인 부표식 자동 수문
KR101131601B1 (ko) 2009-12-23 2012-03-30 김종선 무동력 역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160B1 (ko) 2005-05-06 2005-11-02 주식회사 가림환경기술 부표식 자동 차단밸브
KR100827566B1 (ko) 2007-05-03 2008-05-07 김종선 하수관로 역류 방지장치
KR100835335B1 (ko) * 2007-09-14 2008-06-04 주식회사 동인 부표식 자동 수문
KR101131601B1 (ko) 2009-12-23 2012-03-30 김종선 무동력 역류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1796B2 (ja) 無動力逆流防止装置
US8066029B2 (en) Persuasive environmental recovery system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0084B1 (ko) 이단동작 맨홀 개폐용 힌지
KR102035183B1 (ko) 자동 수문의 퇴적 방지장치
KR101530824B1 (ko)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KR101488685B1 (ko)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KR101596785B1 (ko) 우수 저류용 역류방지 맨홀 덮개
KR20140128813A (ko) 맨홀용 악취 및 역류 방지 장치
KR100608603B1 (ko) 수중보의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JP2004285649A (ja) 雨水ます
JP2019112790A (ja) 流入遮断装置
KR101797469B1 (ko) 역류방지 수문 구조물
JP6001754B1 (ja) 側溝用雨水排水装置
KR101707671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구조
KR101849023B1 (ko) 홍수예방 및 하수역류차단 구조를 갖는 관로구조
KR200263866Y1 (ko) 수압 및 부력에 의해 수위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수중보
US11697913B2 (en) Water flow control device
JP5827427B1 (ja) 側溝用雨水排水装置
KR20110000467A (ko)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
KR100946171B1 (ko) 역류 현상 해결 비점오염원 관리와 악취 차단 및 해충유입 방지용 우수유입구
KR100674355B1 (ko) 상수도 취수탑 저수위 도수구 설치구조
WO2016010315A1 (ko)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