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199B1 -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199B1
KR101534199B1 KR1020140182480A KR20140182480A KR101534199B1 KR 101534199 B1 KR101534199 B1 KR 101534199B1 KR 1020140182480 A KR1020140182480 A KR 1020140182480A KR 20140182480 A KR20140182480 A KR 20140182480A KR 101534199 B1 KR101534199 B1 KR 10153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cable
weight
pulley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강득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인
Priority to KR102014018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차집시설에 구비되는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몸체의 하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본체와 밸브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게이트와 밸브본체에 장착되고 게이트와 결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게이트를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와 밸브본체에 설치되고 게이트와 연결되어 게이트 중량에 의한 수직하중을 상쇄시키는 웨이트와 밸브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게이트를 원격 구동하여 개폐하는 케이블 권취부가 구비되는 원격구동부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로서, 에어실린더의 용량을 최소화하고,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서 수동으로 게이트를 원활하게 개폐시킬 수 있으며, 게이트 수동작동시 게이트의 개폐량을 확인하여 유량조절장치의 개도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게이트에 작용하는 부압을 해소하여 게이트 개폐부하를 감소시키며, 게이트와 밸브본체 사이에 이물질이 워지지 않아 게이트 개폐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되는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이다.

Description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flow control device for intercepting facility}
본 발명은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강우시 오수와 우수를 차집하여 일정량의 오수를 하수처리장으로 방류하는 유량조절 장치에 있어서, 유량 조절장치의 게이트를 적은 힘을 사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우에 따라 발생되는 우수와 하수를 처리하는 설비에는 오수와 우수를 수집하여 하수 처리장의 용량에 따라 일정량만을 하수 처리장으로 보내고 나머지는 하천으로 방류하는 차집시설 기술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차집시설에 구비되는 우수관로에는 하수 처리장으로 보내는 하수의 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무동력 또는 동력으로 작동되는 유량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 특허공보 제10-1215187호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수관로와 연결하여 유로를 가이드플레이트(103)에 가이드되며 개폐하는 게이트(100)가 구비되는 밸브본체(101)를 차집시설의 측벽에 고정 설치하고, 밸브본체의 상부에 동력에 의해 게이트를 승강시키는 공압실린더(102)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공압실린더(10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게이트를 개방할 때, 차집시설로 유입되는 하수량이 증가하여 게이트에 과다한 압력이 작용하거나, 메인관과 차집시설 사이 관로에서 부압이 발생되어 게이트에 작용하는 경우, 게이트가 유량조절 장치의 게이트 승강가이드에 가압되어 작동부하가 증가하기 때문에 공압실린더를 대형화하여야 하고 압축공기 보충용 공기탱크를 추가로 설치하고 있어서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정전시 또는 게이트를 강제로 개폐하여야 하는 경우 별도의 수동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게이트에 로프를 연결하고 크레인이나 체인블럭을 사용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워 유지 관리가 불편한 것은 물론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103)에 게이트(100) 삽입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게이트(100)가 삽입되어 하수압력 및 부압에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홈에 이물질이 채워져 게이트가 삽입되어 끼워지지 않음에 따라, 하수압력과 부압에 의해 게이트(100)가 변형되어 하수의 차단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의 또 다른 종래기술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압실린더를 게이트의 양측에 설치하여 공압실린더 승강 능력을 증가시키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게이트와 게이트가이드의 양측에 이물질이 끼거나 부착되는 등의 게이트 승강저항이 서로 다르게 발생됨에 따라 2개의 공압실린더가 동일하게 승강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러한 공압실린더의 승강 불일치로 인해 공압실린더와 게이트의 결합부가 파손되거나, 공압실린더로부터 압축공기가 누설되어 게이트 개폐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공압실린더의 하부가 오수에 잠기기 때문에 부식이 빨리 진행되어 공압실린더를 빈번하게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공압실린더가 장착된 차집시설의 유량조절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압실린더의 작동불량에 대응하여 게이트에 로프를 연결하고, 수동으로 로프를 당겨 게이트를 개방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게이트가 우수 속에 잠겨 있어 로프를 당길 때 게이트의 개방량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유량조절장치를 수동으로 작동할 때는 차집시설로부터 하수처리장으로 배출하는 유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게이트를 개폐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량조절장치의 게이트 무게를 상쇄시켜 승강 저항력을 감소시키는 구조와 게이트에 작용하는 부압을 감소시키는 구조를 설치하고, 게이트의 수동개폐시 개폐량을 확인하는 구성을 구비하여, 게이트 개폐용 공압실린더 크기와 용량을 최소화하고, 유량조절장치의 수동 조작시 하수처리장치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차집시설의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집시설의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몸체의 하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본체와 밸브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게이트와 밸브본체에 장착되고 게이트와 결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게이트를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와 밸브본체에 설치되고 게이트와 연결되어 게이트 중량에 의한 수직하중을 감쇄시키는 웨이트와 밸브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게이트의 개폐를 원격 구동하는 케이블 권취부가 구비되는 원격구동부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밸브본체는 외곽이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원통형 유로와 유로의 일측 단부에 오수 토출구를 연결하는 플랜지와 상기 오수 토출구 입구측 몸체의 양측 수직변부에 위치하여 게이트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와 상기 케이블가 결합되는 게이트의 케이블결합부가 승강되는 가이드슬롯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원통형 유로의 상부에 결합되는 에어실린더 및 웨이트가 장착되는 게이트작동부를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게이트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판재를 사각형 구조이며 상부변과 하부변의 중앙부를 돌출시킨 돌출부와 상기 스테인레스판재 일측면 중앙부에 에어실린더의 로드를 결합하는 로드결합부와 상기 스테인레스판재의 양측 세로변을 일정높이로 절곡하여 밸브본체의 가이드구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가이드에는 승강가이드가 몸체의 가이드구에 삽입되어 구름접촉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승강롤러와 상기 양측 승강가이드의 하단부에 케이블 결합용 제1 내지 제4볼트가 장착된 케이블결합부와 상기 게이트의 양측 승강가이드 사이를 연결하여 복수개의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웨이트는 게이트의 중량에 상당하는 중량을 가지도록 다수개의 웨이트플레이트를 적층하여 결합하고, 상단 웨이트플레이트에 웨이트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며, 게이트작동부 상단에 고정풀리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풀리와 웨이트풀리를 웨이트로프로 연결하여, 게이트의 승강 구동시 게이트 무게가 웨이트에 의해 상쇄되도록 하고, 상기 원통형 유로의 상단 일정부에는 에어벤트를 유로에 관통시켜 형성하며, 상기 에어벤트의 상단에는 플랩밸브를 장착하여 에어벤트를 통해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지 않으면서 메인관과 차집시설 사이 관로의 부압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원격구동부는 윈치드럼의 일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라쳇트와 구동축에 결합되며 소직경을 가지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대직경드럼기어와 대직경드럼기어의 일측에 결합되며 케이블가 감기는 윈치드럼과 윈치드럼의 회전량에 따라 게이트의 개폐량을 표시하는 계도계와 상기 윈치드럼의 타측에 형성되며 계도계를 구동하는 계도계구동기어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밸브본체의 몸체 사각형 모서리 4곳 일정위치에는 게이트와 연결되어 게이트를 개폐 구동하는 케이블을 감아서 설치하는 제1풀리 내지 제4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 원격구동부는 게이트와 케이블로 연결하여 차집시설의 외부에 설치하고, 케이블은 케이블을 감싸는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시켜 형성하며, 에어실린더에 의해 게이트를 구동할 때는 상기 라체트 기능을 해제하여 원격구동부가 공회전되고 원격구동부에 의해 원격 제어시에는 원격구동부가 일방향 회전 기능을 갖도록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격구동부의 구동축은 일측 단부에 수동핸들을 결합하거나, 역전회동이 가능한 엑추에이터를 결합하여 구동축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축에 엑추에이터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밸브본체에 장착되며 게이트와 결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게이트를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를 설치하지 않고, 게이트를 원격구동부에 의해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집시설의 유량조절장치는 웨이트를 사용하여 게이트 무게를 상쇄하여 승강 저항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에어실린더의 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게이트 승강 저항이 감소됨에 따라 유량조절장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서 케이블에 의해 원격으로 게이트를 원활하게 개폐시킬 수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장치는 게이트 수동구동 또는 자동구동시 게이트의 개폐량을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유량조절장치의 개도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장치는 유로에 에어벤트를 설치하여 게이트에 작용하는 부압을 해소하여 게이트 개폐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게이트 개폐가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장치는 게이트를 밸브본체의 오수배출구 입구측에 설치함으로써 게이트와 밸브본체 사이에 이물질이 끼워지지 않아 게이트 개폐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 및 도 2는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의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의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의 벨브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의 게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의 케이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의 케이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의 게이트 작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의 에어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의 원격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에서 하나를 기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포함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우수와 오수 유입구(2)와 오수 토출구(3) 및 바이패스구를 구비하는 차집시설(4)의 오수 토출구(3) 전단부에 설치하는 유량조절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집시설(4)은 비가 오지 않을 때는 유입구(2)를 통해 오수가 유입되고 우천시에는 오수와 우수가 함께 유입되며, 오수 토출구(3)를 통해 비가 오지 않을 때 유입되는 오수를 하수처리장으로 배출하고 우천시에는 유량조절장치(1)를 통해 오수와 다량의 우수가 함께 하수처리장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유량조절장치(1)는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수 토출구(3)와 결합되는 밸브본체(5)와 밸브본체(5)에 결합되어 오수 토출구(3)를 개폐하는 게이트(6)와 밸브본체에 장착되고 게이트(6)와 결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게이트를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7)와 게이트(6)와 연결되어 게이트 중량에 의한 수직하중을 상쇄시키는 웨이트(8)와 밸브본체(5)의 외부에 설치되며 케이블(9)을 통해 게이트(6)를 원격으로 개폐 구동하는 원격구동부(10)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게이트(6)와 연결되는 에어실린더(7)는 압축공기를 에어실린더의 하측으로 공급하여 게이트를 상승 이동시키고, 압축공기를 에어실린더의 상측으로 공급하여 게이트를 하강하는 이동시키는 일반적인 에어실린더 작동 방식으로 게이트를 승강시켜 오수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밸브본체(5)는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이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몸체(11)와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로(12)와 유로(12)의 일측 단부에 오수 토출구(3)를 연결하는 플랜지(13)와 상기 오수 토출구 입구측 몸체(11)의 양측 수직변부에 위치하여 게이트(6)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14)와 상기 케이블(9)이 결합되는 게이트(6)의 케이블결합부(6a)가 승강되는 가이드슬롯(14a)과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원통형 유로(12)의 상부에 결합되는 에어실린더(7) 및 웨이트(8)가 장착되는 게이트작동부(15)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6)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판재를 사각형 구조로 형성하고, 상부변과 하부변에 호형 돌출부(16)를 형성하며, 상기 스테인레스판재 일측면 중앙부에 상하로 에어실린더(7)의 로드를 결합하는 로드결합부(17)를 형성하고, 상기 스테인레스판재의 양측 세로변을 상기 로드결합부측으로 일정높이로 절곡하여 밸브본체(5)의 가이드구(14)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승강가이드(18)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가이드(17)에는 승강가이드가 가이드구(14)에 삽입되어 구름접촉되는 승강롤러(19) 복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하며, 상기 양측 승강가이드(18)의 하단부에는 케이블(9) 결합용 제1 내지 제4볼트(25, 26, 27, 28)가 장착된 케이블결합부(6a)를 승강가이드의 반대면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양측 승강가이드(18) 사이를 연결하여 복수개의 보강리브(20)를 용접 고정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의 원통형 유로(12)가 돌출된 측면의 사각형 모서리 4곳 일정위치에는 게이트(6)와 연결되어 게이트를 원격 승강시키는 케이블(9)를 감아서 설치하는 제1풀리 내지 제4풀리(21, 22, 23, 24)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각 풀리와 풀리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과 풀리를 감싸는 케이블커버(29)를 몸체에 형성한다.
상기 케이블(9)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케이블 내지 제3케이블(30, 31, 32)로 형성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케이블의 일단 또는 타단을 게이트(5)의 양측 하단부 측면에 형성되는 케이블결합부(6a)의 제1볼트(25), 제2볼트(26), 제3볼트(27) 및 제4볼트(28)와 연결한다.
상기 각 케이블의 연결 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케이블(31)의 일단은 원격구동부(10)의 케이블 권취부(33)에 좌권회시켜 고정하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단은 제1풀리(21)의 우측으로 감겨 제1볼트(25)와 연결하며, 제2케이블(31)의 일단은 제2볼트(26)와 연결하고 제2풀리(22)와 제3풀리(23)의 외주연에 접촉되며 제4풀리(24)의 좌측으로 감겨 단부가 제3볼트(27)와 연결한다. 그리고 제3케이블(32)은 일단을 제4볼트(28)와 연결하고 타단은 원격구동부(10)의 권취부에 우권회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은 케이블 연결에 따라 원격구동부(10)의 케이블 권취부(33)를 좌회전시키면, 권취부에 감겨진 제1케이블(30)이 풀리고, 제3케이블(32)이 감기면서 제1볼트 내지 제4볼트가 상승 이동하여 게이트(6)를 상승시킴으로써 수문을 개방하고, 원격구동부(10)의 케이블 권취부(33)를 우회전시키면 제1케이블(30)이 감기고 제3케이블(32)이 풀리면서 제1볼트 내지 제4볼트가 하강 이동하여 게이트(6)를 하강시킴으로써 수문을 폐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작동부(15)에 설치되는 웨이트(8)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의 중량에 상당하는 중량을 가지도록 다수개의 웨이트플레이트를 적층하여 결합하고, 상단 웨이트플레이트에 웨이트풀리(34)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작동부(15) 상단에 로프고정구(35a)와 고정풀리(35)를 설치하고, 이들 고정풀리(35) 및 웨이트풀리(34)를 웨이트로프(36)로 연결하되, 상기 웨이트로프(36)는 일단을 로프고정구(35a)와 연결하고, 타단은 도 5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6)에 형성되며 호형돌출부(16)의 상단부측 로드결합부(17)에 결합되는 웨이트로프 연결볼트와 연결한다.
이와 같이 게이트(6)의 중량에 상당하는 웨이트(8)를 게이트에 대응시켜 연결하여 게이트 중량에 의한 수직 하중을 상쇄시켜 게이트와 웨이트가 중량평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게이트(6)의 승강 구동시 게이트 무게가 웨이트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에 소용량의 에어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부드럽게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으며, 원격구동도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통형 유로(12)의 상단 일정부에는 에어벤트(37)를 유로(12)에 관통시켜 형성하고, 상기 에어벤트(37)의 상단은 ∩자형으로 절곡하고 단부에 플랩밸브(38)을 장착하여 에어벤트(37)를 통해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원격구동부(1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라체트(39)와 구동축(40)에 연결되는 소직경을 가지는 구동기어(41)와 구동기어(41)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대직경드럼기어(42)와 대직경드럼기어의 일측에 결합되며 케이블(9)가 감기는 윈치드럼(43)과 윈치드럼의 회전량에 따라 회전하여 게이트(6)의 개폐량을 표시하는 계도계(44)와 상기 윈치드럼의 타측에 소직경으로 형성되며 계도계를 구동하는 계도계구동기어(45)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원격구동부(10)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6)를 케이블(9)로 연결하여 차집시설(4)의 외부에 설치하고, 몸체(11)와 원격구동부(10)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9)은 케이블을 감싸는 하우징(47)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시켜 형성하고, 에어실린더에 의해 게이트를 구동할 때는 상기 라체트(39) 기능을 해제하여 원격구동부가 공회전되도록 하며, 원격구동부를 사용하여 원격조작시 원격구동부의 라체트가 일방향 회전 기능을 갖도록 제어한다.
상기 원격구동부(10)의 구동축(40)은 일측 단부에 수동핸들(46)을 끼워서 구동축(40)을 회전시키거나, 일측단부에 역전회동이 가능한 엑추에이터(미도시)를 결합하여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엑추에이터를 사용하여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밸브본체에 장착되며 게이트(6)와 결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게이트를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7)를 설치하지 않고, 게이트가 원격구동부(10)에 의해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유량조절장치 2 : 유입구
3 : 토출구 4 : 차집시설
5 : 벨브본체 6 : 게이트
6a : 케이블결합부 7 : 에어실린더
8 : 웨이트 9 : 케이블
10 : 원격구동부 11 : 몸체
12 : 유로 13 : 플랜지
14 : 가이드구 14a : 가이드슬롯
15 : 게이트 작동부 16 : 호형 돌출부
17 : 로드결합부 18 : 승강가이드
19 : 승강롤러 20 : 보강리브
21 : 제1풀리 22 : 제2풀리
23 : 제3풀리 24 : 제4풀리
25 : 제1볼트 26 : 제2볼트
27 : 제3볼트 28 : 제4볼트
29 : 케이블커버 30 : 제1케이블
31 : 제2케이블 32 : 제3케이블
33 : 권취부 34 : 웨이트풀리
35 : 고정풀리 36 : 웨이트로프
37 : 에어벤트 38 : 플랩벤트
39 : 라체트 40 : 구동축
41 : 구동기어 42 : 대직경드럼기어
43 : 윈치드럼 44 : 계도계
45 : 계도계구동기어 46 : 수동핸들
47 : 하우징

Claims (11)

  1. 차집시설에 구비되는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몸체의 하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본체와;
    밸브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게이트와;
    밸브본체에 장착되고 게이트와 결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게이트를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와;
    밸브본체에 설치되고 게이트와 연결되어 게이트 중량에 의한 수직하중을 상쇄시키는 웨이트와;
    밸브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게이트의 개폐를 원격 구동하는 케이블 권취부가 구비되는 원격구동부를 포함하여 형성하되,
    상기 밸브본체의 몸체 사각형 모서리 4곳 일정위치에는 게이트와 연결되어 게이트를 개폐 구동하는 케이블을 감아서 설치하는 제1풀리 내지 제4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외곽이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로와;
    유로의 일측 단부에 오수 토출구를 연결하는 플랜지와;
    상기 오수 토출구 입구측 몸체의 양측 수직변부에 위치하여 게이트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와;
    상기 케이블가 결합되는 게이트의 케이블결합부가 승강되는 가이드슬롯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원통형 유로의 상부에 결합되는 에어실린더 및 웨이트가 장착되는 게이트작동부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판재를 사각형 구조이며 상부변과 하부변의 중앙부가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스테인레스판재 일측면 중앙부에 상하로 에어실린더의 로드를 결합하는 로드결합부와;
    상기 스테인레스판재의 양측 세로변을 일정높이로 절곡하여 밸브본체의 가이드구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가이드에는 승강가이드가 몸체의 가이드구에 삽입되어 구름접촉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승강롤러와;
    상기 양측 승강가이드의 하단부에 케이블 결합용 제1 내지 제4볼트가 장착된 케이블결합부와;
    상기 게이트의 양측 승강가이드 사이를 연결하여 복수개의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게이트의 중량에 상당하는 중량을 가지도록 다수개의 웨이트플레이트를 적층하여 결합하고,
    상단 웨이트플레이트에 웨이트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며,
    게이트작동부 상단에 고정풀리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풀리와 웨이트풀리를 웨이트로프로 연결하여,
    게이트의 승강 구동시 게이트 무게가 웨이트에 의해 상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상단 일정부에는 에어벤트를 유로에 관통시켜 형성하며,
    상기 에어벤트의 상단에는 플랩밸브를 장착하여 에어벤트를 통해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구동부는 윈치드럼의 일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라쳇트와;
    구동축에 결합되며 소직경을 가지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대직경드럼기어와;
    대직경드럼기어의 일측에 결합되며 케이블이 감기는 윈치드럼과:
    윈치드럼의 회전량에 따라 게이트의 개폐량을 표시하는 계도계와;
    상기 윈치드럼의 타측에 형성되며 계도계를 구동하는 계도계구동기어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는 제1케이블 내지 제3케이블로 형성하고,
    상기 각 케이블의 일단 또는 타단을 게이트의 양측 하단부 측면에 장착되는 제1볼트, 제2볼트, 제3볼트 및 제4볼트와 연결하되,
    제1케이블의 일단은 원격구동부의 케이블 권취부에 좌권회시키고 타단은 제1풀리의 우측으로 감겨 제1볼트와 연결하며,
    제2케이블의 일단은 제2볼트와 연결하고 제2풀리와 제3풀리의 외주연에 접촉되며 제4풀리의 좌측으로 감겨 단부가 제3볼트와 연결하고,
    제3케이블은 일단을 제4볼트와 연결하고 타단은 원격구동부의 권취부에 우권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구동부는 게이트와 케이블로 연결하여 차집시설의 외부에 설치하고,
    케이블은 케이블을 감싸는 케이블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시켜 형성하며,
    에어실린더에 의해 게이트를 구동할 때는 원격구동부에 형성되는 라체트의 기능을 해제하여 라체트가 공회전되고 게이트를 원격 개폐구동시에는 일방향 회전 기능을 갖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구동부의 구동축은 일측 단부에 수동핸들을 결합하거나, 역전회동이 가능한 엑추에이터를 결합하여 구동축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엑추에이터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밸브본체에 장착되며 게이트와 결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게이트를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를 설치하지 않고, 게이트를 원격구동부에 의해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시설 유량조절장치.
KR1020140182480A 2014-12-17 2014-12-17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 KR10153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480A KR101534199B1 (ko) 2014-12-17 2014-12-17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480A KR101534199B1 (ko) 2014-12-17 2014-12-17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199B1 true KR101534199B1 (ko) 2015-07-06

Family

ID=5378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480A KR101534199B1 (ko) 2014-12-17 2014-12-17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1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2655A (ja) * 1995-05-11 1996-11-19 Kubota Corp 制水扉
KR20020073766A (ko) * 2001-03-16 2002-09-28 광 훈 전 전동, 수동 겸용 수문 권양장치
KR100835335B1 (ko) * 2007-09-14 2008-06-04 주식회사 동인 부표식 자동 수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2655A (ja) * 1995-05-11 1996-11-19 Kubota Corp 制水扉
KR20020073766A (ko) * 2001-03-16 2002-09-28 광 훈 전 전동, 수동 겸용 수문 권양장치
KR100835335B1 (ko) * 2007-09-14 2008-06-04 주식회사 동인 부표식 자동 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36176A (zh) 一种利用水力辅助的闸门启闭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534199B1 (ko) 차집시설 유량조절 장치
JP2009106186A (ja) 水田の給水装置
JP5926152B2 (ja) 親子式フラップゲート
KR20100010477U (ko) 수문
JP3955235B2 (ja) 昇降式防水扉装置
JP5116300B2 (ja) ケーブルダクトの排水システム
JP4418074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装置
KR100832126B1 (ko)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KR101390496B1 (ko) 맨홀용 하수관 개폐밸브
CN206635925U (zh) 一种溢流口快开门结构
KR102271253B1 (ko) 수문용 권양기
KR100729411B1 (ko) 수문의 유압식 긴급차단장치
CN106869298A (zh) 一种溢流口快开门结构
CN203834435U (zh) 便于控制的底孔放水闸门
KR101194279B1 (ko) 힌지식 수문 액추에이터
CN207829130U (zh) 用于工业企业尾水排放的闸门格栅井
JP2667630B2 (ja) 緊急遮断弁付排水監視システム
JP2013119741A (ja) 水道圧シリンダを利用した防水扉
EP3448783B1 (de) Vorrichtung zur verhinderung des aufschwimmens von tanks in schutzbauwerken im hochwasserfall
KR101646220B1 (ko) 수문 개폐용 윈치
KR200308598Y1 (ko) 플로우트를 이용한 슬루스 게이트 개폐시스템
TWI314173B (en) Floodgate machine
KR20090001585U (ko) 수문 인양장치
KR102569317B1 (ko) 버클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