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006Y1 -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 Google Patents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006Y1
KR200422006Y1 KR2020060012477U KR20060012477U KR200422006Y1 KR 200422006 Y1 KR200422006 Y1 KR 200422006Y1 KR 2020060012477 U KR2020060012477 U KR 2020060012477U KR 20060012477 U KR20060012477 U KR 20060012477U KR 200422006 Y1 KR200422006 Y1 KR 200422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cover plate
shaft member
weight
wat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12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0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거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하수를 방출하거나 하수관거로부터의 하수 역류를 차단하도록 된 덮개 판이 낮은 수압에도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하수관거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하수를 방출하거나 하수관거로부터의 하수 역류를 차단하도록 된 덮개 판에 축부재를 설치하고 그 축부재에 덮개 판의 무게를 경감시키기 위한 무게추부재들을 설치함으로서 낮은 수압에도 덮개 판이 쉽게 열리도록 하여, 하수의 배수를 원활히 함으로서 배수가 되지 않은 하수에 의한 침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자동비, 하수관거, 덮개 판(Disk), 무게추

Description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Flap Valve with Counter Weight}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축부재와 무게추부재의 변형예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도면,
도3a 및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하수관거 1a:토출구
110:덮개 판 120:프레임
121:토출공 123:돌기
130:지지대 140:축부재
143:체결공 150:무게추부재
151a:나사공 151b:끼움공
160:스토퍼
본 고안은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 수관거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하수를 방출하거나 하수관거로부터의 하수 역류를 차단하도록 된 덮개 판에 축부재를 설치하고 그 축부재에 덮개 판의 무게를 경감시키기 위한 무게추부재들을 설치함으로서 낮은 수압에도 덮개 판이 쉽게 열리도록 한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들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하수관을 통해 하수관거에 수집된 후 하천이나 바다로 배출되고 있다. 그런데 홍수나 장마, 간조로 인하여 하천 및 해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하천수나 해수가 배수관을 역류하여 가정집들과 도시를 침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수관거의 각 토출구에는 외수가 내수위 보다 높을시 외수위 수압으로 닫히는 자동비를 설치하여 하천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하수관거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비의 크기가 커지고 외수위의 깊이가 깊은곳에 설치되는 자동비는 재질도 수압에 견딜수 있도록 강재로 제작되므로 디스크의 중량이 매우 커지게 되어 디스크가 웬만한 수압에는 열리지 않아 외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원활할 배수가 일어나지 못하여 자동비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관거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하수를 방출하거나 하수관거로부터의 하수 역류를 차단하도록 된 덮개 판에 축부재를 설치하고 그 축부재에 덮개 판의 무게를 경감시키기 위한 무게추부재들을 설치함으로서 낮은 수압에도 덮개 판이 쉽게 열리도록 하기 위한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수관거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하수를 방출하거나 하수관거로부터의 하수 역류를 차단하도록 된 덮개 판을 갖는 자동비에 있어서, 상기 덮개 판의 전면 임의 지점으로부터 상측을 통하여 외부로 길게 뻗은 형태로 설치되는 축부재; 및 상기 축부재의 끝단에 상기 하수관거로부터 토출되는 수압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하며 설치되어 상기 축부재를 통해 상기 덮개 판의 무게를 경감시킴으로서 낮은 수압에도 상기 덮개 판이 쉽게 열리도록 한 무게추부재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추부재는 그 중간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상기 축부재에 나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무게추부재는 상기 축부재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태의 끼움공을 그 중간에 형성하여 상기 축부재에 끼워지고, 그 끼워진 무게추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축부재에는 상기 무게추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핀부재와 같은 스토퍼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축부재와 무게추부재의 변형예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도면, 도3a 및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부호(1)은 가정집이나 도로 등에 구비된 배수구와 연결되는 배수관을 통하여 배수되는 하수를 집류하기 위한 하수관거를 나타낸 것이고, 본 고안에 따른 자동비는 하수를 방출하거나 상기 하수관거(1)로부터의 하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하수관거(1)의 토출구(1a) 측에 설치되는데, 그 토출구(1a)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 판(1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토출구(1a) 측에는 그 토출구(1a)와 연락하는 토출공(121)을 갖는 링형의 프레임(120)이 볼트결합을 통하여 탈착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덮개 판(110)은 상기 프레임(120)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공(121)을 개폐함으로서 상기 토출구(1a)를 개폐한다. 상기 프레임(120)의 상부에는 2개의 ㄱ자형 돌기(12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돌기들(123) 각각에는 지지대(130)가 회전되게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덮개 판(110)은 그 지지대(130)에 탈착되게 체결됨으로서 상기 하수관거(1)의 토출구(1a)에서 토출되는 수압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며 상기 토출공(121)을 개폐하고 있다. 상기 토출공(121)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덮개 판(110)이 수압에 의하여 쉽게 열리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120)에 회전되게 설치됨으로서 상기 하수관거(1)에서 토출되는 수압에 의하여 개폐하는 상기 덮개 판(110)에는 막대모양의 축부재(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부재(140)는 상기 덮개 판(110)의 전면 임의 지점으로부터 상측을 통하여 외부로 길게 뻗은 형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덮개 판(110)에 하기의 무게추부재(150)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부여하기 위해서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통하여 외부로 길게 뻗은 형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덮개 판(110)에 상기 축부재(140)가 설치되면, 그 축부재(40)의 끝단에는 상기 덮개 판(110)의 무게를 경감시키기 위한 무게추부재들(150)이 설치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은 그 중간에 나사공(151a)을 형성하여 상기 축부재(14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부재(140)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것이고 그 외주연에는 상기 나사공(151a)과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될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달리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은 상기 축부재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태의 끼움공(151b)을 그 중간에 형성하여 상기 축부재(140)에 끼워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축부재(140)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은 중간에 그 사각형과 동일한 형태의 끼움공(151b)을 형성하여 상기 축부재(140)에 끼워진다. 그러나 이처럼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이 상기 축부재(140)에 끼워지면 그 축상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축부재(140)에는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6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160)로는 핀부재 또는 나사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축부재(140)는 그 길이를 따라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의 길이만큼 다수개의 체결공들(143)을 배열 형성하여 그 체결공들(143)에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스토퍼(160)를 체결함게 함으로서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스토퍼(160)가 나사볼트면, 상기 체결공들(143)의 내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축부재(140)에 상기 덮개 판(110)의 무게를 경감시키기 위한 무게추부재들(150)이 설치되면, 상기 덮개 판(110)은 낮은 수압에도 쉽게 열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은 상기 하수관거(1)로부터 토출되는 수압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하며 설치되어 상기 덮개 판(110)의 무게를 경감시킨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장마철이나 집중호우로 인하여 상기 하수관거(1)로부터 토출되는 하수량이 많아 수압이 높은 경우에는 그 수압으로도 상기 덮개 판(110)이 충분히 열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은 필요없을 수가 있다. 그러나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기로 인하여 상기 하수관거(1)로부터 토출되는 하수량이 작아 수압이 낮음으로서 상기 덮개 판(110)을 열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수압으로도 상기 덮개 판(110)을 충분히 열 수 있도록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이 설치되어야만 하는데, 그 수는 수압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도3a 및 도3b에서 설명된 수압들 사이에 있는 수압이 상기 하수관거(1)로부터 토출될 경우에는 그 수압으로도 상기 덮개 판(110)을 충분히 열 수 있도록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이 설치될 것인데, 그 수는 도3b에서 표시된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의 수보다 작을 것이다. 이처럼 상기 무게추부재들(150)은 상기 하수관거(1)로부터 토출되는 수압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하며 상기 축부재(140)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 판(110)의 무게를 경감시킴으로서, 상기 덮개 판(110)이 낮은 수압에도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하여, 기존과 같이 자동비에 나무나 돌 등을 끼움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하수관거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하수를 방출하거나 하수관거로부터의 하수 역류를 차단하도록 된 덮개 판에 축부재를 설치하고 그 축부재에 덮개 판의 무게를 경감시키기 위한 무게추부재들을 설치함으로서 낮은 수압에도 덮개 판이 쉽게 열리도록 하여, 하수가 배수되지 않음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여 가정집들과 도시의 침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수관거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하수를 방출하거나 하수관거로부터의 하수 역류를 차단하도록 된 덮개 판을 갖는 자동비에 있어서,
    상기 덮개 판의 전면 임의 지점으로부터 상측을 통하여 외부로 길게 뻗은 형태로 설치되는 축부재; 및
    상기 축부재의 끝단에 상기 하수관거로부터 토출되는 수압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하며 설치되어 상기 축부재를 통해 상기 덮개 판의 무게를 경감시킴으로서 낮은 수압에도 상기 덮개 판이 쉽게 열리도록 한 무게추부재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부재는 그 중간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상기 축부재에 나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부재는 상기 축부재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태의 끼움공을 그 중간에 형성하여 상기 축부재에 끼워지고, 그 끼워진 무게추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축부재에는 상기 무게추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핀부재와 같은 스토퍼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KR2020060012477U 2006-05-10 2006-05-10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KR200422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477U KR200422006Y1 (ko) 2006-05-10 2006-05-10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477U KR200422006Y1 (ko) 2006-05-10 2006-05-10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977 Division 2006-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006Y1 true KR200422006Y1 (ko) 2006-07-20

Family

ID=4177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477U KR200422006Y1 (ko) 2006-05-10 2006-05-10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0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2899A (zh) * 2011-07-15 2012-03-28 无锡华光锅炉股份有限公司 重锤式翻板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2899A (zh) * 2011-07-15 2012-03-28 无锡华光锅炉股份有限公司 重锤式翻板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566B1 (ko) 하수관로 역류 방지장치
JP5661796B2 (ja) 無動力逆流防止装置
KR100822433B1 (ko)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KR200422006Y1 (ko)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KR200420165Y1 (ko) 하수도용 우수토구 자동 개폐 장치
KR200409407Y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100375550B1 (ko) 관로 및 수로용 자동개폐수문
KR200218278Y1 (ko) 배수관의 배출구 자동개폐장치
KR200429800Y1 (ko) 하수도용 부력기능을 갖는 자동비
KR101849023B1 (ko) 홍수예방 및 하수역류차단 구조를 갖는 관로구조
KR101704347B1 (ko) 빗물받이용 다단 악취 차단시스템
KR20090034154A (ko) 부표식 플랩밸브
KR100715122B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200328176Y1 (ko) 하수역류방지밸브
KR200165916Y1 (ko) 하수배관용 체크밸브
CN205677057U (zh) 可调节单门同向截流阀
CN205677056U (zh) 可调节单门异向截流阀
KR100762411B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수문
CN219175439U (zh) 一种自动闭合式防反溢雨水箅子
KR200420164Y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비
KR101352381B1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 방지를 위한 밀폐형 개폐판
KR200163755Y1 (ko) 하수역류및악취차단장치
KR200420163Y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비
KR20130030408A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19990046823A (ko) 하수구맨홀역류를방지하는역류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