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233B1 - 창호용 호차 - Google Patents

창호용 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233B1
KR101496233B1 KR20130051093A KR20130051093A KR101496233B1 KR 101496233 B1 KR101496233 B1 KR 101496233B1 KR 20130051093 A KR20130051093 A KR 20130051093A KR 20130051093 A KR20130051093 A KR 20130051093A KR 101496233 B1 KR101496233 B1 KR 101496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groove
window frame
window
outer housing
eng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816A (ko
Inventor
김기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Priority to KR2013005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233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호차에 관한 것으로서, 창문틀의 하면에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에 호차를 삽입하여 설치하되, 상기 호차는 그 외측 하우징의 일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성력을 갖는 탄성편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편이 창문틀의 장착홈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므로 상기 호차를 장착홈에 결합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호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창호용 호차{Roller for a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창호용 호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차를 창문틀에 간편하게 장착하는 한편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창호용 호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축물에 있어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을 격리시켜 보호하는 동시에 내부의 밀폐된 공간에서 오염된 공기를 환기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는 대개 창문이 창틀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드식 창호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슬라이드식 창호는 건물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사각틀의 창틀과, 창틀의 내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창문을 포함한다.
또한, 창문은 창틀의 내주면 상에서 호차(미도시)를 매개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창문틀과, 창문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유리창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설치된 창문 중 하나 또는 두 개 모두가 창틀 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창문 즉 창문틀(이하 '창문틀' 이라 한다)의 하면에는 창틀 상에서 창문틀을 슬라이딩 이동가능케 하는 호차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호차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호차(100)는 창문틀(10, 도 4 참조)의 하면에 볼팅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는 외측 하우징(110)과, 외측 하우징(110) 내에 삽입되어 힌지핀(131)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되게 설치되는 내측 하우징(120)과, 내측 하우징(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힌지핀(13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창틀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구름되는 바퀴(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측 하우징(110)의 일단부에는 호차(10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볼트(140)가 설치되되, 조정볼트(140)는 외측 하우징(110)을 관통한 상태로 공회전되는 한편 내측 하우징(120)에는 나사 결합되어, 조정볼트(140)를 풀고 조임에 따라 외측 하우징(110) 내에서 내측 하우징(120)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내측 하우징(120)에는 힌지핀(131)이 관통된 경사구멍이 45도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조정볼트(140)에 의해서 당겨지거나 멀어지는 내측 하우징(120)은 외측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바퀴(13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호차(100)는 아래 선행기술문헌의 한국 공개특허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하우징(110)의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자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111)가 창문틀(10)의 하면에 볼팅되어 고정되는데, 이는 호차(100)를 창문틀(10)에 설치함에 있어 2개 이상의 볼트나 스크류가 소비되어 생산원가가 상승될 뿐 아니라 그만큼 작업공정이 늘어나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8-008147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호차를 창문틀의 하면에 볼트나 스크류 등에 의한 볼팅방식으로 고정하지 않고 호차 자체를 직접 창문틀의 하면에 고정시켜 구비할 수 있도록 한 창호용 호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창문틀의 하면에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에 호차를 삽입하여 설치하되, 상기 호차는 그 외측 하우징의 일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성력을 갖는 탄성편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편이 창문틀의 장착홈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므로 상기 호차를 장착홈에 결합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호차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은 외측 하우징의 일측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돌출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평탄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부에는 절개되어 그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절개편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편과 평탄부 사이에 장착홈의 내주연부가 걸림되어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창호용 호차에 따르면, 그 일측에 형성된 탄성편에 의해 호차가 창문틀 하면의 장착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결합 고정됨으로써 종래의 볼트나 스크류 등의 소비가 절제되어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한 불필요한 볼팅 등의 작업공수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호용 호차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호차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호차와 창문틀의 분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호차가 결합된 창문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호차와 창문틀 간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창호용 호차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틀(10)의 하면에 호차(100)가 구비되되, 상기 창문틀(10)의 하면에는 사각형상의 장착홈(1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11)에 호차(10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호차(100)는 창문틀(10) 하면의 장착홈(11)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외측 하우징(110)과, 외측 하우징(110) 내에 삽입되어 힌지핀(131)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되게 설치되는 내측 하우징(120)과, 내측 하우징(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힌지핀(13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창틀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구름되는 바퀴(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 하우징(110)의 일단부에는 호차(10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볼트(140)가 설치되고, 상기 조정볼트(140)는 외측 하우징(110)을 관통한 상태로 공회전되는 한편 내측 하우징(120)에는 나사 결합되어, 조정볼트(140)를 풀고 조임에 따라 외측 하우징(110) 내에서 내측 하우징(120)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 하우징(120)에는 힌지핀(131)이 관통된 경사구멍이 45도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조정볼트(140)에 의해서 당겨지거나 멀어지는 내측 하우징(120)은 외측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바퀴(13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측 하우징(110)의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자 형상의 플랜지(111)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111)는 종래와는 달리 외측 하우징(110)의 양측 하단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호차(100)를 창문틀(10) 하면의 장착홈(11)에 삽입하여 설치할 때 양 플랜지(111)가 창문틀(10)의 하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걸림된다.
또한, 상기 호차(100)의 외측 하우징(110) 일단부에는 플랜지(111)의 상부에 형성되어 창문틀(10)의 장착홈(11)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구비되는 탄성편(150)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150)은 외측 하우징(110)의 일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창문틀(10)의 장착홈(11)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탄성편(150)은 외측 하우징(110)의 일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돌출 형성되는 경사부(151)와, 상기 경사부(151)의 하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평탄부(152)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탄성편(150)은 경사부(151)의 일측에 "∪"자 형상으로 절개되는 한편 절개된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절개편(151a)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편(151a)과 평탄부(152) 사이에 도 4에서와 같이 장착홈(11)의 내주연부가 탄력적으로 걸림되어 결합 고정됨으로써, 호차(100)를 창문틀(10)의 장착홈(11)에 견고히 고정시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절개편(151a)는 경사부(151)보다 경사부(151)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경사부(151)보다 큰 탄성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호차(100)를 창문틀(10)의 장착홈(11)에 삽입하면, 호차(100)의 양 플랜지(111) 사이의 상측 부분이 장착홈(11) 내로 삽입되고, 이러한 삽입과정은 양 플랜지(111)가 창문틀(10)의 하면에 접하여 걸림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삽입과정 시 호차(100)의 일단부에 형성된 탄성편(150)은 경사부(151)가 장착홈(11)의 내주연부에 접하여 탄력적으로 압착된 상태로 장착홈(11) 내로 삽입되고, 양 플랜지(111)가 창문틀(10)의 하면에 접하여 삽입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탄성편(150)의 경사부(151)에 형성된 절개편(151a)이 탄력적으로 장착홈(11)의 내주연부를 지나 삽입되면서 절개편(151a)과 평탄부(152) 사이에 장착홈(11)의 내주연부가 걸림되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창문틀(10)의 장착홈(11)으로 삽입되는 호차(100)는 탄성편(150)의 경사부(151)에 형성된 절개편(151a)과 평탄부(152)에 의해서 창문틀(10)의 장착홈(11)에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분리 시는 창문틀(10)의 하면에 위치한 평탄부(152)를 밀어 경사부(151)를 외측 하우징(110) 측으로 밀어 압착시켜 절개편(151a)과 평탄부(152) 사이에 걸림된 장착홈(11)의 내주연부를 해제시킴으로써 호차(100)를 창문틀(10)의 장착홈(11)으로부터 분리시켜 낼 수 있게 된다.
10 : 창문틀 11 : 장착홈
100 : 호차 110,120 : 하우징
111 : 플랜지 130 : 바퀴
131 : 힌지핀 140 : 조정볼트
150 : 탄성편 151 : 경사부
151a : 절개편 152 : 평탄부

Claims (2)

  1. 창문틀의 하면에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에 호차를 삽입하여 설치하되,
    상기 호차는 그 외측 하우징의 일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성력을 갖는 탄성편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편이 창문틀의 장착홈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므로 상기 호차를 장착홈에 결합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호차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외측 하우징의 일측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돌출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평탄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부에는 절개되어 그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절개편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편과 평탄부 사이에 장착홈의 내주연부가 걸림되어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호차.
  2. 삭제
KR20130051093A 2013-05-07 2013-05-07 창호용 호차 KR101496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093A KR101496233B1 (ko) 2013-05-07 2013-05-07 창호용 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093A KR101496233B1 (ko) 2013-05-07 2013-05-07 창호용 호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816A KR20140132816A (ko) 2014-11-19
KR101496233B1 true KR101496233B1 (ko) 2015-02-27

Family

ID=5245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1093A KR101496233B1 (ko) 2013-05-07 2013-05-07 창호용 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735B1 (ko) * 2013-09-26 2015-02-17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창호용 호차
KR102082429B1 (ko) 2019-08-06 2020-02-27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창호용 호차
KR102503629B1 (ko) 2021-06-30 2023-02-23 서민식 무피스 착탈구조를 가진 창호용 호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2373U (ko) * 1986-05-12 1987-11-19
KR930000938Y1 (ko) * 1989-11-24 1993-03-02 박준석 창호용 삽착식 호차
KR20020031736A (ko) * 2000-10-23 2002-05-03 박기덕 호차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2373U (ko) * 1986-05-12 1987-11-19
KR930000938Y1 (ko) * 1989-11-24 1993-03-02 박준석 창호용 삽착식 호차
KR20020031736A (ko) * 2000-10-23 2002-05-03 박기덕 호차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816A (ko)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233B1 (ko) 창호용 호차
KR101493735B1 (ko) 창호용 호차
KR200392493Y1 (ko) 미닫이 도어의 착탈구조
US9254733B2 (en) Automotive glass channel and method
US7703500B2 (en) Bracket and head rail assembly
KR101518906B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CN215927089U (zh) 汽车内扣手螺钉盖板、安装结构及内扣手解锁结构
KR101482936B1 (ko) 창호용 호차
WO2022227791A1 (zh) 一种汽车内扣手螺钉盖板、安装结构及内扣手解锁结构
US20030228440A1 (en) Outside weather strip of a vehicle
KR102503989B1 (ko) 넌스크류 타입 창짝롤러 조립구조
KR20190052325A (ko) 미닫이 도어의 호차 고정구조
KR20160072656A (ko)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KR20190058209A (ko) 무피스 장착용 창호용 호차
KR101472225B1 (ko) 창호용 방풍부재, 이를 가지는 창호 프레임 및 방풍부재의 시공방법
KR101987845B1 (ko)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KR200187436Y1 (ko) 창문용 호차
KR102503629B1 (ko) 무피스 착탈구조를 가진 창호용 호차
JP6722892B2 (ja) 引戸装置
US9217268B2 (en) Furniture hinge
CN204941130U (zh) 一种自锁滚轮
CN215372877U (zh) 一种螺钉盖组件及空调机
US8201790B2 (en) Roller rod assembly for a sunshade
US20140338117A1 (en) Curved shower rod attachment
JP2007283996A (ja) 車輌の窓用ネ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