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251A - 차량용 오버슬램범퍼 - Google Patents

차량용 오버슬램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251A
KR20090058251A KR1020070124942A KR20070124942A KR20090058251A KR 20090058251 A KR20090058251 A KR 20090058251A KR 1020070124942 A KR1020070124942 A KR 1020070124942A KR 20070124942 A KR20070124942 A KR 20070124942A KR 20090058251 A KR20090058251 A KR 20090058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protrusion
vehicle
overslam
bum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4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8251A/ko
Publication of KR2009005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개방부를 개폐하는 패널측 테두리에 마련되어, 개방부의 폐쇄시 개방부측 테두리에 닿아 반력을 생성하는 차량용 오버슬램범퍼가 소개된다. 그 차량용 오버슬램범퍼는, 개방부측 테두리(300)에 마련된 접촉부(320)에 범퍼본체(100)가 접촉되며, 범퍼본체(100)의 위치규제를 위하여 접촉부(320)와 범퍼본체(100)의 하면에는 각각 대응되는 돌기(340)와 돌기홈(120)이 형성되고, 돌기(340)가 돌기홈(120)에 밀착하여 끼워지도록 돌기(340)나 돌기홈(120) 일측에는 걸림턱 구조(140)가 마련되어, 패널(10)이 닫힌 상태에서 범퍼본체(100)와 패널(10)의 상,하,좌,우 방향 위치가 규제되고 유동이 방지된다.
테일게이트, 오버슬램범퍼, 유동

Description

차량용 오버슬램범퍼 {Over Slam Bump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나 도어 등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패널측 테두리에 마련되어, 개방부의 폐쇄시 개방부측 테두리에 닿아 반력을 생성하는 차량용 오버슬램범퍼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트렁크리드나 테일게이트, 도어패널의 테두리에는 오버슬램범퍼가 마련되어, 패널에 힘을 가하여 개방부를 폐쇄할 때 과도한 힘에 의한 개방부 찍힘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오버슬램범퍼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정 탄성을 가지는 탄성고무부재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다. 오버슬램범퍼는 일반적으로 패널의 테두리에 마련되며 개방부의 테두리에는 오버슬램범퍼가 위치하도록 자리를 마련한다. 오버슬램범퍼는 충격흡수 외에도 패널이 닫힌 상태에서 차체와 패널간의 단차를 유지하고, 차량의 주행시 패널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댐퍼의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테일게이트의 오버슬램범퍼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오버슬램범퍼는 테일게이트(10)가 차체에 닿는 테두리부에 마련되며, 차체 개방부의 테두리에 매칭되어 안정적으로 테일게이트(10)가 닫힐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오버슬램범퍼는 개방부가 닫힌 경우 오버슬램범퍼의 수직방향으로만 위치가 규제되고, 완충작용을 하는 구조였다. 따라서 오버슬램범퍼의 수평방향으로는 위치규제나 완충이 되지 않아 패널이 개방부에 닫힌 상태에서 패널면 상으로 존재하는 좌,우,상,하 유동을 규제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패널이 개방부에 닫힌 상태에서 그 수직방향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위치를 규제하여 패널의 유동을 줄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버슬램범퍼는,
개방부측 테두리에 마련된 접촉부에 접촉되는 범퍼본체, 범퍼본체의 위치규제를 위하여 접촉부와 범퍼본체의 하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 돌기와 돌기홈, 돌기가 돌기홈에 밀착하여 끼워지도록 돌기나 돌기홈 일측에 마련된 걸림턱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개방부의 폐쇄시 범퍼본체의 하단부가 눌려 팽창되는 것을 고려하여, 범퍼본체가 눌리기 전에는 돌기홈과 돌기 사이에 일정 갭이 존재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오버슬램범퍼에 따르면, 개방부가 닫힌 후 오버슬램범퍼의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위치규제 및 완충작 용이 이루어져, 패널의 유동이 방지되고 패널의 변형이나 소음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슬램범퍼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슬램범퍼는 도어와 트렁크리드 등에도 적용가능하나, 이하에서는 테일게이트에 적용된 일 실시 예를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오버슬램범퍼는 리어범퍼 테두리(300)에 마련된 접촉부(320)에 범퍼본체(100)가 접촉되며, 범퍼본체(100)의 위치규제를 위하여 접촉부(320)와 범퍼본체(100)의 하면에는 각각 대응되는 돌기와 돌기홈이 형성되고, 돌기가 돌기홈에 밀착하여 끼워지도록 돌기나 돌기홈 일측에는 걸림턱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와 돌기홈은 접촉부나 범퍼본체에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나, 일 실시 예로서 돌기(340)는 접촉부(320)에, 돌기홈(120)은 범퍼본체(100)의 하단에 마련되고, 돌기홈(120)의 내부에는 돌기(340)가 밀착되도록 복수 개의 걸림턱 구조(140)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걸림턱 구조(140)가 상,하,좌,우로 모두 형성되어 범퍼본체(100)가 돌기(340)에 끼워진 후 걸림턱 구조(140)의 위치규제 및 완충으로 테일게이트 패널의 상,하,좌,우 방향 유동이 방지된다.
도 4를 참고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범퍼본체(100)가 리어범퍼(300)의 돌기(340)에 끼워지며 충돌시 범퍼본체(100)는 오버랩에 의하여 하단부가 눌려 팽창된다. 테일게이트(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범퍼본체(100)의 오버랩 상태가 유지되므로 이를 고려할 때, 돌기홈(120)이 돌기(340)보다 약간 여유있게 형성되어 오버랩시 돌기(340)가 돌기홈(120)의 걸림턱(140) 사이에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범퍼본체(100)의 누름 압력에 의한 팽창으로 돌기홈(120) 내측의 걸림턱 구조(140)가 돌기(340)를 상,하,좌,우로 밀착하며 잡아주어 범퍼본체(100) 및 테일게이트(10)의 위치가 규제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오버슬램범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슬램범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슬램범퍼가 밀착되는 리어범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슬램범퍼가 리어범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범퍼본체 120 : 돌기홈
140 : 걸림턱 구조 300 : 리어범퍼
320 : 접촉부 340 : 돌기

Claims (2)

  1. 개방부를 개폐하는 패널측 테두리에 마련되어, 개방부의 폐쇄시 개방부측 테두리에 닿아 반력을 생성하는 차량용 오버슬램범퍼로서,
    개방부측 테두리(300)에는 접촉부(320)가 마련되어 범퍼본체(100)가 접촉되며, 범퍼본체(100)의 위치규제를 위하여 접촉부(320)와 범퍼본체(100)의 하면에는 각각 대응되는 돌기(340)와 돌기홈(120)이 형성되고, 돌기(340)가 돌기홈(120)에 밀착하여 끼워지도록 돌기(340)나 돌기홈(120) 일측에는 걸림턱 구조(14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버슬램범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개방부의 폐쇄시 범퍼본체(100)의 하단부가 눌려 팽창되는 것을 고려하여, 범퍼본체(100)가 눌리기 전에는 돌기홈(120)과 돌기(340) 사이에 일정 갭이 존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버슬램범퍼.
KR1020070124942A 2007-12-04 2007-12-04 차량용 오버슬램범퍼 KR20090058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942A KR20090058251A (ko) 2007-12-04 2007-12-04 차량용 오버슬램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942A KR20090058251A (ko) 2007-12-04 2007-12-04 차량용 오버슬램범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251A true KR20090058251A (ko) 2009-06-09

Family

ID=4098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942A KR20090058251A (ko) 2007-12-04 2007-12-04 차량용 오버슬램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82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8147A (zh) * 2013-12-24 2014-04-23 柳州正菱集团有限公司 一种车门结构
KR20180093697A (ko) 2017-02-14 2018-08-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치 가변형 오버 슬램 범퍼 장치와 이의 위치 가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8147A (zh) * 2013-12-24 2014-04-23 柳州正菱集团有限公司 一种车门结构
KR20180093697A (ko) 2017-02-14 2018-08-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치 가변형 오버 슬램 범퍼 장치와 이의 위치 가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1269B2 (ja) 車両用ドアガラス昇降構造
US10611223B2 (en) Glass run for automobile door
JP6700900B2 (ja) 自動車ドア用シール材
KR10032083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CN103171412A (zh) 汽车门的密封装置
US9714535B2 (en) Vehicle having opening-closing control function
KR100506923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오버슬램범퍼
US20190301223A1 (en) Dual platform bumper system for vehicle doors
KR20090058251A (ko) 차량용 오버슬램범퍼
KR102117952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오버슬램범퍼 설치구조
US6035488A (en) Vehicle sliding door stopper having concavities formed therein
KR20100059521A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가이드 범퍼
CN108729781A (zh) 用于中分式车门总成的辅助主动锁止机构
KR101987845B1 (ko) 창호용 바람막이 스토퍼
CN109927645B (zh) 前围上部装饰件
KR101415404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
JP5146818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6130346B2 (ja) 車両用サッシュレスドア
KR100872653B1 (ko) 차량의 오버 슬램 범퍼구조
JP7198592B2 (ja) 自動車用ドアガラスの昇降構造
JP4631592B2 (ja) 穴閉鎖プラグ
KR100921109B1 (ko) 테일게이트 구조
KR100733669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JP3667710B2 (ja) サンシェードの前後動規制構造
KR20220021937A (ko) 테일게이트용 힌지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