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404B1 - 자동차용 도어체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404B1
KR101415404B1 KR1020130088417A KR20130088417A KR101415404B1 KR 101415404 B1 KR101415404 B1 KR 101415404B1 KR 1020130088417 A KR1020130088417 A KR 1020130088417A KR 20130088417 A KR20130088417 A KR 20130088417A KR 101415404 B1 KR101415404 B1 KR 101415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door
checker
hole
check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운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8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체커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체바디의 마운팅홀과 체커암의 고정브라켓의 결합홀이 서로 일치되지 않을 경우 이에 맞는 길이를 가진 체커암을 새로이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100)의 내측판넬에 설치된 체커암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이동되게 끼워지는 체커암(300) 일측단의 고정브라켓(310)을 차체바디의 마운팅홀을 통해 마운팅되게 하고, 체커암(300) 타측단의 스톱퍼설치부(320)에 스톱퍼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에 있어서, 체커암(300)의 스톱퍼설치부(320)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홀(410)이 중앙에 형성되고, 고정홀(410)의 상부와 하부에 스톱퍼설치홀(420)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400)와; 고정플레이트(400)의 상,하 스톱퍼설치홀(420)에 회전 및 이탈되지 않게 끼워져 체결되며, 중앙에 나사홀(510)이 형성된 스톱퍼가이드(500)와; 전면에는 러버완충부(610)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스톱퍼가이드(500)의 나사홀(510)에 결합되는 나사봉(620)이 구비되며, 나사봉(620) 끝단에 공구머리부(621)가 구비되어 러버완충부(610) 위치가 가변되는 스톱퍼(6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체커를 설치 시 차체바디의 마운팅홀과 체커암(300)의 고정브라켓(310)에 형성된 결합홀(311)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체커암(300)의 길이를 조절하여 맞출 수 있음에 따라 도어체커를 새로이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체커{DOOR CHECK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체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도어체커를 설치하기 위하여 도어체커의 타단을 도어 내측판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일단의 고정브라켓을 차체바디에 고정시킬 시 고정브라켓의 결합홀과 차체바디의 마운팅홀이 서로 일치되지 않을 경우 손쉽게 체커암의 길이를 조절하여 맞출 수 있음으로 이에 맞는 체커암을 가진 도어체커를 새로이 제작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차자와 화물의 출입을 위하여 설치되는 자동차의 도어는 프레스 가공한 내외의 두 강판 패널을 상자형으로 용접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도어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도어힌지에 의해 차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런데 도어는 내외 패널의 무게뿐만 아니라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장치, 도어 록킹장치, 윈도우 글래스 및 윈도우 글래스 개폐장치, 도어 트림 및 각종 스위치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 자체가 상당한 중량을 갖는다.
한편, 도어와 차체 사이에는 도어체커를 설치하여 도어를 단계적으로 열리게 하는 것으로 도어가 일정 한계 이상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사람의 힘을 의지하지 아니하고는 그 자력을 닫히거나 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도어체크를 이용한 종래의 기술이 일본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1-00341527호(2001.12.11. 공개)에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차체고정브라켓에 의해 체크플레이트바의 일단을 차체 바디에 고정시키고, 끝단에 플레이트가 설치된 체크플레이트바의 타단은 도어부 내측으로 설치하여 도어를 점차 열면 슬라이더가 구비된 케이스가 도어와 함께 체크플레이트바를 따라 이동되는 것이고, 이후 케이스가 플레이트에 닿게 되면 도어가 더 이상은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1-0016513호(2011.02.18. 공개)의 "차량용 도어체크 장치"
그러나 종래의 선행기술은 체커플레이트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어서 즉, 슬라이더가 구비된 케이스와 케이스에 관통되게 끼워지고, 타단에 플레이트가 설치된 체커플레이트바는 도어부 내측에 설치되게 하고, 차체고정브라켓이 결합된 체커플레이트바의 일단은 도어부 바깥으로 나오게 한 상태에서 차체고정브라켓을 차체바디에 고정시킨다.
그런데 차체품질 산포시 차체바디쪽에 형성되는 마운팅홀과 차체고정브라켓홀이 서로 불일치되는 품질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는데 즉, 차체고정브라켓을 차체바디에 결합 시에는 도어를 최대한 열은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이고, 이때 케이스는 체커플레이트바의 플레이트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처럼 케이스와 플레이트가 서로 접면된 상태이기 때문에 차체바디의 마운팅홀과 차체고정브라켓의 홀이 서로 불일치할 경우 종래에는 체커플레이트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어 이에 맞는 도어체커를 새로이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의 내측판넬에 설치된 체커암 하우징을 관통하여 이동되게 끼워지는 체커암 일측단의 고정브라켓을 차체바디의 마운팅홀을 통해 마운팅되게 하고, 체커암 타측단의 스톱퍼설치부에 스톱퍼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에 있어서, 체커암의 스톱퍼설치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홀이 중앙에 형성되고, 고정홀의 상부와 하부에 스톱퍼설치홀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상,하 스톱퍼설치홀에 회전 및 이탈되지 않게 끼워져 체결되며, 중앙에 나사홀이 형성된 스톱퍼가이드와; 전면에는 러버완충부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스톱퍼가이드의 나사홀에 결합되는 나사봉이 구비되며, 나사봉 끝단에 공구머리부가 구비되어 러버완충부 위치가 가변되는 스톱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체바디의 마운팅홀과 체커암 일단의 고정브라켓 결합홀이 일치되지 않을 경우 스톱퍼를 이동시켜 러버완충부 위치를 가변시켜 체커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도어체커를 새로이 제작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체커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체커를 예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체커의 요부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서 고정플레이트에 스톱퍼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5 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체커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체커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체커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체커의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서 고정플레이트에 스톱퍼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며, 도 5 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체커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100)의 내측판넬에 설치된 체커암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이동되게 끼워지는 체커암(300) 일측단의 고정브라켓(310)을 차체바디의 마운팅홀을 통해 마운팅되게 하고, 체커암(300) 타측단의 스톱퍼설치부(320)에 스톱퍼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에 있어서, 체커암(300)의 스톱퍼설치부(320)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홀(410)이 중앙에 형성되고, 고정홀(410)의 상부와 하부에 스톱퍼설치홀(420)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400)와; 고정플레이트(400)의 상,하 스톱퍼설치홀(420)에 회전 및 이탈되지 않게 끼워져 체결되며, 중앙에 나사홀(510)이 형성된 스톱퍼가이드(500)와; 전면에는 러버완충부(610)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스톱퍼가이드(500)의 나사홀(510)에 결합되는 나사봉(620)이 구비되며, 나사봉(620) 끝단에 공구머리부(621)가 구비되어 러버완충부(610) 위치가 가변되는 스톱퍼(600)로 구성되어 차체바디의 마운팅홀과 고정브라켓(310)의 결합홀(311)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스톱퍼가이드(500)에서 출입되는 러버완충부(610)의 위치 조절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700)은 스톱퍼가이드에 체결되는 캡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어체커는 도어(100)의 내측판넬로는 체커암 하우징(200)이 설치되어 체커암(300)이 체커암 하우징(200)에 관통되어 이동되게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게 하고, 체커암(300)의 일측단에 설치된 고정브라켓(310)은 도어(100)외측으로 돌출시켜 차체바디에 고정되게 하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차체바디에 고정브라켓(310)을 결합 시 즉, 차체바디에 형성된 마운팅홀과 고정브라켓(310)의 결합홀(311)이 서로 일치되지 않을 경우 스톱퍼(600)를 조절하여 체커암(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차종에 따라 새로이 도어체커를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고정플레이트(400)를 구비하되 고정플레이트(400)의 중앙에는 체커암(300)의 스톱퍼설치부(32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410)을 형성하고, 그 고정홀(410)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스톱퍼설치홀(420)을 형성한다.
따라서 일측단에 고정브라켓(310)이 설치된 체커암(300)의 타측단을 고정플레이트(400)의 고정홀(410)에 끼워 체커암(300)의 스톱퍼설치부(320)가 고정홀(410)에서 돌출되게 한다.
또한, 중앙에 나사홀(510)이 있는 스톱퍼가이드(500)를 구비하여 고정플레이트(40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스톱퍼설치홀(420)에 스톱퍼가이드(500)를 끼워 후방 일부위가 스톱퍼설치홀(420)을 통해 돌출되게 한 상태에서 스톱퍼가이드(500)에 고정캡(700)을 체결한다.
여기서 스톱퍼가이드(500)는 고정캡(700)으로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하지만 스톱퍼가이드(500)를 육각형으로 제작하여 스톱퍼설치홀(420)에 끼웠을 시 회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고정플레이트(400)의 중앙 고정홀(410)에는 체커암(300)의 타측단이 끼워져 고정되게 하고, 상.하부 스톱퍼설치홀(420)에는 스톱퍼가이드(500)를 체결한 이후 스톱퍼가이드(500)에 스톱퍼(600)를 체결한다.
여기서 스톱퍼(600)는 전방에는 체커암 하우징(200)이 접촉되었을 시 충격력을 상쇄하여 소음을 방지하는 러버완충부(610)를 구비하고, 후방의 나사봉(620)에는 공구머리부(621)를 구비하여 즉, 나사봉(620)을 스톱퍼가이드(500)의 나사홀(510)에 끼워 공구머리부(621)가 나사홀(510)을 통해 고정캡(700)보다 더 돌출되게 한다.
이처럼 구성되어 결합된 도어체커를 도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체커암(300)에 설치된 고정브라켓(310)과 체커암 하우징(200), 스톱퍼(600)가 체결된 고정플레이트(400)중 체커암 하우징(200)과 고정플레이트(400)는 도어(100)의 내측에 위치되게 하고, 고정브라켓(310)만을 도어(100)외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이후 돌출된 고정브라켓(310)을 차체바디에 설치하는데 이때 도어(100)는 최대한 열린 상태에서 설치작업을 하여야 만이 보다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고, 도어(100)를 열어 체커암 하우징(200)이 스톱퍼(600)의 러버완충부(610)에 접면되면 도어(100)는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도어(100)의 내측판넬에는 체커암 하우징(200)과 체커암(300)의 타측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커암(300)의 일측 고정브라켓(310)에 구비된 결합홀(311)과 차체바디의 마운팅홀을 서로 일치시켜 체커암(300)을 고정시키는데 이때 결합홀(311)과 마운팅홀이 서로 일치되지 않을 경우 즉, 체커암(300)의 길이가 길어 고정브라켓(310)의 결합홀(311)이 차체바디의 마운팅홀을 지나칠 경우 본 발명에서는 공구를 이용하여 스톱퍼(600)의 공구머리부(621)를 돌려 러버완충부(610)를 지금보다 더 앞쪽으로 전진시킨 후 체커암 하우징(200)을 러버완충부(610)에 밀착시키면 러버완충부(610)가 전진된 길이만큼 체커암(300)이 후진되기 때문에 즉, 체커암 하우징(200)의 위치가 변경되면 고정브라켓(310)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결합홀(311)을 차체바디의 마운팅홀과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는 다르게 체커암(300)의 길이가 짧아 고정브라켓(310)의 결합홀(311)과 차체바디의 마운팅홀이 서로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체커암(300)을 약간 전진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스톱퍼(600)의 공구머리부(621)를 돌려 러버완충부(610)를 지금보다 뒤로 후진시킨 후 체커암 하우징(200)을 러버완충부(610)에 말착시키면 체커암(300)은 그만큼 앞으로 전진되면서 결합홀(311)과 마운팅홀이 일치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차종에 따라 체커암(300)을 새로이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톱퍼(600)의 러버완충부(610)에는 절결부(611)를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체커암 하우징(200)이 러버완충부(610)에 접촉 시 접촉면 부위가 사방으로 벌어지게 하여 체커암 하우징(200)과 접촉 시 러버완충부(610)의 접지력이 향상되게 하여 접촉 시 발생되는 소음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도어 200 : 체커암 하우징
300 : 체커암 310 : 고정브라켓
311 : 결합홀 320 : 스톱퍼설치부
400 : 고정플레이트 410 : 고정홀
420 : 스톱퍼설치홀 500 : 스톱퍼가이드
510 : 나사홀 600 : 스톱퍼
610 러버완충부 611 : 절결부
620 : 나사봉 621 : 공구머리부
700 : 고정캡

Claims (2)

  1. 도어(100)의 내측판넬에 설치된 체커암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이동되게 끼워지는 체커암(300) 일측단의 고정브라켓(310)을 차체바디의 마운팅홀을 통해 마운팅되게 하고, 체커암(300) 타측단의 스톱퍼설치부(320)에 스톱퍼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에 있어서, 체커암(300)의 스톱퍼설치부(320)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홀(410)이 중앙에 형성되고, 고정홀(410)의 상부와 하부에 스톱퍼설치홀(420)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400)와;
    고정플레이트(400)의 상,하 스톱퍼설치홀(420)에 회전 및 이탈되지 않게 끼워져 체결되며, 중앙에 나사홀(510)이 형성된 스톱퍼가이드(500)와;
    전면에는 러버완충부(610)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스톱퍼가이드(500)의 나사홀(510)에 결합되는 나사봉(620)이 구비되며, 나사봉(620) 끝단에 공구머리부(621)가 구비되어 러버완충부(610)가 가변되는 스톱퍼(600);
    로 구성되어 차체바디의 마운팅홀과 고정브라켓(310)의 결합홀(311)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스톱퍼가이드(500)에서 출입되는 러버완충부(610)의 위치 조절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톱퍼(600)의 러버완충부(610)에는,
    접촉면 부위가 사방으로 벌어지게 하는 절결부(611)를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체커암 하우징(200)과 접촉 시 러버완충부(610)의 접지력이 향상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체커.
KR1020130088417A 2013-07-26 2013-07-26 자동차용 도어체커 KR101415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417A KR101415404B1 (ko) 2013-07-26 2013-07-26 자동차용 도어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417A KR101415404B1 (ko) 2013-07-26 2013-07-26 자동차용 도어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404B1 true KR101415404B1 (ko) 2014-07-04

Family

ID=5174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417A KR101415404B1 (ko) 2013-07-26 2013-07-26 자동차용 도어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4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765A (ko) 2015-02-25 2016-09-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체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642U (ko) * 1997-11-20 1999-06-15 홍종만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9990025393U (ko) *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용 도어 체커
JP2001012127A (ja) 1999-07-02 2001-01-16 Riken Kaki Kogyo Kk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2006097402A (ja) 2004-09-30 2006-04-13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642U (ko) * 1997-11-20 1999-06-15 홍종만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9990025393U (ko) *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용 도어 체커
JP2001012127A (ja) 1999-07-02 2001-01-16 Riken Kaki Kogyo Kk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2006097402A (ja) 2004-09-30 2006-04-13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765A (ko) 2015-02-25 2016-09-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1231B2 (en) Automotive glass channel bracket and method
US9822562B2 (en) Vehicle door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KR101637303B1 (ko) 자동차용 도어구조
US8328269B2 (en) Articulating trim closeout panel for opposing hinged doors
KR20010064467A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KR101415404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
US20220412137A1 (en) Door hinge device of vehicle
KR20100059521A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가이드 범퍼
CA3009789C (en) Vehicle door structure
KR101599633B1 (ko) 자동차용 후드힌지
JP4631592B2 (ja) 穴閉鎖プラグ
KR101371803B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홀더
US20230220719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JP6104783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705800B2 (ja) 車両用ドア
JP2010215087A (ja) スライドドア構造
KR100892475B1 (ko) 차량용 테일 게이트 힌지
JP2006257678A (ja) 車両用ドア構造
KR20030078815A (ko) 승용차용 도어 개폐장치
JP4019314B2 (ja) スライドドアのストッパ構造
KR101240766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 핸들의 결합구조
KR200142559Y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KR100829284B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구조
MY200965A (en) Assist Grip Mounting Structure
JP2015004202A (ja) アウトスライド扉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