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765A - 자동차용 도어 체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765A
KR20160103765A KR1020150026551A KR20150026551A KR20160103765A KR 20160103765 A KR20160103765 A KR 20160103765A KR 1020150026551 A KR1020150026551 A KR 1020150026551A KR 20150026551 A KR20150026551 A KR 20150026551A KR 20160103765 A KR20160103765 A KR 20160103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hecker
checker arm
doo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659B1 (ko
Inventor
이형근
김규환
최규재
조원용
진문호
황택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659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개방량 조절을 위한 슬라이드 타입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있어서, 도어에 고정된 링형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에 삽입되도록 차체에 고정된 체커암을 포함하며, 체커암의 좌우방향 외측면과 슬라이더의 좌우방향 내측면 만이 접촉함으로써, 이물질 축적이 어려운 체커암 좌우측 면이 슬라이더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이음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체커{DOOR CHECK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개폐시 이음 발생이 방지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 대한 운전자들의 요구사항이 물리적인 품질에서 감성적인 품질로 바뀌어 가는 추세에 따라 차량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진동소음)저감 성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도어 체커는 평지 및 경사로에서 도어 오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와 차체(2)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어 체커(3)는 도어(1) 개폐 조작성과 관련한 기능적인 부분이 강조되어 왔던 이전과는 달리 도어(1) 개폐시의 이상 소음 발생에 운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며 품질 문제를 제기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도어(1) 개폐시 제기하는 품질 문제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문제(4), 개폐 어려움(5), 기타(6) 등으로, 소음문제(4)가 가장 크다.
도어 체커에 먼지, 흙탕물 등이 유입되어 체커 암 표면에 축적됨과 동시에 빗물 또는 세차시 유입되는 물, 세정제 등에 의해 그리스가 감소됨에 따라서 일정 기간 경과 후 도어 개폐시 도어 체커로부터 이음이 발생 된다.
도어 체커에 축적된 먼지, 흙탕물, 또는 그리스 감소에 따른 이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어 체커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량 설계를 개선하고, 도어 체커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이음이 발생되기 어렵도록 도어 체커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5404호(2014.06.27.)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먼지, 흙탕물 또는 도어 체커에 도포된 그리스가 감소되더라도, 이음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도어 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는, 차체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힌지고정된 체커암 및, 체커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체커암에 장착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체커암의 좌우방향 외측면과 슬라이더의 좌우방향 내측면 만이 접촉될 수 있다.
종래 도어 체커는 체커암과 슬라이더가 접촉하는 체커암 상단 표면에 이물질이 안착되기 쉬운 구조이고, 체커암과 슬라이더가 접촉하는 체커암 상단에 안착된 이물질이 체커암과 슬라이더에 의해 파쇄됨에 따라 이음이 발생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따르면, 이물질 축적이 어려운 체커암 좌우측 면이 슬라이더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이음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커암은 이물질 축적이 어려운 측면에 슬라이더와 접촉되는 면이 형성됨으로, 이물질에 의한 마모 발생이 현저히 줄고 이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도어 체커에 구비되었던 고무쿠션이, 환경 영향도가 적은 리프스프링으로 대체됨으로써, 종래 도어 체커에 대비하여 내환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커암과 슬라이더의 접촉부에서의 마모 발생이 적으므로, 도어 개폐시 절도력 변화가 적고, 도어 개폐에 필요한 힘의 변화가 종래에 비하여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도어 체커의 예시도,
도 2는 도어 개폐와 관련된 고객불만을 표시한 원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구비된 슬라이더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3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의 다른 요부 단면도,
도 8은 도 3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의 또 다른 요부 단면도,
도 9는 도 3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는, 차체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100)과, 고정브라켓(100)에 힌지고정된 체커암(200) 및, 체커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체커암(200)에 장착된 슬라이더(300)를 포함하며, 체커암(200)의 좌우방향 외측면과 슬라이더(300)의 좌우방향 내측면 만이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물질이 축적되기 어려운 체커암(200) 좌우측면에 구배가 형성되고, 체커암(200) 좌우측면이 슬라이더(300)와 접촉됨으로써 도어 개폐시 절도력이 형성된다. 또한, 체커암(200)과 슬라이더(300) 접촉에 의한 이물질 파쇄가 발생 되지 않는다.
슬라이더(300)는, 체커암(200)의 좌우방향 외측면을 향해 수축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체커암(200)의 좌우방향 외측면에는, 슬라이더(300)가 안착되는 골이 형성된다.
체커암(200)은, 고정브라켓(10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 골(210)이 형성되고, 제1 골(2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 골(220)이 형성되고, 고정브라켓(100)으로부터 제1 골(210)을 향해 점차적으로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더(300)는, 슬라이더(300)를 가압하도록 슬라이더(300) 외부에 위치된 탄성부재(400) 및, 슬라이더(300) 및 탄성부재(400)가 내장되는 케이스(50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커암(200)의 좌우방향 외측면에 접촉하고, 접촉 넓이를 최소화하도록 곡률 반경이 작은 돌기(520)가 좌우방향 내측면에 형성된다.
케이스(500)는, 밀폐된 직육면체 형상이고, 슬라이더(300)의 위치를 구속하는 가이드(510)가 내부에 형성된다.
가이드(510)는, 슬라이더(300)의 좌우방향 너비 및 체커암(200)의 좌우방향 너비의 합보다 작은 좌우방향 너비를 갖도록 제작된다.
가이드(510)는, 케이스(500)의 내측 면 중 체커암(200)이 관통하는 양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더(300)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케이스(50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접촉면(511)과 제2 접촉면(512)을 포함한다. 제1 접촉면(511) 및 제2 접촉면(512) 사이에 슬라이더(300) 및 체커암(200)이 위치된다.
탄성부재(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스(500) 상향방향 내측 양면 각각에 상향방향 외측면이 고정된 터널형 리프스프링(410)이 사용 가능하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00) 좌우방향 내측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돌기(520)에 양단이 고정된 리프스프링(420)이 사용가능하다. 이때, 리프스프링(4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0)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총 2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슬라이더(300)가 체커암(200)의 좌우측면 구배를 따라 이동할 때, 좌우로 벌어짐에 따라, 체커암(200)을 향해 슬라이더(300)를 가압하도록 형태변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고정브라켓 200: 체커암
210: 제1 골 220: 제2 골
300: 슬라이더 400: 탄성부재
410: 터널형 리프스프링 420: 리프스프링
500: 케이스 510: 가이드
511: 제1 접촉면 512: 제2 접촉면
520: 돌기

Claims (11)

  1. 차체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힌지고정된 체커암; 및
    상기 체커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체커암에 장착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체커암의 좌우방향 외측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방향 내측면 만이 접촉된 자동차용 도어 체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체커암의 좌우방향 외측면을 향해 수축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체커암의 좌우방향 외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안착되는 골이 형성된 자동차용 도어 체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은,
    상기 고정브라켓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 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골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 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으로부터 상기 제1 골을 향해 점차적으로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 자동차용 도어 체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하도록 상기 슬라이더 외부에 위치된 탄성부재; 및
    상기 슬라이더 및 탄성부재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밀폐된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를 구속하는 가이드가 내부에 형성된 자동차용 도어 체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방향 너비 및 상기 체커암의 좌우방향 너비의 합보다 작은 좌우방향 너비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 중 상기 체커암이 관통하는 양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 사이에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체커암이 위치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 상향방향 내측 양면 각각에
    상향방향 외측면이 고정된 터널형 리프스프링인 자동차용 도어 체커.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 좌우방향 내측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돌기에 양단이 고정된 리프스프링인 자동차용 도어 체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스프링이 상기 슬라이더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총 2개 구비된 자동차용 도어 체커.
  11. 도어의 개방량 조절을 위한 슬라이드 타입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된 링형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삽입되도록 차체에 고정된 체커암을 포함하며,
    상기 체커암의 좌우방향 외측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방향 내측면 만이 접촉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020150026551A 2015-02-25 2015-02-25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01664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551A KR101664659B1 (ko) 2015-02-25 2015-02-25 자동차용 도어 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551A KR101664659B1 (ko) 2015-02-25 2015-02-25 자동차용 도어 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65A true KR20160103765A (ko) 2016-09-02
KR101664659B1 KR101664659B1 (ko) 2016-10-11

Family

ID=56942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551A KR101664659B1 (ko) 2015-02-25 2015-02-25 자동차용 도어 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6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358U (ko) * 1996-12-14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도어체커
KR200176732Y1 (ko) * 1999-11-10 2000-04-15 주식회사그린뱅크 폐기물 건조장치
KR100448766B1 (ko) * 2001-08-22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체커
KR100879100B1 (ko) * 2007-10-15 200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체커
KR101415404B1 (ko) 2013-07-26 2014-07-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체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358U (ko) * 1996-12-14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도어체커
KR200176732Y1 (ko) * 1999-11-10 2000-04-15 주식회사그린뱅크 폐기물 건조장치
KR100448766B1 (ko) * 2001-08-22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체커
KR100879100B1 (ko) * 2007-10-15 200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체커
KR101415404B1 (ko) 2013-07-26 2014-07-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659B1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0392A1 (en) Door checker for automobile
EP2412269B1 (en) Roller shutter type storage container
JP6629444B2 (ja) 車両ドアチェッカー
CN105339703A (zh) 隔振装置
JP2012193567A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KR102052925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커버
US7891267B2 (en) AT selector cover
KR102258476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JP5186138B2 (ja) 鉄道車両用の防振ゴムストッパ
KR101664659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CN105443646A (zh) 防振衬套
JP5129687B2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におけるチェックプレート支持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JP6135688B2 (ja) 両開きドア構造
JP3973041B2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JP4231772B2 (ja) 自動車用シール部品
KR102002070B1 (ko) 차량용 도어체커
KR100899007B1 (ko) 뒤틀림 방지형 자동차용 도어체커
JP2006046588A (ja) 防振ブッシュ用ストッパ部材
JP6690824B2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装置
JP6795366B2 (ja) プラグ
JP2006118200A (ja) 挟み込み検知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KR102002067B1 (ko) 차량용 도어체커
JPH0649129U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ー
KR101275411B1 (ko) 차량용 시그널 연결장치
JP6488840B2 (ja) 車両用ベルトモ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