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070B1 - 차량용 도어체커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070B1
KR102002070B1 KR1020170164266A KR20170164266A KR102002070B1 KR 102002070 B1 KR102002070 B1 KR 102002070B1 KR 1020170164266 A KR1020170164266 A KR 1020170164266A KR 20170164266 A KR20170164266 A KR 20170164266A KR 102002070 B1 KR102002070 B1 KR 10200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er
molding member
wires
bent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928A (ko
Inventor
송재열
철 허
이상호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창
Priority to KR102017016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0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도어에 장착되는 체커바디; 및 차량 도어의 개폐에 따라 체커바디의 이동을 안내하는 체커암;을 포함하되, 체커바디는, 체커암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 한 쌍의 와이어 상단을 고정 지지하는 상부몰딩부재; 및 한 쌍의 와이어 하단을 고정 지지하는 하부몰딩부재;를 포함하며, 각 와이어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부몰딩부재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 지지되는 상단고정부; 상단고정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상측연장부; 상측연장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체커암 측면을 향해 소정 정도 굴곡 또는 절곡되는 굴곡부; 굴곡부로부어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하측연장부; 및 하측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일부 또는 전부가 하부몰딩부재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 지지되는 하단고정부;를 포함하고, 상단고정부, 상측연장부, 굴곡부, 하측연장부 및 하단고정부는, 소정 강성 및 탄성을 가진 일체의 금속 와이어를 절곡 성형하여 형성된 것인 차량용 도어체커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체커 {DOOR CHECKER FOR VEHICLE}
본 발명은 힌지 개폐식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동작을 보조하는 차량용 도어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힌지 개폐식 도어(swing door)에는 도어의 개폐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도어체커(door checker)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체커는 도어의 개폐시 절도감(체커력)을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개폐 조작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중량물인 도어의 개폐시 회동속도를 조절하고, 회동범위를 소정범위로 제한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도어체커는 일단이 차체에 슈(shoe)를 통해 힌지 결합된 체커암(checker arm)과, 도어에 내설되어 체커암과 기계적으로 결합된 본체부로 이뤄져 있다. 이때 절도감을 부여하기 위해 체커암의 외면에는 소정의 굴곡이 형성되며, 이러한 굴곡이 본체부에 구비된 탄성수단과 상호 작용하여 도어 개폐시 절도감이 부여되게 된다. 절도감은 체커암의 굴곡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데, 차종이나 도어의 위치 등에 따라 2 내지 3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기의 도어체커는 체커암 자체를 판 스프링(leaf spring) 등의 탄성체로 구성하여, 체커암의 탄성 변형을 통해 2 내지 3단의 절도감을 발생시키는 방식이 사용된 바 있으나(일 예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18294호), 반복 사용시 체커암의 내구성 저하나 체커력 약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근래에는 도어에 내설된 본체부에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체커암은 내구성 확보를 위해 인서트 몰딩 성형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근래 사용되는 도어체커는 체커암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수단의 종류나 절도감을 부여하는 방식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탄성수단으로는 고무(rubber), 압축스프링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체커암과의 접촉 방식에 따라서는 슬라이드(slide) 타입, 롤러(roller) 타입 및 볼(ball) 타입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슬라이드 타입은 고무, 플라스틱 등의 탄성체로 이뤄진 슬라이더를 체커암 외면에 접촉시켜, 접촉면에 따른 마찰력 및 체커암 외면의 굴곡을 통해 체커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5482호는 이러한 슬라이드 타입 도어체커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타입 도어체커는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나 제작이 용이하여 저가로 구현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롤러 타입은 마찰 접촉식의 슬라이더 대신 체커암 외면을 구름 운동하는 롤러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통상적으로 롤러 타입은 체커암 상하면에 접촉 구름되는 한 쌍의 롤러와, 각 롤러를 탄성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며, 이러한 롤러, 압축 스프링 등이 하우징에 내설되어 본체부를 이루게 된다.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5591호에서는 이러한 롤러 타입의 도어체커를 개시하고 있다. 롤러 타입은 슬라이드 타입에 비해 전반적으로 마찰계수가 작기 때문에 비교적 부드러운 개폐 작동이 가능하며, 절도감이나 개폐 작동감 또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롤러 타입은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이나 제작이 상대적으로 까다롭기 때문에, 슬라이드 타입에 비해 제조단가가 비싸지는 단점이 있기도 하다.
볼 타입은 롤러 대신에 스틸 볼((steel ball, 강구)을 구비하고, 스틸 볼이 체커암 외면을 구름 운동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9472호는 이러한 볼 타입의 도어체커를 개시하고 있다. 볼 타입은 벤딩이 있는 체커암에 대하여도 스틸 볼이 적절히 구름 운동되어, 롤러 타입에 비해 좀 더 우수한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으나, 스틸 볼의 사용으로 인해 조립이나 제작이 까다롭고 제조단가가 또한 비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급 차량에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친환경이 자동차 업계의 주된 이슈로 떠오르면서, 자동차 부품 분야에서도 연비 절감을 위한 부품의 경량화, 소형차 등을 위한 부품의 원가 절감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차량용 도어체커 분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18294호 (1997.05.26)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5482호 (2005.04.18)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5591호 (2006.05.24)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9472호 (2011.08.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량화가 가능하며,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체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도어에 장착되는 체커바디; 및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체커바디의 이동을 안내하는 체커암;을 포함하되, 상기 체커바디는, 상기 체커암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와이어 상단을 고정 지지하는 상부몰딩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 하단을 고정 지지하는 하부몰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 와이어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상부몰딩부재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 지지되는 상단고정부; 상기 상단고정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상측연장부; 상기 상측연장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체커암 측면을 향해 소정 정도 굴곡 또는 절곡되는 굴곡부; 상기 굴곡부로부어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하측연장부; 및 상기 하측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하부몰딩부재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 지지되는 하단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고정부, 상기 상측연장부, 상기 굴곡부, 상기 하측연장부 및 상기 하단고정부는, 소정 강성 및 탄성을 가진 일체의 금속 와이어를 절곡 성형하여 형성된 것인 차량용 도어체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는 체커바디에 구비되는 한 쌍의 와이어를 통해 종래 슬라이더나 탄성체의 기능을 통합 및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는 부품 수를 줄이고 이로 인한 경량화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는 한 쌍의 와이어 및 이의 상, 하단에 몰딩된 상부몰딩부재 및 하부몰딩부재가 하나의 구조체를 이루며 차량 도어 등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는 별도의 하우징이 요구되지 않으며, 하우징의 생략으로 인한 경량화 또한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는 그 부품 수가 최소화되고, 한 쌍의 와이어에 상부몰딩부재 및 하부몰딩부재를 인서트 몰딩하여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는 제작이 용이하고, 종래 대비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 또한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체커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체커(2)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체커(2)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체커(이하, '도어체커(2)'로 지칭함)는 체커바디(1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커바디(100)는 차량 도어에 장착되어 도어 개폐 시 체커암(2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체커바디(100)는 체커암(200)의 굴곡(210)과 상호 작용하여 체커력(절도감)을 발생시키기 위한 한 쌍의 와이어(110)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와이어(110)는 소정의 탄성 및 강성을 가진 금속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110)는 체커암(200)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배치될 수 있으며, 체커암(200)의 굴곡(210)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각 와이어(1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체커바디(100)는 한 쌍의 와이어(110) 상단에 체결되는 상부몰딩부재(120)와, 한 쌍의 와이어(110) 하단에 체결되는 하부몰딩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몰딩부재(120)는 한 쌍의 와이어(110) 상단을 고정 지지하며, 하부몰딩부재(130)는 한 쌍의 와이어(110) 하단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몰딩부재(120) 및 하부몰딩부재(130)는 수지(resin) 재질로 형성되어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와이어(110)를 인서트물로 그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상부몰딩부재(120) 및 하부몰딩부재(130)가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방식은 도어체커(2)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단가를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부몰딩부재(120)에는 상부볼트홀(121)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몰딩부재(130)에는 하부볼트홀(131)이 마련될 수 있다. 체커바디(100)는 상부볼트홀(121) 및 하부볼트홀(131)을 통해 차량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어체커(2)는 체커암(200)을 포함할 수 있다.
체커암(2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측이 슈(shoe)를 통해 차체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체커바디(10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체커암(200)은 한 쌍의 와이어(110)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체커바디(1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체커암(200) 측면에는 한 쌍의 와이어(110)와 상호 작용하여 체커력(절도감)을 발생시키기 위한 굴곡(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체커(2)는 한 쌍의 와이어(110)가 체커암(200)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어 개폐에 따라 체커바디(100)가 전후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체커암(200) 측면에 접촉된 한 쌍의 와이어(110)는 굴곡(210)을 지나면서 탄성 변형됨으로써, 도어 개폐에 따른 체커력(절도감)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도어체커(2)는 각 와이어(110)가 상하방향의 변형축(T)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틸팅 변형되어, 굴곡(210) 부위에 대한 대응 및 체커력의 발생이 이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도어체커(2)의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한편, 부품 수를 줄여 경량화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체커바디(100)에 구비된 한 쌍의 와이어(11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각 와이어(110)는 상단고정부(111), 상측연장부(112), 굴곡부(113), 하측연장부(114) 및 하측고정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단고정부(111) 내지 하측고정부(115)는 각 와이어(110)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순차적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금속 와이어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 와이어(110)는 소정의 금속 와이어가 절곡 성형되어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상단고정부(111), 상측연장부(112), 굴곡부(113), 하측연장부(114) 및 하측고정부(115)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고정부(111)는 각 와이어(110)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단고정부(111)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부몰딩부재(120) 내에 수용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단고정부(1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측연장부(112)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몰딩부재(120)에 수용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각 와이어(110)의 틸팅 변형에 대해 상단고정부(111)가 충분한 고정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측연장부(112)는 상단고정부(111)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측연장부(112)는 각 와이어(110)의 틸팅 변형시 하측연장부(114)와 함께 변형축(T)을 형성할 수 있다.
굴곡부(113)는 상측연장부(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체커암(200) 측면을 향해 소정 정도 굴곡 또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굴곡부(113)는 체커암(200) 측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접촉캡(113d)이 구비된 경우)으로 접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굴곡부(113)는 체커암(200) 측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상측경사부(113a)와, 상측경사부(113a)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다시 절곡된 접촉부(113b)와, 접촉부(113b)로부터 체커암(200)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하측경사부(113c)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굴곡부(113)에는 접촉캡(113d)이 구비될 수 있다. 접촉캡(113d)은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 접촉부(113b)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캡(113d)은 체커암(200) 측면에 접촉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체커암(200)과의 마찰력을 줄여 좀 더 부드러운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접촉캡(113d)은 상, 하단에 단턱부(113e)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3e)는 체커암(200)의 상면 및 하면에 접촉 또는 근접 배치되어 체커바디(100)의 이동 시 상하방향의 유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하측연장부(114)는 굴곡부(113) 하단의 하측경사부(113c)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측연장부(114)는 굴곡부(113) 상측의 상측연장부(112)에 대응되며, 상측연장부(112)와 함께 각 와이어(110)의 변형축(T)을 형성할 수 있다.
하단고정부(115)는 하측연장부(114)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일부 또는 전부가 하부몰딩부재(130)에 수용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하단고정부(115)는 상단고정부(111)와 유사하게 하측연장부(114)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와이어(110)의 틸팅 변형 시 하단 부위를 고정 지지하게 된다. 각 와이어(110)의 상단 부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고정부(111)에 의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한 쌍의 와이어(110)는 소정의 강성 및 탄성을 가지는 금속 와이어로 구성되어 상, 하단이 각각 상부몰딩부재(120) 및 하부몰딩부재(130)에 의해 고정 지지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체커바디(100)는 이와 같이 상부몰딩부재(120) 및 하부몰딩부재(130) 사이에 소정 강성의 와이어(110)가 연결되어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체커바디(100)는 체커암(200) 굴곡(210)에 대응하여 각 와이어(110)가 탄성적으로 틸팅 변형됨으로써, 체커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각 와이어(110)의 접촉부(113b) 또는 접촉캡(113d)이 체커암(200)의 굴곡(210)을 지나게 되면, 각 와이어(110)가 변형축(T)을 중심으로 틸팅 변형되면서 소정의 체커력(절도감)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체커(2)는 체커바디(1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와이어(110)를 통해 종래 슬라이더나 탄성체의 기능을 통합 및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도어체커(2)는 부품 수를 줄이고 이로 인한 경량화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어체커(2)는 한 쌍의 와이어(110) 및 이의 상, 하단에 몰딩된 상부몰딩부재(120) 및 하부몰딩부재(130)가 하나의 구조체를 이루며 차량 도어 등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도어체커(2)는 별도의 하우징이 요구되지 않으며, 하우징의 생략으로 인한 경량화 또한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도어체커(2)는 그 부품 수가 최소화되고, 한 쌍의 와이어(110)에 상부몰딩부재(120) 및 하부몰딩부재(130)를 인서트 몰딩하여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도어체커(2)는 제작이 용이하고, 종래 대비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 또한 가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차량용 도어체커 100: 체커바디
110: 와이어 111: 상단고정부
112: 상측연장부 113: 굴곡부
114: 하측연장부 115: 하단고정부
120: 상부몰딩부재 130: 하부몰딩부재
200: 체커암 210: 굴곡

Claims (3)

  1. 차량 도어에 장착되는 체커바디(100); 및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체커바디(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체커암(200);을 포함하되,
    상기 체커바디(100)는,
    상기 체커암(200)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110);
    상기 한 쌍의 와이어(110) 상단을 고정 지지하는 상부몰딩부재(120);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110) 하단을 고정 지지하는 하부몰딩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각 와이어(11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상부몰딩부재(120)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 지지되는 상단고정부(111);
    상기 상단고정부(111)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상측연장부(112);
    상기 상측연장부(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체커암(200) 측면을 향해 소정 정도 굴곡 또는 절곡되는 굴곡부(113);
    상기 굴곡부(113)로부어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하측연장부(114); 및
    상기 하측연장부(114)로부터 연장되며,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하부몰딩부재(130)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 지지되는 하단고정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고정부(111), 상기 상측연장부(112), 상기 굴곡부(113), 상기 하측연장부(114) 및 상기 하단고정부(115)는,
    소정 강성 및 탄성을 가진 일체의 금속 와이어를 절곡 성형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단고정부(111) 및 상기 하단고정부(115)는,
    각각 상기 상측연장부(112) 및 상기 하측연장부(114)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113)는,
    상기 상측연장부(112)로부터 상기 체커암(200) 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상측경사부(113a);
    상기 상측경사부(113a)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접촉부(113b);
    상기 접촉부(113b)에 형성되어 상기 체커암(200) 측면에 접촉 슬라이딩되며, 상단 및 하단에 단턱부(113e)가 형성된 접촉캡(113d); 및
    상기 접촉부(113b)에서 상기 체커암(200)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하측경사부(113c);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체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200)은,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굴곡(210)을 구비하며,
    상기 각 와이어(110)는,
    상기 굴곡(210)에 대응하여, 상기 상측연장부(112) 및 상기 하측연장부(114)가 형성하는 변형축(T)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틸팅 변형되도록 형성된 차량용 도어체커.
  3. 삭제
KR1020170164266A 2017-12-01 2017-12-01 차량용 도어체커 KR102002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266A KR102002070B1 (ko) 2017-12-01 2017-12-01 차량용 도어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266A KR102002070B1 (ko) 2017-12-01 2017-12-01 차량용 도어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928A KR20190064928A (ko) 2019-06-11
KR102002070B1 true KR102002070B1 (ko) 2019-07-22

Family

ID=6684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266A KR102002070B1 (ko) 2017-12-01 2017-12-01 차량용 도어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544A (ko) * 2022-06-17 2023-12-27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도어 체커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1380A1 (en) 1982-12-14 1984-06-20 The Bloxwich Lock And Stamping Company Limited Door checks
JP2008297737A (ja) 2007-05-30 2008-12-11 Shiroki Corp 車両用ドアチェック機構における接触部材の支持構造
JP2011516758A (ja) 2008-04-07 2011-05-26 マルティマティ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エネルギー貯蔵体を有する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8294U (ko) 1995-10-19 1997-05-26 차량용 도어 체커
KR100507534B1 (ko) 2003-10-13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첵커의 작동억압장치
KR20060055591A (ko) 2004-11-18 2006-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20110089472A (ko) 2010-02-01 2011-08-09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체커
US20130055529A1 (en) * 2011-09-06 2013-03-07 Rudolf Gruber Torsion Bar Door Che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1380A1 (en) 1982-12-14 1984-06-20 The Bloxwich Lock And Stamping Company Limited Door checks
JP2008297737A (ja) 2007-05-30 2008-12-11 Shiroki Corp 車両用ドアチェック機構における接触部材の支持構造
JP2011516758A (ja) 2008-04-07 2011-05-26 マルティマティ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エネルギー貯蔵体を有する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928A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633B2 (en) Vehicular window regulator
WO2012002093A1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20100295222A1 (en) Actuator and spring used therefor
JP6629444B2 (ja) 車両ドアチェッカー
WO2013089312A1 (en) Bracket cover for vehicle wiper
KR102002070B1 (ko) 차량용 도어체커
JP5004058B2 (ja) チェックリンク装置
EP2927034A2 (en) Deflector device for vehicle
US9975411B2 (en) Sunroof device
CN111219111A (zh) 车辆用车门限位器
CN113250560B (zh) 车辆用后备箱盖的铰链组件
CN111441434A (zh) 一种按压面板
KR102002067B1 (ko) 차량용 도어체커
KR102420804B1 (ko) 차량용 도어체커
KR20100021055A (ko) 자동차의 암 레스트 힌지 조립체
KR101849098B1 (ko) 차량용 도어체커
KR101995272B1 (ko) 도어 체커 조립체
JP2016125205A (ja) 車両ドア開閉力調整装置
CN212054220U (zh) 一种车门限位器组件
KR20090078900A (ko) 휴대폰의 슬라이딩 힌지모듈
CN216861585U (zh) 一种汽车电动助力转向器扭力杆支撑结构
CN214943391U (zh) 一种汽车滑门铰链
US10857861B2 (en) Sunroof device
KR20060055591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CN208118895U (zh) 一种车载空气净化器壳体及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